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상의 편면적 급부와 사기죄의 성부-주로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배미란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비교형사법연구 Vol.14 No.1

        So-called begging fraud or donation fraud is the case that even if one disposes his properly deceitfully, he knows that he disposes the property himself and the behavior of his own disposal will reduce his property. The chief issue of this article is how to judge the validness of fraud in such cases. Thereupon, regarding such issues, this paper makes judgments by examining existing theories about property loss from fraud and also particularly the discussion in Japan having similar regulations to those for fraud in Korea’s criminal law. Many theories focus on the difference of gratuitous one-sided benefit and mutual benefit to set up the criteria to judge fraud using its purpose or mistake. However, only with the theory of frustration in goal achievement or the theory of mistake in the benefit of law, it is not enough to clarify the range of validness of fraud in gratuitous one-sided benefit. The strength of these two theories is that it allows the construction of more logical theory than the theories taking as their criteria the property loss in gratuitous one-sided benefit or the completion of fraud. Despite this, if the judgment based on the two theories still cannot solve the problem of gratuitous one-sided benefit, there is no need to adhere to these theories. In the problem of gratuitous one-sided benefit as well, it is valid to determine the completion of fraud by examining the requisites of fraud including property loss in general. However, even the views to judge property loss practically take fairly ambiguous criteria of judgment provided by those theories. It is thought that in order to establish requisites legitimate for the functions of criminal law or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y law of fraud, as objective requisites, it is valid to require ① the behavior of deceit by the agent of fraud, ② the mistake of the deceived, ③ the behavior of property disposal by the agent of disposal based on his own mistake, ④ the occurrence of property loss resulted from the behavior of property disposal, ⑤ the occurrence of property gain of the agent of fraud or the third party as a result of the requisites. With regard to the acquisition of property of the agent of fraud or the third party as a result of the requisites, it seems to be valid to affirm the occurrence of property loss only when there is reduction of economic value. Also, in case of gratuitous one-sided benefit, it is adequate to judge the validness of fraud after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each requisite for each of the concrete cases. In particular, in the delivery of property, if the behavior of deceit is not about crucial fact, or even if the behavior of deceit is about crucial fact, if the behavior is not about facilitating the behavior of property acquisition from the beginning or acquiring property deceitfully,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ehavior of deceit as a requisite of fraud, and the validness of fraud is denied.

