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과 인공지능

        방인(Bang, In)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주역』과 인공지능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려는데 있다. 『주역』의 점술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지식체계 가운데 하나이며, 인공지능은 인류가 만들어낸 과학의 발명 가운데서도 최전선에 서 있는 지식체계이다. 양자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빅 히스토리(Big History)의 관점에서 본다면 『주역』과 인공지능은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첫째, 인공지능과 『주역』은 인공언어를 사용하는 기호 체계에 의지한다. 둘째, 점술과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모방과 재현에 있다. 셋째, 인공지능과 『주역』은 모두 추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알고리즘(algorithm)에 의지하며, 그 알고리즘은 이진법(二進法)을 기본적 수단으로 삼는다. 넷째, 『주역』과 인공지능은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비(類比)의 방법에 의존한다. 물론 이러한 몇 가지 유사성이 있다고 해서 『주역』이 과학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거리가 먼 것 같은 두 지식체계사이에 이러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문명의 본질에 관해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주역』과 인공지능은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하여 지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는 『주역』의 점술의 과정에 개입하는 지능이 어떤 종류의 지능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의 성격에 대해서도 아직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미지의 주체에 의해 운용되는 지능은 우리에게 신비롭고도 두려운 존재이다. 『주역』의 점술이 우리에게 점단(占斷)을 행하는 초월적 주체가 무엇인지에 관해 경외하는 마음을 품게 하였듯이, 기계속에 보이지 않는 인공지능의 주체도 우리를 두렵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의 등장은 의식있는 존재만이 지능을 가질 수 있다고 간주했던 전통철학의 관점에 도전을 던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기호를 매개로 진행되어 온 문명의 발전 과정이 이제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시점을 특이점(singularity)이라고 하는데, 필자는 이 용어를 구문명(舊文明)과 신문명(新文明)의 경계를 가리키는 임계점(臨界點)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소옹(邵雍)의 용어를 빌려서 표현한다면 구문명은 선천(先天)이고, 신문명은 후천(後天)이다. 임계점을 지나면 질적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며 더 이상 과거로 회귀하지 않는다. 현대 문명은 특이점을 통과했다는 징후를 여러 측면에서 보이고 있다. 후천개벽은 조선 후기의 종교 사상가들에게는 예언이었지만 어느덧 소리 없이 현실로 다가와 이미 우리 곁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Zhouyi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ivination of the Zhouyi is rooted in the oldest system of human knowledge,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stands at the cutting edge of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At first sight,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y association that links the one to the another. However, they share the same ground as seen from a semiotic standpoint because both of them depend on the semiotic system as a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At least four aspects can be pointed out in terms of similarities.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use artificial language that consists of semiotic signs. Secondly, the principle that enables divin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in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Thirdl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carry out inferences based on mathematical algorithms that adopt the binary system. Four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use analogy as a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However, those similarities do not guarantee that the Zhouyi could arrive at the scientific certainty. Nevertheless, it can give us important insight into the essence of our civilization. The Zhouyi uses intellect in order to get new information about the unknown world. However, it is hard to know what kind of intellec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divination. Likewise, we do not know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llect hidden in the unknown subject is a mystic and fearful existence to us. Just as the divination of the Zhouyi inspires the sense of reverence toward the supernatural subject, we could not but have fear in front of the invisible subject hidden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ast, traditional philosophy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intellect only in conscious beings. Nonetheless, it becomes evident that human civilization ushers into a new epoch. As Ray Kurzweil mentioned, the moment of singularity comes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surpasses human intelligence. In my viewpoint, the term of singularity can be used for denoting the critical point in which the human species enters into the new phase of civilization. To borrow the term of Shao Yong(邵雍)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past civilization belongs to the Earlier Heaven(先天), the future civilization belongs to the Later Heaven(後天). Once our civilization passes over the critical point, it is impossible to go back into the past. The opening of the Later Heaven foretold by the religious thinker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a prophecy in its own age, but it is becoming a reality in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원효와 다산의 철학사상 비교 -학문관,세계관,처세관을 중심으로

