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치원의 간식 및 점심급식시간의 교육적 운영

        배소연(So Youn Bae),정미라(Mi Ra Jung) 한국아동학회 1996 아동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nagement of nutrition programs in kindergarten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snack and lunch tim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of the nutrition program. 259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ffort to provide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snack and lunch times, implying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해 알고 있어야 할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배소연 ( So Youn Bae ),김순환 ( Sun Hwan Kim ),한희정 ( Hee Jeong H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다문화 유아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내용들을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배웠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의 유아들의 교육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12명의 교사가 응답한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 (2)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 교사들도 많았으며 특히 교사양성과정이나 연수교육과 함께 인터넷이나 TV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서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배우는 경우도 많았다.; (3) 다문화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의 결과는 항목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사교육의 방안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 their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 total of 212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veral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much about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did not have opportunities of learning those knowledge/skills from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learned about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via internet or TV new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scores among groups divided by educational levels, majors of study, types of institutions they teach, and years of teaching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develop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헤시오도스와 세모니데스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동물화

        배소연 ( Bae So-ye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3 No.-

        본고는 상고기 그리스에서 활동한 헤시오도스와 아모르고스 출신 세모니데스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동물화를 다루었다. 헤시오도스는 그의 작품, 신통기와 일과 나날에서 최초의 여성 판도라가 자연적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제우스의 도구로 만들어졌다고 묘사함으로써 여성의 타자성을 전제했다. 판도라는 인간에게 불을 훔쳐준 프로메테우스에게 분노한 제우스가 인류에게 내린 아름답게 포장된 미끼에 불과했고, 판도라의 개처럼 뻔뻔하고 기만적인 기질은 에피메테우스를 속여 그녀를 인간사회에 들여 놓을 수단이 되었다. 판도라가 고뇌와 질병으로 가득 찬 항아리를 연 결과, 이전까지 일할 필요 없는 삶을 누렸던 남자들은 생존을 위해 노동해야만 하는 지난한 삶을 살게 되었다. 판도라로부터 파생된 여성들 역시 동물 묘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헤시오도스는 일과 나날에서 쉴 새 없이 일하는 농부를 일벌로, 여성들을 일벌들이 모은 꿀을 탕진하는 수벌로 묘사했다. 벌의 묘사에서 드러난 성별의 전환에서 알 수 있듯, 여성들을 경제적으로 무용한 존재로 묘사하기 위해 헤시오도스는 여성의 가정 기여도를 최소화하고 여성이 왜 “필요”악인지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다. 여성은 출산, 양육을 통해 가정과 공동체의 구성원을 길러내는 재생산 기능을 담당했지만, 헤시오도스는 철저하게 경제적 관점에서만 여성의 가치를 판단하였다. 땀흘려 일하지 않은 채 남의 것을 탐하는 동생 페르세스와의 송사에 시달렸던 헤시오도스에게 여성이란 유산을 물려주고 대를 잇게 할 한 명의 아들만 낳으면 그 용도가 다하는 짐에 불과했다. 세모니데스는 제우스가 여덟 가지 동물들(돼지, 여우, 개, 당나귀, 족제비, 말, 원숭이, 벌)과 흙과 바닷물로부터 여성의 정신을 빚어냈다고 기술했다. 세모니데스는 드러내 놓고 여성과 동물을 동일시하지 않았으나, 정신적으로나 태생적으로 남성과 다른 여성은 역시 인간보다는 동물에 가까운 존재였다. 세모니데스의 작품 속 여성들은 각 동물 조상의 기질에 따라 집안을 돼지우리로 바꾸고, 폭식하며, 성질을 이기지 못해 날뛰거나, 이웃을 속이고 남의 일에 참견하며, 빈둥거리고, 좀도둑질을 하고, 음란하며, 꾸미고 사치하는 등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열 가지 유형 중 벌 여인만이 현숙하지만 세모니데스는 벌 여인 역시 결국 그녀의 남편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 보았다. 헤시오도스와 세모니데스는 여성이 남성에게 해악을 끼치는 존재라는 전제를 공유했고 여성을 동물화해 남자들과 구별했으며, 이런 동물과 같은 타자와 함께 가정을 꾸려 나가야 하는 딜레마에 대해 고민했다. 두 작가의 작품 속 여러 공통분모들을 고려해볼 때 세모니데스가 신통기와 일과 나날을 염두에 두고 시를 창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의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드러난다. 노동의 연원에 초점을 맞춰 여성을 부차적으로 다룬 헤시오도스와 달리 세모니데스는 여성을 시의 주제로 다루었다. 헤시오도스는 여성을 몰개성적인 하나의 집단으로 여겼지만 세모니데스는 여성을 열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자의 다양성과 개성을 보여주었다. 