      • KCI등재

        일본 자유형의 변천과 구금형의 창설

        배미란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3 동북아법연구 Vol.17 No.3

        본 논문은 일본 형법 상 구금형 창설에 관한 내용을 소재로 하여, 그 동안의 일본 자유형의변화 과정과 구금형 도입의 경위와 그 내용, 그에 따른 쟁점사항 등을 검토하여 우리 법제도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일본 구금형 도입 과정에서는 주로 현재 일본의 재범율이 높기 때문에 범죄자의 개선갱생을 통해 재범을 방지하여 재범자율을 낮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범죄자의 개선갱생을 위해서는 수형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작업이나 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징역과 금고로 나뉘어져 있던 자유형을 하나의 구금형으로 한다는 것은 원칙적으로 ‘형벌’의 문제이기 때문에, 검토의 시작은 현행형법 상 형벌로서의 자유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이는 수형자와 관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구금형에 따르는 수형자에 대한 작업이나 지도의 구체적 내용을 정함에 있어서 표면적으로는 ‘수형자의 개선갱생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을 드러내고 있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소 무리한 개정의 방식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요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라 하더라도 구금형의 도입을 통해 구금형은 물론 구류형을 선고받은 수형자에 대해서도 ‘형벌의 내용’으로서 작업이나 지도를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나 그것을 ‘수형자의 의무’로 정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선뜻 찬성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수형자의 처우 변화를 내용으로 하는 개정을 할 때에는 그러한 개정의 방향이 넬슨만델라 규칙과 같은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는가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수형자를 위해 처우를 개선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수형자의 동의나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없거나 수형자가 원하고 수형자에게 필요한 방향이 아닌 사회에 필요한 방향에 따르는 개선은 제대로 된 개선이 될 수 없다. 물론 이러한 이상적인 목표를 따르는 제도를 도입하기는 쉽지 않고,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새로운 법제도를 도입하여 시행・정착될 때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제도의 빠른 정착을 위해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노정된 문제를 회피하거나 보다 현실적인 선택을 하기 보다는 보다 나은 제도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꾸준히 고민하고,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Article 41 of our criminal law, three types of freedom sentences are defined: imprisonment, penal servitude, and detention. And according to Article 67, it is decided to undertake a specific labor while being admitted to a correctional facility for imprisonment, which includes the duty of labor. However, imprisonment, which includes the duty of labor, has been recommended for abolition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Accordingly, in Japan in 2022, the ‘imprisonment’ was established, integrating imprisonment and penal servitude into one, without distinction.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for our legal system by introducing and reviewing the transition of Japanese freedom sente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imprisonment. Firstly, the terms imprisonment and penal servitude can be found in the early Meiji era criminal law codes in Japan. A review of the content of the early criminal law codes reveals that imprisonment at that time was a form combined with the restriction of freedom of criminals and harsh labor duty, and harsh labor itself does not have any educational meaning. Also, not imposing labor duty on criminals sentenced to penal servitude was merely a mitigation based on the status or gender of the criminal. Therefore, integrating imprisonment and penal servitude into one form of imprisonment is not a problem. However, in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Japanese Criminal Law Amendment, it is stated that “Persons sentenced to imprisonment may be made to perform the work necessary for their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r may be guided as necessary.” In other words, from the standpoint of prisoners sentenced to imprisonment, the compulsory labor has been abolished, but it has become a principle for prisoners sentenced to penal servitude or detention to participate in work, etc., if necessary for their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after the amendment. Of course, conducting work or guidance for the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f prisoners is important.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fully reviewed that such work and guidance can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ed rather than the will of the prisoners, and the effect can greatly vary depending on how the specific work or guidance content is determined. Furthermore, the labor or work imposed on imprisonment was imposed as a penalty on prisoners, and the work or guidance imposed on imprisonment after the amendment of the Japanese Criminal Law is part of the treatment of criminals, not a punish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n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stipulate the content of treatment within the facility or treatment within the society, which is not a punishment, in the criminal law. In my opinion, such points should be well reviewed in the future,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ystem that conforms to the original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newly introduced imprisonment.

