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 재매개를 통한 춤연극의 영상미학적 고찰 : 3D 다큐멘터리 영화 <Pina>를 중심으로

        박혜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aesthetics created through the intersection and intervention between art genres by analyzing how the performance art Pina Bausch's Tanztheater is remediated into a film. Remediation is a physical medium crea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an object and an object or between an object and human, and one medium is reborn through another medium. In other words, this paper remediated the work that mediated the life and philosophy of Pina Bausch, the director of the Tanztheater, as a video. And the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image perceived by audiences as visual aesthetic, focusing on the director Wim Wenders 3D documentary film <Pina>, and examined the aesthetic created by cross-genres and interventions as remediation logic. The Tanztheater of performing artist transfers the sense to the audiences through the body of performer on the stage. However, performing arts have a one-time nature that can not be reproduced again after the moment of performance, so the audiences’ senses and experiences can not be recorded or maintained both. Hence, performances are also recorded through live performance video. The live performance video records most of the stage running time with a bit monotonous camera angle of longshot and fullshot, and is faithful to the concept of recording the final result of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pecialized dance images and the theater videos such as NT live pursued aesthetics that outgrew from monotonous camera angles. However, the corporeality of performers and the presence of audiences from the existing performance art, which is a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performing arts, were left as a task.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recording through these videos has emerged rapidly due to the Corona 19 pandemic. The non-face-to-face cultural experience was compulsorily required for performing arts that have been face-to-face as the essence. Therefore, the national performance halls and national art organizations took the lead in performing visualized performances. These performances have been visualized for a long time ago, but it is a new leap forward in the performance industry accelerated by the global pendemic. However, the main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and video in this paper, that is, the way of the performance art remediated as video is the fundamental discussion that started from the meaningful reason to seek the artistic task of 'implementing the performance form experienced through a new way.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by setting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examining the aesthetics created by the intersection and intervention between art genres with remediation logic.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when Pina Bausch's Tanztheater performance is remediated for aesthetic purposes rather than records. Second, how is Pina Bausch's Tanztheater performance remediated through the 3D documentary film <Pina>. Third, what is the change that has appeared since the performance of Pina Bausch's dance theater performance was remediated into the 3D documentary film <Pina> and what is its aesthetic achievement. In order to solve these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of Pina Bausch's Tanztheater and the theory of mise-en-scène and montage, which are the imaging tools that remediate Tanztheater in movies. Second, <Pina> is divided into narrative and image structure, and the narrative is analyzed by macrostructure, integration, and image structure is analyzed by microstructure. Third, through the examination that gradually results in research questions 1 and 2, the aesthetic elements and the effects and possibilities of remediation in the process of remediating the Tanztheater are comprehensively presented. The comprehensive results presented by this analysis frame are as follows. First, the corporeality of Pina Bausch Tanztheater corresponding to four episodes <Le Sacre du Printemps>, <Cafe Muller>, <Kontakthof>, <Full Moon> maximizes the delivery power when the expression of the dialogue and the body is expressed at the same time. The narrative of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hich corresponds to the four episodes, does not show a continuous flow of action between episodes and episodes. The audio-visual images of the four Pina Bausch Tanztheater works are shown in soil, water, nature, red dress, table and chair. As such, the corporeality and audio-visual images of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hich correspond to the four episodes, are also significant in <Pina>, but the overall narrative composition is different. Second, in <Pina>, after disassembling the classified sequence as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ork, The reassembled remediation sequence was able to create the scenes. Third, the camera of <Pina> aesthetically captured the performers' Tanztheater and facial expressions using a screen-grabbing method, and the 3D technology allowed audiences to experience the Tanztheater through the sense of remote presence. Fourth, the remediation of <Pina> worked by mixing non-mediation and hyper-mediation evenly. Specifically, each scene appeared in the way of 'representation', 'absorption', 'extension', and 'renovation'. Fifth, the theme “Circle of Life” was derived through the audio-visual images penetrating the narrative of <Pina>. Therefore, the remediated Tanztheater mediated as <Pina> can provide a new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that audiences could not sense on the performance stage. In other words, the Tanztheater provides aesthetic experiences such as camera angles from various viewpoints, the corporeality of performers, and technical elements in which audio-visual images are displayed in the audiences' senses. Therefore, <Pina> exists as an example of a new art genre of Tanztheater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the unique aesthetics of Tanztheater differentiated from live performance video through the aesthetics of video. Three elements of remediation aesthetics such as “technical remediation aesthetics”, “operational remediation aesthetics”, and “philosophical remediation aesthetics” were able to be derived as aesthetics necessary for remedi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Pina> above. In addition, the remediation of performing arts such as Tanztheater has the possibility of re-creation, re-presentation, and re-purpos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Tanztheater <Pina> through film remediation as a new artistic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 remediation aesthetic to study the imaging of performances, and through this, to reflect on a new way of existence of technical and aesthetic performing arts. 본 논문은 공연 예술인 피나 바우쉬(Pina Bausch)의 춤연극(Tanztheater)이 영화로 재매개(Remediation)되는 장르 간 교차와 개입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창출되는 춤연극 영상의 미학을 논의한 연구이다. 재매개란 사물과 사물 사이 또는 사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에서, 상호 간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로서 한 매체가 다른 매체를 통해 다시 거듭나는 논리이다. 즉 본 논문은 춤연극 연출가인 피나 바우쉬의 작품 중 <봄의 제전>, <카페 뮐러>, <콘탁트호프>, <보름달>을 3D 다큐멘터리 영화로 재매개한 빔 벤더스 감독의 <Pina>를 통해 춤연극의 원형이 영화로 재매개되는 과정에서 창출되는 영상미학을 재매개 논리로 고찰한 연구이다. 공연예술인 춤연극은 무대 위 공연자의 몸을 매개로 관람자에게 그 감각을 전이시킨다. 그런데 공연예술은 공연의 순간이 지나면 다시 재현될 수 없는 일회성을 지니므로 관람자의 감각과 경험을 기록하거나 묶어둘 수 없다. 이에 공연은 실황영상을 통해 공연 현장을 기록 한다. 대체로 공연실황영상은 무대 위 공연의 러닝타임을 롱 샷(Long shot)과 풀 샷(Full shot)의 앵글을 통해, 공연이 수행되는 무대 전체를 기록한다는 목적으로 찍힌다. 하지만 공연은 기록의 형태를 넘어서서, 향유(享有)되어야 하는 예술 작품이므로 미장센과 몽타주를 통한 재매개 방식을 통해 미학적으로 담겨야 한다. 더불어 공연의 전통적 특성인 현장감을 통해 감각되는 현존(現存)과 현전(現前)의 경험 역시 영상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영상화된 공연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국면하며 그 필요성이 급부상하였다. 대면성을 본질로 해오던 공연예술에 비대면 문화경험이 강제적으로 요구된 것이다. 이에 전 세계 국립 공연장과 국립 예술단체 등은 선도적으로 공연의 영상화 작업을 실행하였다. 공연의 영상화는 이미 예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펜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계의 새로운 도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공연과 영상의 만남, 즉 영상으로 재매개된 공연예술의 존재방식에 주목하려는 주요한 이유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경험하는 공연 형태의 구현’이라는 예술적 과제를 영화 재매개를 통해 모색하려는 시도로부터 발생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예술 장르 간 교차와 개입에 의해 창출되는 미학을 재매개 논리로 고찰하여 결론에 이른다. <연구문제 1>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공연은 3D 다큐멘터리영화 <Pina>를 통해서 어떻게 재매개 되는가? <연구문제 2>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공연이 3D 다큐멘터리영화 <Pina>로 재매개될 때 나타나는 미학적 변화와 성취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첫째, <연구문제 1>을 위해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미학의 고찰 및 춤연극이 영화에 재매개되는 영상도구인 미장센과 몽타주에 대한 선이해 과정을 고찰한다. 