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미국 내 한국 연구의 학술 지형 -Korean Studies Guide (1954)를 중심으로-

        배민재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5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landscape and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in United States academia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the Korean Studies Guide, published in 1954. Literature materials for Korean studies in institutional academia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war are largely divided into Korean-related publications accumulated until the prewar period and research books introduced after the war. Prior to the war, literature and publications for Korean research were introduced through Northeastern Asia, A Selected Bibliograph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Kerner List”) published in 1939, and periodicals such as and Bulletin of Far Eastern Bibliography and Far Eastern Quarterly. In the 1950’s, The East Asian Studies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ompiled the Korean Studies Guide for Korean studies by collecting and selecting literature from the pre-war to post-war periods to establish a genealogy and academic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with the advent of the Cold War system after World War II, interest in Korea in the West increased.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crete analysis on how such interest is realized in the field of study, what knowledge was actually produced, and what the academic background and basis of such knowledge were. In that sense, the task of grasping the academic landscape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by focusing on the Korean Studies Guide, is to illuminate the production, inflow,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about Korea before and after the war.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publication process of the Korean Studies Guide and the university institutions to which they belonged, and identified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the included literature. In addition, basic data collected and reviewed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Studies Guide are tracked using preface and references. The literature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writing and compilation of the Korean Studies Guide was the "Kerner List" and Takashi Hatada's "Chosen-si", published in Japan in 1951. The "Kerner List" is unique in that it has a succession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of the Korean Studies Guide in terms of the compilation subject,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Chosen-si" is a book that has been highlighted through the Korean Studies Guide. This wa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the publication of the English-language Korean history research, which led to the publication of “A History of Korea”, the English version of "Chosen-si" in 1969.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Korean Studies Guide is a work that goes beyond just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Korean studies centered o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r the academic topography of the 1950s to reveal the academic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foundation and topography of Korean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are built after the 1960s. 본 연구에서는 1954년 출간된 해제집 Korean Studies Guide를 통해 전전/전후 시기 미국학계의 한국학의 학술 지형과 기반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후 미국 내 제도권 학계에서 한국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크게 전전 시기까지 축적된 한국 관련 출간물, 그리고 전후에 유입된 연구서로 구분되며, 출간 지역 혹은 국적에 따라서는 미국 내에서 생산된 출간물과 국외의 출간물로 구분된다. 전전에는 1939년에 출간된 문헌 목록 Northeastern Asia, A selected Bibliography(이하 『커너 목록』) , 그리고 Bulletin of Far Eastern Bibliography, Far Eastern Quarterly 등과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해 한국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와 출간물이 소개되었다. 이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 동아시아학연구소에서는 미국 내 한국학 연구의 계보와 학술 기반을 정립할 목적으로 전전~전후 시기에 이르는 문헌을 수집ㆍ선별하여 한국학 연구를 위한 해제집 Korean Studies Guide를 편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체제가 도래하면서 서구권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심이 학술의 장(場)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실제로 어떠한 지식이 생산되었는가, 나아가 그러한 지식의 학적 배경과 기반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여전히 부족하다. 그런 의미에서 Korean Studies Guide를 중심으로 1950-60년대 미국 내 한국학의 학술 지형을 파악하는 작업은 전전과 전후 한국에 관한 지식의 생산과 유입ㆍ유통 전반을 조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Korean Studies Guide의 집필진과 그들이 소속되어 있었던 대학기관을 중심으로 그 출간 경위를 살펴보고, 수록 문헌에 대한 정량적ㆍ정성적 접근을 통해서 당시 미국 내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파악하였다. 또, 서문과 참고문헌 등을 활용하여 해제집의 작성을 위해 수집 및 검토된 기초 자료들을 추적하였다. Korean Studies Guide의 집필 및 편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문헌은 『커너 목록』과 더불어, 1951년 일본에서 출간된 하타다 다카시의 『조선사』였다. 『커너 목록』은 편찬 주체의 측면에서 Korean Studies Guide의 집필진과 계승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띤다면, 『조선사』는 Korean Studies Guide를 통해 중점적 조명된 저서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영문 한국사 연구서가 부족하다는 미국 내 연구자들의 지적, 그리고 이후 『조선사』의 영역본 출간으로 이어지는 시작점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Korean Studies Guide에 대한 분석은 단지 캘리포니아대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 연구의 양상, 혹은 1950년대의 학술 지형에 대한 파악을 넘어 1960년대 이후까지 서구 한국학의 주요 권역으로서 미국 내 한국 연구의 토대와 지형이 구축되는 학술사적 맥락을 밝히는 작업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우울 증상과 관련한 정서 조절의 어려움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배민재,장성만,이상원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2022 精神病理學 Vol.2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are related to depression in young adults in Korea. Methods: We recruited 344 young adults without a history of acute/chronic internal medicine/surgery, psychiatric treatment, head injury, and drug/alcohol abuse. An online survey includ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Studies Depression (CES-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Trait (STAI-T)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Results: Among 344 participants, the 80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depression group (CES-D 25 or above). The depression group reported greater scores in all sub-scales of DER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CERQ compared to the non-depression group. The depression group represented higher scores in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rumination’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symptoms. W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was applied,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positive reappraisal’, and ‘rumination’ were also evaluated as significant factors to predict depression groups. Conclusions: The depression group h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t may be beneficial to help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to choose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useful strategies.