        방인 ( In Ba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이 논문의 목적은 원효와 다산의 학문관·세계관·처세관을 비교하는데 있다. 원효와 다산 사이에는 천년이 넘는 시간적 간격이 있고, 그들이 추구하던 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공통점도 발견된다. 그러나 두 사상가 사이에 공통적 특징이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7세기 대승불교 사상가인 원효와 18-19세기에 걸쳐 살았던 실학사상가 다산 사이에는 극복하기 힘든 이념적 간극도 동시에 존재한다. 필자는 본고에서 두 사상의 철학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 아울러 학문정신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본론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원효와 다산의 학문적 파라다임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원효와 다산의 학문적 파라다임은 각자가 속해있던 교학(敎學)체계와 이교(異敎)의 영향을 절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화쟁은 원효가 그의 불교학적 파라다임을 형성해가는 과정에서 키워드(key word)였다. 화쟁이란 근본적으로 동아시아의 다양한 불교학파의 전개과정에서 이념적 분열을 극복해가는 과정이었다. 원효가 불교 밖의 철학적 전통에 대해서도 포용적 태도를 취했던 것도 화쟁정신의 표출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다산은 유학의 정통성을 수호하려는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유학 밖의 전통에 대해서 이단(異端)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다산은 젊은 시절 서학(西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적도 있었고, 서학과의 관계를 단절한 이후에도 그 영향은 암묵적으로 다산의 체계 안에 침투되어 있다. 다산의 상제(上帝)에 대한 정의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천주실의』에 나오는 신관념과 유사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이 그 한 예이다. 다산은 불교에 대해서도 승려들과는 친교를 유지하면서도 세계관적으로는 공감하지 않는 양면성을 보여준다. 제3장에서는 원효와 다산의 학문의 궁극적 지향점을 서술하였다. 귀명(歸命)과 청명(聽命)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명(命)이라는 단어는 원효와 다산의 철학의 궁극적 지향처(志向處)를 가리킨다. 그러나 귀명(歸命)에서 궁극적 지향처가 생명의 근원인 일심(一心)이 되는 반면에, 청명(聽命)에서 궁극적 지향처는 천(天)의 명령이 된다. 원효에 있어서는 진여(眞如)로서 일심(一心)과 생멸(生滅)로서 중생심(衆生心)은 공속적(共屬的)이며 동근원적(同根源的)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다산의 상제천(上帝天)은 만물에 대해서 초월적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원효에 있어 현상과 본체의 관계는 체용불이(體用不二)의 관계를 형성하지만, 다산에 있어서 체용불이(體用不二)의 관계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4장에서는 원효와 다산의 처세방식을 서술하였다. 『삼국유사』의 원효전의 제목인 ‘원효불기(元曉不羈)’는 원효의 거리낄 것 없는 생활방식을 드러낸다. 반면에 여유당(與猶堂)이라는 다산의 당호(堂號)는 살얼음을 걷듯이 신중하고도 조심스럽게 살아갔던 다산의 처세방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두 사람의 처세방식이 대조적일 수밖에 없었던 원인은 철학적 세계관의 차이에 있다. 원효의 철학에서는 진여(眞如)와 생멸(生滅)이 서로 다른 세계에 속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성(聖)과 속(俗)의 세계를 구별하지 않았다. 이러한 세계관적 관점은 중생(衆生) 속으로 들어가 무애행(無碍行)을 실천하는 처세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다산은 상제(上帝) 앞에서 도덕적으로 떳떳할 수 있도록 내적 성찰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원효의 무애행(無碍行)이 호모 루덴스(home ludens)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다산의 신독(愼獨) 공부가 정신의 끊임없는 반성과 긴장을 요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세계관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This article aims at compar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Dasan and Wonhyo in terms of their view of world and learnig. In spite of the time gap over the one thousand year and differences of their philosophical ideas, there are found some common features.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fundamental, impassable ideological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7th century thinker of Mahayana Buddhism and Silhak thinker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show how their views on the learning and worldview wer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by contrasting their philosophical major concept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The second chapter states how Wonhyo and Dasan formed the academic paradigm. Their academic paradigm was set forth in the process of compromising the academic scholarship of one``s own party with the heretic influences. Hwajaeng(和諍, harmonization of doctrinal disputes) is the keyword in forming of Wonhyo``s Buddhistic scholastic viewpoint. Basically, hwajaeng was the means of overcoming the ideological conflicts formed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various Buddhist schools were developed throughout the East Asian tradition of Mahayana Buddhism. It was also due to expression of hwajaeng spirit that Wonhyo embraced the heretic schools outside of the Buddhist tradition. On the other hand, Dasan denounced the Non-Confucian doctrines as a heresy because he took the position of defending the orthodoxy of Confucianism. However, Dasan experienced once the strong impact of the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in his youth, and even after he broke off the relation with the Catholicism, the influence of Seohak was secretly permeated into his unde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The one evidence is shown in that Dasan``s definition of Shangdi (上帝) resembles Matteo Ricci‘s idea of God in hi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Tianzhu Shiyi). In relation to the Buddhism, he put some distance in his worldview towards the Buddhism although he enjoyed the close friendship with some Buddhist monks around him. The third chapter states the ultimate aim of their learning.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word, Ming(命) which is implied both in Wonyo``s guiming (歸命, returning to the source) and Dasan``s tingming(聽命, listening to the heaven``s order). In my view, it is the word that express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ir philosophical orientation which forms the concept of ground of being. But in Wonhyo``s case, the final destination is the the One Mind(一心), while in the csase of Dasan, the source from which one gets the Tianming(天命), i.e., the Heaven``s Order is the Heaven of Shangdi (上帝天). The fourth chapter states the one``s way of conducting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Wonhyo and Dasan. The Biography of Wonhyo in the Legends and History of Three Kingdoms (三國遺事), titled as ‘Wonhyo Unbridled (元曉不羈)’, shows his way of uninhibited behaviour. On the other hand, Dasan``s tanghao(堂號, the place name) of Yeoyudang(與猶堂) shows how Dasan conducted his life cautiously like treading on thin ice. The reason why the art of living of two men appears in a different way can be found in their differences of worldview. Wonhyo did not draw the line between the realm of true reality(眞如) and arising and ceasing(生 滅). That leads to the unconstrained conduct(無碍行) which does not differentiate the holy from the secular. In contrast, Dasan held, one should keep one``s mind in a state of constant self-questioning and mental strain so that he could not feel morally bad conscience in the face of Shangdi.