경제적 효용만을 중시해 가정 내 여성의 기여를 축소기술한 헤시오도스와 달리 세모니데스는 모성을 인정했다. 일하지 않는 가족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 현실에 분개한 헤시오도스와 달리 세모니데스의 시 속 남편들은 서로의 아내를 비교하고 부러워할지언정 자신의 아내를 집 밖으로 내쫓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헤시오도스의 작품에서 가정과 공동체 간의 연결이 크게 부각되지 않은 것과 달리 세모니데스는 남성도, 여성도 모여 서로의 일상을 공유하는 공동체를 묘사했다. 가정과 공동체 내에서 여성을 이해하려는 세모니데스의 태도는 공동체와 가정 개념이 헤시오도스 시대보다 더 명확해진 덕택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고전기 그리스의 다양한 작품들에서도 동물 묘사가 여성을 비난하기 위한 문학적 수사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볼 때, 헤시오도스와 세모니데스는 언제 동물성을 드러낼 지 알 수 없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두려움을 최초로 구체화한 시인들로 평가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nimalization of women in Hesiod’s Theogony and Works and Days as well as the seventh fragment of Semonides of Amorgos. Hesiod makes it clear that women were different from men in his depiction of Pandora’s creation and the ensuing birth of the race of women. Pandora’s dog-like, deceptive nature is a tool to dupe Epimetheus into accepting her. After Pandora opened the jar, which released agony and anguish, men had to work all day and night to survive. In this onerous life, women are like drones who always idle in the honeycomb and mooch off the toil of the worker bees. Though Hesiod is not ignorant of the fact that women are necessary to continue the family line, he assesses the efficiency of women only from an econom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 In Hesiod’s efforts to find the optimal size of an oikos to reduce the amount of labor done by men, it would have been coherent to minimize female contributions to the house by deliberately avoiding discussing motherhood. The setting of the seventh fragment of Semonides of Amorgos appears to be at a symposium where husbands gather and assess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ir wives. Semonides does not equate women with animals explicitly, but women are still differentiated from men as bestial. Zeus molded the minds of women from eight animals (sow, vixen, bitch, donkey, weasel, mare, monkey, and bee), earth, and water.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s and other elements that formed them, women are divided by type into filthy, gluttonous, raving, deceptive, nosy, lazy, thieving, obscene, and luxurious. Only the virtuous bee wife is desirable, but she may also turn out to be disastrous to her husband eventually. Semonides makes men deplorable because no matter how men continue whining about their women, they are completely unaware that they were born fettered to women and will never be freed from that bond. Agreeing on the premise that women are evil to mankind, Hesiod and Semonides differentiate women from men as having animalistic traits or minds, and they both address the dilemma that men still need to cohabit with bestial women. Semonides borrows literary motifs from Hesiod that appear in the seventh fragment. Nonetheless, Hesiod focuses on the etiology of his current society, where an ordinary farmer has to work ceaselessly to support his family, and he assesses women’s valu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In the process, women are dealt with as a monolithic group, deprived of their individuality; women’s contribution to the oikos and the community through reproduction is also obliterated. Semonides subdivides Hesiod’s race of women into ten types, and each woman displays individuality. Semonides acknowledges women’s roles as mothers and locates women in the oikos. The sense of community is bolstered by Semonides, who depicts the small gatherings of neighbors. This increased communal sense may be ascribed to the concepts of oikos and polis that were more established after Hesiod’s times. Later authors in classical Greece continue to employ animalization of women as a literary device to denounce or otherize women. Accordingly, Hesiod and Semonides are the earliest poets who sparked the fear that someday the female others may reveal their inner bestiality to the detriment of men.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기준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교사교육기준의 분석을 중심으로-