      • KCI등재

        현행 법체계 상 성희롱의 의의와 범죄화에 관한 소고

        배미란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1

        Recently, there are much heightened interest in sexual harassments and we have more active discussions on that matter than ever. In Korea, however, we do not have a consistent consensus on sexual harassments yet. Further, there are not any clear definition and scope of criminalization of a sexual harassment as well. Therefore, even though the regulation on a sexual harassment under the current law has important social implication and role, people have regarded it as an inordinate regulation on the person who made the sexual harassment or even as a factor that divides the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of sexual harassment under current legal framework, focusing especially on how much level of sexual words and ac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 sexual harassment compared to sexual violence crimes under the current laws, as well as whether sexual harassments should be put into the realm of a criminal punishment by including them in sexual violence crimes. Based on these two main issues, the study aims to make a critical review on the necessity of criminal actions on sexual harassments and remind the social implication and role of the regulation on sexual harassments under the current laws. Sexual harassments under the current law have the concept that includes both the sexual words and actions comprising the level of a crime based on sexual prejudice or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sexual words and actions that are less than such a level. The former may be said to be an action that needs a punishment according to a criminal and/or a special criminal law as a crime that infringes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of an individual as well as an action of sexual harassment. The latter may be said to be an action that must be eradicated via non-criminal measures so that the overall society may establish a consensus of equality starting from the employment area. To eradicate sexual harassment from our society, it is important to make a right punishment on every sexual harassment.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is inducing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sexual harassments by people. If we put all the areas of sexual harassments into the scope of criminal punishment, this would harm the victim's will to take actions against light level of sexual words and actions to the contrary. Considering this, we need to try to provide social climate where more people react sensitively against even to a much lighter level of sexual harassments. Also, it is needed to provide policies which enables taking actions that are not too heavy on those sexual words and actions that are minor and light. 최근 성희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이에 대한 논의도 이전보다 활발해졌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에서 성희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일치하고 있지 않고, 성희롱의 개념이나 성립범위 역시도 반드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현행법 상 성희롱 행위의 규제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와 역할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에게는 성희롱 행위자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인식되거나 심지어는 사회분열의 일요소로 비춰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법체계 상 성희롱의 의의에 관해 검토하되, 특히 성희롱 행위를 현행법상 성폭력범죄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수준까지의 성적 언동을 성희롱 행위로 보아야 할 것인가, 그리고 성희롱 행위를 성폭력범죄에 포괄하여 형사법적 처벌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여야 하는가라는 점에 주된 문제인식을 두고,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의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함께 현행법 상 성희롱 규제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을 되새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행법 상 성희롱 행위는 성적 편견 또는 성적 차별을 바탕으로 하는 형사범죄에 해당하는 수준의 성적언동과 이에 이르지 않는 경미한 수준의 성적언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자가 성희롱 행위임과 동시에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범죄로서 형법 및 형사특별법에 의한 처벌이 필요한 행위라고 한다면, 후자는 고용부분을 시작으로 하여 우리 사회 전반에 평등한 사회적 분위기가 정착될 수 있도록 비형법적 수단을 가지고 근절해 나가야 하는 행위라고 하겠다. 우리 사회에서 성희롱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성희롱 행위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성희롱에 대한 보다 많은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성희롱 행위의 전 영역을 형사처벌의 범주 안에 둔다면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경미한 성적 언동에 대한 대처의 의지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더욱 많은 사람들이 더욱 경미한 수준의 성희롱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고, 사소하고 경미한 성적 언동에 대해서도 무겁지 않은 수준의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비동의간음죄와 인권감수성 -주로 한국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배미란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3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2

