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뇌경색 환자의 3Tesla CE-TOF-MRA에서 MT 펄스의 유용성

        배성진(Sung-Jin Ba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3

          뇌경색환자들에 있어서 CE-TOF-MRA에서 MT 펄스사용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BR>  2007년 5월에서 6월까지 뇌경색 증상 발현 후 최소 4시간에서 최대 5일 이내에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Tesla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주입 후 offset frequency 0, 600, 1,200, 1,800Hz의 MT 펄스를 사용한 CE-TOF-MRA을 획득하였다.<BR>  TOF-SPGR기법인 CE-TOF-MRA영상에서 정상혈관의 경우 SNR이 감소되었지만 CNR은 증가를 보였다. 좁아진 혈관부위는 MT 펄스 600Hz, 1,200Hz에서 최고의 CNR을 보였고, 협착된 혈관에서는 MT 펄스 강도와 비례하여 CNR이 증가 하였다. 혈관이 폐색된 경우에는 폐색범위가 명확하게 나타났고 MT 펄스 1,800Hz에서 최고의 CNR로 평가되었다. 좁아지거나 보이지 않는 혈관에서는 형태변화가 없었고, 혈관이 폐색되어 평가가 불가능한 혈관에서 MT 펄스 후 혈관과 배후조직 SNR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두 조직간 CNR은 증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T pulse at CE-TOF-MRA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BR>  MRA using time-of-flight(TOF) technique with varying offset frequencies (0, 600, 1,200, and 1,800Hz) magnetization transfer were performed in 10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t 3.0T MR scanner.<BR>  CE-TOF-MRA and TOF-SPGR in normal vessel shown decreased SNR and increased CNR. The highest CNR in narrowing vessel shown at CE-TOF-MRA using 600 and 1,200Hz offset frequencies. CNR in stenosis vessel increased dependent on using offset frequencies. The occlusion was clearly shown, and the highest CNR in occlusion shown at CE-TOF-MRA using 1,800Hz offset frequencies. There was no shape variation in narrowing vessel or no visualizing vessel.

      • KCI등재후보

        뇌종양의 등급분류를 위한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투과성영상(Permeability Map)의 유용성 평가

        배성진(Sung-Jin Bae),이영주(Joo-Young Lee),장혁원(Hyuk-Won Ch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3

        목 적 : 관류 자기공명영상(perfusion MRI)을 이용하여 대뇌(cerebral)에서 혈액뇌장벽의 파괴로 인하여 조영제가 혈관내에서 조직으로 빠져 나가는 투과정과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해보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구한 투과성비와 상대적 뇌혈류량비가 종양의 악성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어떠한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의학진단과 병리조직검사로 진단된 29명을 대상으로 뇌종양이 포함된 550(11 silce × 50 image)관류 장기공명영상을 3T기기에 장착된 프로그램으로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하였고, 다른 한 방법은 개인 컴퓨터에 영상을 전송 후 IDL 6.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대적 뇌혈류량(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eformul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rCBV-rSVD)과 투과성을 영상화 하였다. 그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화소별 평균 신호강도를 정량적(quantitative analysis)으로 측정하여 비모수적 통계인 kruskal-wallis test 통해 뇌종양별로 평균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상대적 뇌혈류량영성과 투과성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정상부위와 종야부위의 정량적으로 분석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 와 (3T 기기자체 분석한 값, IDL 6.2로 분석한 값) 투과성비에 고등급 성상세포종(n=4)의 경우 (14.75, 19.25) 13.13, 저등급 성상세포종(n=5) (14.80, 15.90) 11.60, 아세포종(n=5) (10.90, 18.60) 22.00, 전이성 뇌종양(n=6) (11.00, 15.08) 22.33, 수막종(n=6) (18.58, 7.67) 5.58, 핍돌기 신졍교정(n=3) (23.33, 16.33) 15.67로 나타났다. 결론 : 종양별로 상대적 혈류량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는 등급을 분류하기에 용이하지 않았지만, 투과성영상으로 측정한 투과성비는 종양 악성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양의 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유용하였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ow effective the permeability ration and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ratio are to tumor through perfusion MRI by measuring and reflecting the grade assessment and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 permeability and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of contrast media plunged from blood vessel into organ due to breakdown of blood-barrier in cerebral. Subject and Method : Subject of study was 29 patients whose diagnosis were confirmed by biopsy after surgery and 550 (11 silce × 50 image) perfusion MRI were used to make image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with the program furnished on instrument. The other method was to transmit to private computer and the image analysis was made additionally by making image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eformul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rCBV-rSVD and permeability using IDL.6.2 In addition, Kruskal-wallis test tonggyein non numerical average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brain tumors Results : The rCBV ratio (Functool PF; GE Medical Systems and IDL 6.2 program by analysis) and permeability ratio of tumors were as follows; high grade glioma(n=4), (14.75, 19.25) 13.13. low grade astrocytoma(n=5) (14.80, 15.90) 11.60, glioblastoma(n=5) (10.90, 18.60) 22.00, metastasis(n=6) (11.00, 15.08). 22.33 meningioma(n=6) (18.58, 7.67), 5.58. oliogodendroglioma(n=3) (23.33, 16.33, 15.67. Conclusion :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grade with the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ration measured by using the relative cerebral blood image by type of tumors, however, permeability ration measured by permeability image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grade of tumor, the higher the measured permeability ratio, showing the assessment of tumor grade is more effective to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2016년 경주지진파의 특성 : 지진파예측모델들과의 비교

