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방효국(Bang, Hyo-Kook),신유정(Sin, Yoo-Jung),주봉관(Joo, Bong-Kw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S 대학 부속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비판적 사고, 인성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SPSS 23 Window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t-test)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인성에 대한 점수가 경험하지 못한 유아들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은 유아들의 비판적 사고와 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nd personality caused by critical discussion against science technology. For this study, 48 young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of "S" university in Gyeonggi-do (24 experimental groups, 24 comparative groups) participated. Critical thinking and personality test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 23 Windows O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d critical discussion activities against science technology achieved enhanced score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it.

      • KCI등재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방효국(Bang, Hyo-Koo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S 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비교ㆍ실험집단 25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ㆍ후로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진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SPSS 25.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과 사회성, 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50 children (2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S kindergarten in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its effects.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soci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program. After the 12-weeks period, the post-evaluation was done using same evaluation tool. Data was analyzed by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was effective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soci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It also highlights that this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new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 교류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의 이론 비교

        방효국(Hyo-kook Bang),이동건(Dong-gun Lee)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Exchange analysis and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start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humans. In an increasingly complex society, individual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importance of the two theories can be felt in terms of counseling as the method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theories in seven aspects. First, the two theories’ view of humanity is rooted in an optimistic and non-deterministic view of humanity and has very similarities in terms of acknowledging human values and dignity. Second, the counseling goal of the two theories is to escape from one’s state and to be aware of one’s state. Third,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es mainly use concepts that analyze self and personality. Fourth, the counseling techniques of the two theories use a clarification technique that can provide an acceptable atmosphere, support it, and specify problems. Fifth, in both theories, counselors play a role in helping clients demonstrate their abilities,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own abilities. Sixth, when comparing the contribution of the two theori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everyone to understand and utilize counseling, which has become a monopoly only for experts.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two theories received opposite criticism points. This summary of Korean literature is prepared to include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aper. 교류 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이론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맺는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 상담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두 이론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을 7가지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 두 이론의 인간관은 낙관적이고 비결정론적인 인간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두 이론의 상담 목표는 자신의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는 것으로 삼고 있다. 셋째, 두 이론의 주요 개념은 자아와 성격을 분석하는 개념을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다. 넷째, 두 이론의 상담기법은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하고, 지지해주며 문제를 구체화할 수 있는 명료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두 이론에서 상담자는 자신의 능력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능력을 발휘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두 이론의 공헌도를 비교하면, 전문가만의 독점물이 되었던 상담을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 번째, 두 이론은 서로 반대되는 비판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 Experience of Fatherhood Following a Premarital Pregnancy

        방효국 ( Hyokook Bang ),민가혜 ( Gahye M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and growth processes felt by unprepared fathers through the experiences of men who became fathers due to premarital pregnanc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ase study methods to understand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of the participants and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experiences as unprepared fath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e.g., pregnancy before marriage, preparation for childbirth, childbirth, child rearing). As a result, of four major themes arose: complex feeling of pregnancy, confrontation as an unprepared father, a child greeted with guilt, and fatherhood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emarital pregnancy families and the development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방효국(Hyo Kook Bang),김낙흥(Nak He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 실태에 따른 게임 과몰입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N구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만 5세 유아를 둔 부모 23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8문항과 게임 과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도구의 내용은 게임과 관련된 건강, 일상생활, 현실구분, 정서, 집착과 관련하여 각각 4개의 문항으로 총 20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과 관련해서 유아에게 게임을 처음 알려주고 함께 하는 사람은 손위형제가 가장 높았으며 하루 평균 게임 사용시간은 30분미만으로 나타났고, 일주일 평균 스마트폰 게임사용횟수는 주 1~2회로 나타났다. 부모가 유아에게 스마트폰 게임을 허용하는 상황은 이동하는 상황이 가장 높았으며, 주로 게임을 하는 요일은 주말이었다. 주로 즐겨하는 게임은 비폭력 오락게임이었으며 스마트폰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실태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게임 과몰입은 스마트폰 게임 사용시간, 횟수, 주로 하는 요일, 부모의 게임 허용상황,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smart phone game usage of five-year-olds children and their possible overindulgence in such games. More than 400 surveys were sent out to parents of five-year-olds at kindergartens in Seoul with 239 being returned and qualifying as data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smart phone usage and the degree of its overindulg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first child to be introduced to smart phone games tends to be the oldest sibling. On average, children played smart phone games once or twice a week for less than 30 minutes a day. It was most common for parents to let children play smart phone games while travelling. Children usually played smart phone games over the weekend, and most children played non-violent games. The smart phone game overindulgence score of five-year-old children averaged out at 33.34(SD=15.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time and the frequency of smart phone game usage as well as the situations in which and the days on which it was allowed.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reasons people play and the types who play smart phone game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

