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시공간을 잇는 작업, 헤로도토스 『역사』의 번역

        김봉철 ( Kim Bong-cheo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2 No.-

        이 논문은 서양고대 역사문헌의 번역 문제를 헤로도토스의 『역사』 번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역사』 번역의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번역의 방법론은 대개 번역의 목적, 원천 텍스트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그에 따라 『역사』 번역에도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역사』를 전문 학술서와 역사고전으로 읽는 독자들을 위해 원문 위주의 학술번역이 요구된다는 점, 텍스트 유형에 따른 방법론으로 원천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에 충실한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역사서로서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저자와 원천 텍스트 위주의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런 번역방식은 넓게 보면, 베누티가 제시한 이국화 번역에 해당한다. 이국화 번역은 원천 텍스트 특유의 이국적인 언어적·문화적 요소를 수용하는 입장이므로, 학술번역과 역사서 번역에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그런 이국화 번역방식이 『역사』 번역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역사』에 담긴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 저자의 이국적 요소,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가 여러 번역본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점검한다.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로는 『역사』에 사용된 특수한 명칭과 개념 용어를 드는데, 당시의 고유명사, 의복 및 악기에 관한 명칭, 에트노스와 폴리스 같은 개념 용어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런 용어들은 시대착오적인 번역 용어로 대체하기보다 헤로도토스가 표현한 말을 그대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저자의 이국적 요소는 저자 특유의 개성과 습관, 관점, 가치관 등에 관계된 것인데, 헤로도토스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과 다문화 인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은 그리스인 위주의 방향 표현, 그리스식의 이방인 서술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헤로도토스의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은 바르바로이와 그들의 문물을 존중하는 서술에서 잘 드러난다. 『역사』 번역에서는 헤로도토스의 이런 양면적인 관점이 반영된 독특한 표현들을 원문 그대로 충실히 전할 필요가 있다. 헤로도토스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는 그의 텍스트 구문상 독특한 관행을 말하는데, 자타 견해가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 동일한 술어가 반복 표현된다는 점, 예고적 문장이 자주 사용된다는 점, γaρ 구문을 자주 사용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점들은 헤로도토스 서술의 기본 방침과 통일적 연계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축약이나 누락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전해질 필요가 있다. 이상의 이국적 요소들은 『역사』의 이국화 번역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지향점들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ancient Western historical writings, focusing on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2, it deals with the translation method of Herodotus’ Historiai. Herodotus’ Historiai needs to be faithfully translated as an academic book for readers who are concerned with ancient Western history. The text type and character of Historiai as a historical source demand source text oriented translation. These translation methods for Historiai almost accord with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proposed by L. Venuti,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sts in translation studies. I think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could be a most suitable translation theory for the academic and faithful translation of some historical writings such as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3,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how the foreignizing translation could be applied in translating Herodotus’ Historiai. Here the source-text foreign elements of Herodotus’ Historiai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ose in Herodotus himself, and those in Herodotus’ text. Names(such as proper names,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conceptions(such as ethnos, polis) used by Herodotus in his Historiai belong to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se names and conceptions should be translated faithfully to Herodotus’ own words in order to retain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include some ideas, habits, and characters of Herodotus. In this article, Herodotus’ two opposing viewpoints, i.e. his Greek-centric mindset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re treated as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Some words and sentences showing those viewpoints also should be retained in translating the source text.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text mean some peculiarities occurring frequently in his text. These are the division between the opinions of Herodotus’ and any other’s, use of introductory participles that repeat the main verb of the previous sentence, use of prospective sentences accompanied by forward-looking demonstratives(such as oδε, wδε, τοιoσδε), and use of γaρ sentences introducing the reason or cause of what precedes. These peculiarities are important for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 form of Herodotus’ text, and therefore should be retained unless they severely impair readability in the target language text.

      • KCI등재

        서양 고·중세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정기문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3 No.-

