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새로운 거대분자 MR 조영제의 합성 및 MR 특성에 관한 연구

        장용민,장영환,황문정,박현정,전경녀,이종민,배경수,강봉석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2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6 No.1

        목적 : 새로운 개념의 macromolecular MR 조영제를 개발하여 자기이완적 특성 및 조직특이성 조영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hthalocyanine (PC)을 상자성 원소의 배위자로 선택하였다. 2.01g (5.2 mmol)의 Phthalocyanine을 0.37 g(1.4mmo1)의 Mn chloride와 $310^{\circ}C$에서 36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CHC13/CH3OH 98/2 v/v, Rf, 0.76)로 정제하여 1.04 g (46%)의 MnPC (분자량 2000)를 얻었다. 0.1 mM로 희석시킨 MnPC를 1.5T(64MHz) MR 장비를 이용하여 T1/T2 자기이완율을 측정하였다. MnPC의 MR 영상 특성을 알아보기위해 1.5T MRI에서 스핀반향 기법(TR/TE= 500/14 msec)과 경사에코 기법중 FLASH 기법(TR/TE=80/4 msec, flip angle=60)을 사용하여 매 10분 간격으로 최고 4시간까지 연속적으로 토끼의 간에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농도별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MnPC를 20 mM, 50 mM, 100 mM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 MnPC의 1.5 T(64 MHz)에서의 자기이완율은 Rl : 7.28 $mM^{-1}S^{-1}$, R2=55.56 $mM^{-1}S^{-1}$으로 small molecular weight 조영제인 Gd-DTPA의 Rl(=4.8 $mM^{-1}S^{-1}$), R2(=5.2 $mM^{-1}S^{-1}$) 값과 비교할 때 T1/T2 자기이완율이 매우 컸다. 스핀반향과 FlASH 기법 모두에서 조영증강은 조영제 주사후 약 10분 정도에 최고치에 달한 후 약 2시간 정도까지 유지하였다. MnPC는 small molecular weight의 간특이성 조영제들인 Gd-EOB-DTPA, Gd-BOPTA 및 MnDPDP과 비교할 때 조명증강을 유지하는 시간이 훨씬 더 긴 특성을 보였다. MnPC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담도로 배출되었다. 결론 : 새로운 종류의 macromolecular MR agent인 MnPC를 자체 개발하였고 자기이완율을 측정한 결과 T1/T2 효과가 기존의 small molecular Gd-chelate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MnPC는 간세포에 흡수된 후 담도계로 배출되는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 To evaluate the NMR relaxation properties and imaging characteristics of tissue-specificity for a newly developed macromolecular MR agent. Materials and methods : Phthalocyanine (PC) was chelated with paramagnetic ion, Mn.2.01g (5.2 mmol) of Phthalocyanine was mixed with 0.37g (1.4 mmol) of Mn chloride at $310^{\circ}C$ for 36 hours and then purified by chromatography (CHC13/CH3OH 98/2 v/v, Rf, 0.76) to obtain 1.04g (46%) of MnPC (molecular weight= 2000d). The $T1}T2$ relaxivity of MnPC was measured in 1.5T(64 MHz) MR using 0.1 mM MnPC. The MR image characteristics of MnPC was evaluated using spin-echo (TR/TE=500/14 msec) and gradient-echo (FLASH) (TR/TE=80/4 msec, flip angle=60) techniques in 1.57 MR scanner. The images of rabbit liver were obtained every 10 minutes up to 4 hours. To study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n image, 20 mM, 50 mM, 100 mM of MnPC were tested. Results : The relaxivities of MnPC at 1.5T(64MHz) were Rl=7.28 $mM^{-1}S^{-1},{\;}R2=55.56mM^{-1}S^{-1}$. Compared to the values of Gd-DTPA (Rl[=4.8 $mM^{-1}S^{-1})$], R2[=5.2 $mM^{-1}S^{-1}])$]), both T1/T2 relaxivities of MnPC were higher than those of Gd-DTPA. For both of SE and FLASH techniques, the contrast enhancement reached maximum at 10 minutes after bolus injection and the enhancement continued for more than 2 hours. When compared with small molecular weight liver agents such as Gd-EOB-DTPA, Gd-BOPTA and MnDPDP, MnPC was characterized by more prolonged enhancement time. The time course of MR images also revealed biliary excretion of MnPC. Conclusion : We developed a new macromolecular MR agent, MnPC. The relaxivities of MnPC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molecular weight Gd-chelate. Hepatic uptake and biliary excretion of MnPC suggests that this agent is a new liver-specific MR agent.