        박지니(Ji-ni Park),방효국(Hyo-kook B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방법은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 양육 태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0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 K시 유치원 재원생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72부 중 불성실한 28부를 제외한 총 244명의 아버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6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일반적 경향은 가족 건강성,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아버지 양육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들은 현재 자신의 가족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원가족과의 관계 역시 긍정적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양육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의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버지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요인별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위요인간의 관계에서는 대체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통제적 태도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통제적 태도 점수가 높은 아버지는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 점수가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 양육 태도에 있어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이 중요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점은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와 바람직한 양육 태도 형성을 위해 교육기관에서 아버지 교육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를 위한 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Methods As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father's original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test tools, an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of 10 father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fathers of kindergarten students in K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244 fathers were studied, excluding 28 unfaithful out of 272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the family health, then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were found.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father perceives the current family relationship positively and perceives it as a positive experience with the family of origin. On the other hand, the parenting attitude is relatively low, suggesting the need to supplement the child rearing attitud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family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each fact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controlling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fathers with high control attitude scores have low family health and family health score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health of the family.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fath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ctive participation of fathers and the formation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data development for fathers.

      • KCI등재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김낙흥(Kim NakHeung),방효국(Bang Hyo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유아교사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진행된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에 참여한 대도시 지역 소재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이며, 총 229부가 회수되어 그 중 182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리터러시 관련 유아 교사의 실태와 관련하여 영유아교사들의 뉴스 관심도는 높지 않은 편이며, 교육 활용도 역시 높 지 않았다. 둘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및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영유아에게 필요하며 영·유아의 문자해독능력, 교사 지식 및 기술 부족, 연수 및 워크숍 기회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및 운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 속 뉴스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육 방법으로는 생활 주제와 연관이 있을 때마다 실시하는 것,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 교육의 내용으로는 뉴스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중점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대다수의 교사가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소개에 대한 내용이 연수의 내용으로 다루어지길 원했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 제시 및 유아교육 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status of news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seek teaching method of news literacy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5 items. First, not only the level of interests on news which is part of general inclin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low, but also utiliza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were not high, regarding news in education and perception on news literacy educa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early childhood, concerning the necessity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perception of possibility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y considered news literacy education is difficult to appl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training and workshop, lack of techniques a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curriculum has to be constructed as follows; 1) the goal of the education is help early childhood become familiar with news in a daily routine. 2)news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3) teaching-learning method process is discussion. 4)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news, in regards to construc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perception of management. Most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y would participate in training on news literacy education, and requested practical contents and detailed teach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used for found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 and that invigorates news literac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낙흥(Kim, Nak-Heung),차상진(Cha, Sang-Jin),황어진(Hwang, Eojin),방효국(Bang, Hyo-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및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원부모 및 배우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6년 10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문헌연구,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1차 시안 구성, 전문가 협의, 예비 연구, 프로그램 최종안 구성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건강한 가정을 세우기 위해 예비아버지들이 아버지 역할을 인식하고 좋은 아버지 됨을 준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총 5회기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아버지 됨의 의미와 아버지 역할에 대해 이해하기, 바람직한 자녀양육방식 이해하기, 원가족 아버지와의 관계 재정립하기, 건강한 부부관계 정립하기, 아버지 자신에 대해 성찰하기를 목표로 하여 가족관계에 기반을 둔 아버지가 됨의 의미, 좋은 아빠로서의 역할, 아버지와의 관계, 부부관계의 중요성 그리고 예비아버지로서의 자기성찰이라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n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father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f origin and with their spouse. It also intends to documen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wareness of prospective fathers on the role as a father and on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implemented from October 2016 through May 2017: literature research, awareness and needs analysis, preparation of the first draft of the program, consultation with experts, pilot study with prospective fathers, and confirmation of the final program. Themes of the program included: meaning of being a father, role as a good father, relationship with one’s father,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as a prospective father.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김용익(Kim, Yong-Ik),김낙흥(Kim, Nak-Heung),방효국(Bang, Hyo-K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추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발행된 학위논문 46편, 학술지논문 25편, 총 71편이다. 분석 결과는 첫째, 1990년대는 관련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조금씩 증가했고, 2015년을 전·후로 연구가 점차 증가하면서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다수이고 그중에서도 상관연구가 주를 이루며, 질적연구나 혼합연구 등은 미흡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의 핵심주제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놀이참여, 놀이성, 놀이신념/인식, 거친 신체놀이/놀이행위 그리고 놀이프로그램 순이었다. 아버지의 놀이와 연관된 관련 키워드 분석 시, 아버지의 놀이 그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유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많았다. 추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가 아버지 본인, 배우자 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을 확인하는 연구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play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suggests the directions for future play-related research for such father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father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subjects are 46 dissertations and 25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totaling 7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related studies in the 1990s, but they gradually increased in the 2000s and the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around 2013-2015 and has been steadily continuing to the present. Second,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research methods. Among them, correlation research is the main part,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is insufficient, so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Third, analysis of the core themes of the study revealed fathers’ play participation, playfulness, play beliefs/ recognitions, rough-and-tumble play/play behaviors, and play programs, in that order. In addition, when analyzing related keywords related to father’s play,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confirmed th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rather than the interest in the father’s play itself. In the future, this research will be expanded to a study that confirms the various influences of the father’s play with young children on the father himself and his sp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