        Previous discussions on sexual violence have centered on how to punish crimes of sexual violence that have occurred an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such crimes from recurring. However, there has been a shift to questions such as whether our society understands the nature of sexual violence and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scope of punishment. There has been an ongoing debate about whether we need to introduce the offense of non-consensual adultery into our criminal code, and there are still some negative views about it. In fact, there are many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and resolved before introducing the crime of non-consensual adultery in light of the basic principles of criminal law, such as the last resort of punishment and penal justice. Nevertheless, if we look at so-called sexual violence crimes such as rape with a more sensitive human rights sensitivity, it is not a problem that can be dismissed lightly simply because non-consensual adultery cannot be included in the scope of punishment under our criminal law, or because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punishing it even if it is introduced. Especially at this time whe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members of society and judge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non-consensual adultery. Meanwhile, Japan, which has a similar criminal law system to ours, amended its criminal law on sexual violence in 2017 and decided to introduce the crime of non-consensual adultery in 2023. This is because, although there has been one amendment to the criminal law on sexual assault crim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cquittals that have gone against public sentiment, leading to calls for further amendments. In addition, the Criminal Law Review Committee on Sexual Offense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studying the introduction of non-consensual adultery for almost a year.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Japanese Criminal Code should create "a provision that can cover sexual intercourse against one's will as a punishable offense without being excessive," and that specific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content of the provision, such as enumerating the means used by the offender and the status of the victim, so that it can be operated more reliably when the crime of non-consensual adultery is introduc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mendments re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changed the provision corresponding to the crime of forced molestation under the Korean Penal Code to 'non-consensual obscenity' and the provision corresponding to the crime of rape under the Korean Penal Code to 'non-consensual sexual intercourse'. In addition, a total of eight acts or victim conditions, including assault, intimidation, and mental or physical disability, were listed to punish so-called non-consensual adultery. As you can imagine, the discussion of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Code was initiated due to public opinion based on increased human rights sensitivity, but in the end,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Code was made because the Ministry of Justice and others agre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o-called non-consensual adultery crime was necessary after a long review. These efforts to revise Japan's criminal law are highly relevant to us. In response to the calls for the introduction of non-consensual adultery, I think it is time for our society to once again discuss these issues and consider the direction of reasonable criminal law revision through specific and in-depth examination. 성폭력범죄에 관한 종전의 논의는 주로 발생한 성폭력범죄를 어떻게 처벌하고, 이러한 범죄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우리 사회가 성폭력범죄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이에 대한 처벌 범위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는 없는지 등의 물음으로 바뀌고 있다. 우리 형법 상 비동의 간음죄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의가 이어져왔고, 비동의 간음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또한 사실 형벌의 최후수단성이나 죄형법정주의와 같은 형법의 기본이념에 비추어 볼 때,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에 앞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예민한 인권감수성을 가지고 강간죄 등 이른바 성폭력범죄를 바라본다면, 단순히 비동의 간음은 우리 형법 상 처벌의 범위 안에 포함될 수 없는 행위라거나 또는 비동의 간음죄가 도입된다고 해도 실질적인 처벌의 어려움이 있다고 해서 가볍게 배척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특히 우리 사회 구성원과 법관의 인권감수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우리와 유사한 형법체계를 가지고 있는 일본에서는 2017년 성폭력범죄 관련 형법 개정이 있었고, 2023년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을 결정하였다. 한 차례의 성폭력범죄에 관한 형법 개정이 있었으나, 그 이후에도 국민적 정서에 반하는 무죄판결이 이어지면서 추가 개정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결정에 이르기까지 법무성에 설치된 ‘성범죄에 관한 형사법검토회’에서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을 놓고 거의 1년 간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론으로서 일본 형법 내에 ‘처벌 대상으로 해야 할 의사에 반하는 성교 등을 과부족 없이 포섭할 수 있는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 시에 보다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행위자가 이용하는 수단, 피해자의 상태를 열거하는 등 규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회에 재출된 개정안에서는 우리 형법 상 강제추행죄에 해당하는 규정을 ‘부동의음란죄’로, 우리 형법 상 강간죄에 해당하는 규정을 ‘부동의성교죄’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폭행이나 협박, 심신장애 등을 포함하여 총 8개의 행위 또는 피해자의 상태를 열거하여 이른바 비동의 간음을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생각건대, 이러한 형법 개정의 논의가 시작된 것은 높아진 인권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국민적 여론이 있었기 때문이나, 결국 이와 같이 형법이 개정된 것은 법무성 등의 오랜 검토를 통해서도 이른바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의 합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의 형법 개정을 위한 노력이나 개정의 흐름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동의 간음죄의 도입을 요청하는 목소리에 부응하여 우리 사회에서 다시 한 번 이러한 문제를 공론화하고,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합당한 형법 개정의 방향을 고민해 봐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수평반고리관 양성 발작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의 치료

        배미란,문인석,이주형,김현직,이원상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3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6 No.5

        Background and Objectives: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s a common vestibular disease. The theories of canalolthiasis and cupulolithisis of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are commonly accepted in BPPV. Recently, not only posterior canal but also lateral canal BPPV were report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sult of lateral canal BPPV treatment and to introduce effective schedule of reposition maneuvers and follow up. Materials and Method:Sixty two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lateral semicircular canal BPPV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pine head turning test was done and eye movement was documented with videonystagmography. In the canalolithiasis type, barbecue rotation maneuver was performed and in the cupulolithiasis type, cupulolith reposition maneuver was performed. In each type of BPPV, we analyzed the number of treatment until nystagmus was disappeared, recurrence rate and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ce and age, sex of patients. Results:Canalolithiasis type was 55% and cupulolithiasis type was 37%. Eight percents of patients showed combined type. All except 2 cases (congenital malformation) were healed by the reposition maneuver. Vertigo recurred in about 30% of patients, and they were retreated with the reposition maneu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ecurrence and age, sex of patients. Conclusion:In lateral semicircular canal BPPV, the reposition maneuver was a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reposition maneuver was recommended to perform continuously once a day until nystagmus disappeared. Because recurrence rate was about 30%, continuous follow-up was needed. (Korean J Otolaryngol 2003;46:381-5)