둘째, <연구문제 2>를 위해 <Pina>의 재매개 내러티브와 재매개 영상구조를 분석한다. 재매개 내러티브는 통합체의 분석을 통해, 영상구조는 계열체의 분석을 통해 춤연극이 영화 재매개 되는 교차와 개입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의 논리와 방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미학과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분석틀에 의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4편(<봄의 제전>, <카페 뮐러>, <콘탁트호프>, <보름달>)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의 신체성은 대사와 신체의 표현이 동시에 표현될 때 그 전달력은 극대화된다.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의 내러티브는 에피소드와 에피소드 사이의 액션이 연속적인 흐름을 보이지 않는다.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의 시청각 이미지는 흙, 물, 자연, 빨간 드레스, 탁자와 의자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이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의 신체성, 시청각 이미지는 <Pina>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만, 전체 내러티브 구성은 다르다. 둘째, <Pina>에서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으로 분류된 시퀀스인 ‘봄의 제전 시퀀스’, ‘카페 뮐러 시퀀스’, ‘콘탁트호프 시퀀스’, ‘보름달 시퀀스’를 해체한 후, 재조립된 재매개 시퀀스인 ‘춤연극 무대와 신체성(하이라이트) 재매개 시퀀스’, ‘피나 바우쉬 자료 재매개 시퀀스’, ‘공간 삽입 재매개 시퀀스’, ‘인터뷰 재매개 시퀀스’가 형성되는 씬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셋째, <Pina>의 카메라는 화면잡기 방식을 사용하여 공연자의 춤연극 행위와 표정을 미학적으로 잡아냈으며, 3D 기술은 관람자로 하여금 원격의 현전감을 통해 춤연극을 경험시켰다. 넷째, <Pina>의 재매개는 비매개와 하이퍼매개가 고루 혼용하여 작동했다. 구체적으로 ‘재현’, ‘흡수’, ‘확장’, ‘개조’의 방식으로 각 씬에 나타났다. 다섯째, <Pina>의 내러티브를 관통하는 동일한 시청각 이미지의 노출을 통해 주제인 ‘생명의 순환’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Pina>로 재매개된 춤연극은 관람자들이 공연 무대에서 감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미적 경험, 즉 다양한 시점의 카메라 앵글, 공연자의 신체성과 시청각 이미지가 관람자의 감각으로 현전되는 기술적 요소 등의 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Pina>는 공연실황영상과는 차별화된 춤연극이 지닌 독특한 미학을 영상의 미학으로 경험시켜주는 춤연극의 새로운 장르적 사례로서 존재한다. 이상 <Pina>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적 재매개 미학’, ‘조작적 재매개 미학’, ‘철학적 재매개 미학’의 재매개 미학의 3요소를 재매개에 필요한 미학으로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춤연극과 같은 공연예술의 영상 재매개는 재창조․재현전․재목적화의 가능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영화 재매개를 통한 춤연극 <Pina>를 새로운 예술적 경험으로 고찰했다. 공연의 영상화를 위한 재매개 미학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공연예술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성찰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현대 패션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혜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oday as our society is faced with new changes such as changes in socio-economic system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industrial capitalism by globalization,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have been discussed. In particular, a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are seriously raised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design by the viewpoint of ecological aesthetics aims to express needs and spirit of the times faced by design as a medium of convey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times. Based on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tudies on sustainable design are being made actively in many ways but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of the field of fashion showed that researchers tend to be biased to the quest of visible formativeness of sustainable design in the process of case analysis in examining sustainable desig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ramework of a new perspective examining sustainable design by studying sustainable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aesthetics in order to deriv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literature search and case study and for literature search, we studied theoretically around previous studies such as books, papers, journals etc. For case study, we investigated by searching key words such as sustainability, sustainable, sustainable design, ecology, ecological aesthetics etc. in papers, journals, books, periodicals, Internet site from 2000 to the present.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aesthetic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s of Modern Fashion design after 2000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s a result, systematic principles were acting about six items of eco-friendly fashion, modularization, multi-cultural fashion, multi-function, circularity, durability of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Eco-friendly fashion is the design containing intrinsic meaning and value called protection and crisis awareness of natural ecosystem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expressed by design imitating the organic form of nature and use of organic materials etc. Second, Modularization is the design on which the user’s personality is reflected and is shown as unit form combination method constructed by repetitive use of modules and layering method for reducing fabric waste in clothing composition in fashion. Third, Multi-cultural fashion is the design shown as local cultures are combined and has the nature of historicity, racial characteristics, avant-grade, deconstruction. Multi-cultural fashion design is the one that forms joint solidarity and universality socially while presenting new inspiration of sustainable culture creation. Multi-cultural fashion design is appearing as combination of regional culture elements, combination with elements of sub-culture or compromised design etc. Fourth, Multi-function is the element showing a clear trend in the 21st modern fashion and is the design enabling a variety of production. Multi-function design is appearing in ways of combination of function and function, combination of fash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etc. Fifth, Circularity is the characteristic mainly shown as the reductive characteristic of materials. This design characteristic is appearing as restoration of materials through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Sixth, the Durability of form is the design by the stability of form and means to design to help increase the durability of form as much as possible. The durability of form is appearing as minimalism design pursuing form stability and simplicity. We introduced ecological aesthetic design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discussed like this in sustainable design case and analyzed them. This is the approach for identifying properties and features to classify types of systematic design.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discussed as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from the ecological aesthetic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Maximization of efficiency turned out to be design that values energy utilizati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turned out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waste of materials by high technology. Second, Functionality by the form turned out to help reduce the number of products with multi-functionality. Also, if functionality is given morphologically by pursuing minimalistic value, it tends to minimize and optimize unnecessary steps with simple and concise design. Third, recyclability is the characteristic formed by disassembling, dismantling, combining raw materials and design with a variety of formative features appeared in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appeared as regeneration into high functional fiber by high technology. Fourth, Health directivity appeared as design using natural materials, organic materials in sustainable fashion design. As above, sustainable fashion design turned out to result from balanced and experimental spirit that harmonized progressive thinking looking at environment and future and practical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ustainable fashion design suggests future-oriented direction that Modern Fashion industry should go forward. In the research process, we tried to objectively study properties and functional aspects in design cases that structural value of sustainability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fashion design could be activated commercially. Sustainable fashion design can be said to result from balanced and experimental spirit that harmonized progressive thinking looking at environment and future and practical value. As shown abov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environment of the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can be achieved by sustainable design.