        배성진(Bae Sung jin),김미래(Kim Mi rae),이혜진(Lee Hye jin),김병민(Kim Byung mi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2016년 9월 12일 경주 남남서쪽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지진은 계측을 시작한 이래 한국에서 발생한 최고 규모의 지진으로, 규모 5.1의 전진과 4.5의 여진을 비롯해 수많은 지진을 동반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NGA-West2 등의 다양한 지진파예측모델을 이용해 경주지진파의 특성을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여진예측모델을 통해 본진과 전진 또는 본진과 여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직지진파와 수평지진파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경주지진은 주로 단주기에서 높은 가속도 값을 가지고, 0.1초 이후에는 예측모델들 보다 급격한 감쇄현상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활성단층지역으로 만들어진 NGA-West2 모델과 경주지진을 포함하지 않은 한국형 지진파예측모델을 비교했을 때 경주지진의 지진파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 지진파예측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local magnitude 5.8 earthquake occurred with a foreshock with magnitude 5.1 and aftershocks with magnitudes of 4.5 and smaller. The main shock was the largest earthquake in Korea since 1978 when the modern instrumental recording began. The ground motions measured during the mainshock, foreshock, aftershocks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are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by the NGA-W2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GMPEs) for the active crustal regions and the GMPE developed for Korea. Furthermore, ratios between spectral accelerations of the mainshock and foreshock and aftershock events, as well as ratios of vertical to horizontal ground motions are compared with various prediction models.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on study, it is found that the ground motions by the Gyeongju earthquake are incredibly larger than any other prediction models at short periods and smaller than the predictions at period longer than 0.1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evelopment of new Korea GMPEs is necessary to prepare against earthquake risks in Korea.