      • KCI등재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에 따른 분할 비등방성 뇌자기공명영상의 잡음에 대한 히스토그램 분석

        장용민,이영주,김용선,강덕식,손철호,우성구,서경진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2 No.2

        Purpose: We wished to analyz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noise performance of fractional anisotropy brain images along with the different diffusion gradient numbers by using the histogram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Diffusion tensor images were acquired using a 3.0 T MR scanner from ten normal volunteers who had no neurological symptoms. The single-shot spin-echo EPI with a Stejskal-Tanner type diffusion gradient scheme was employed for the diffusion tensor measurement. With a b-valuee of 1000 s/mm2, the diffusion tensor images were obtained for 6, 11, 23, 35 and 47 diffusion gradient directions. FA images were generated for each DTI scheme. The histograms were then obtained at selected ROIs for the anatomical structures on the FA image. At the same ROI location, the mean FA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FA valu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quality of the FA image was improved as the number of diffusion gradient directions increased by showing better contrast between the WM and GM. The histogram showed that the variance of FA values was reduced as the number of diffusion gradient directions increased. This histogram analysis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 obtaine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Conclusion: The image quality of the FA ma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number of diffusion gradient directions increased. The histogram analysis well demonstrated that the improvement in the FA images resulted from the reduction in the variance of the FA values included in the ROI. 목적: 확산 경사자계의 방향수에 따른 분할 비등방성 뇌자기공명영상의 잡음 정도를 히스토그램을 통해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확산텐서영상의 방향수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1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3.0 T 자기공명 영상기기를 사용하여 뇌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하였다. 사용한 펄스열은 Stejskal-Tanner 형태의 확산 강조 경사자장이 포함된 스핀 에코 EPI 기법을 사용하였다. b-value는 1000 s/mm2으로 고정하고 가해지는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를 6개, 11개, 23개, 35개 그리고 47개로 변화시키면서 확산 텐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를 늘려가면서 획득된 확산 강조 영상들로부터 각 방향수별 분할 비등방성(FA)영상을 만들었다. FA영상에서 육안적 정성 평가 후 주요 뇌 구조물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의 히스토그램을 구하였다. 동일 관심영역에서 각 방향수별 FA값을 측정하였으며 FA값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결과: 분할 비등방성영상에서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가 6개에서 47개로 증가함에 따라 뇌구조물의 백질과 회백질의 경계의 구분이 더 명확하며 영상의 질이 개선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심영역에서 측정한 히스토그램에서 경사자장의 방향수가 증가함에 따라 FA 지수의 분산 정도가 줄어들고 단일 비등방성 지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FA값의 표준편차가 방향수에 따라 줄어든다는 정량적인 분석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경사자장의 방향수가 증가할수록 더 나은 화질의 FA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히스토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Pharmacological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Cloropidol on Motor Task

        장용민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2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6 No.2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 modulation of motor task-dependent physiologic responses by antiplatelet agent, clopidogrel, during hand motor tasks in healthy subjects. Materials and Methods: Ten healthy, right-handed subjects underwent thre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fMRI) sessions:one before drug administration, one after high dose drug administration and one after reaching drug steady state. For the motor task fMRI, finger flexion-extension movements were performed. 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BOLD)contrast was collected for each subject using a 3.0 T VHi (GE Healthcare, Milwaukee, USA) scanner. T2*-weighted echo planar imaging was used for fMRI acquisition. The fMRI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M2. Results: Second-leve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extent of activation in the contralateral motor cortex including primary motor area (M1) after drug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activated voxels in motor cortex was 173without drug administration and the number increased to 1049 for high dose condition and 673 for steady-state condition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BOLD signal change in terms of peak T value.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cerebral motor activity can be modulated by clopidogrel in healthy subjects and that fMRI is highly senstive to evidence such changes.