      • KCI등재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방인 ( In Ba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9

        이 글의 목적은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朱子本義發微」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역학사상사적 의의를 밝히려는 데 있다. 『역학서언易學緖言』 중 한 편을 이루고 있는 「주자본의발미」는 주희의 『주역본의周易本義』에 대한 정약용의 비평이다 본고에서는 「주자본의발미」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희와 정약용의 역학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려고 하였다. 정약용은 『주역사전周易四箋』에서 역리사법易理四法에 대해 모두 "주자지의야朱子之義也"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발언은 정약용의 역학해석의 중심방법론인 추이推移·물상物象·호체互體·효변爻變이 모두 주희의 역학적 관점과 완전히 합치한다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주자본의발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양자 사이의 공통점은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존재하며 그 반면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약용은 양자兩者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애써 무시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공통점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부각시키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Cheong Yag-yong`s criticism on Zhuxi`s theory shown in Zhuzi Benyi Fawei朱子本義發微Discussion of Zhuzi`s Zhouyi Benyi, a part of Yeokhak seoeon易學緖言(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Some Major Theories about the Zhouyi. Cheong Yag-yong intentionally emphasized that his exegetical methods had the close ties with Zhuxi. But a close scrutiny into the Zhuzi Benyi Fawei will demonstrate that the apparent accordance between them is a merely superficial on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eong Yag-yong insisted that guabian卦變 should be considered as playing the crucial role in making up the composition of sixty-four Hexagrams, while Zhuxi regarded it merely as the one possible way among the various ways of explicating the meanings of the Zhouyi. In addition, Cheong Yag-yong criticized that Zhuxi made an unnecessary duplication in classifying the categories of changing hexagrams. Second, in terms of wuxiang物象, Zhuxi did not show the eagerness to make the full use of the Shuoguazhuan說卦傳 even though he admitted that it should be a necessary document for deciphering the meaning of trigram icons. But Cheong Yag-yong did make the maximum use of it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meaning of divinatory words should be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symbolic meaning of xiang象. Third, although Zhuxi mentioned that huti互體(nuclear trigram or interlocked trigrams should not be abolished, he did not put it to practical use in the Zhouyi Benyi周易本義(The Original Meaning of the Zhouyi. This is a big difference because Cheong Yag-yong applied it in a wide range of cases. Fourth, in connection with yaobian爻變 theory, Zhuxi did not make an application of yaobian in interpreting the statement of the hexagrams even though he admitted that the yaobian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divination. However, in Cheong Yag-yong`s view, if the yaobian should be applied in divination, it should be also applicable in interpreting the statement of the hexagrams. To sum it up, although there is an undeniable congruency between Cheong Yag-yong and Zhuxi, it is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Cheong Yag-yong`s four exegetic methods fully accorded with Zhuxi`s. In this respect, it is evident that Cheong Yag-yong intentionally put an overemphasis on the congruency.