        해방 이후 지금까지 서양고중세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그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양고대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모두 서양 고대의 민주주의, 그리고 민주정체와 관련된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서양 고대사 연구 1세대들이 이런 관심을 보인 것은 서양의 선진적인 역사 문화를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민주주의 발달에 기여하고자하는 사명감 때문이었다. 이들의 관심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아테네 민주주의와 로마 공화정의 구조는 계속해서 연구되었다. 1980년대 중반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학회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연구자들은 협동하여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서양 중세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서양이 어떻게 근대화에 성공하였는가라는 문제 의식을 갖고 중세사를 바라보았다. 따라서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중세 장원제도와 자본주의으로 이행이었다. 이런 문제 의식은 2세대 연구자들에게 이어져 1970년대까지 연구의 초점은 사회 경제사에 두어졌으며, 이후에도 사회 경제사는 서양 중세사 연구의 중심 축을 이루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연구 주제가 다양화되었다. 중세사 분야의 연구 역량이 축적되면서 1996년에 서양중세사학회가 창립되었고,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렇게 서양 고·중세사에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연구 성과를 알리기 위한 작업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은 그것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 교과서 집필자들은 주요 연구 성과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이는 교과서에 오류가 매우 많다는 사실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교과서 집필자들은 기존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글조차 제대로 읽지 않았다. 또한 역사 교과서에는 다른 문제가 있었다. 교과서 집필 기준이 대강화 되면서 교과서 사이의 차이가 매우 컸고, 서술의 재미를 지나치게 추구하면서 핵심 내용이 빠지는 일도 많았다. 한편 역사 연구자들 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항도 있었다. 교과서에 실려야할 주요 요소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는 경우가 있다. 아테네 시민들의 민회 참석 연령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교과서의 오류를 바로 잡고, 이런 이설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한 집단적인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I examined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the West in last 50years and how much the outcome was reflected in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s a result, I found that there were serious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 think the authors of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ho consisted mostly of professors and teachers did not write well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West in last 50years. Some will say the main cause of present state is the limited space of the history textbooks and considerations on the level of learners. But I found many errors which had been pointed out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were repeated in the writing of the text book. For example, Yoon Jin, in his paper “Problems of Description about Ancient European History in the textbooks of Society for Middle Schools” pointed out that most textbooks described the beginning year of the Aegean civilization as 2,000 BC. But the beginning year was around 3,000 BC. Some textbooks repeat the mistake. So the main cause of the mistakes of the authors was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addition to the absence of such communication,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irst there are some serious differences in writing the major teaching element. How much do we permit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authors. Second, while the important contents of history have very small space, the pictures have very large space. It is an irony that makes key factors auxiliaries. We should take thoughtful consideration on this problem to improve the history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이집트의 제 2중간기 시작 연대에 관한 논쟁

        김성 ( Kim Seo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1 No.-

        힉소스 시대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최근의 가장 중요한 논쟁은 이집트 역사에서 제 2중간기의 시작 연대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학자들은 제 2중간기의 끝은 제 18왕조의 첫 번 째 파라오인 아흐모세 1세가 삼각주로부터 힉소스를 몰아 낸 기원전 1540년 경으로 동의하지만, 그 시작에 관해서는 아직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제 15왕조(기원전 1650-1550)만 힉소스 왕조로 간주하기 때문에, 그 시작을 기원전 1650년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힉소스 정권은 이미 제15왕조 이전에 설립되었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힉소스 시대의 연대는 대부분 광범위한 지역에서 출토되는 왕명 스캐럽의 분석에 의해 설정되었는데, 이제는 발굴 현장에서 밀봉된 로쿠스 출토의 스캐럽을 중심으로 연대 추정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쉬크모나 발굴에서 확인된 야쿱하르 스캐럽은 함께 출토된 MB IIB(기원전 1750-1650) 토기류 때문에, 그리고 이집트의 에드푸 발굴에서 출토된 키얀스캐럽은 함께 발견된 소벡호텝 4세(기원전 1725년)의 스캐럽 때문에 기존의 제 15왕조보다 앞설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나아가 제 2중간기의 시작을 기원전 1700년으로 보는 경향은 동시적으로 발생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현상들로 충분히 설명된다. 첫째, 중왕국의 수도가 이츠-타위에서 테베로 이전되었고, 둘째, 중왕국과 비블로스 사이의 국제무역이 단절되었으며, 셋째, 아바리스의 도시 규모가 확장되고 가나안적인 매장 양식으로 바뀌었고, 넷째, 세트 신 제의가 수립되었으며, 다섯째, 가나안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스캐럽 제작이 확산되었고, 여섯째, 쉐쉬와 야쿱하르 등의 파라오가 제 14왕 조를 설립했다. 따라서 제 2중간기, 또는 힉소스 시대는 기존의 15왕조 외에 제 14왕조를 추가하여 약 150년의 기간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The most important discussion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Hyksos period in Egypt are about fixing the beginning of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Many scholars have agreed on its termination with the Hyksos expulsion by Ahmose ca. 1540 B.C.E. There is no consensus, however, for determining the beginning of the period in discussion.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mergence of the 15th dynasty of the Hyksos ca. 1650 B.C.E. marked the new age. Re-examinations on the Hyksos scarabs of Yaqubhar and Sheshi have pointed to an earlier chronology, before the 15<sup>th</sup> dynasty. The recent discovery of 41 Khayan sealings and 9 Sobekhotep IV sealings at Edfu also led to the same conclusion. Many aspects and situations have pointed towards the earlier ascendancy of the Hyksos power ca. 1700 B.C.E. rather than the 15<sup>th</sup> dynasty. Thus, the following aspects such a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Itj-tawy to Thebes, the commercial interruption with Byblos, the change in burial customs similar to Canaan at Avaris, the introduction of Seth worship to the Hyksos kingdom, and the beginning of scarab production in Canaan, all indicate the emergence of Hyksos ascendancy ca. 1700 B.C.E.