      • 주방용오물분쇄기 도입 타당성 연구: 서울시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배성진 ( Sung Jin Bae ),박재람 ( Jae Ram Park ),함근용 ( Geun Yong Ham ),곽예봉 ( Ruifeng Guo ),최선봉 ( Sun Bong Choi ),서동천 ( Dong Cheon Seo ),이동훈 ( Dong Hoo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음식물류폐기물은 배출, 수거 및 처리단계에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보관용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 등 위생상의 문제점, 처리 단계에서는 음식폐기물 재활용 산물의 낮은 품질로 인한 유통상의 문제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서울연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정 생활폐 기물을 배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음식폐기물의 배출(50.7%)이라고 응답하였고 주방용오물분쇄기(이하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82.8%).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디스포저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과 2010년 및 2015년에 배수전처리, 정화조병합, 고액분리 등 총 3가지의 전처리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항목에는 음식폐기물발생원단위, 디스포저 오수 발생량 및 오염부하량, 디스포저 사용 전후 오수의 성상 변화, 및 주민설문조사 등이 포함되었다. 시범사업의 모니터링 결과,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원단위는 0.12~0.15kg/cap·dayfh 측정되었는데, 이는 환경부통계 자료의 30~50% 수준이었다. 주방오수발생량원단위는 29.9L/cap·day, 분쇄오수발생량원단위는 4.1L/cap·day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국토교통성에서 제시한 자료(30L/cap·day, 5L/cap·day)와 거의 일치하였다. 디스포저 사용 후 배수전처리시설과 정화조병합처리시설 및 고형물회수시설 후단에서 측정된 각각의 BOD는 20.9, 67.8 및 129.0mg/L, SS는 63.7, 47.5 및 63.0mg/L, n-Hexane 추출물질은 18.8, 27.5 및 54.0mg/L를 나타내었다. 시범사업을 통해 전처리시설을 설치하고 디스포저를 사용하는 경우에 공공하수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현재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될 경우 90% 이상의 주민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 KCI등재후보

        3T MR 스핀에코 T1강조영상에서 적정의 숙임각 : 3T MR Spin Echo T1 Weighted Image at Optimization of Flip Angle

        배성진(Sung-Jin Bae),임청환(Chung-Hwang Lim) 대한방사선과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2

        목적 : 영상진단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3T(T, tesla) MR의 스핀에코(SE, spin echo) T1강조영상(T1-Weighted image)기법에서 숙임각(FA, flip angle)의 변화에 따른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대조도 잡음비(CNR, contrast to noise ratio)를 평가한 후 특이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줄이면서 CNR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 스핀에코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90° RF pulse 대신 50° RF pulse에서 130°까지 10°씩 증가시키면서 대뇌 T1강조영상을 획득하였다. 이 영상들에서 백질(WM, white matter), 회백질(GM, gray matter)과 배경(background)에서 각각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SNR를 구하였고, 기존의 T1 이완곡선 R1= 1- exp (-TR/T1)으로, 즉 Ernst angle cos θ = exp (-TR/T1)과의 관계성으로 T1강조영상에서 WM과 GM의 SNR과 CNR의 정규성 검정과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분석으로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WM와 GM의 신호강도와 배경잡음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SNR를 구한 결과 WM의 SNR는 숙임각 50°보다 130°에서 1.6배 정도 증가하였고, GM의 SNR는 약 1.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두 조직의 SNR은 T1 이완곡선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R1 = 1- exp (-TR/T1)으로 분석한 SNR의 신호증가가 둔화되는 기점이 WM은 120°의 숙임각에서, GM은 110° 이후로 나타나 두 조직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M과 GM의 SNR는 130°의 숙임각에서 높았지만 CNR에 있어서는 80°에서 최고 높게 나타났으며, 80° 전후의 숙임각에서는 감소하였다. 결론 : 3.0T 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숙임각의 증가에 따라 SNR는 증가하였지만 CNR는 이전까지의 임상에서 사용하는 숙임각이 90° 보다 적은 80°에서 CNR이 최고로 나타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숙임각보다 10° 낮은 RF pulse duration time 사용함으로써 3T에서 문제로 제기된 SAR도 줄일 수 있었다. 앞으로 3.0T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적정 숙임각을 사용함으로서 CNR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Purpose : This study presents the optimization of flip angle (FA) to obtain higher contrast to noise ratio (CNR) and lower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Materials and Method : T1-weighted images of the cerebrum of brain were obtained from 50° to 130° FA with 10° interval. Signal to noise ratios (SNRs) were calculated for white matter (WM), gray matter (GM), and background noise. The proper FA was analyzed by T-test statistics and Kruskal-wallis analysis using R1 = 1- exp (-TR/T1) and Ernst angle cos θ = exp (-TR/T1). Results : The SNR of WM at 130° FA is approximately 1.6 times higher than the SNR of WM at 50°. The SNR of GM at 130° FA is approximately 1.9 times higher than the SNR of GM at 50°. Although the SNRs of WM and GM showed similar trends with the change of FA values, the slowdown point of decrease after linear fitting were different. While the SNR of WM started decreasing at 120° FA, the SNR of GM started decreasing at less than 110°. The highest SNRs of WM and GM were obtained at 130° FA. The highest CNRs, however, were obtained at 80° FA. Conclusion : Although SNR increased with the change of FA values from 50° to 130° at 3T SE T1WI, CNR was higher at 80° FA than at the usually used 90° FA. In addition, the SAR was decreased by using smaller FA. The CNR can be increased by using this optimized FA at 3T MR SE T1WI.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에서 주의주의의 문제 - 삼위일체적 감각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