      • KCI등재

        다산역의 관점에서 본 경방의 효변설

        방인(Bang I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서한(西漢) 시대의 역학자 경방(京房)은 다양한 해석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상수역의 이론적 발전과정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다산역의 해석방법론은 상수역에 연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학사적 기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경방역과의 관계가 명확히 해명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다산역과 경방역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정약용이 효변설과 관련하여 경방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렸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효변설이란 효의 변화에 의하여 변괘(變卦, 즉 之卦)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정약용은 『주역사전』에서 경방이 역사(易詞)를 풀이함에 있어 효변설을 적용하였다는 추정을 내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건초구(乾初九), 관상구(觀上九), 박상구(剝上九) 등의 역주(易注)에서 찾았다. 정약용이 제시한 증거를 통해서 본다면, 건초구(乾初九)와 박상구(剝上九)는 효변을 취한 명백한 증거로 보이는 반면에 관상구(觀上九)는 증거로 채택하기에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 그러나 설령 두 곳에서 경방이 효변을 적용한 것이 명백하다고 하더라도 정약용의 효변설과 경방의 효변설이 같은 것이라고 볼 근거는 없다. 오히려 양자의 효변설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서로 계통을 달리하는 이론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 다음으로, 정약용은 건초구(乾初九)의 역주(易注)에서 경방과 더불어 효변을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경방보다 대략 백여년 이전(以前)에 활동했던 가의(賈誼)를 언급하였다. 필자는 가의가 세상을 떠난 기원전 168년은 마왕퇴 3호 한묘(漢墓)의 묘주(墓主)의 묘장(墓葬) 연대와 같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효변설의 근거로 제시되어 온 『춘추좌씨전』의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은 마왕퇴(馬王堆) 백서본 『주역』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기원전 168년 이전(以前)에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이 널리 유행하고 있었음이 확실해진다. 만약 가의가 마왕퇴 백서본 『주역』에 나타난 효변설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있었고, 경방도 역시 효변설을 이해하고 있었다면, 효변설은 역학사적으로 가의 이후로 경방에 이르기까지 백여년 동안 전승되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추론에 대해 설득력있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면, 이것은 역학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이 될 뿐 아니라, 다산역의 이론을 확증해주는 증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aims at clarifying Dasan Jeong Yagyong's view on Jingfang's yaobian theory. As is well known, Jingfang was a scholar of the Earlier Han period who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Xiangshu School by creating the various techniques for interpreting the Zhouyi. Jingfang is also important in relation with Dasan's commentary of the Zhouyi, because some part of Dasan's interpreting techniques are thought to have their origin in Jinfang. For example, Dasan used the bigua theory of which the origin could be traced back into Jingfang. However, in this article, I did not deal with the bigua theory because I am going to write another article about it. In stead, my focus will be put on analyzing how Dasan evaluated Jingfang's yaobian theory. The main issues of my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ly, in terms of yaobian, Jeong Yagyong called attention to Jingfang's annotation on the Zhouyi in which Jingfang utilized the yaobian method in three occasions, i.e., the first nine of the Qian(乾初九), the sixth nine of the Guan(觀上九), and the sixth nine of the Bo(剝上九). It seems that Jeong Yagyong set forth enough evidence about Jingfang's use of yaobian at least in relation to two cases of the first nine of the Qian and the sixth nine of the Bo, while the other evidence of the sixth nine of the Guan was not so persuasive. However, even if it is evident that Jingfang made use of the yaobain in two cases, there is no reason to equate it with that of Dasan. If one takes a close look, it becomes clear that Jingfang's way of yaobain is very different from Dasan's. Secondly, Jeong Yagyong mentioned Jiayi(賈誼) who lived about one hundred years before Jingfang, as the person who utilized the yaobian in his book of Xinshu(新書). If it is certain that Jiayi was aware of the yaobian, we can assume that the yaobian technique had been handed down from Jiayi to Jingfang. The manuscript excavated from the Mawangdui tomb also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Jiayi could have had the knowledge on the yaobian. In the chapter of Muhe(繆和) of the Mawangdui Zhouyi, there appears the phrase, i.e., "the first six of the qian, qian goes to mingyi(嗛之初六, 嗛之明夷也)", which shows exactly the same form of the yaobian in the Mr Zuo's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左氏傳). The burial period of Mawangdui tomb is estimated at the same year of B.C.168 in which Jiayi died. Therefore, judging from that fact, it becomes evident that the yaobain method was widely diffused around B.C.168. Subsequently,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yaobian method had been handed down from the period of Jiayi to Jingfang. If we could present the persuasive evidence to support that inference, it would also have the effect of consolidating Dasan's argument about the yaobian.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방인 ( In Bang ),추나진 ( Na Jin Ch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주역선해』는 명말청초 선승(禪僧) 우익(藕益) 지욱(智旭1599-1655)이 『주역』을 선불교적인 관점에서 저술한 역서(易書)이다. 지욱은 『주역선해』를 저술하여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 온 『주역』을 선불교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유불회통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욱은 유교와 불교 사이의 사상적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해체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해체적 관점이란 오랜 경전 해석사를 통해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온 『주역』을 유교적 맥락에서 떼어놓으려는 탈맥락화(脫脈絡化)의 관점을 의미한다. 만약 유교와 불교의 두 전통에서 지향하는 바의 윤리적 이념이 서로 일치한다면, 『주역』이라는 문헌의 역사적 맥락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관점을 지욱은 취하고 있다. 탈맥락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지욱은 『주역』을 불교적 맥락 속에 배치시켜 다시 이해함으로써 재맥락화(再脈絡化)를 시도한다.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는 『주역』이라는 문헌을 유불회통의 도구로 쓰기 위한 지욱의 전략을 드러낸다. 그리고 『주역』에 내포된 변화의 논리를 적용하여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내담자에게 궁극의 초월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역선해』의 가르침은 철학치료와 서로 만나고 있다. 철학 치료적 관점을 『주역선해』에 적용해 보자면, 현실의 고뇌와 좌절이라는 한계상황에 처해있는 내담자에게 『주역선해』에 담겨있는 가르침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궁극적으로 내면적 자아실현을 위한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주역선해』에서 드러난 지욱의 관점은 철학치료의 성립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문제 상황에 따른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주역선해』의 관점을 철학치료에 적용시켜 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Zhouyichanj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therapy is the field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helps the clients faced with the existential problems to search for meaningful solution. This book is very characteristic in that it interprets the Zhouyi, the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the light of Chan Buddhism. The author, Zhixu who is the Buddhist Chan Master of the late Ming and Ching period wants to use the Zhouyi as the means of converting the Confucian scholars to Buddhist faith. In order to persuade the Confucian scholar who regards the Zhouyi as the Confucian Classic, it is necessary to take the deconstructiv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context in which the Zhouyi has been understood throughout the exegetic tradition of Confucianism must be intentionally removed and dismantled. After he separates the Zhouyi from the Confucian context, he proceeds to recontextualize the Zhouyi into the framework of Chan Buddhism. In the context of Chan Buddhism, the final goal of meditation practice is to attai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philosophical therapy is none other than the Buddhist ideal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draw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therapy from the Zhouyi, it is necessary to hypothesize that the reader should be the cli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final goa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o guide the clients confronted with the pain and frustration to find the path of healing by way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in his inner mind.