      • KCI등재후보

        초상자성 나노 입자의 자기이완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장용민,황문정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7 No.1

        목적 : 간(liver)과 림프절 특이성 등의 다기능성을 나타내는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ultrasmall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USP IO)의 자기이완(magnetic relaxation)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자기 이완시간의 변화를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를 조영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축약(encapsulation)시키게 되고 따라서 확산(diffusion) 및 전자스핀의 fluctuation 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자유 물분자와 간접 상호작용인 "outsphere " 기전에 근거하여 자기이완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초상자성체의 경우 자기 모멘트가 상자성 입자에 비해 최소 수백배에서 최대 수만배까지 더 크므로 일반적으로 상자성 조영제의 "out sphere" 기전에서 가정하는 저자장 근사치를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rillouin함수로 표현되는 총자화에 대한 표현을 적용하여 저자장뿐만 아니라 고자장의 경우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out sphere" 기전에 의한 T1 그리고 T2 이완율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자기이완모델을 사용하여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자기 이완시간의 변화를 symbolic computation tool 인 MathCad(MathCad, USA)를 사용한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T1, T2 자기이완 특성은 먼저, 저자장 영역 (<1.0 Mhz)에서는 이론적 모델의 spectral density function에 들어 있는 두 개의 correlation time중 $\tau$$_{s1}$ 중 (T2의 경우 ${\tau}_{S2}$)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러한 나노자성체 입자들이 낮은 자기장하에서는 열적으로 야기된 자기모멘트들의 재배열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고자장 영역에서는 correlation time 중 $\tau$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데는 $\tau$는 나노 입자의 크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자장에서 입자 크기에 따른 T1 이완율(R1)과 T2 이완율(R2)의 차이는 이러한 입자크기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노입자에 포함된 철 원자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철 원자수가 증가 할 수록 R1과 R2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온도변화에 따른 T1, T2 자기이완시간의 변화는 정상체온 근처의 제한적인 온도범위내에서 저자장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변화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1에 비해 T2에서 이러한 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결론 : 임상적 다기능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이완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제시하였고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자기 이완시간의 변화를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다. Purpose :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for magnetic relaxation behavior of the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 agent, which demonstrates multi-functionality such as liver- and lymp node-specificity.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the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xation time and the applied magnetic field strength. Materials and Methods : The ultrasmall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USPIO) was encapsulated with biocompatiable polymer, to develop a relaxation model based on outsphere mechanism, which was resulting from diffusion and/or electron spin fluctuation. In addition, Brillouin function was introduced to describe the full magnetization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low-field approximation, which was adapted in paramagnetic case, is no longer valid. The developed model describes therefore the T1 and T2 relaxation behavior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both in low-field and in high-field. Based on our model, the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to test the relaxation behavior of superparamagnetic contrast agent over various magnetic fields using MathCad (MathCad, U.S.A.), a symbolic computation software. Results : For T1 and T2 magnetic relaxation characteristics of ultrasmall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the theoretical model showed that at low field (<1.0 Mhz), $\tau_{S1}(\tau_{S2}$, in case of T2), which is a correlation time in spectral density function, plays a major role. This suggests that realignment of nano-magnetic particles is most important at low magnetic field. On the other hand, at high field, $\tau$, which is another correlation time in spectral density function, plays a major role. Since $\tau$ is closely related to particle size, this suggests that the difference in R1 and R2 over particle sizes, at high field, is resulting not from the realignment of particles but from the particle size itself. Within normal body temperature regi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1 and T2 relaxation time show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1 and T2 relaxation times at high field. Especially, T1 showed less temperature dependence compared to T2. Conclusion : We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of r magnetic relaxation behavior of ultrasmall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USPIO), which was reported to show clinical multi-functionality by utilizing physical properties of nano-magnetic particle.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the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xation time of USPIO and the applied magnetic field strength.