      • KCI등재
      • KCI등재

        전후 미국학계에 소개된 한국사 연구와 식민주의 역사학

        배민재,정상우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3 No.-

        2차 대전 이후 냉전 체제의 구축에 따라 동아시아 지역은 물론 냉전의 최전선인 한국에 대한 미국학계의 관심이 고조되었다. 1950년대 들어 미국의 대학에 동아시아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소, 한국학 관련 강좌와 정규 교수직이 마련되고, Korean Studies Guide와 같이 한국 관련 문헌만을 대상으로 하는 문헌 목록집이 등장하는 것은 2차 대전 직후부터 미국학계에서 동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관심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영문 한국사 개설서가 거의 없었던 시절 영역·출간된 스에마쓰의 朝鮮史のしるべ (1936)와 하타다의 朝鮮史 (1951)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자장 속에 있다고 평가되는 저작이라는 점에서, 그것의 유입 및 확산의 경위, 그리고 이후 영역본이 출간되기에 이르는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Korean Studies Guide와 그 집필진에 의해 미국학계에 알려진 이 두 책은 처음 소개되었을 당시부터, 그 영역본이 출간된 이후에도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A Short history of Korea는 영문으로 된 한국사 개설서가 없는 상황에서 교재, 참고자료로서 환영할만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제국주의적 정치선전”이라는 혹평에 직면했던 반면 A History of Korea는 사회경제적 관점에 입각해 있을 뿐만 아니라 식민통치를 준엄한 비판의 자세에서 서술했기 때문에 신선하고 객관성을 담보한 한국사 개설서로 평가된 것이다. 실로 이 두 책은 그 서술과 구성에서 확연한 차이를 드러냈지만 전전 일본인 연구자들의 한국사 연구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부정적으로 그린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었다. 사회경제적 관점에 입각한 하타다의 저작은, 한국사에 드러나는 생산 관계는 발전적 면모를 보이지만 조선 후기까지도 고대적 생산 관계가 중심이었다는, 과거 일본인 역사가들이 주장했던 봉건제 결여론과 맞닿아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20세기 초반 일본인 연구자에 의해 처음 등장했을 당시부터 봉건제를 통하여 일본만이 근대화에 성공할 수 있던 원인을 찾던 것으로, 전후 미국학계에 등장했던 근대화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두 책은 모두 한국에 미친 외세의 압박과 침략을 중요한 역사적 결절점으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한국사의 타율성을 강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본사의 전개를 설명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한사군의 설치, 원구, 임진왜란이 그것으로, 이는 외세의 침략으로 고통받는 한국을 보여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섬나라 일본과 대륙의 역사적 관계를 드러내는 주요한 국면으로서 서술되었다. 이는 일본을 동아시아의 역사에 참여시켜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했던 전전 일본인 역사가들의 연구에 입각한 것이자 전후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한 축으로 하여 미국의 패권과 국익을 관철하려던 미국의 정책과도 연결될 수 있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A Short history of Korea와 A History of Korea는 한국사에 대한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에 입각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를 통해 일본과 대륙의 역사적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전전 일본인 역사가들의 시각에 충실한 한국사 개설서라 하겠다. 이들 책자가 영역되어 미국 사회에 유통될 수 있었던 것은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정책적 파트너로 하여 이 지역의 안보와 미국의 국익을 관철하려 했던 미국의 정책이나 근대화론 등에 식민주의 역사학의 논의가 쉽게 부합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As the Cold War system was established after World War II, American academia’s interest in East Asia as well as Korea, the front line of the Cold War, increased. Establishment of East Asian research institutes, new courses and professorship as well as the publication of Korean Studies Guide in the 1950s, shows considerable interest in East Asia and Korea in American academia right after World War II. Especially, the fact that Suematsu’s 朝鮮史のしるべ(1936) and Hatada’s 朝鮮史(1951)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the days when there were very few Korean history books in English in the academic field, are an impl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nial historiography in pre-war Japan and post war Korean studies in the U.S. These two books, known to American academia by the Korean Studies Guide and its writers, received conflicting reviews from the time they were first introduced and even after the release of the book. A Short History of Korea was welcomed as a textbook and reference material in the absence of an English history book, but A History of Korea was evaluated as a fresh and objective Korean history book because it was not only based on socioeconomic perspectives but also described in strict criticism of colonial rule. Indeed, the two books revealed a clear difference in their description and composition, but they were common in that they negatively portrayed Korean history based on the study by former Japanese researchers. Hatada’s work based on socioeconomic perspectives was in line with the theory of lack of feudalism, which Japanese historians argued in the past, that the production relationship revealed in Korean history was developmental but centered on ancient production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discussion was to find the reason why only Japan could succeed in modernization through feudalism from the time it first appeared by Japanese research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could lead to the modernization theory that emerged in American academia after the war. In addition, both books deal with the pressure and aggression of foreign forces on Korea as important historical nodes, which have resulted in not only emphasizing the heteronomy of Korean history but also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Japanese history.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Chinese Commanderies(Hansagun), and the Imjin War was a representative basis that not only showed Korea suffering from foreign invasion, but also described as a major phase revealing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country Japan and the continent. This was based on the research of former Japanese historians who tried to explain the history of Tōyō(東洋) centered on Japan, and could also be linked to the U.S. policy of pursuing U.S. hegemony and national interests in postwar East Asia. In conclusion, A Short History of Korea and A History of Korea are not only based on the identity and heteronomy of Korean history, but also faithful to the perspective of former Japanese historians in that they explai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continent through Korean history. The reason why these works were able to be distributed to American academia was that the discuss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could easily match the U.S. policy and modernization theory that tried to carry out the security and U.S. national interests in East Asia with Japan as a policy partner.