      • KCI등재후보

        The Colonial Effect of U.S. Modern Technologies

        Bang, In Shik(방인식)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1900년 필리핀 병합 이후 미국은 이 새로운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해 근대 기술을 사용했다. 미국은 통신, 군사, 건설 기술을 이용해 필리핀의 정치적, 경제적 지형도를 바꿔놓았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필리핀 토착민들이 전통사회에서 분리된 후 이주 노동자 신분으로 미국 사회에 흘러들었다. 필리핀 노동자들은 미국사회의 최하층에 위치하는데, 이는 이들이 근대 기술사회로 재편되던 흐름에서 소외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필리핀 노동자들은 알래스카의 연어 통조림 공장이나 미 서부농장에서 저임금 노동의 착취대상이 된다. 이 논문은 카를로스 블로산 (Carlos Bulosan)이라는 필리핀계 미국 작가가 이주 노동자로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록한 『미국은 내 마음에』(America Is in the Heart)를 분석한다. 블로산의 자서전에서 묘사되는 하층 이주민의 이동을 서구 근대기술과의 관계에서 포착하는 것이 이 논문의 쟁점이다. The United States had employed modern technologies to effectively redistribute Filipino nationals since 1900 afterward. Using technologies in communication, the military, and architecture, the US War Department in particular transform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landscapes of the Philippines. This colonial oppression destabilized the Philippines that Filipino civilians became dislocated from their traditional society and flowed into U.S. society as migrant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Filipino migrants as colonial, racial minorities were situated at the lowest rung of society because they were systematically alienated from a technology-based structure. They thus labored in segregated spaces such as Alaskan canneries or western farm areas. Among others, this paper examines Carlos Bulosan who moved to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in 1930 and represented his experience into life narrative, America Is in the Heart (1946). His literature captures the repercussions of U.S. colonization that utilized modern technologies to restructure Filipino subjects. In this article, I claim that modern technologies can be a critical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obility of Filipino subjects.