        배성진(Bae Sung-Ji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1 No.-

        아우구스티누스의 감각지각 이론에 대한 주의주의적 해석에서 오는 난점들, 특히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선택적 주의”의 무한후퇴 문제는 결국 intentio의 복합적인 개념을 해명하는 문제로 환원된다. 사랑과 의지를 동력으로 목적을 지향하는 인간 영혼의 운동을 가리키는 이 핵심용어는 영혼이 행하는 무의식적이고 자연적 차원의 생명작용과 의식적이고 의지적 차원의 감각작용 모두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두 작용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영혼은 uitalis intentio를 통해 언제나 활성화하고 있는 자기 육체를 자극하는 감각적 대상들을 향해 열려 있고, 이러한 개방성을 통해 육체 편에서 던져진 요청, 곧 감각적 겪음(passio corporis)에 대하여 그 육체에 대한 사랑 때문에 무지하게 남아 있지 못하며(non latet animam), 의지와 사랑으로 이끌린 의식적 intentio를 실행함으로써 지향된 인식 대상이 인식 주체 안에 형상(similitudo uel imago)으로 태어나고 그의 시선에 현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히포의 주교는 인식을 ‘주어진 대상’에 대한 주체 편에서의 ‘사랑의 응답’으로 제시되는데, 사랑이 영혼 안에 명시적인 대상 인식을 낳는 반면, 대상의 ‘앞선 주어짐’으로 구성되는 先지식 없이 그것을 향해 영혼으로부터 발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랑의 인식론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하는 삼위일체적 인식 구조에서 그 근거를 발견하는데, 가시성과 아름다움(forma atque species) 안에서 자기를 개현하는 물질적 대상은 성자와 성령의 원천인 성부와 유사한 만큼, 성자에 해당하는 대상의 형상을 주체 안에 낳는 원리와 척도로 제시되며 그것을 위해 성령에 해당하는 사랑과 의지의 intentio를 자기를 향해 움직이는 목적인으로 제시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선택적 주의의 무한후퇴는 주어진 대상에 대한 주체의 응답이라는 삼위일체적 사랑의 인식론 안에서 해결된다. Among a variety of problems stemming from the voluntaristic reading of st. Augustine’s perception theory, that of an infinite regress of “selective attention”, which may be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can be reduced to the matter of clarifying the complex concept of intentio. The lemma that denotes the human soul’s movement stretching forward the end in virtue of love and will plays decisive roles both in the vital movement at an unconscious and natural level and in the sense-perception at a conscious and willing level. These two functions of the human soul are profoundly interconnected, in that the same soul, being opened up for the sensible objects that stimulate its body, always already besieging it, cannot remain totally ignorant (non latet animam) of the passio corporis as a request coming from it, precisely out of love for it and orients its intentio to the same request by the power of love and will in order that an intentional object may be born in the soul and be present to its gaze. In this way the Bishop of Hippo presents his concept of knowledge as a response of love from the subject’s part to the given object; while love generates an explicit objective knowledge in the subject, it cannot proceed from the soul without any prior knowledge of the object, that consists of its being given first to the very subject. Such an epistemology of love finds its ground in the trinitarian structure of st. Augustine, in that the object, which, pertaining to the Father, common source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nifests itself in visibility and beauty (forma atque species), is presented as the principle and measure for generating in the subject the form of itself corresponding to the Son, moving to itself as the causa finalis the same subject’s love and will which is connected with the Holy Spirit. Thus the problem of the infinite regress of selective intentio can be resolved in such a trinitarian epistemology of love consisting of the subject’s successive willing response to the object’s preceding self-giving.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에서 주관주의의 문제 - 『고백록』 제XI권에 나타난 시간 존재의 아포리아를 중심으로-