      • KCI등재

        $^{31}$P MR Spectroscopic Measurement of Intracellular pH in Normal Human Hearts

        장용민,배경수,김용주,강덕식,Jang, Yong-Min,Bae, Gyeong-Su,Kim, Yong-Ju,Gang, Deok-Sik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심전도 게이트 2차원적인 화학적 전환 영상 (ECG-gated two-dimensional ${31}P$ chemical shift imaging)를 이용한 인간 심근의 자기공명분광을 시행하여,inorganic phosphate (Pi)나 ${\gamma}$-ATP 등의 고에너지 대사물의 위상전위로부 터 세포내 pH (pHi)를 측정한후,세포내 pH가 세포내 환경을 총괄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소원자 -31인원자 이중의 화학적 위상 전환 영상 (chemical shift imaging:CSI)을 1.5 T 자기공명영상기기와 ${1}H$-${31}P$ 쌍 방향 표면 코일을 이용하여, 이전에 심장질환이 없는 8명 (나이:24-32 세)의 정상인으로부터 심근자기공명분광을 얻었다.심장의 여러 영역으로부터 얻은 스펙트럼으로부터, 봉오리 위치와 봉오리 영역을 측정하였다. Alpha-,$\beta$ -,${\gamma}$ -ATP, PCr, Pi, PDE and DPG 의 대사비를 측정하였다. Pi와 ${\gamma}$-ATP의 위상전위로부터 pHi를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이전에 보고된 결론과 비교하였다. 결과: 확인된 주요 인간 심장의 인대사물은 -0.1에서 +0.1 ppm에서 PCr이, ATP로부터 각각 약 -2.7 ppm (${\gamma}$-ATP), -7.8 ppm ($\alpha$-ATP)그리고 -16.3 ppm ($\beta$-ATP)의 화학적 전위 중심에 인산의 봉우리를 보였으며,phosphodiester(PDE)는 2-3 ppm,inorganic phosphate(Pi)는 4.5-5.4 ppm 그리고 diphosphoglycerate (DPG)는 5.4-6.3 ppm에서 보였다. 대사물의 비는: PCr/$\beta$-ATP=2.20 $\pm$0.17, PDE/$\beta$-ATP=1.04 $\pm$0.09, Pi/$\beta$-ATP=1.26 $\pm$0.36, DPG/$\beta$- ATP=0.29 $\pm$0.10이었으며, pHi 는 Pi의 전위로부터 계산된 것은 7.31 $\pm$0.23이었으며, ${\gamma}$-ATP로부터 계산된 값은 6.81 $\pm$0.20이었으며,예측치는 7.1이었다. Pi/PCr 는 0.539 였으며,이는 기존의 발표된 결과보다 높았으며, Pi의 위상전위로부터 얻은 pHi는 예상되는 pHi와 비교시에도 높았다. 결론: pHi는 MRS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받으나 세포내 환경을 반영하는 지표로 생각되며, 정상환자에서 기대되지 않는 pHi가 계산 될 경우, MR 시행 자체나 뿐 아니라, 분석 방법에 대한 재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intracellular pH (pHi),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shift of a high-energy metabolite such as inorganic phosphate (Pi) or γ-ATP after performing MRS with ECG-gated two-dimensional ${31}P$ CSI (chemical shift imaging), as a parameter for the overall state of the intracellular milieu. Materials and Methods: Proton decoupled 31P CSI was performed on a 1.5-T scanner using a ${1}H$-${31}P$ dual-tuned surface coil. Cardiac MRS data were obtained from eight normal volunteers aged 24-32 years with no history of heart disease. From the spectra obtained from several regions of the heart, peak position and peak area were estimated. The metabolic ratios of $\alpha$-, $\beta$-, γ-ATP, PCr, Pi, phosphodiester and diphosphoglycerate were calculated, and pHi was estimated from the chemical shift of Pi and γ-ATP resonance. We then compared the data for the anterior myocardium with those previously published. Results: The major phosphorous metabolites identified in these human hearts were as follows: PCr, at -0.1 to +0.1 ppm; three phosphate peaks from ATP, with a chemical shift centered at about -2.7 ppm (γ-ATP), -7.8 ppm ($\alpha$-ATP), and -16.3 ppm ($\beta$-ATP); and phosphodiester (PDE) at 2-3 ppm, inorganic phosphate (Pi) at 4.5-5.4 ppm, and diphosphoglycerate (DPG) at 5.4-6.3 ppm. The PCr/$\beta$-ATP ratio was 2.20$\pm$0.17 and the PDE/$\beta$-ATP ratio, 1.04$\pm$0.09. pHi readings were 7.31$\pm$0.23 (calculated by the shift of Pi) and 6.81$\pm$0.20 (calculated by the shift of γ-ATP). Pi/PCR was 0.539, a ratio higher than that mentioned in previously published reports.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intracelluar metabolism was affected by vaious kinds of factors. We believe, however, that pHi readings indicate the overall state of the cardiac intracelluar milieu. An unexpected pHi readings, seen at MRS, may reflect errors in the MR procedure itself and, or in the alanytical metho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차원 화학변위 기법을 이용한 간 및 심장 31P 자기공명분광에서의 Nuclear Overhauser 효과에 대한 연구