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sent the criteria of new value research on sustaina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We think that continuous interest and follow-up studies on this field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uture.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세계화에 의한 산업적 자본주의로 사회경제적 체제의 변화, 과학기술의 발달과 같은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면서 건강과 환경 보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왔다. 특히 최근 환경오염문제가 전 세계에 걸쳐 심각하게 제기됨에 따라 생태 미학적 관점에서 본 디자인의 경향은 그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가치관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여러 방면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패션 분야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고찰하는데 있어서 사례 분석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가시적인 조형성의 탐구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의 도출을 위해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고찰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문헌조사는 단행본, 논문, 학회지 등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고찰을 하였다. 사례연구는 2000년 이후 현재까지의 논문, 학회지, 단행본, 정기 간행물, 인터넷 사이트에서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생태학, 생태미학 등의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2000년 이후 현대 패션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생태미학적 디자인 특성의 요소들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자연친화적 패션, 모듈화, 다문화 패션, 다기능, 순환성, 형태의 내구성이라는 여섯 가지 항목에 관한 체계적인 원리들이 작용하고 있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패션은 자연 생태계의 위기의식과 보호라는 내재적 의미와 가치를 내포한 디자인으로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모방한 디자인과 오가닉 소재의 사용 등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듈화는 사용자의 개성이 반영되는 디자인으로 패션에서는 모듈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구성되는 단위형태 결합 방법과 의복구성에서 원단의 낭비 축소를 위한 레이어링 방법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다문화 패션은 지역의 문화와 문화가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디자인으로 역사성, 민속성, 전위성, 해체성의 성격을 띠고 있다. 다문화 패션 디자인은 지속적인 문화 창조의 새로운 영감을 제시하며 사회적으로는 공동 연대와 보편성을 형성하는 디자인이다. 다문화 패션 디자인은 지역적 문화 요소의 복합, 하위문화의 요소와의 복합 혹은 절충된 디자인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다기능은 21세기 현대 패션에서 뚜렷한 경향을 보이는 요소로서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이다. 다기능 디자인은 기능과 기능의 결합, 패션과 과학기술의 결합 등의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순환성은 주로 소재의 환원적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이다. 이 디자인 특성은 재활용 소재의 사용을 통한 소재의 환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형태의 내구성은 형태의 안정성에 의한 디자인으로 형태의 내구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의 내구성은 형태안정성과 단순성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논의된 현대 패션에서의 생태미학적 디자인 특성을 지속가능한 디자인 사례에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그 속성과 기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논의된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성의 극대화는 에너지 활용에 가치를 두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에서는 하이 테크놀로지에 의해 소재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에 의한 기능성은 다기능성을 갖춤으로써 제품의 수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니멀리즘적인 가치를 지향하여 형태적으로 기능성이 부여된 경우 단순하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불필요한 단계를 최소화, 최적화 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재활용성은 원자재를 분해, 해체, 조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특성으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에서는 다양한 조형적 특징을 가진 디자인이 나타났으며 하이 테크놀로지에 의한 고기능성 섬유로의 재생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지향성은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에서 천연 소재, 오가닉 소재를 사용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은 현대 패션 산업이 나아가야 할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제안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과정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조적 가치와 패션디자인으로서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상업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었음을 디자인 사례에서 속성 및 기능적 측면을 객관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은 환경과 미래를 바라보는 진보적인 사고와 실용적인 가치를 조화시킨 균형적이고 실험적인 정신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래 패션 산업의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발 방향은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래 세대를 위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 연구의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전통 도자 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 연구 : 4·5학년을 중심으로

        박혜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미술교육의 경향을 보면 역사와 전통문화의 강조가 눈에 띈다. 이는 세계가 하나로 묶이는 시대를 살면서 느끼는 자아정체성과 자문화 경쟁력의 위기에서 유발된 것일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그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그만큼 미비했다는 전제가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미술교육을 통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이를 계승시키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밑거름을 다지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지지만 아직까지는 감상과 이해, 표현을 통합하는 체계적인 미술교육 방안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문화유산인 전통도자에 시문된 문양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미술 학습의 실제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표현해 봄으로써 민족의 독창적인 조형관을 좀더 쉽게 이해하고 창의력과 미적 감수성을 개발하며 전통문화를 존중하고 한국의 전통미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지도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의 미술교육의 흐름을 이론영역의 지식과 작품제작활동을 함께 강조하는 DBAE(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와 제7차 교육과정 중심으로 간략하게 고찰하여, 본 연구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한 전통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세계문화로의 적응력, 경쟁력 강화의 측면에서 전통 도자문양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도자 문양은 종류별로 문화적 배경과 상징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시대별 시문기법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4, 5학년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특기적성 미술부의 4,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활동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4, 5학년의 학생들은 감상능력이 발달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시기이며 표현능력이 시지각과 인지능력을 따르지 못함으로 표현 활동에 쉽게 좌절을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도자와 문양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도자문양과 시문기법을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후, 전통도자문양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선수학습에서의 경험과 연관지어 평가함으로써 이를 내면화하는데, 작품제작의 과정에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전통도자문양의 시문기법을 응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미술활동의 수업은 전통도자문양의 감상과 더불어 물고기와 파도문양을 조화기법을 응용해서 나타낸 긁어서 그리기, 인화문토기와 인화문분청사기의 단위문양과 인화기법을 응용한 도장으로 꾸미기, 꽃 문양과 다른 한 가지 이상의 문양을 통합하여 상감기법을 응용한 상감으로 나타내기의 3가지 주제로 진행한다. 또한 전통도자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의 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전통도자문양에 관한 인식의 변화와 미술활동의 결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지도한 결과, 도자기를 막연하게 그릇이나 장식품으로만 생각했던 학생들이 우리 나라 전통도자기와 문양의 제작배경, 종류, 기능, 역사, 정신성, 미의식 등에 관심을 갖고 우리의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느끼며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었으며, 전통도자문양의 시문기법을 응용하여 전통도자문양을 직접 재구성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전통 도자에 내재되어있는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조형관을 친근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표현영역을 넓히는 동시에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전통문양의 단순한 모방과 사실적 표현보다는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접목시켜 재구성하여 학생들의 미적 감수성의 신장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앞으로도 학생들이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되고, 전통문화를 더욱 계승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fine arts education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art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is tendency results from a crisis of ego-identity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a global village, and implies lack of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It seems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by the fine arts education is effective in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s and developing originally. However, the actual condition is that the systematic fine arts curriculum integrating appreciation, understanding, express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a traditional ceramic culture focused on patterns and engrave methods, to understand creative and traditional formative tendencies more easily by application to the fine arts education, to develop originality and art sensibility, and to help respect, inherit,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cent current of the fine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as well as DBAE (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 strengthening art theoretical part and practical production activities together. And, with respect to reinforcement of adaptability and competitiveness to the global culture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the traditional culture, the need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 education was examined.