      • KCI등재

        ‘두 마리아’에 대한 묘사를 통해본 복음서들의 여성관

        정기문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7 No.-

        20세기 후반 페미니즘이 하나의 담론으로 정착하면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초기 기독교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런 연구들에 의하면 예수와 바울은 기존에 생각해왔던 것보다 여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그들에게 주요한 역할을 맡겼다. 그렇지만 1세기 후반 이후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세기 후반의 산물인 복음서도 그런 흔적을 담고 있으며, 그 가운데 특히 누가복음에 남성 중심적 시각이 가장 강하게 관찰된다. 이 논문은 이런 페미니즘의 시각과 연구 결과가 기본적으로 올바른 문제 제기를 하였지만 복음서와 초기 기독교 역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복음서 저자들을 반페미니스트로 규정한 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의 서술은 두 복음서가 추구했던 신학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마가복음이 향유 부은 여인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은 ‘메시아의 비밀’이라는 마가복음의 대주제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누가복음이 향유 사건의 주도자를 ‘죄를 지은 한 여자’라고 제시했던 것은 스스로 정결을 주장했던 바리사이파에 대립적인 인물을 제시하기 위한 조처이었다. 따라서 누가복음이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각색된 문서라는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에는 다시 생각해 보아야할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된다. 요한복음의 두 여인에 대한 묘사는 공관복음의 묘사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요한복음에는 예수의 사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여인들이 여러 명 등장하며, 특히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한 예수를 처음으로 만난 증인으로 묘사된다. 이는 막달라 마리아가 베드로나 애제자보다 권위가 더 높은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요한복음의 이런 상은 공관복음의 묘사보다 페미니스트들이 재구성한 예수의 여성 상에 가깝다. 그러나 요한복음의 이 진술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그것은 베드로 후계자들을 견제하려는 요한 공동체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진술 또한 신학적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 Since the 1970s, the study of early Christianit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feminism. According to the study of feminist scholars Jesus and Paul wanted to give more opportunities and freedom to women in the church. However since the late first century Christians who had malecentered perspective began to distort teachings of Jesus. Gospels contained distorted results. Accommodating feminist perspective I examined descriptions of four Gospels on women. Especially I focused my attention on descriptions on Mary the sister of Lazarus and Mary Magdalene. It is certain that the first Gospel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nd underestimated the role of women. As an example the Gospel of Mark did not concede the meeting of Mary Magdalene and Jesus after Resurrection. We can interpret this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Mark as the result of its effort to degrade Mary Magdalene. But I think that this interpretation is so simple.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he Gospel of Mark is the ‘Messianic secret’. The followers of Jesus did not recognize the identity of Jesus as Messiah until Resurrection. According to this theme it seems natural that Mary Magdalene was embarrassed at the empty tomb. Therefore we can not conclude that the Gospel of Mary degraded Mary Magdalene.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argued that the gospel of Luke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ccording to their arguments the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Luke on the woman who poured perfume on the body of Jesus as ‘sinful woman’ is the conclusive evidence. Because the gospel of Mark simply calls her ‘a woman’. The changing ‘a woman’ into ‘sinful woman’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of degrading her position. But I can not agree with them. The changing of the gospel of Luke is not the result of male-centered perspective but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Luke. The gospel of Luke paid many attentions to the poor and sinners. Describing her as ‘sinful woman’ the gospel of Luke expressed that Jesus gave very meaningful role to sinners. The descriptions of two women in the Gospel of Joh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ynoptic Gospel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Mary Magdalene was the first person to meet the risen Jesus.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tend to regard this as an historical fact. But I think this is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gospel of John. The community of John had a sense of intense rivalry with the followers of Peter. Therefore the lifting of authority of Mary Magdalene seemed to be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John.