        배소연 ( So Youn B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모든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할 때 근거로 사용되는 ‘교원평가 및 지원 협력단 연합(InTASC)’의 ‘핵심교수기준 모델’과 ‘전미유아교육협회(NAEYC)’의 ‘초임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준’에 각각 어떤 내용들이 어떤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준의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미국 전역에서 사용되는 있는 모든 교사관련 기준들의 모체라 할 수 있는 ‘핵심교수기준 모델’은 교사가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할 자질을 10가지의 기준으로 나누고 각각의 기준에 구체적인 지식과 성향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교사교육에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 및 새로운 동향, 그리고 미국사회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초임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준’은 유아교사교육용으로 개발된 기준으로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을 6가지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각 기준에 주요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아교사교육에 관련된 기존이론 및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준 구성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to develop professional standar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in depth analysis of two major professional standards currently used in the US: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developed by the Interstate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 Standards, and ‘Standards for Initial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consists of 10 sub-standards, 56 ‘essential knowledge’, and 43 ‘critical Dispositions.’ This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teacher education of all levels from early childhood to secondary education, reflects research-based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and learning, new trends in educational research, and contemporary social needs in the US. In addition, the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has been a foundation of and model for all other professional standard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S. The ‘Standards for Initial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is a part of the ‘NAEYC Standards for Initial and Advanced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imed for licensing new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is composed of 6 sub-standards with 24 ‘key elements’; and reflect principl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current societal need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fessional standar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were draw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included.

      • KCI우수등재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의미 회복을 위한 비판적 검토 - 교육입법, 교육행정, 교육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배소연(BAE, SOYOUN)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4

        교육을 받을 권리는 대한민국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와 민주복지국가의 이념을 실현하는 방법상 기초이자, 다른 기본권의 기초가 되는 기본권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헌법은 제31조 제4항을 통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이 중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해석과 적용이 교육에 관한 국가의 과도한 규제를 뒷받침하거나 초 중등 교원의 정치활동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교육입법과 교육행정, 그리고 사법영역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의미에 관한 기존의 소극적 해석과 편향된 운용이 반복되면서 문제가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교육입법 현황과 교육행정 차원의 운용 모습을 확인하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사법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헌법이 추구하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정당정치적 중립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교육이 국가권력 또는 특정한 정치세력에 의해 지배되거나 도구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기초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종교적 종파성을 포함한 정당정치적 당파성을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헌법이 규정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원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헌법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책임 있는 미래 세대는 정치교육을 포함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므로, 교육영역에서 정치적 요소를 배제하거나 논란이 될 수 있는 주제를 다루지 않는 소극적 방법만을 고수하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가치를 최대한 보장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궁극적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는 방법과 그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부터 교육영역에서 준수되어야 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공감대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입법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교원’의 정치활동 제한 규정으로만 구체화하지 않아야 한다. 교육행정은 교육입법을 존중하되 재량의 범위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교육행정권의 적극적 역할 또는 소극적 역할이 필요한 영역을 구별하여야 하고,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교육행정기관별 입장차이로 인한 갈등과 혼란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법부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라는 명목하에 교육입법권과 교육행정권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가치를 축소시키거나 훼손하고 있지 않은지 적극적으로 감시할 책임이 있다.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the right to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s. This right is the basic right to realize the ideology pursu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ssential right to be the basis of other fundamental rights. To realize the right to education, the Constitution mandates through article 31(4) to ensure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by law. Among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is limited to supporting the nation’s excessive regulations on education or justifying the comprehensive prohibit on political activitie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ursued by the Constitu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party political neutrality’. This means tha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should not reveal party political partisanship, including religious sectarianism, on the basis that education should not be dominated or tooled by state power or specific political forces. The current legal system, which wholly prohibit teachers from engaging in political activi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erms of harmoniz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with the fundamental political rights of teachers. Ensur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s also an important task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basis for indiscriminately defending o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vaguely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guarantee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nd prohibiting teachers from political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for the court to present objectiv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violates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he judiciary should actively perform its function of monitoring and checking whether other state agencies are undermining or reducing their constitutional meaning, away from a passiv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fter all, social consensus of community members must be made through the educational field and political process in order to determine how and level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s guaranteed.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ultimately realizing ‘neutrality of education’ to insure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 KCI등재