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cultural background and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 by types and studies engrave methods by periods. And examined specific proterty of 4,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the researcher organized a fine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 4, 5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growing appreciation ability and solid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But they are easily setback to expression. Because their expression ability can't be over take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understood the traditional ceramic and patterns, made a works of arts by applying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and engrave methods, interpreted their arts sensibility, and evaluated and appreciated them in relation to experiences from understanding arts and making works. Especially, application of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llowed students to widen their expression capability and to enhance interest in fine art activities during the making works of arts The fine art education curriculum was composed of 4 subjects;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scratch painting of fish and wave patterns by application of Jo-Wha method; decoration by seal based on application of unit patterns and In-Wha method; and Sang-Gam on a rubber plate applying 2 or more patterns and Sang-Gam method. Before and after performing fine arts, a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students to survey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and patterns as well as results of fine arts. As a result of instructing students by the above proc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been considered ceramics simply as the dishes or decorations, then they are concerned about motive background, types, functions, art history, spirit, and art sensibility of the traditional ceramics and patterns, and respect the traditional culture. Second, they made a work by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and engrave method and could understand traditional formative tendencies of the traditional ceramics more easily with a familiar and new viewpoint. Third, application of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llowed students to widen their expression capability and to enhance interest in fine art activities. Fourth, this research could lead enhancement of their art sensibility by connecting their feelings and thinking instead of simple imitation and real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is process, the research expects that students will have pride on the traditional fine art culture and contribute to in-depth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 영화 <현기증>의 복식과 색채 상징성

        박혜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에르 부왈로(Pierre Boileau)와 토마스 나르스작(Thomas Narcejac) 원작의 소설「D'entre les Morts」(1954)를 영상화한 영화<현기증(Vertigo)>(1958)을 통해서, 영화 주인공 Scottie와 동일인물인 Madeleine, Judy 그리고 Midge Wood의 복식과 색채 이미지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영화<현기증>의 원작 소설 「D'entre les Morts」를 바탕으로 등장인물(Scottie, Madeleine, Judy, Midge Wood)의 이미지를 살펴보았고, 영화<현기증>의 DVD와 국내외 문헌자료, 신문, 잡지, 인터넷 등의 기사 및 시각자료를 중심으로 등장인물의 복식과 색채 이미지, 그리고 배경에 표현된 색채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원작의 색채에 따른 상징적 이미지에 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표현은 없었으나, 극이 전개되는 상황을 통해 색채에 따른 상징적 이미지를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등장인물에 표현된 복식과 색채 상징성을 살펴보면, 스코티의 이미지는 신체적 제약-고소공포증으로 인한 현기증-에서 오는 불안함을 나타내기 위해 회색 싱글 브레스트 플란넬 슈트가 이용되었다. 그의 불안함과 사건을 해결하지 않고 관찰만 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또한 마들렌의 죽음이후 그의 마들렌을 잃은 상실감, 우울한 심리는 파란색 스웨터와 슈트를 통해 표현되었다. 의상에 있어서는 싱글 브레스트 슈트와 스웨터, 홈부르크 해트 등으로 스코티를 표현했다. 동일인물인 마들렌과 주디의 이미지로 사용된 녹색은 동일인물 임을 인식시켰으며, 붉은색 배경과의 대비를 통해 마들렌을 신비화시켜 스코티에게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이미지로 각인시켰다. 녹색은 또한 스코티를 향한 주디의 사랑과 마들렌의 환영이미지를 표현해냈다. 복식을 살펴보면, 녹색 라운드 네크라인의 풀오버 스웨터, 녹색 도트 무늬의 플랫칼라 블라우스, 빅 벨트, 풀 스커트 등 디테일이 있는 의상을 착용하여 그녀의 사랑을 표현했다. 반면, 흰색과 검은색의 대비, 회색 세퍼레이트 슈트, 검은색 드레스는 그녀의 부정된 모습을 표현했다. 미치우드의 이미지는 파스텔 톤의 색채로 마들렌과 다른 그녀의 현실적이고 순수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그녀의 의상표현은 마들렌, 주디와 달리 디테일의 변화 없이, 색채의 변화로 그녀의 심리를 표현했다. 그녀는 파스텔톤의 블라우스를 착용하여 그녀의 현실적이고 순수한 성격을 표현했으며, 다홍색의 블라우스로 마들렌에 대한 강한 질투를 표현했다. 두 번째로, 영화 속 배경으로 색채 상징성을 표출했다. 파란색 배경의 지붕이나 수도원 종탑장면은 스코티의 고소공포증으로 인한 누군가의 죽음을 예고함과 동시에 그의 우울한 심리를 상징했다. 스코티의 아파트나 엠파이어 호텔은 가상적인 존재인 마들렌을 상징함과 동시에 그녀가 재창조되는 공간으로 녹색 배경색채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화 속에서 표현된 주인공의 복식과 색채는 이미지에서 우선적으로 지각되는 시각요소로서 강한 설득력을 가지는 있음을 재인식하고, 나아가 영화복식에 다양한 색채로 표현되는 복식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더 깊이 탐구해야 할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stume and color image in Scottie, Madeleine, Judy and Midgewood through the movie <Vertigo>(1958), which was represented in <D'entre les Morts>(1954) in Pierre Boileau and Thomas Narcejac. For the research method, it was examined images of Scottie, Madeleine, Judy, and Midgewood on the basis of <D'entre les Morts>, which is the original work of a film <Vertigo>, Also it was considered coloring images expressed in costumes of characters, its coloring images, and background based on articles and photos in DVD, literary material at home and abroad, newspapers, magazines, and internet of a film <Vertigo>. Although direct mention or expression on symbolic color image did not appeared in the original work, symbolic color image based on color was recognized through the situation developed in a play. First, given examined costume and color image, which were expressed in characters, Scottie’s image was expressed with gray color in an image of leadenness and character that only observes the case without solving it in a bid to indicate leadenness that is caused by vertigo due to physical restriction-acrophobia. Also, following Madeleine’s death, his sense of loss for Madeleine and gloomy mental state was expressed in blue color. In terms of clothes, Scottie was expressed with cardigan and Homburg hat based on single breast suit. Green, which was used for the image of Madeleine and Judy who are the same character. Contrast in green and red, allowed her to be mysterious, and made Scottie imprinted the fantastic and visionary image of Madeleine. Green also expressed her nervous psychology, mystery and hiding a secret. In terms of clothing expression, her anxious psychology was expressed by wearing clothes with details such as pull-over sweater in green round neckline, flat-color blouse in green-dotted pattern, big belt, and full skirt. On the other hand, contrast in red and black, gray separates suit, and black dress expressed her dishonesty. Aiming to express Midge Wood’s image, her realistic and daily image different from Madeleine were represented using pastel color. As for the expression of her clothes, her mental state was expressed by giving a change in color, without a change in details, differently from Madeleine and Judy. Her realistic and routine personality was expressed by wearing light yellow blouse, and through deep-red blouse, strong jealousy against Madeleine was shown. And, she expressed apology and gloomy mental state toward Scottie with soft blue blouse. Second, its image was expressed through color image that was expressed in the background amid a film. On the scene of the roof in the blue background or of a bell tower in a monastery, his gloomy mental state was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foretelling somebody’s death from Scottie’s acrophobia. Scottie’s apartment in green background or empire hotel symbolized Madeleine, which is a virtual existence,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d as space where she is recrea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hero’s costume and color image, which were expressed amid a film, were indicated by placing a great deal of weight on a visual effect rather than being conveyed through speech or clothes’ shape. Like this, with recognizing that color has strong persuasive power as a visual element in modern society, it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to conduct a follow-up research on costumes and its image that is expressed in various color application to present a new direction on costume for films for the future.