        장용민,염헌규,이종민,김용선,이상권,서경진,배성진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4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8 No.2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ignal enhancement ratio by NOE effect on in vivo 31P MRS in human heart muscle and liver. we also evaluated the enhancement ratios of different phosphorus metabolites, which are important in 31P MRS for each organ. Materials and Methods : Ten normal subjects (M:F = 8:2, age range = 24-32 yrs) were included for in vivo 31P MRS measurements on a 1.5 T whole-body MRI/MRS system using 1H-31P dual tuned surface coil. Two-dimensional Chemical Shift Imaging (2D CSI) pulse sequence for 31P MRS was employed in all 31P MRS measurements. First, 31P MRS performed without NOE effect and then the same 2D CSI data acquisitions were repeated with NOE effect. After postprocessing the MRS raw data in the time domain, the signal enhancements in percent were estimated from the major metabolites. Results : The calculated NOE enhancement for liver 31P MRS were : α-ATP (7%), β- ATP (9%), γ-ATP (17%), Pi (1%), PDE (19%), and PME (31%). Because there is no creatine kinase activity in liver, PCr signal is absent. For cardiac 31P MRS, whole body coil gave better scout images and thus better localization than surface coil. In 31P cardiac multi-voxel spectra, DPG signal increased from left to r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ood included. The calculated enhancement for cardiac 31P MRS were : α- ATP (12%), β-ATP (19%), γ-ATP (30%), PCr (34%), Pi (20%), PDE (51%), and DPG (72%). Conclusion :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NOE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heart muscle than in liver with different coupling to 1H spin system and thus different heteronuclear cross-relaxation. 목적: 인체의 심근 및 간조직의 생체내 31P MRS에서 NOE 효과에 의한 분광신호 세기의 증가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동일 장기에서 대사물질에 따른 NOE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열명의 정상 성인군(남:여 = 8:2, 연령분포= 24-32)을 대상으로 1.5T 자기공명영상/분광 장치에서 1H - 31P 이중 튜닝 표면 코일을 사용하여 생체내 31P MRS를 시행하였다. 31P MRS 측정은 이차원 화학변위영상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파라미터에서 NOE 효과 없이 그리고 1H decoupling 상태에서 NOE 효과에 의한 31P MRS 데 이터를 획득하였다. 31P MRS raw data의 postprocessing 후 얻어진 스펙트럼에서 주요 대사물질들의 신호증가를 비교하였다. 결과: 간조직의 31P MRS에서 NOE 효과에 의한 신호증가율은 α-ATP (7%), β-ATP (9%), γ-ATP (17%), Pi (1%), PDE (19%), PME (31%) 였다. 간조직의 경우 크리아틴 키나제가 없기 때문에 PCr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다. 심근의 31P MRS은 whole body 코일이 표면 코일보다 우수한 scout 영상을 제공하여 31P MRS의 localization에 유 리하였다. 31P 심근 다중 체적 스펙트럼에서, 혈액의 DPG 신호는 심근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었고 NOE 효과에 의한 신호증가율은 α-ATP (12%), β-ATP (19%), γ-ATP (30%), PCr (34%), Pi (20%), PDE (51%), DPG (72%) 였다. 결론: 간조직에 비해 심근의 경우 큰 신호증가를 보였고 이는 간조직 대사물질들의 31P가 심근과는 다른 1H coupling 을 나타냄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gO crystal orientation and the conditions of deposition on AC-PDP

        장용민(Yong-Min Jang),허정은(Jeong-Eun Heo),김덕원(Duk Won Kim),신중홍(Joong-Hong Shin),박정후(Chung-Hoo Park)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There are several important issues in AC PDP researches such as cost reduction, reliability, and good image quality. The properties of MgO layer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s the panel reliability through the firing voltage variation. The MgO thin film mainly has (11l), (200) and (220) crystal orientation. It is reported that (111)-oriented film helps decreasing the discharge voltage, and (200)-oriented film improves the misfiring on high temperature and the image sticking[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crystal orientation and e-beam evaporation process parameters such asdeposition rate, temperature of substrate, and distance bet ween the target(MgO tablet) and the substrate.