        아우구스투스가 남긴 ‘시민 황제(civilis princeps)’라는 유산

        배소연 ( Bae So-ye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2020 서양고대사연구 Vol.58 No.-

        본 논문은 로마의 초대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을 ‘시민 황제(civilis princeps)’로 선전하게 된 배경과 그가 남긴 시민 황제라는 유산으로 인해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들이 지게 된 부담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우구스투스가 공화정을 전복하고 세운 프린키파투스(Principatus)는 명실공히 일인 군주정(monarchy)이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의 양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비롯해 공화정 말기 왕권을 탐했다는 의혹을 받은 이들의 말로에서 드러나듯 로마인들은 왕정을 극도로 혐오했다. 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던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을 폐하는 대신 공화정을 이끌었던 원로원 의원들의 협력을 구했고 자신이 내전의 참화에서 공화정을 복구(res publica restituta)했다는 선전을 펼치며 새로운 정체인 프린키파투스를 공화정의 연속선상에 두었다. 겸양의 덕목을 갖춘 ‘시민 황제’라는 개념 역시 아우구스투스가 군주 이미지 쇄신의 일환으로 고안한 것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이 황제가 아니라 마치 일개 시민, 원로원 의원인 것처럼 행동했고 원로원이 자신에게 지나친 영예를 수여하려 할 때마다 이를 극구 사양했다. 그럼에도 공화정기 원로원이 누렸던 권력과 군사력이 황제에게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의 시민 황제로서의 이미지는 허울에 불과했고 프린키파투스의 군주정적 본질은 공화정의 외피 아래 가려져 있을 뿐이었다. 일인 지배가 선사한 굴종적이나 안온한 평화를 포기할 수 없었고 현실적으로도 원로원 복권이 불가능하다 여겼을 원로원 의원들은 시민 황제라는 개념에 내재된 시혜적 성격을 문제 삼지 않았고 아우구스투스는 모범적인 시민 황제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그러나 치세 초반 아우구스투스의 선례를 철저히 따르고 원로원을 존중하려 했음에도 끝내 오만한 군주로 기억된 제2대 황제 티베리우스의 실패가 보여주듯 시민 황제가 이끄는 일인 군주정이라는 허상은 체제를 설립한 아우구스투스의 정치적 수완과 카리스마를 통해 유지된 것이었다. 프린키파투스가 안정되어 더 이상 체제의 일인 군주정적 성격을 숨길 필요가 없었던 그의 후계자들에게 아우구스투스가 남긴 시민 황제라는 유산은 거추장스러운 짐으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that caused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to craft his public image as the civilis princeps and the burden that Augustus’ legacy of the civilis princeps created for his successors. Romans carried a deep hatred of monarch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This hatred culminated in the murder of Julius Caesar by the senators, who accused him of having aspired to kingship. Fully aware of such tendencies, Augustus contended that there was no rupture between the Principate, which was without doubt a monarchy, and the Republic. By extinguishing the flames of a tedious civil war, Augustus argued that he had saved innumerable lives of fellow Romans and restored the Republic. Seeking the collaboration of the Senate (the former oligarchs of the Republic), Augustus devised the polite fiction of the civilis princeps-the first man who acts with civility among the equal senators. He was always accessible to his fellow senators, and he refused any excessive honors only appropriate for a monarch. This polite fiction of the civilis princeps was conducive to obscuring the image of Augustus as a monarch and maintaining the illusion that the Senate still held some political power under the civil emperor. Augustus’ political acumen and personal charisma enabled him to temporarily mix two incompatible concepts: the monarchy and the civilis princeps. This allowed Augustus to become the an exemplary civil emperor in Roman imperial history. However, Augustus’ immediate successor Tiberius, who strictly followed the precedents of his predecessor and tried to respect the Senate in the early phase of his reign, failed to achieve the designate of the second civilis princeps. Tiberius was not alone in his failure-almost all later emperors inherited the contradiction of the pretending that their rule was not a monarchy, while they were, in fact, monarchs. Only Trajan, who maintained a rapport with the senatorial aristocracy, was admired as the best emperor eight decades after the reign of Augustus. The senatorial literary custom of assessing each emperor’s reign as good or bad based on the latter’s treatment of the Senate was a corollary to the legacy of the civilis princeps that Augustus might not have anticipated.