      • 식물이미지를 통한 도자주전자의 조형연구

        박혜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가들이 창조하는 표현의 소재는 자연과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적 경험의 사물들은 예술가의 심미적 가치에 의한 이미지 안에서 다시 만들어지고 변형되어져 새로운 미적 가치를 지닌 형상으로 태어나게 된다. 인간이 숨쉬고 살아가는 자연은 다양하고 넘치는 생명력으로 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의 원천이 되어왔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식물은 외부로 보이는 정적인 특성과는 다르게 수많은 종류와 형상들로, 어떠한 환경에든 걸맞게 자리잡는 끈질김으로 그 생명력을 과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상생활에서 필요에 의해 제작되어진 주전자는 다소 엄격한 기능적 형태감각을 갖고 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다양한 소재와 장식적 요소의 확대, 그리고 기능을 무시한 변형으로 최소한의 구조적 특성만을 갖춘 새로운 표현대상이 되고 있다. 주구, 동체, 뚜껑, 손잡이가 유기적으로 구성된 주전자의 구조적 특성 안에서 식물의 싹이 돋고 잎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까지의 성장하는 이미지와 강한 생명력을, 기능이 배제된 도자조형물로 표현하고 조형성을 연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적응하는 식물의 강인한 생명력과, 식물의 형태에서 느낄 수 있는 선과 면의 시각적 감각에 의미를 부여해서 나타나는 결과로서의 이미지에 대해 문헌을 통해 고찰해 보고 작가들에 의해 표현된 조형적 특성도 살펴본다. 또한 주전자의 개념 및 유래를 통하여 주전자가 어떻게 변천해왔는지 돌아보고 작품들을 통하여 조형적 변천과정과 다양한 조형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기반을 두고 식물의 새싹, 줄기, 나뭇가지, 꽃, 잎, 열매 등을 관찰하여 유기적 곡선과 운동감과 질감, 식물의 열매에서 느낄 수 있는 양감과, 면적의 대비, 질감의 대비, 부분적인 강조를 통해 생성, 성장하는 이미지를 주전자가 갖고있는 형태적 특성에 부합시켜 표현한다. 태토는 유약의 효과를 고려하여 백토와 석기질점토를 혼합하거나 성형의 용이함을 위해 석기질점토를 사용하였다. 제작 방법으로는 자유로운 형태와 풍부한 양감을 나타내기 위해 코일링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형태의 특징에 따라 물레 성형이나 판 성형, 모델링 기법을 사용 하였다. 1차 소성은 1.5m³가스가마에서 6시간동안 최고온도 850℃를 마침온도로 하였고 2차 소성은 1.5m³가스가마에서 10시간동안 최고온도 1,250℃를 마침온도로 산화소성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식물의 유기적 형태를 예술적 오브제로서의 주전자 형태와 접목시켜 다양한 식물이미지를 도자조형으로 표현할 수 있었고, 식물의 형태를 주전자의 뚜껑, 손잡이, 주구, 동체의 구성에 도입하여 주전자의 각 요소간의 균형과 조화를 주관적 감성을 통한 조형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제작 과정을 통해 식물의 자연스러운 형태와 거기서 오는 이미지와 조형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식물뿐 아니라 자연의 다양한 생명의 이미지를 감성의 눈으로 감지하고 새로운 조형성을 부여함으로 더욱 창조적인 창작 활동의 영역을 넓혀가길 바란다. The forms that created by artists have been seen easily in every day life. However this object will be recreated and transformed by artist´s aesthetic point of view to be a another object which have a new eye for the beautiful. Nature is close to men´s everyday life. Also Nature has become an inspiration burst upon the artist with variety and overflowing liveliness. Specially among the Nature plants seem to be Very passive, but under the environment condition plants show us it´s strong and sticky power at anytime. In comparison with plants, a Teapot made for people´s need just had strict functional shape sense, now It has become new artistic presentation which made by variety matter. That´s why these days a teapot has so many magnifying decor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eramic shape of plant´s strong liveness and growing image in teapot´s charactor with spout, body, lid, handle and except function For this study, I have consideration of strong liveness of plants and image of growing like buds, leaves, flowers and fruits by literature. In other to do this I have researched on the works of other artists working with a similar theme. I have also studied a Teapot how to successed from old days to now by researching a concept and an origin teapot. To express birth and growing image of plants in shape of teapot, I have used curved liner inspired plants, movement and voluminous felt by plant´s seed. I have mixed white clay and stony clay for good effect of glaze. Also I have used white clay for work´s easiness. Most of the work was made using the coiling method for free style and rich volume. Also I have applied the modelling method and a spinning wheel modelling according to form´s shape.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a 1.5㎥gas kiln at maximum temperature of 850℃ for 8 hours The second firing was also done in the same kiln for 10 hours at a maximum temperature of 1,250℃. All the work has been oxidized. Through this study, I make to express various plant´s image by introduce plant´s image link to shape of teapot which is subjective object. I have attempted to express image of plant´s strong power and various shape in teapot with spout, body, lid, and handle, And make shapes through subjective sensitivity by balance and harmony of teapot´s elements. And make use of clay, I can express natural plants shape and image effectively By doing this, I have realized that it´s very important to notice various image of Nature by sensitive eyes and to attempt new modelling method. Also I hope I can be able to develop the ways of creative activity by doing this study.