      • Multi-Component Relaxation Study of Human Brain Using Relaxographic Analysis

        Chang, Yongmin,Han, Bong Soo,Kang, Bong Seok,Jeon, Kyungnyeo,Bae, Kyungsoo,Kim, Yong-Sun,Kang, Duk-Sik 경북대학교 병원 2003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7 No.1

        목적 : 자기공명영상과 자기이완분포 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자기이완시간 분석기법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자기이완시간의 분포 및 해당 분포의 상대적인 물분자 함유량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이완분포 분석법(CONTIN)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먼저 자기이완시간이 일정한 분포를 가지도록 고안된 모의 자기이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지질의 함유량이 99% 이상인 식용유와 증류수를 일정비율(0, 10, 20, 30%)로 혼합한 실험 팬텀을 제작하고 inversion-recovery 시퀸스(TI: 40-1160 msec, TR/TE=2200/20msec)를 사용하여 MR 영상을 획득하여 CONTIN을 사용하여 각 관심영역에서의 자기이완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 신호대잡음비를 달리한 모의 자기이완 데이터의 분석결과 자기이완시간의 위치에 대한 오차는 신호대잡음비에 관계없이 긴 자기이완시간(T₁=600msec)에 비해 짧은 자기이완시간(T₁=150msec)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자기이완시간 분포면적에 대해서는 긴 자기이완시간(T₁=600msec)의 면적오차가 짧은 자기이완시간(T₁=150msec)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팬톰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실제 오일대 증류수의 비율을 1:2:3으로 한 팬톰들에서 분석결과는 1:1.3:1.9 으로 나타났다. 자원자의 뇌영상에서는 CSF의 경우에는 하나의 T₁ 자기이완시간만이 나타난 반면 백질과 회백질에서는 2개의 T₁ 자기이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SF와 백질의 평균 자기이완시간은 기존의 보고된 값들과 잘 일치 하였다. 결론 : 자기공명영상과 자기이완분포 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자기이완시간 분석기법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자기이완시간의 분포 및 해당 분포의 상대적인 물분자 함유량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들은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To demonstrate that the relaxographic metho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elaxation times and water content which are poentially applicable to clinical medicine. Materials and Methods : First, the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relaxation data to verify the accuracy and reliablility of the relaxographic method(CONTIN). Secondly, in order to see how well the CONTIN quantifies and resolves the two different T₁ environments, we calculated the oil to water peak area ratios and identified peak positions of T₁-distribution curve of the phantom solutions, which consist of four centrifugal tubes(10㎖) filled with the compounds of 0, 10, 20, 30% of corn oil and distilled water, using CONTIN, Finally, inversion recovery MR images for a volunteer are acquired for each TI ranged from 40 to 1160 msec with TR/TE=2200/20 msec. From the 3 different ROIs(GM, WM, CSF), CONTIN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T₁-distribution curves, which gave peak positions and peak area of each ROI location. Results :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errors of peak positions were less in the higher peak(centered T₁=600msec) than in the lower peak(centered T₁=150msec) for all SNR but the errors of peak areas were larger in the higher peak than in the lower peak. The CONTIN analysis of the measured relaxation data of phantoms revealed two peaks between 20 and 60msec and between 500 and 700msec. The analysis gives the peak area ratio as oil 10%: oil 20%: oil 30%=1:1.3:1.9,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act ratio, 1:2:3. For human brain, in ROI 3(CSF), only one component of -distributions was observed whereas in ROI 1(GM) and in ROI 2(WM) we observed two components of T₁ -distribution. For the WM and CSF there was great agreement between the observed T₁ -relaxation times and reported values. Conclusion : we demonstrated that the relaxographic method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elaxation times and water content, which were not available in the routine relaxometry and T₁/T₂ mapp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s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by relaxographic analysis may have clinical impor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