      • KCI등재

        서양어 문헌 목록으로 살펴본 19세기 후반∼20세기 초 한국에 관한 지식의 생산ㆍ축적 현황

        배민재(Bae, Min-jae)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1

        본 연구에서는 서양어 문헌 목록에 수록된 한국 관련 저술을 바탕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한국 관련 서양어 저술의 생산ㆍ축적에서 나타난 변화들을 추적하였다. 19세기 후반은 한국과 서양의 접촉이 본격화된 시기였던 만큼, 한국에 관한 다양한 서양어 저술이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연구자들이 개항기 서양인의 한국 인식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약 반세기 이상의 시간이 흐른 이후였다. 개항 이후에 출간된 한국 관련 서양어 저술이나, 재한 서양인의 정기간행물들이 그동안 많은 연구자의 주목을 받아왔지만, 그러한 활동과 그 결과물이 한국에 관한 지식의 지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해당 시기 지식이 생산, 유통되는 방식과는 또 어떠한 관련이 있었는지는 조명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의 정치ㆍ사회적 변동을 계기적으로 인식하되 접촉 지대가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에 관한 지식이 생산되는 구체적인 맥락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서양어 문헌목록을 토대로 한국 관련 저술이 생산ㆍ축적되어온 흐름을 파악,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지식 생산의 주체가 현지 사회와 접촉하는 밀도의 변화와 그에 따른 지식 분화의 양상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해당 시기 한국에 관한 서양의 지식이 어떠한 근거와 맥락 속에서 생산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 추후 장기지속적인 흐름에서 그 변화를 추적하는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tracked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Korean-related western writings since the late 19th century,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works o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various western writings on Korea started to get published, as the contact between Korea and the West began in earnest. It was after more than half a century that Korean research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western perceptions of Korea during the opening period.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showed interest in western literature on Korea that was produc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t was not revealed what role those writings have played in the western knowledge on Korea and how the knowledge was produced or distributed at the tim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knowledge about Korea was produced, noting that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recognized instrumentally, but that contact areas were formed. Based on several bibliography lists, this study identifies the trend of western knowledge of Korea, and also explains the changes in density of the producing agents and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main purpose is to reveal the basis and context of western knowledge of Korea at the time, and use it as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 to track changes in the long-term continuous flow.