        배성진 ( Bae Sung Jin ) 한국중세철학회 2020 중세철학 Vol.0 No.26

        “영혼의 분산(distentio animi)”으로서 시간 개념은, 시간이 그것을 측정하는 ‘영혼 안에만’ 존재한다는 진술로 인해, 많은 학자들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을 ‘주관주의적’인 것으로 해석하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 규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해명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먼저 『고백록』 제XI권의 주된 목적은 시간에 대한 체계적인 가르침을 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시간의 창조주가 지닌 영원성과 자비를 찬미하는 데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이 ‘찬미로서의 고백’의 주체인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animus meus”)은 ‘자기 내면보다 더 내밀한’ 신에 의해 관통되고 신으로부터 선사된 신을 향한 사랑에 종속된 주체이면서 동시에 육체를 통해 물질세계 전체를 향해 개방된 관계적 존재이기도 하다. 한편 시간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미래)에서 ‘간격 없는것’(현재)을 통해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것’(과거)이 됨으로써만, 곧 ‘비존재(nonesse)를 지향하는’ 방식으로써만 존재하면서, 인간 영혼과 물질세계 전체를 관통하는 객관적인 보편적 창조질서로 제시된다. 하지만 물질이 시간을 소유할 수 있는 ‘내적 공간’을 결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시간에 의해 소유되는 것과는 달리, 인간 영혼은 단지 시간에 의해 소유될 뿐만 아니라 시간을 자기 안에 대상화하고 동시에 소유할 수 있는 능력도 지니고 있다. 이렇게 역설적인 방식으로써만 존재하는 시간에 대한 대상적 소유는 영혼이 지닌 ‘지향작용(intentio)’과 ‘기억(memoria)’이라는 내적 공간으로 인해 가능한데, 동일한 영혼은 지속적으로 생성하고 소멸하는 사물들의 형상적 변화 안에서 개현되는 시간을 지향하며 그것의 흔적들(affectiones)을 기억에 저장함으로써 시간을 지각하고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 존재의 아포리아는 오직 기억 안에서 이뤄진 영혼의 ‘분산지향(distentio)’을 통해서만 그 해결의 실마리가 열리지만, 그 경우에도 시간 그 자체의 본성이 영혼에게 개현되는 것이 아니라 분산지향을 통해 자기를 확장하면서 그것을 측정하는 영혼의 존재 그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시간성, 곧 무를 지향하는 산란된 존재 방식이 개현될 뿐이다. 인간 영혼이 지닌 이러한 시간적 실존은 물질세계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신의 영원성을 지향하고 소유함으로써만 궁극적 안식을 발견하도록 창조된 그의 존재론적 소명을 의미한다. Augustine’s concept of time as distention of soul (distentio animi) along with his thesis that time can be found only in his soul (animus meus) made many commentators consider his time theory as subjectivist. Bu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need to be clarified in order to approach their full meanings without misinterpretations. First of all, the main purpose of the Confessions XI is to praise and confess the eternity and mercy of the Creator of time rather than to give systematic teaching of time. And the subject of the confession as praise, i.e. Augustine’s soul is penetrated by God, who is interior to his inmost part, and subject to love given by God for God, showing itself fundamentally relational in that it is always already open not only to God but also to the material world. Although the time, existing only in becoming from ‘what is not as yet’ (the future) through ‘what is without space’ (the present) to ‘what now is not’ (the past), i.e. in tending not to be, is an objective and universal order of creation including both the human souls and the material world, unlike the latter that is just possessed by the time, lacking the inner space for it, the former is not only possessed by it but also capable of having it. The soul, in fact, can have in itself the time, that exists in a very paradoxical and aporetic way, objectifying it thanks to the faculty of ‘intention (intentio)’ and the inner space of ‘memory (memoria)’. The same soul perceives and measures the time, stretching out its eye (mens) toward it which shows itself only through the formal changes of things in constant flux and reserving its traces (affectiones) in the memory. The aporia of the time existence thus can be resolved only through and in the distention of soul which measures it in the memory. But even in that case, it is not the very nature of time that is manifested but only the fundamental temporality of the being of human soul which measures it by distending itself, in other words, by being distracted in order to tend toward non-being. Such a temporal existence of the human soul signifies its ontological mission to aim at the eternity of God and to find its final rest by having Him in itself through and beyond the material world.