      • 구술기록의 엔티티 관계분석에 의한 구술기록관리시스템 제안사항에 관한 연구

        박혜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술사 연구가 증가하며 구술기록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수집・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술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충분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기록의 특성,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고 현재 구술기록을 관리・서비스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술기록을 수집하고는 있지만 시스템 설계구축을 계획 중인 대통령기록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분석했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내용 및 문제점을 참고하여 구술기록관리시스템의 구술데이터 구성요소와 엔티티 관계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구술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research of oral history improved, not only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private sectors actively collected and managed too. However, even if there are tons of demanding is needed in these days, the systems targeting oral archive was not sufficient in this research, for extracting issued problem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al archives and system to selected the institutions that currently manage and service the oral archives.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where are collecting oral records but where are just planning to build a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details and problems derived, designing an entity relationship map with the oral data component of the oral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oral system construction mainly based on appeared isses and problems during the mentioned events.

      • 干寶의《搜神記》연구 : 異物과 人間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박혜준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 · 진 남북조 시대는 360여 년간 끊임없는 전쟁과 병란이 일어났던 시기로, 쇠퇴해진 왕권과 혼란한 사회 속에서 백성들은 고통을 받아야만 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혼란한 시대 상황 속에서 전통적 이념이었던 유가의 관념에서 벗어나게 된 문인들은 개인의 문학창작의 계기를 만들어, ‘소설’이라는 당시에는 가치를 두지 않았던 장르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또한, 불안한 사회 분위기로 인한 백성들의 괴로움은 당시에 널리 성행하던 새로운 사상들과 원시신앙에 투영되어, ‘志怪’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하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개인의 삶과 사회에 효용 있는 문장만을 문학으로 인정했던 고대 중국에서는 위 · 진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현대적 의미에서의 문학 개념의 정립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처럼 위 · 진 남북조 시대에 등장하는 지괴소설은 중국문학사 전반에 있어 과도기적 양상을 띠며, 중국 문학의 질적 발전에 도량 역할을 했던 장르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지괴소설이 단순히 기이한 이야기들의 모음집일 뿐이라는 과거의 단편적인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의 연구가 점차 시도되고 있다. 本稿에서는 위 · 진 남북조 지괴소설의 대표작인 干寶의《搜神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 안의 異物과 人間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현실적인 이야기 구조가 대다수인 지괴소설 속에 반영되어 있는 당시 중국 고대인들의 사유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搜神記》작품들을 살펴보게 되면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나타나는 여러 異物들의 등장과 함께 인간과의 다양한 형태의 관계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전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짧은 내용과 황당무계한 이야기가 대다수이지만, 고대 중국인들의 異物에 대한 인식과 그들과의 관계를 통해 어지러운 현 세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희망하면서 더 큰 세계를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搜神記》는 중국문학사에 있어 소설의 발전에 있어서의 맹아이며, 무한한 상상력이 가미된 설화의 보고이자, 그 시대 중국인들의 생활과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철학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魏晋南北朝&#26102;代是在360多年&#38388;一直&#21457;生&#25112;&#20105;和兵&#20081;的&#26102;期。&#36825;&#26102;期王&#26435;逐&#28176;衰弱,因而社&#20250;&#24456;混&#20081;,所以老百姓&#36807;了痛苦&#33392;&#38590;的生活。在&#36825;混&#20081;的社&#20250;中文人&#25670;&#33073;了&#20256;&#32479;的儒家&#35266;念,而&#24320;始&#21019;作具有&#20010;性的文&#23398;作品,因而&#24320;&#36767;了&#24403;&#26102;不受&#27426;迎的“小&#35828;”&#20307;裁的&#21457;展可能性。&#24182;且&#24403;&#26102;社&#20250;不&#31283;定,老百姓的生活&#24456;&#33392;&#38590;,&#24403;&#26102;的文人把&#36825;&#26679;的社&#20250;情&#20917;都投影于&#24403;&#26102;流行的思想和原始信仰,奠定了被&#31216;&#20026;“志怪”的文&#23398;&#20307;裁的基&#30784;。古代文&#23398;只重&#35270;“文以&#36733;道”,&#21363;所&#35859;文&#23398;&#24212;&#35813;具有&#23545;社&#20250;的效用价&#20540;,而且文&#23398;&#20869;容&#24212;&#35813;具有做人的道理。因此到了魏晋南北朝&#26102;期才奠基了&#29616;代&#20542;向的文&#23398;&#35266;念。 在中&#22269;文&#23398;史上魏晋南北朝&#26102;期的志怪小&#35828;是中&#22269;&#36807;渡&#26102;期的文&#23398;&#20307;裁之一,而且&#23545;中&#22269;文&#23398;的&#21457;展做出了&#24456;大的&#36129;&#29486;。可是到&#29616;在一直&#35748;&#20026;志怪小&#35828;只是古怪故事的&#36873;集,因而最近&#24320;始&#25670;&#33073;&#36807;去&#23545;志怪小&#35828;的&#26029;片的&#30740;究而&#20174;多&#26679;的&#35266;点&#26469;&#30740;究。 干&#23453;的《搜神&#35760;》是魏晋南北朝&#26102;期志怪小&#35828;的代表作品,因此本稿把&#23427;作&#20026;&#30740;究&#23545;象。志怪小&#35828;的&#20869;容大部分都是以在作品中的&#24322;物和人&#38388;的&#20851;系&#20026;中心的非&#29616;&#23454;的故事,&#36825;&#31181;志怪小&#35828;反映了&#24403;&#26102;中&#22269;古代人的思&#32500;方式。《搜神&#35760;》作品中出&#29616;的多&#31181;&#24322;物都是人&#38388;的被造物,作品中&#23427;&#20204;和人&#38388;的&#20851;系&#24456;&#22797;&#26434;,可是&#20869;容大部分都以人&#38388;&#20026;中心展&#24320;。作品中大部分的&#20869;容&#34429;然都&#24456;短,而且荒唐无稽,但是可以看出古代中&#22269;人通&#36807;&#23545;&#24322;物的&#35748;&#35782;和&#19982;&#23427;&#20204;的&#20851;系期待着能&#22815;&#25670;&#33073;混&#20081;的&#29616;&#23454;,而且&#36824;期待着&#24456;有希望的新未&#26469;的到&#26469;。 &#20174;&#36825;&#26679;的角度&#26469;看,在中&#22269;文&#23398;史上《搜神&#35760;》不但是小&#35828;&#21457;展的萌芽,而且是具有无限的想象力的&#35828;&#35805;的&#23453;&#24211;,也可以&#35828;《搜神&#35760;》是能&#22815;看出&#24403;&#26102;中&#22269;人的生活和思想&#35266;念的哲&#23398;&#20070;。

      • 아파트 단지 그래스류(Grasses) 식재에 대한 주민 선호도 분석

        박혜준 嶺南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apartment taking more than about 60% of urban housing types could provide diverse effects like solving the overcrowding population problem in small site, securing insufficient green, reinforcing the connectivity of green, and improving the beauty of landscape. Recently, facilities like square and park are introduced into apartment complexes, residents' outdoor activities are increasing. The main materials composing the outdoor space are the landscape plant materials. Even though grass plants out of landscape plant materials are efficient for water consumption and management, still, the types of grass used for landscape are extremely few. Compared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i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it.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ting plan/design preferred by residents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future, by researching the preference on grass plants, targeting apartment complexes. Regarding the selection standard of research site, first, they were the apartment complexes completed within ten years. Second, the planting area ratio of grass plants should be 10% or higher in the landscape area. Third, the types of planted grass should be ten or more.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total three apartment complexes including two subject sit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one subject site in Seoul Metropolitan City, total 1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awareness of grass plants, ‘do not know’(80.7%)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do know’(19.3%). Many people were unfamiliar with or had no interest in the concept of grass plants.