      • KCI등재
      • KCI등재

        아우구스투스의 원수정과 키케로의 『국가론』

        김덕수 ( Kim Deog-su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아우구스투스가 키케로의 정치사상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1인지배 체제인 원수정(프린키파투스)을 확립했음을 논증하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대체로 키케로와 아우구스투스는 공화정과 원수정이라는 서로 다른정치 이념의 대변자/주창자로 알려져 있다. ‘원로원과 로마인민’, 또는 ‘양신분의 화합’이라는 슬로건에 잘 드러나듯이 키케로는 원로원이 주도하는 공화정치를 가장 이상적인 정치 이념으로 보는 옵티마테스 전통의 정치사상가였다. 반면에 아우구스투스는 원수정, 즉 프린켑스체제라는 새로운 개념의 정치 체제를 정착시켜서 로마의 평화시대를 연 초대 황제이다. 그는 『업적록』의 마지막 문장을 13선 콘술 재직시 원로원과 기사신분, 그리고 로마인민은 만장일치로 나에게 국부라는 명예 칭호를 수여했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고 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안에 나오는 ‘자유의 옹호자’, ‘토타 이탈리아’, ‘프린켑스 키비타티스’ 등의 개념들은 키케로의 국가론에서 제시된 공화정적 전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아우구스투스가 많은 부분에서 키케로의 정치 사상을 동원하여 자신의 신체제를 정당화한 것으로 평가했다. 요컨대 아우구스투스는 키케로의 정치사상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일인지배체제인 원수정을 정당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 argue Augustus formulated his Principate using the ideas expressed in Cicero’s De Re Publica. In general, Cicero and Augustus are known as the representatives of conflicting political systems, that is, the Res Publica and the Principate, respectably. As in the slogans, S.P.Q.R or ‘Concordia ordinum’ which well represented his political attitudes and beliefs, he belonged to the Optimates and thought a political system controlled by a senate was the best one. On the other hand Augustus was the founder of the Principate and the first Roman emperor who heralded in the Pax Romana. He proudly stated that “---in my thirteenth consulship, the senate and the equestrian order and the entire Roman people gave me the title of Father of my Country”. However, the ideas ‘a guardian of libertas’, ‘tota Italia’, and ‘princeps civitatis’ in Res Gestae Divi Augusti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Ciceronian political thoughts in his De Re Publica. In sum, I contend that Augustus made full use of these ideas and justified the Augustan Principate as a monarchy.

      • KCI등재

        이름을 밝히는 것인가? 거부하는 것인가?: ‘신의 비밀스런 이름’에 비추어본 출애굽기 3:14

        유윤종 ( Yoo Yoonjo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이집트 및 구약성서에 나타난 신의 비밀스런 이름이라는 주제에 비추어 출애굽기 3:14에 표현된 하나님의 이름에 관한 논쟁을 재해석한다. 신의 비밀스런 이름이라는 주제에서 보아 출애굽기 3:14의 □□□는 하나님의 이름을 밝히려는 것보다는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결론 내린다. 더 나아가 이 해석을 본문에 대한 YHWH에 대한 언어유희적 측면에서 가지는 의미를 찾는다. This paper seeks to reexamine a serious expression □□□, from Exodus 3:14 in the light of the ‘divine secret name’ motif commonly scattered across ancient Egyptian mythology. The verse has been debated hotly in scholarly circles because it is assumed that it would provide the answer to a debate about an original derivation of YHWH (Tetragrammaton), which is still under discussion. This study is developed upon an analysis of the context of Exodus 3 (chapter 2) and previous studies which are grouped according to those who accepted the verse as revealing YHWH’s name and the others who regarded it as refusal to reveal [not revealing?](chapter 3). It investigates the theme of the divine secret name in an Egyptian myth called ‘The Legend of Isis and the Name of Re’ and two other biblical verses (Gen 32:29; Judg 13:18) (chapter 4).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theme of divine secret names is displayed widely in Egypt and mythologies related to names have been heavily developed. In Egyptian myth, the secret names of the supreme god Ra or Amun is never revealed. It is noteworthy that the theme of divine secret nam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stituting the hierarchy of the divine world order in Egypt. A higher god has a secret name by which he or she controls a lower god, and thus a lower god tries to discover the secret name of a higher god. Between the two gods, plot unfolds and struggles occur. The Bible does not accept such a concept in YHWH theology fully, but the motif of a divine secret name is still partly contained. In two theophoric contexts in Genesis 32:29 and Judges 13:18, YHWH did not reveal his true name. Thus it is better interpreted that God refused to reveal his true name. It is believed that God is not controled by such magical use of his name.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the expression □□□, in Exodus 3:14 is an indirect refusal to reveal YHWH’s name.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needs to be interpreted as a wordplay on YHWH symbolizing the divine presence with Moses and the Israeli people. This study does not resolve all matters regarding Exodus 3:14, but it is proposed that the theme of divine secret names would be added evidence proving the theory of the refusal to reveal YHWH’s nam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