      • KCI등재

        경미한 재산범죄에 있어서 경찰다이버전― 특히 생계형 절도를 중심으로 ―

        배미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ffective measures for the petty larceny with minor amount of damage in the stage of the police, particularly for the larceny for living. For such examination, the current enforcement procedure for the petty crime and the overseas legislation examples were examined, and the introduction of conditional release on warning system as a measure to treat the minor property crime and the requirements to be prepared to introduce same system were suggested. The enforcement and treatment of the petty crime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 etc. of the relevant case, but charging the criminal for living criminally only makes their livelihood much helplessly and at the same time, cannot but lower the possibility for victim to recover the damage. And the measure of requesting the summary trial has advantages that the procedure is simple and is treated quickly, but punishing those who are in needy circumstances with the fines cannot but cause the same problem mentioned above. In addition, although it is the short period, punishing with detention does not be appropriate for the treatment of the petty offender. Therefore, as a part of the police diversion for the petty property criminal, particularly for the larceny for living, it needs to examine the conditional release on warning or the suspension of indictment in the minor offence treatment system, etc. of Japan. However, in case of larceny for living, of which the damage amount is minor, since it is unintentional petty crime and the release on warning or the suspension of indictment for that is related to the decriminalization in the execution stage, the scope and the requirements should be much more restricted. Based on that, to utilize the release on warning of police for the larceny for living actively, it needs ① to present the legal basis on the release on warning of police, ② to prepare the clear and specific judgment criteria to determine the petty crime, and ③ to examine the measures to be a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ictim by the release on warning. 본 논문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피해액이 경미한 절도범죄 중에서 특히 생계형 절도에 관한 경찰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처리방안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검토를 위하여 경미범죄에 대한 현행 단속처리 절차 및 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경미한 재산범죄에 대한 처리방안의 하나로서 조건부 훈방제도의 도입 및 동 제도의 도입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제시하고 있다. 경미범죄에 대한 단속․처리는 당해 사건의 구체적 상황 등에 비추어 정해져야 할 것이나, 생계형 범죄자에 대한 형사입건은 그들의 생계를 더욱 막막하게 할 뿐이고, 동시에 범죄자에 의한 피해자의 피해회복 가능성도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즉결심판을 청구하는 방안은 절차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처리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생계가 곤란한 사람을 벌금형에 처한다는 것도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아무리 단기라고 해도 자유형인 구류에 처하는 것도 경미사범에 대한 처리로는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일본의 미죄처분제도 등을 살펴보건대, 경미한 재산범죄자 중에서 특히 생계형 절도범에 대해서는 경찰다이버전의 일환으로서 조건부 훈방 내지 입건유예를 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피해액이 경미한 생계형 절도의 경우에는 부진정 경미범죄이고, 이에 대한 훈방 내지 입건유예는 집행단계에서의 비범죄화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범위와 요건을 더욱 제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생계형 절도범에 대해 경찰훈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① 경찰훈방에 관한 법적근거의 제시, ② 조건부 훈방에 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판단기준의 마련, ③ 훈방에 따른 피해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경범죄 처벌법」상의 과다노출 행위에 관한 검토