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ing ‘do know’ got to know about it through ‘internet’. Second, in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most preferred place for planting grass plants in apartment complexes, ‘trail’(31.2%)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space around building’(17.5%), ‘water space’(15.4%), ‘main entrance space’(12.7%), ‘exercise space’(12.3%), and ‘playground for children’(10.9%) in order. Third,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preference on the form of grass plants, 'Upright-arching’(38.0%)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Upright-divergent’(29.2%), 'Tufted'(19.9%,), and ‘Mounded'(12.9% ) in order. Fourth,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preferred height of grass plants, ‘Short size'(50.3%)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Mid size'(36.8%), and ‘Tall size'(12.9%) in order. Fifth,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preferred color of grass plants, ‘white color’ group(27.7%)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green color’ group(25.7%), ‘red color’ group(20.5%), ‘yellow color’ group(17.2%), and ‘blue color’ group(9.0%) in order. Sixth,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preferred texture of grass plants, ‘soft texture’(64.9%)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rough texture’(22.2%), and ‘common texture’(12.9%)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seek for efficient education/promotion methods about grass plants for diverse classes of people. Such results could be used as reference in case when planning/designing apartment complexes by understanding the planting place and grass types preferred by people. As the planting place for grass plants preferred by residents is generally similar to the preferred place within complexe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close plan of the space with high preference. 오늘날 도시 주택 유형의 약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부족한 토지에 과밀한 인구문제를 해결해주면서 부족한 녹지 확보, 녹지 연계성 강화, 미관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아파트 단지 내에는 광장과 공원 등의 시설이 도입되어 주민들의 옥외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옥외공간을 구성하는 주요 소재가 조경식물소재이다. 조경식물소재 중 그래스류는 물 소비량과 관리에 있어서 효율적인 소재이지만 아직 조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래스 종류는 극히 일부분이며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그래스류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아파트 단지의 주민이 선호하는 식재계획 및 설계를 하는데 있어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 선정기준은 첫째, 최근 10년 이내에 완공된 아파트 단지이며 둘째, 조경면적에 대한 그래스류의 식재면적 비가 10%이상인 곳이고 셋째, 식재된 그래스 종류가 10종 이상 식재된 곳으로 하였다. 대구광역시의 대상지 2곳, 서울특별시 1곳으로 총 3개의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7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스류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는 ‘모른다’가 80.7%로 ‘알고 있다’에 응답한 19.3%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이 그래스류라는 개념을 생소하거나 관심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알고 있다’에 답한 응답자는 대체로 ‘인터넷’에 의해 알게 되었다고 답하였다. 둘째, 아파트 단지 내 그래스류를 식재하는데 가장 선호하는 장소를 조사한 결과는 ‘산책로’가 31.2%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동주변공간’ 17.5%, ‘수경공간’ 15.4%, ‘주출입공간’ 12.7%, ‘운동공간’ 12.3%, ‘어린이놀이터’ 10.9%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래스류의 형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Upright-arching’이 38.0%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Upright-divergent’ 29.2%, ‘Tufted’ 19.9%, ‘Mounded’ 12.9%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래스류의 선호하는 키를 묻는 질문에서는 ‘Short size’가 50.3%명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id size’가 36.8%, ‘Tall size’가 12.9%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그래스류의 선호하는 색을 묻는 질문에서는 ‘백색’ 계열이 2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녹색’ 계열이 25.7%, ‘적색’ 계열이 20.5%, ‘황색’ 계열이 17.2%, ‘청색’ 계열이 9.0% 순으로 높았다. 여섯째, 그래스류의 선호하는 질감을 묻는 질문에서는 ‘부드러운 질감’이 64.9%으로 가장 높게 나왔다. 그 다음으로 ‘거친 질감’이 22.2%, ‘보통 질감’이 12.9%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계층에 대한 효율적인 그래스류의 교육 및 홍보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었으며, 선호하는 식재 장소와 그래스 종류를 파악하여 아파트 단지 계획 및 설계시 참고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주민들이 선호하는 그래스류 식재장소는 일반적으로 단지 내에서 선호하는 장소와 흡사하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공간에 대해 면밀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농촌관광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농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박혜준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ould be necessary to analyze factors that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for rural tourism villages to provide differentiated rural tourism and understand what users are craving for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according to the selection attribute of rural tourism villages. The detailed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quality of rural tourism villages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n the order of priority of selection attributes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level before visitation and post-visit satisfaction level of each selection attribute using IPA ba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f rural tourism extracted through existing precedent studies. Secondly,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ourists who visited the rural tourism villag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ourism types. Lastly,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development plans through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n the selection attribute by rural tourism and rural tourism village. Therefore,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attain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considered precedent studies on rural tourism, rural tourism villages, selection attribute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d conducted survey in rural tourism villages through structuralize questionnaire for empirical analysis. For empirical research, tourists who visited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wabon Village, Yangdong Village, Samgang Tavern Village, and Hoeryongpo Village from May 1∼15, 2014 were selected, passed out total 260 copies of questionnaire and collected 246 excluding 14 copies and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der of priority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ural tourism, the 'beauty of village landscape'(4.16) and 'place for recreation'(4.16) were highest for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For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 'beauty of village landscape'(3.81) and 'place for recreation'(3.81) were highest. Secondly, as a result of IPA of rural tourism, a discreet travel time, a discreet travel distance, place to get away from everyday life, place for refreshment, place for nostalgia, beautiful village landscape, various service types, reasonable fee for using the village, various information on the experience program, well-equipped facilities in general, well-equipped playing and recreation facilities, well-equipped convenient facilities, various and delicious local dish, and various opportunity experiences were applied in quadrant I. For quadrant II, a category of 'nature educational program is well organized' was included, and for quadrant III, 'public transportation was convenient,' 'there are many tourist attractions around the experience village,' 'there are abundant natural tourist attractions,' 'convenient reservation system,' 'agricultural specialty product shopping and lodging facilities are well equipped,' 'prepared with various event programs, and 'prepared with various experience opportunities' were included. For quadrant IV, place that residents felt hospitality and prepared with various experience opportunities categories were applied.