      • KCI등재

        茶山의 李光地 易學에 대한 비판

        방인(Bang In)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0 No.-

        본 小考의 목적은 淸代 初期의 經學家인 李光地가 전개한 易學觀에 대해서 茶山 丁若鏞(1762-1836)이 가한 비판의 내용을 분석하려는 데 있다. 필자는 이광지 역학의 특색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에 대한 다산의 비판을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李光地의 역학은 청대초기에 새롭게 형성된 경향성의 한 斷面을 보여준다. 청대 초기에는 서양의 數學이 도입되어, 전통적 經學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는데, 그 결과, 易學의 영역에서는 幾何學이론을 易學에 접목시켜 해석하려는 시도도 행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주로 소위 算學家들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算學家들의 영향은 李光地의 역학해석에도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다산은 幾何家의 이론이 一世를 풍미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幾何家들의 이론은 周易과는 하등 관계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幾何學을 역학에 접목시켜 해석해보려는 이광지의 시도가 갖는 의의에 대해서도 지극히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이광지는 反朱子學的 학풍의 선봉에 섰던 毛奇齡과는 정반대의 학풍을 전개했던 인물로서, 程朱理學의 계승을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다산은 이광지가 그러한 명분과는 달리 실제로는 朱子이론의 핵심으로부터 괴리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한다. 예컨대, 卦變說은 朱子易學의 중심이론인데도 불구하고, 이광지가 이를 폐기하였으니, 아무리 그가 朱子를 독실하게 믿는다고 자처할지라도, 더이상 朱子의 학문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하마터면 滅失될 뻔한 위기에 처하였던 괘변설의 命脈을 회복시킨 것은 朱子의 공로이지만, 겨우 복구된 괘변설을 폐기시킴으로써. 다시 치명적인 타격을 입힌 것은 李光地의 씻을 수 없는 과오이다. 따라서, 다산은 이광지가 역학사의 정통성을 크게 훼손시킨 잘못을 범하였다고 비난하고 있다. 셋째, 이광지는 『周易折中』에서 易의 天·地·水·火를 西洋의 四元素說과 비교하고 있다. 다산은 西人들의 4元素 개념을 “造化之元”, 즉 우주생성의 근원적 質料 혹은 아르케(arche)로 본다는 점에서 이광지의 견해에 찬동한다. 『周易』의 乾·坤·坎·離의 개념은 서구인들의 4원소의 개념과 모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일치한다. 다산역학의 체계내에서, 天·地·水·火는 雷·風·山·澤을 생성하는 근원적 세력으로서, 만물이 그로부터 생성되고 변화되어 나오는 원천이다. 그러나, 다산은 乾·坤·坎·離로부터 雷·風·山·澤이 도출되어지는 과정에 관해서는 이광지와 견해를 달리한다. 다산은 李光地가 사리에 맞지 않는 잘못된 가설을 제기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설이 또한 畵卦의 本旨와도 어긋난다고 본다. 『주역』의 「계사전」에서는 자연세계의 생성원리를 "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라는 명제로써 설명한 바 있다. 다산과 이광지는 太極이 兩儀를 생성하고, 다시 兩儀가 四象을 생성하는 변화과정에 대해서는 견해가 일치하였지만, ”四象生八卦“의 과정에 관련하여 兩者가 견해를 달리 한 것이 된다. The purpose of my paper is to analyze Tasan(茶山) Chongyagyong(丁若鏞)’s criticism on Li Guangdi(李光地)’s interpretation of Yijing. Tasan’s main tenets regarding Li Guangdi’s viewpoints will be examin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Li Guangdi’s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shows the newly developed trend in the early period of Ching Dynasty.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Geometrics into the academic society of the early Ching period had stimulated the so called Chinese Arithmeticians to apply the geometrical models into the Yijing interpretation. Li Guangdi was not an exception in that attempt. However, Tasan was very skeptical about Li Guangdi’s attempt to introduce geometrical paradigm into the Yijing interpretation. Although the influence of Geometricians was overwhelming in that period, Tasan pointed out that theories of the Geometricans had nothing to do with the Zhouyi. Secondly, Li Guangdi assumed himself as an successor to Zhuxi. In this respect, he stands in an opposite side from Maoqiling(毛奇齡) who was extremely critical towards Zhuxi(朱熹)’s scholarship. However, Tasan doubted whether Li Guangdi could be entitled to have Zhuxi’s heirship because Li Guangdi differed in many respects from Zhuxi. No matter what Li Guangdi’s insistence might be on the inheritance from Zhuxi, it would fall under suspicion if he should have raised an objection to Zhuxi’s guabian theory which belongs to Zhuxi’s main tenets. Therefore, Li Guangdi should be blamed for having spoiled the orthodoxy of Yijing exegetical tradition by discarding the guabian theory. Thirdly, Li Guangdi compared the four symbols of the Yijing, i.e., the Qian(乾), the Kun(坤), the Kan(坎), and the Li(離) with the Four Elements Theory of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in which the nature consists of four basic elements, i.e., the heaven, the earth, the water and the fire. With that regard, Tasan gave his approval to Li Guangdi’s assumption that four symbols could be seen as the four primordial matters of generating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But, Tasan differed with Li Guangdi in terms of the process in which four secondary elements of nature, i.e., the Zhen(震, Thunder), the Xun(巽, Wind), the Gen(艮, Mountain), and the Dui(兌, Lake) are produced from four basic elements. According to Tasan’s insistence, Li Guangdi’s assertion is not only based on the wrong inference but also contradicts with the basic principle of drawing the Trigrams or Hexagrams.