        배미란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文集 Vol.37 No.1

        In recent days, the word 'overexposure' had been ranked No. 1 real-time search word on Internet portal sites and became the subject of controversy. The controversy was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ordinances of the Minor Offenses Act that was passed on the 11th. It newly stipulates noticed disposition items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ose penalties on the overexposure etc. from 22nd. The revised bill is the subsequent 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of "Minor Offenses Act" last year. It includes 28 acts such as 27 items that are brought to summary justice if uncovered and continuous bullying acts as well as overexposure. It also specifies the amount of fine for each act. Regarding the 'overexposure' that had become the main controversy, people are more worried about the ambiguity of how the criteria of 'overexposure' are decided than the fundamental question that if the enforcement of law is right. On the other hand, the unfamiliarity with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Minor Offenses Act" intensified the controversy. As seen from the controversy, the "Minor Offenses Act" and the specified acts have been rarely reviewed so far even though the "Minor Offenses Act" is the closest law in the daily lives of people. Therefore, starting with the review on the amended "Minor Offenses Act", this paper is to briefly review the 'overexposure' specified in the "Minor Offenses Act", legislation cases of foreign countries on the ‘overexposure’, and the relation with public lewdness specified in the "Criminal Law".

      • KCI등재

        「해상교통안전법」 제정에 따른 음주운항 등 벌칙 규정 검토

        배미란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4

        2024년 시행을 앞둔 「해상교통안전법」은 현행 「해사안전법」의 전부개정에 따라 제정되었다. 즉, 현행 「해사안전법」의 기본법적 지위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를 「해사안전기본법」으로 제명을 변경하고, 수역의 안전관리, 해상교통안전관리 등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안전관계체계에 관한 사항은 별도의 법률인 「해상교통안전법」에 정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라 새로 마련된 「해상교통안전법」은 해상교통안전을 위한 규제법으로서의 성격을 더욱 명확히 하게 되었다. 한편, 이처럼 「해상교통안전법」은 비록 ‘제정’이라고는 하나, 현행 「해사안전법」과 비교해 볼 때 각 조항의 내용이 크게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종전 법률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해상교통안전법」의 시행 이후 발생하게 될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법률의 큰 틀을 바꾸지 않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상교통안전법」이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는 것을 제정이유로 하고 있고, 나아가 실질적으로도 현행 「해사안전법」의 개정 경과나 운영 과정 등에 비추어 개선이나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이와 같은 제정의 기회에 개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022년에는 「해사안전법」 제41조에 따른 음주운항 등에 관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는 동법 제104조의2 제2항 중에서 ‘제41조 제1항을 위반하여 2회 이상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선박의 조타기를 조작한 운항자’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위헌 결정이 내려진 바 있다. 이에 따라 음주운항과 관련한 벌칙 조항의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해상교통안전법」이 제정된 만큼, 「해상교통안전법」 상 음주운항 관련 조항이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에 관해 살펴보면, 「해상교통안전법」 상 음주운항 관련 조항은 동법 제113조 제2항 및 제3항에서 ‘2회 이상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선박의 조타기를 조작한 운항자’라는 부분을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선박의 조타기를 조작한 운항자로서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날부터 10년 내에 다시 측정 요구에 응하지 않은 사람’으로 개정하였다. 이는 「도로교통법」 상 음주운전에 관한 개정을 답습한 것으로서, 도로교통의 수단인 자동차 등과 해상교통의 수단인 선박은 그 특성과 운행 환경 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선박의 특성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음주운항 재범의 가중처벌 기준을 ‘10년’으로 정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정하게 된 구체적인 근거가 없고, 「형법」 상 누범 규정 등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한 처벌이라고 할 수 있다. 생각건대 형사처벌의 확대 내지 강화가 늘 범죄의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현행 「해사안전법」에 따른 음주운항 처벌 판례를 살펴보면 엄중한 처벌 규정을 둔다고 해도 실질적인 선고형은 그렇게 높지 않았기 때문에 행위자의 입장에서는 음주운항에 대한 인식 자체가 해이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해상교통수단으로서 선박의 특성과 음주운항에 따른 사고 피해의 중대성, 음주운항 단속의 실질적 어려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음주운항을 단속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합당하다.