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selection attributes by rural sightseeing experience village, 10 categories for quadrant I, 9 for quadrant II, 5 for quadrant III, and 1 for quadrant IV were applied. For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wabon Village, 9 categories for quadrant I, 6 for quadrant II, 10 for quadrant III, and none for quadrant IV were applied. Lastly, for the Samgang Tavern Village, 9 categories for quadrant I, 6 for quadrant II, 10 for quadrant III, and none for quadrant IV were applied. Lastly, for Hoeryongpo Village, 19 categories for quadrant I, 3 for quadrant II, 3 for quadrant III, and none for quadrant IV were applied. Suggested theore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how this study theoretically systemize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ural sightseeing tourists and provided scholarly grounds. Secondly,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preliminary data that can be used in actual rural tourism villages regardi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s in rural tourism villages.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importance level of tourist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level in general regardi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ural tourism.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villag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selection attributes, a category of great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was the nature educational program component category. Mea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by developing nature educational program.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ural tourism are as follows.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operators to make continuous investment and management regarding the quadrant I attributes in the future. For quadrant II, operators need to develop a program of nature and education harmonizing together that emphasize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If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categories of the quadrant III are suggested and conducted, visitors would be impressed with unexpected areas. Lastly for quadrant IV,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decrease investment or management and increase investment or management for quadrant II categorie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rough objective research of this study, but the following limitations were found. The satisfaction level came out low becaus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hen experimental elements were very insufficient in rural tourism villages. Also, there is limitation in explaining the entire rural tourism in our country by limiting the research target area.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the result by rural tourism village through rather few sample numbe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lement such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competitive power of farming villages is expected to be increased by bringing out strength and making up weaknesses based on the analyzed importance-satisfaction elements deduced through this study and to increase sales and profit of the rural tourism. 농촌체험마을이 차별화된 농촌관광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발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수요자의 욕구를 파악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객이 농촌체험마을의 선택속성에 따라 방문객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한다. 따라서 본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농촌체험관광 선택속성 요인을 바탕으로 IPA를 이용하여 각각의 선택속성에 대해 방문전 중요도와 실제 방문 후 만족도 차이 분석을 통해 선택속성의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하여 농촌체험마을의 품질향상을 하고자 하였다. 둘째,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관광행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관광, 농촌체험마을별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농촌관광, 농촌체험관광,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기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농촌체험마을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5월 1일∼15일까지, 조사대상은 삼국유사 화본마을, 양동마을, 삼강주막마을, 회룡포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246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의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우선순위를 분석해본 결과 먼저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마을경관의 아름다움’(4.16), ‘기분전환을 위한 장소’(4.16)가 높게 나타났다. 선택속성의 만족도는 ‘마을경관의 아름다움’(3.81), ‘기분전환을 위한 장소’(3.81)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농촌관광의 IPA 결과Ⅰ사분면에는 이곳까지의 이동시간이 적당함, 이곳까지의 이동거리가 적당함, 일상생활을 벗어나기 위한 장소, 기분전환을 위한 장소, 고향의 향수를 느끼는 장소, 마을경관의 아름다움, 체험마을의 서비스형태가 다양함, 체험마을의 이용비용이 합리적임,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됨, 전반적으로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음, 놀이 및 오락시설이 잘 갖추어짐,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짐, 다양하고 맛있는 향토음식을 맛 볼 수 있음, 다양한 체험기회가 제공됨 항목이 해당되었다. Ⅱ사분면에는 자연교육적인 프로그램이 잘 구성되어 있음 항목이 해당되었고 Ⅲ사분면에는 이곳까지 이동하는데 대중교통이 편리함, 체험마을주변 관광지가 많음, 관광자연자원이 풍부함, 예약 시스템이 편리함, 지역의 농・특산물 쇼핑, 숙박시설이 잘 갖추어짐, 다양한 이벤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음, 심신치유를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됨 항목이 해당되었다. Ⅳ사분면에는 지역민의 환대를 느끼는 장소, 다양한 체험기회가 제공됨 항목이 해당되었다. 셋째, 농촌관광 체험마을별 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양동마을의 경우Ⅰ사분면에는 10개, Ⅱ사분면에는 9개, Ⅲ사분면에는 5개, Ⅳ사분면에는 1개의 항목이 해당되었다. 삼국유사 화본마을의 경우Ⅰ사분면에는 9개, Ⅱ사분면에는 6개, Ⅲ사분면에는 10개, Ⅳ사분면에는 해당되는 항목이 없었다. 삼강주막마을의 경우Ⅰ사분면에는 9개, Ⅱ사분면에는 6개, Ⅲ사분면에는 10개, Ⅳ사분면에는 해당되는 항목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회룡포마을의 경우Ⅰ사분면에는 19개, Ⅱ사분면에는 3개, Ⅲ사분면에는 3개, Ⅳ사분면에는 해당되는 항목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을 하는 관광객만이 갖는 선택속성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학술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둘째,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선택속성에 대해 실제 농촌체험마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농촌관광의 선택속성에 대한 관광객의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조정민(2012)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농촌체험마을 발전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해본 결과 중요도-만족도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을 살펴보면 자연교육적인 프로그램 구성 항목이다. 즉, 자연교육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여야한다. 둘째, 농촌관광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사분면의 속성에 대해 운영자는 향후 지속적인 관리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Ⅱ사분면의 경우 운영자는 마을의 특징을 잘 살린 자연과 교육이 함께 어우러지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Ⅲ사분면의 항목들에 대해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실시한다면 방문객들 입장에서는 생각하지도 못한 부분에 대해 감동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Ⅳ사분면의 경우 투자와 관리를 조금 줄이고, Ⅱ사분면에 있는 항목들에 대한 투자나 관리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구의 실증적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농촌체험마을에 체험요소가 많이 부족한 시기에 설문지를 받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지를 경상북도로 한정하여 우리나라 전체 농촌관광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농촌체험마을별로 다소 적은 표본수를 사용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요인들을 토대로 장점을 더욱더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여 관광에서 농촌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촌관광의 매출 및 수익 증대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