      • KCI등재

        경방의 벽괘설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방인(Bang, 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이 논문의 목적은 경방의 벽괘설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을 서술하는데 있다. 정약용의 추이설은 벽괘설을 기반으로 해서 전개되는 이론인데, 정약용의 14벽괘설의 근원은 경방의 12벽괘설에로 소급된다. 정약용은 경방역으로부터 벽괘라는 용어를 차용하였으나, 경방의 벽괘설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비판적 관점을 유지했다. 경방의 벽괘설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은 『역학서언』의 『한위유의론』·「당서괘기론」·『반고예문지론』 등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특히 ?당서괘기론?은 경방의 벽괘설과 분괘직일법에 대해 상세한 비평을 가하고 있어서, 다산역과 경방역의 관계를 해명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필자는 이처럼 흩어져 있는 자료를 종합함으로써 경방역에 대한 정약용의 비평적 관점을 재구성해 내고자 하였다. 제2장 ‘경방역학의 특징과 역학사적 지위’에서는 『한서』 「유림전」과 「경방전」의 두 개의 전기 자료를 중심으로 경방역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적 관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경방역의 특징은 음양재변설에 있는데, 정약용은 경방역을 좌도(左道)와 사벽(邪僻)에 빠진 술수라고 혹평하였다. 제3장 ‘벽괘설의 기원에 대한 고찰’에서는 벽괘설의 기원에 대한 정약용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역학사에서 경방은 벽괘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인물로 알려져 있으나, 정약용은 벽괘라는 용어가 경방 이전에도 옛적부터 사용된 명칭이라고 주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기원을 『주역』의 성립시기로 소급시키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정약용이 자신의 추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문헌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고 보고, 그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제4장 ‘벽괘설과 분괘직일법에 대한 비판’에서는 경방의 벽괘설과 분괘직일법에 대한 정약용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경방은 64괘를 한대(漢代)의 신분제적 질서에 상응하는 벽(?)·공(公)·후(侯)·경(卿)·대부(大夫)의 품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러나 정약용에 따르면, 벽괘(?卦)가 군주괘(君主卦)라는 의미는 천자만이 벽괘를 전용(專用)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곤란하다. 정약용은 벽괘를 군주괘로 설정한 데에는 마치 군주가 신하를 통치하는 것처럼, 벽괘가 중심괘가 되어 그 밖의 나머지 괘들의 변화를 통제한다는 의도가 있다고 보았다. 한편 정약용은 경방의 분괘직일법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복잡하고 파쇄(破碎)된 이론이며, 역가(易家)의 부장(?障)이라고 혹평하였다. 요컨대, 경방은 자질구레한 학설을 이리저리 끌어다 붙여 분괘직일법 등의 이론을 만들어 내었으나, 어느 것 하나도 이치에 합당한 것이 없으며, 역가의 이단(異端)에 불과하다는 것이 정약용의 비판이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Dasan Jeong Yagyong’s view on Jingfang’s bigua theory of the Zhouyi. Jeong Yagyong’s appraisals of Jingfang’s theory of the Zhouyi lie scattered around some chapters of Yixuexuyan(易學緖言;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the Classics of the Yijing), among which Tangshuguaqilun (唐書卦氣論, A Discussion on the Guaqi Theory of The Book of Tang) is the most important one, because it inclu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Dasan’s critical view of Jingfang’s bigua theory. In order to reconstruct Jeong Yagyong’s appraisal of Jingfang’s view,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se texts one by one and afterwards to piece them together. Although Jeong Yagyong borrowed the term “bigua” from Jingfang, he maintained a negative view of Jingfang’s bigua theory in broad outlines. As is well known, Jingfang is known as the scholar who used the term “bigua” (?卦) for the first time in the tradition of the Zhouyi exegetics. But Jeong Yagyong raised a question about it, saying that the origin of the bigua theory could be traced far back to ancient times before Jingfang. According to Jeong Yagyong, there should be bigua in order to construct the changing rule of 64 hexagrams. By examining the hexagram name, one could know that the principle of changing hexagrams should have been applied when the author of the Zhouyi gave the name to each hexagram. However, he failed to provide reliable references to support his argument. Jingfang divided the 64 hexagrams into the five categories of Bi (?, the Emperor), Gong (公, the Duke), Hou (侯, the Marquis), Qing (卿, the Minister), and Daifu (大夫, the Grand Master) which corresponded to the five social ranks of the Han Dynasty. However, Jeong Yagyong did not accept Jingfang’s view that a certain group of hexagrams should be assigned to a certain social position and that the group of a particular social rank could use them exclusively. Therefore, the bigua does not mean that only the Emperor has the privileged right to use it. What the bigua means is that those bigua hexagrams play the role of sovereign hexagrams over the rest of the hexagrams. The role of the bigua can be compared to that of the Emperor as the bigua regulates the changes of the other hexagrams. In terms of the Fenguazhirifa (分卦直日法; the rule of dividing and assigning the hexagrams according to the seasonal division points of the calendar), Jeong Yagyong thought that it was too sophisticated and fragmented. Jingfang’s theory of Zhouyi is characterized by the theory of the yin?yang catastrophe (陰陽災變說; yinyangzaibianshuo). It was the Fenguazhirifa that gave a logical ground to the theory of the yin?yang catastrophe. However, Jeong Yagyong threw harsh remarks at Jingfang’s theory of the yin?yang catastrophe, denouncing it as heresy in the history of the Yijing exegetic tradition. To sum up, Jeong Yagyong expressed a negative view of Jingfang’s view in broad outlines.