      • KCI등재

        기원전 31년에서 27년 사이 옥타비아누스(Octavian)의 모범사례(exemplum)로서의 누마 폼필리우스(Numa Pompilius) 활용

        배소연 ( Bae So-ye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8 No.-

        본고는 기원전 31년부터 27년 사이 옥타비아누스(Octavian)가 로마의 두번째 왕 누마 폼필리우스(Numa Pompilius)의 모범사례(exemplum)를 어떻게 모방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원전 31년은 옥타비아누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Mark Antony)와 클레오파트라 (Cleopatra)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한 세기 가까이 이어진 내전에 종지부를 찍은 해였다. 이를 기점으로 옥타비아누스는 이미 자신에게 주어진 승자의 이미지에 로마에 평화(pax)를 불러온 위업을 덧씌우기 시작했으며, 4년 후인 기원전 27년, 원로원은 내전의 종식과 공화국의 반환(res publica restituta)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아우구스투스(Augustus)’라는 새로운 칭호를 선사하였다. 옥타비아누스에서 아우구스투스로의 변환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된 것은 옥타비아누스 자신이 동료시민을 상대로 내전을 벌였던 장본인이라는 사실과, 사후 입양을 통해 그에게 정치적 기반을 마련해준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의 독재자(dictator)로서의 기억이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옥타비아누스에게 ‘내전의 참가자’라는 오명을 지울 해결책을 마련해주기도 했다. 기원전 42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신격화됨에 따라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을 신격화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들(filius divi Julii)로 칭하기 시작했고, 양부를 살해한 브루투스(Brutus)와 카시우스(Cassius)에 대한 보복이라는 명분으로 그가 벌이는 전쟁을 정당화할 수 있었다. 이 전쟁은 옥타비아누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한 자식으로서의 도리와 pietas를 다하고 있다는 증거가 되었으며, 동시에 pietas와 평화(pax)로 로마와 그 인근을 다스린 누마 폼필리우스의 이미지와도 겹치는 면이 있다. 한편 영구적 독재자(dictator perpetuus)의 지위를 통해 왕정을 꾀했다는 의혹을 받아 원로원 의원들에 의해 살해당한 독재자 카이사르의 기억은, 옥타비아누스가 아직 자신의 정치력이 안정되지 못한 기원전 31년에서 27년 사이, 로마의 건국자이자 최초의 왕이지만 동시에 전쟁의 신 마르스의 아들이자 형제 레무스(Remus)를 살해한 로물루스(Romulus) 대신 ‘사제 왕(priest king)’ 누마 폼필리우스의 발자취를 따른 데 대한 또 다른 단서를 제공한다. 후일 아우구스투스가 업적록(Res Gestae Divi Augusti)에서 자랑스레 회고하였듯, 그의 원수정기 동안 야누스 신전의 문을 세 번이나 닫고, 허물어진 신전들을 복구하며, 여러 사제직들을 겸임하는 등의 치적은 야누스 신전을 세우고 신에 대한 두려움(metus deorum)과 pietas로 로마인들의 호전적 성정을 다스린 누마 폼필리우스의 업적과도 비견할 만하다.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고 또 제 1 시민인 프린켑스 (princeps)가 된 기원전 27년 이후, 아우구스투스는 평화의 제단(Ara Pacis Augustae)이나 베르길리우스(Vergil)의 Aeneid에 드러난 것처럼 아이네아스(Aeneas)의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게 된다. 누마 폼필리우스와 마찬가지로 아이네아스는 pietas를 대표하는 모범사례였고, 족보상으로도 율리우스 씨족(gens Juliae)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황실(domus Augusta) 선전 의도에 더 적합하였다. 이렇듯, 아우구스투스가 그의 원수정기를 통틀어 역사 속 수많은 모범사례들 중 단 한 명만을 선택해 그 인물의 족적만을 따랐다고 볼 수는 없다. 덕목방패(clupeus virtutis)에서도 알 수 있듯, 아우구스투스는 본고에서 주목한 pietas뿐 아니라 다른 여러 덕목들을 체화했다고 선전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의 포럼(Forum Augustum) 속 열주에 조각상으로 전시되어 있던 뛰어난 인물들(summi viri)들처럼, 로마의 역사 전반에는 각 덕목을 대표하는 수많은 모범사례들(exempla)이 존재했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는 한 인물에 천착하지 않고 당시의 필요에 가장 적합한 본보기를 골라 모방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Octavian emulated the exemplum of Rome’s second king, Numa Pompilius, especially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31 and 27 BC. With Octavian’s victory over Mark Antony and Cleopatra at Actium, the year 31 BC marked the end of the tedious civil wars that had lasted for nearly a century. From this moment onward, Octavian started to craft a two-faced image, an