      • KCI등재

        자성 망간 추적자를 이용한 in Vivo 시신경경로 추적에 관한 연구

        배성진,장용민,Bae, Sung-Jin,Chang, Yong-Min 한국의학물리학회 2007 의학물리 Vol.18 No.1

        목적: 망간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시신경경로의 활성화를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 암컷 흰색 토끼의 망막에 $30{\mu}l$의 $MnSl_2(1mol)$ 용액을 주입한 후 고성능 경사자계 시스템이 장착된 임상용 1.5 기기에서 3D FSPGR 펄스열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T1-강조영상을 망간 주입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획득한 후 시신경경로의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에서의 조영증강을 관찰하였다. 또한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해부학적 위치에 동일한 원형의 관심영역을 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 한 후 배경 잡음의 신호강도와의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구하였다. 결과: 망간 주입 후 시신경 경로상의 주요 구조물들이 조영증강 되었다 조영 증강된 주요 구조물로는 오른쪽 시신경(optic nerve), 시각교차(optic chiasm), 왼쪽 시신경 경로(optic tract), 왼쪽 가쪽 무릎핵(lateral geniculate nucleus), 왼쪽 상구(superior colliculus) 등 오른쪽 망막의 대측(contralateral) 시신경 경로상의 구조물이었으며 동측(ipsilateral) 시신경 경로는 조영증강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시신경계의 말단부위인 망막에 $MnCl_2$를 주입한 후 시신경계의 축삭을 통한 망간이온의 전파를 비침습적으로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망간이온의 전파는 전압 개폐성 칼슘채널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망막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전압 개폐성 칼슘채널의 빠른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tracing of optic nerve tract using manganese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After injecting $30{\mu}l$ of $MnCl_2(1mol)$ (1 mol) Into the retina of female New Zealand white rabbit, the contrast enhancements at major anatomical structures of optic nerve tract were evaluated by high resolution T1-weighted Images 12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fter $MnCl_2(1mol)$ Injection using 3D FSPGR (Fast Speiled Gradient Recalled echo) pulse sequence at 1.5T clinical MR scanner with high performance gradient system. Also,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signal-to-noise ratios of circular ROI on anatomical locations were measured. Results: The major structures on the optic nerve tract were enhanced after injecting $MnCl_2(1mol)$. The structures, which showed enhancement, were right optic nerve, optic chiasm, left optic tract, left lateral geniculate nucleus, left superior colliculus. The structures on the contralateral optic pathway to the right retina were enhanced whereas the structures on the ipsilateral pathway did not show enhancement. Conclusion: The Mn transport through axonal pathway of optic nerve sys)em was non- invasively observed after injecting injecting $MnCl_2$ at the retina, which is the end terminal of optic nerve system. This Mn transport seems to occur by voltage gated calcium $(Ca^{2+})$ channel and In case of direct Injection Into the retina, the fast transpori pathway of voltage gated calcium channel seems to be responsible for Mn trans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