      • KCI등재후보

        항암제에 의해 내성이 유도된 골종양세포 Saos-2의 유전자 발현변화

        배민재(Min Jae Bae),송인환(In Hwan Song),김성용(Seong Yong Kim)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4

        사람 악성 골종양세포주 Saos-2에 내성을 유도하여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세포를 제작하여 내성과정에서 변화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고, Saos-2에 항암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유전자 발현변화와 비교하여 이들 유전자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Adriamycin, cisplatin, vincristine 각각의 항암제에 내성을 유도하여 각각 10-7M 농도에 내성을 가진 사람 악성 골종양 세포주(Saos-2AdR, Saos-2CpR, Saos-2VcR)들을 제작하였다. Saos-2와 항암제 내성세포들에게서 RNA를 추출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GeneChip에 있는 전체 54,675개 유전자 중에서 ‘P (present)’로 판정된 유전자는 Saos-2의 경우 18,215개 (33.3%)였으며 Saos-2AdR은 19,434개 (35.5%), Saos-2CpR은 20,831개 (38.1%), Saos-2VcR은 19,637개(35.9%)이었다.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DEG)는 평균 강도가 Saos-2에 비하여 2.5배 이상 발현차이가 나는 유전자들을 선정한 결과 Saos-2와 Saos-2AdR사이에는 417개의 유전자가 발현변화를 보였으며, Saos-2와 Saos-2CpR사이에는 2,536개, Saos-2와 Saos-2VcR사이에는 225개의 유전자가 발현변화를 보였다. Saos-2에 비하여 Saos-2AdR, Saos-2CpR, Saos-2VcR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는 87개였다. Saos-2에 24시간동안 adriamycin을 처리하여 세포사 과정에서 발현이 0.5배 이하로 감소한 46개 유전자 중에서 내성획득과정 중 2배 이상의 발현 증가를 보인 유전자는 Saos-2AdR에서는 3개 Saos-2CpR에서는 5개 Saos-2VcR에서는 1개였으며, 세포사 과정에서 2배 이상 변화한 유전자 86개 유전자 중에서 내성획득 과정 중 Saos-2AdR에서는 1개 Saos-2CpR에서는 4개 Saos-2VcR에서는 1개 유전자가 0.5배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aos-2 세포에서 세포사 과정뿐 아니라 항암제 내성 생성과정 중에도 단백질 folding, 세포골격, 세포부착, 운반, 전사조절, 세포주기조절, 혈관형성 등에 관여하는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많은 변화들이 암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획득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다. During the treatment of cancers, especially with anticancer drugs, the recurrence of canc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rvival rate.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recurrence is the resistance of cells to anticancer drugs. To explore and analyze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during the induction of resistance by anticancer drugs in human osteogenic cancer cell line Saos-2. The drug resistance was induced with adriamycin, cisplatin or vincristine at 10-7 M concentration of each and cDNA microarray was performed. Total RNA was purified from Saos-2, adriamycin-resistant (Saos-2AdR), cisplatin-resistant (Saos-2CpR) and vincristine-resistant (Saos-2VcR) and expressed genes were investigated with a Affymetrix Human HG-U133Plus2.0 GeneChipTM. The genes of anticancer drug resistant cells that showed more than 2.5 fold expression change than Saos-2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l expression. Four hundred seventeen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AdR. Two thousand five hundred thirty six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CpR. Two hundred twenty five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VcR. Eighty seven genes were selected for common differential ex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genes were changed in expression during the acquiring of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s but most of genes were not in common among the three anticancer durg-resistant Saos-2. This means the different anticancer drug takes the different mechanism for acquiring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 even we use same cells.

      • KCI등재

        18~19세기 서양어 문헌 목록으로 살펴본 한국 인식의 형성 과정

        배민재 ( Bae Min-jae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9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cognition of Korea by the Western world, as their geographical and cultural perceptions of East Asia gradually differentiated, b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ast Asian-related bibliographies. Since the beginning of East-West contact and exchange, knowledge of Asia has been accumulated in the form of various documents and writings. The bibliography serves to visually demonstrate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target by collecting, screening and deploying such accumulated individual knowledge. In this study, the origin of Korean perception was trac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form of knowledge of Korea in bibliographies. Bibliographies are more continuous if the object of knowledge is consistent or more relevant, even if the time and subject of compilation changes. This work notes this continuity, highlighting in particular the transfer relationship and rationale of classification systems and classification items. The intention is to reveal the transmission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the Western perception of the East Asian region. An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form of knowledge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hed a new light on the origin of the perception of Korea, and the change of context on producing knowledge of Korea in the Western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