image of both victor and peace-bringer. In 27 BC, as a token of gratitude for Octavian concluding the civil wars and returning the Republic to the hands of the Senate and the people of Rome, the Senate bestowed the new title of “Augustus” on Octavian. There were two obstacles to the transition from Octavian to Augustus: first, that Octavian himself had been a ringleader against Mark Antony, his fellow Roman citizen, and the war he had waged against Mark Antony (nominally against Cleopatra) had in essence been another civil war; second, that the memory of Julius Caesar as an abortive aspirant to kingship, who had adopted Octavian posthumously and thereby offered him a foothold to engage in the political arena, was still vivid in people’s minds. In the former case, however, Julius Caesar after his death also provided his adoptive son with a solution that could erase the stigma of his agency in the civil war. Upon the consecration of Julius Caesar in 42 BC, Octavian began to refer to himself as the son of the deified Caesar and he was able to justify the wars against Brutus and Cassius under the pretext of retaliation for their murder of the apotheosized Caesar, not the dictator. In doing so, Octavian proved his pietas to his now immortal father. In the meantime, the memory of the dictator Caesar, who was suspected to have attempted at kingship through the status of dictator perpetuus, provides a clue to why Octavian had to choose the “priest- king” Numa Pompilius as an example for imitation in 31-27 BC. Romulus, the founder of Rome, could have been attractive to Octavian as he sought to promote his new image as the second founder of Rome; however, Romulus was the son of Mars and was invested with the image of the “warrior-king”; he was, therefore, unsuitable for another image of Octavian as peace-bringer. Octavian’s achievements, such as thrice closing of the gates of the temple of Janus, as would be later recollected by Augustus in his Res Gestae, could have been juxtaposed with the accomplishments of Numa Pompilius, who built the temple of Janus and pacified the Romans and the neighboring peoples with his pietas and metus deorum. Likewise, Octavian’s restoration of dilapidated temples and his assumption of ancient priesthoods recall Numa Pompilius’s installation of the priesthoods. After 27 BC, when Octavian was elevated to Augustus and princeps, Augustus found an alternative to Numa Pompilius, more appropriate for his propaganda of the domus Augusta. Aeneas, the protagonist of Vergil’s Aeneid, who also appeared on the Ara Pacis Augustae, was not only known for his pietas to his father as well as to the penates but also related to the gens Juliae genealogically. Still, it is hard to assert that Augustus adhered to one exemplum throughout his entire principate. In the history of Rome, as Livy has already propounded in his praefatio, there were many exempla embodying diverse Roman virtues, as those summi viri displayed in the Forum Augustum had proved in the course of history. In case Augustus intended to promote a specific virtue for himself, Augustus needed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paragon of that virtue and to fashion himself after the paragon.