      • KCI등재

        아동학대에 관한 검토와 법적 과제

        배미란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아주법학 Vol.12 No.2

        아동학대는 아동의 심신에 깊은 상처를 남기며, 그 영향은 아동기뿐 아니라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따라서 그에 대한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 내에서도 아동학대 사건이 많이 발생하였고, 그에 따른 아동의 사망사건도 다수 발생함에 따라 우리 사회 내에서도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2014년에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 법은 주로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제재나 처벌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아동학대의 예방이나 방지에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동 법이 시행된 지 아직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그 효과를 논하기는 어렵지만, 통계에 따르면 동 법의 시행 이후 아동학대 건수는 오히려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생각하건대, 우리 사회 내에서 아동학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행위자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어렵고,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련 법체계 내에서의 ‘아동’의 개념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의 발생 현황 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학대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문제에 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아동학대 문제의 해결이나 대처방안의 마련에 있어서 ‘아동’의 존재는 어떻게 인식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현행 아동학대 관련 법체계를 검토하고,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처벌법 등의 개선방안에 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첫째, 아동학대는 어떠한 유형의 학대인지와 관계없이 그 행위가 아동에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남기는 만큼, 우리 사회 내에서 아동학대는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아동학대의 발생현황이나 대처방안에 대한 검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최근의 아동학대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 그리고 아동의 가정 내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이 전체 아동학대 발생건수의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 사건을 주목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위에서 살펴봄 바와 같이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우리 사회 내에서 자녀가 독립적인 존재로 인정받지 못하고, 부모의 종속적인 존재로서 훈육의 대상으로만 여겨지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정리하자면, 아동은 성인과는 다르기 때문에, 성장하는 동안 더욱 많은 보호와 권익을 보장받아야 하나, 우리 사회 내에서 또는 가정 내에서 아동의 존재는 아직 부모에게 종속된 존재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아동에 대한 이해와 대우가 달라지지 않는 한, 아동학대의 근본적인 예방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의미 및 권익에 대한 인식 변화가 아동학대의 예방, 처벌, 지원 등의 제도나 정책에 투영되기를 바란다. Child abuse leaves deep mental and physical scars to the abused child, and its effects last beyond the child's childhood to its adult ag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al with such abuses. In recent years, many child abuse cases have takin place in Korea, with some of them leading to the deaths of children. So, many people have become to pay attention to such abuses. Accordingly, in 2014,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pecial Law on Punishment, etc. on Child Abuse Crime. But, as the law focuses on restraint and punishment of those who abuse children, we cannot expect much on prevention of child abuse. Given that the law was recently established, it is too early to evaluate its effects. But, after the law began to be implemented, statistically the cases of child abuse have increased. So, in order to solve child abuse problems in Korea, it seems necessary to fundamentally change the system, in addition to punishing the abusers. Accordingly, this study wants to examine the issues from the definitions of 'child', and of child abuse, to current situations of child abuse occurrence, and, based on them, consider the problems which should be dealt with as priorities to prevent and reduce child abuse cases. And, to solve child abuse problems and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them,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we should perceive the 'child'. Finally, this study wants to examine the child abuse-related legal system, and consider the ways of improving Child Welfare Law and the Law on Punishing Child Abuse. Specifically, this paper views that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dealt with. First, as child abuse, whatever its type is, leaves long and lasting effects on the child, we should pay continuous attention to it.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monitor occurrence of child abuse and examine how to deal with them. Second, in recent trend of child abuse occurrences, cases committed by child's parents or taken place in the child's family take up about 80%. Thu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ases committed by child's parents, and find out ways to prevent them. Third, one of the reasons why parents abuse their childre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n Korean society children are not recognized as independent beings, but as beings subjected to, and disciplined by their parents. In summary, as children are different from adults, they should be given more protection and their rights should be guaranteed. But, in Korean society, they are treated as subject to their parents. Unless such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treatment of them change in Korea, it is difficult to prevent child abuse in Korea. So, this paper wishes that the changes of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child and their rights will reflect on systems and policies to prevent and punish child abuse cases, and support remedial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