      • KCI등재

        Thomas Clement`s The Unforgotten War: Redesigning One`s Life through Adoption Narrative

        방인식 ( In Shik Bang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4 현대영미소설 Vol.21 No.1

        The Korean War begot around 100,000 war orphans, and substantial numbers of them were born to Korean women and American soldiers. In particular, interracial babies and children were adopted mostly by western parents because Korean society not only encountered great economic repercussions but also retained racial stereotypes against “tuki” after the War. Decades later, these international adoptees strive to comprehend their mobile subjectivity by employing various genres of culture, such as films, paintings, web blogs, and creative writings. Among other cultural represent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omas Park Clement`s memoir The Unforgotten War (1998) in the nexus of narrative and life. On a surface level, this adoptee writer seems to follow the rhetorical conventions of western autobiography in which a mature adult looks back his successful middle-class life. He, for sure, narrates his relocated life in an attempt to foreground the socialization that he is gradually assimilated into the mainstream society. The general tone of his life writing is very optimistic in spite of many difficulties he has endured. He, I argue, is knowingly/unknowingly influenced by the self-made-man model that Benjamin Franklin created. Franklin`s model was then supported by his contemporaries and posterities including Clement. Yet, Clement realizes that he is not able to be situated within Franklin`s model because of the racial politics he faces on a daily basis in the United States. I argue that he composes his memoir in an attempt to reframe his painful life, which he eventually fails to tailor it with Franklin`s model.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방인자(In-Ja B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role of university professors, reflecting cases of online lectures according to the essence of teaching.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reflect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that faced while running online lectures. The online lecture covered in this study was the teaching training cours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er had no experience in conducting online lecture and had to prepare the lecture without any training course. With the spread of Covid 19, an epidemic that has occurred worldwide, university professors had to prepare for online lectures in Korea. Thus, the researcher underwent various trials and errors to run the online lecture, and tri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ecture. It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the role of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an online lecture managemen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er s experience,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lectures to increase communica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본 연구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직면했던 문제를 해결한 경험적인 과정을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수업의 본질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수업은 C 대학교에서 강사로 임용된 연구자가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수업으로 운영한 교직과목에 해당한다.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전혀 없었으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별도의 훈련 과정 없이 수업을 준비해야 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전염병인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으로 유례없이 진행된 온라인 수업에서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학생들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을 시도했다. 이례적으로 진행된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온라인 수업 운영 과정을 통해 교수자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과 교수자 간 소통과 학생 참여 증진을 위한 대학 수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