      • 학생논단 :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교육관련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배소연 ( So Youn Ba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3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4 No.1

        대한민국 헌법 제31조 제4항에 의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 그 중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부분이 편향되어 이해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입법과 판례 등을 검토하였다. 우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육기본법」 제6조 제1항과 「평생교육법」 제4조 제3항에 의하여 정치적, 파당적 또는 개인적 편견을 전파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부분이 핵심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나아가 「교육기본법」 제14조 제4항이 교원에게 특정한 정당이나 정파를 지지하거나 반대하기 위하여 학생을 지도하거나 선동하여서는 안 된다는 제한을 두며, 「사립학교법」 제58조 제1항 제4호가 사립학교 교원이 정치운동을 하거나 집단적으로 수업을 거부, 또는 어느 정당을 지지 또는 반대하기 위하여 학생을 지도·선동한 때 그 교원을 면직시킬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공무원법상 정치활동 제한에 관한 규정과 「교원노조법」 등의 특별법으로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입법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제한, 혹은 정치활동의 제한을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을 위한 당연한 귀결로 생각하는 시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2009년 교사 시국선언 관련 대법원 판결 및 하급심 판결과 초·중등 교육공무원에 대한 정당가입 및 선거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헌법적으로 정당화된다고 본 헌법재판소의 결정, 교원에 관한 엄격한 노동3권 제한을 합헌으로 본 결정 등 사법부의 기본적 입장 역시 교원에 대한 정치적 기본권 제한의 높은 수준을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과 당연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보고 자세하게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은 교육활동의 특수성에 비추어 그 목표에 충실하여 정치라는 단어에 매몰되기 보다는 중립성 보장을 위한 이념으로 이해하여 이를 입법하고 적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특히 교원에 대한 과도한 정치활동 제한으로 쉽게 치환되지 않아야 한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무엇보다도 교육의 목적과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운용되어야 하며, 입법단계에서부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 담당자, 교육을 받는 자의 차원에서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으로 제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교원에 대한 정치적 기본권 제한의 논의를 하나로 결부시켜 별다른 검토를 하고 있지 않은 법원의 태도도 변화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이와 함께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보장은 그것만으로 완성될 수 없고,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등의 헌법원리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운용될 때 그 헌법상 온전한 가치를 회복할 수 있음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Education takes an essential role in both establishing human`s subjecthood and maintaining a society. In this point,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s article 31(4) declares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shall be guaranteed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To ensure education`s goal, protecting education`s independence(autonomy),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neutrality) is the basic condition. But as usual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means education should be taken apart from political sector and it is often used as a tool to restrict and control teacher and administrative officer`s political activities and rights. And this perspective implies bias about what is education`s political neutrality. At a legislation level, the concept of education`s political neutrality emphasize separation of education and political sector. And usually it is used to control and restrict teacher`s political rights. But at a legislation level, idea of education`s political neutrality should be more specified such as designing detail education systems. And at a judicial level, it should not be enumerated for decorative purposes. There is a need to refrain from the associated discussion and debate about the education`s political neutrality and the political activity restrictions. In conclusio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should get out of a diagram of restricting teacher`s political rights and meaning of?political?impartiality. In Korean word it means both impartiality and neutrality. It should not be confused that strong restricting or controling teacher`s political rights secures impartiality or neutrality of education. The real meaning of political impartiality can be achieved by assuring the political ? neutrality? in education activity. And moreover it can accomplish constitutional ideal by ensuring education`s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두뇌발달 연구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배소연 ( So Youn B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두뇌발달에 관한 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 두뇌발달 연구의 결과들이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 것인지의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신체, 언어-인지, 사회-정서적 기능들이 발달하게 되는 것은 두뇌의 (1) 신경세포들이 연결되어 시냅스를 형성하고, (2) 시냅스들이 모여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회로를 구축하며, (3) 수초가 형성되고, (4) 필요 없는 시냅스나 신경회로가 소멸되는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과정들을 통해 두뇌가 발달하기 때문이다, 두뇌의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지만, 유전인자들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영양, 경험, 스트레스, 부모나 양육자와의 친밀한 상호작용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요인은 두뇌발달의 과정에서 조금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유아기는 두뇌가 가장 왕성하게 발달하는 시기이며,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회로들이 특히 발달하는 결정적 시기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 발달의 방향이나 정도가 변화할 수 있는 가소성도 큰 시기이다, 따라서 두뇌발달에 있어서 유아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러한 관접에서, 유아기의 발달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이 두뇌발달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아서 최선의 유아교육을 수행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두뇌발달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이 유아교사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lications that the ever-expanding brain research reveal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best possible developmental opportunities for each child. Therefore, they, themselves, must constantly be learning and developing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s to foster their own professional qualities through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past two decades, findings from brain research, stimulated and activated by new technologies, have been demonstrating that early childhood is a critical period of brain development. Research also provide scientific evidences on how the brain develops and what this means to the process of child development. Thus, it is necessary that the newly developed knowledge, resulting from brain research, be included and reflected i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o that teachers are prepared to implement the best possible educa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and investigated, via an exhaus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process and meanings of brain development especially, the factors influencing brain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