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술 기록의 데이터 요소 분석에 의한 구술기록관리시스템 제안사항에 관한 연구

        박혜준,김익한,Park, Hye-jun,Kim, Ik-han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59

        As research of oral history improved, not only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private sectors actively collected and managed too. Despite these demands, however, there was not enough systematic analysis of systems targeted at oral archives. In this study, which started from this problem eq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oral archives and systems were analyzed and the institution that manages and serves current oral archives was selected to derive problems. It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which collects oral archives but plans to build a system design. I will present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o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arise in the process. 구술사 연구가 증가하며 구술 기록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 도 활발하게 수집·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술 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충분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 기록의 특성, 시스템 의 구술기록관리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현재 구술 기록을 관리·서비스하 는 기관을 선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술 기록을 수집하고는 있지만 시스템 설계 구축을 계획 중인 대통령기록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들 을 분석했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문제점을 참고하여 구술기록관 리시스템의 구술 데이터 구성요소와 엔티티 관계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구 술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1/f 변동리듬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박혜준,박세진,김철중,Park, Hye-Jun,Park, Se-Jin,Kim, Chul-Jung 대한인간공학회 2005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4 No.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leep efficiency and sleep latency depending on the sound, Polysomnography was carried for the different sound stimulations, such as Sound A(providing R bed Co.), Sound B(1/f fluctuation sound develope by KRISS), and no sound stimulation. In case of sleep efficiency and WASO(wake after sleep onset) ratio Sound B shows more affirmative effect than no sound stimulation or Sound B. It is the result that the effect is caused because 1/f fluctuation sound has the rule and unexpectation. This research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ound for sleep.

      • KCI등재
      • KCI등재

        네 한인 이민자 가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미국 유아특수교육의 전이과정에 관한 질적다사례연구

        박혜준 ( Hye Jun Park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3 No.2

        본 원고는 박사학위청구논문의 요약본으로 질적연구의 자료가 제공하는 참여자들의 살아있는 목소리와 현장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지면상의 제약으로 전체 논문 만큼 담을 수 없음을 앞서 밝힌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두 시스템 사이의 전이과정이 장애 아동에게 주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그 가족 구성원들과 두 프로그램과 전이과정에 관련된 전문가들 모두가 각기 다른 시각에서 경험하는 변화와 적응의 과정을 가족구조이론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미국 유아특수교육의 근간이 되는 가족-중심 프로그램의 이론과 소외된 계층에 대한 실제 서비스와의 차이점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바탕으로 모든 계층과 다양한 문화적/언어적 배경을 가진 가족들을 포괄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족-중심적 서비스로의 개선 방안과 앞으로의 장애아가족연구의 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을 자녀의 장애와 더불어 문화적인 차이와 언어장벽으로 인하여 자녀의 권리 옹호에 어려움을 겪는 한인 이민자 가정으로 선택한 것은 부모가 자녀의 교육적 권리를 옹호하고, 전문가와 긴밀한 협력하며, 가족 모두가 의사결정과정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가족-중심 접근에 대한 인식이 미국의 주류사회나 중산층 이상의 부모들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소수 민족들이나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자들, 경제, 문화,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들에게는 여전히 전문가-중심이나 행정 편의적인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가족-중심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미국 사회에서의 비주류나 소외계층의 경험과 그들의 목소리를 주류사회의 연구자가 아닌 소외된 계층의 시각과 경험을 공유하는 연구자의 시각을 통해 더욱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지나치게 가족의 입장과 시각이 편중되지 않도록 연구의 대상을 한인 이민자 가정의 자녀와 부모 및 연구대상아동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전문가들과 특수교육관련 관계자들까지 포함시켜 다양한 전문가들의 입장과 시각도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삼았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과 자료 수집은 질적 사례연구방법(qualitative multi-case study)의 참여 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조기중재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아동에게 요구되는 모든 평가의 과정과 관련된 전문가들과의 회의에 대한 참여관찰과 전문가들과 부모들과의 열린 형식의 심층 면담 및 모든 평가서와 공문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각각의 사례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 4개월에서 6개월에 걸친 전이과정의 모든 단계를 장애아동과 그 가족 및 관련 기관의 전문가들과 함께 참여 관찰하는 방법을 통하여 각 가정의 일상생활은 물론 실제 교육 현장의 상황과 다양한 연구대상자들의 관점을 수용하는 데 본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이는 기존의 특수교육 관련 연구들이 양적인 분석을 통해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장애아동의 실질적 성취도나 구체적인 치료기법에 대한 실험, 전문가들의 인식 변화 혹은 부모나 가족들의 경험연구와 같이 연구의 대상과 시각이 전문가와 가족으로 양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하여 전문가와 가족의 시각과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네 가족들은 이민에서 오는 언어와 문화의 차이 뿐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 장애를 가진 자녀의 출생과 양육으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서로 얽혀 있는 상황에서 자녀들은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의 전이를, 다른 가족구성원들은 새로운 환경과 생활방식으로의 번화와 전이의 과정을 겪고 있는 상태로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이를 경험하고 있음을 자세히 기숙하였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전이의 중첩성(multiple layers of transition)으로 개념화 하였다. 미국의 유아특수 교육과정이 장애아 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을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나이를 기준으로 출생에서 만 3세 이전 까지는 영유아 조기중재 프로그램(Part C Early Intervention Program)에서,만 3세에서 5세 까지는 취학전 특수교육과정 (Part B Preschool Special Education Program)을 통해서 제공되고 있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IDEA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의 권리와 같은 큰 틀만 제시할 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는 주정부의 소관으로 각 주마다 조금씩 다른 서비스 전달 방식과 프로그램의 운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만 3세를 전후로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은 대부분 어떤 방식으로든 서비스의 전이과정(transition process)을 경험하게 된다. 한 예로 많은 주들이 영유아 조기중재 프로그램은 보건복지부에서 관장하고. 취학 전 특수교육과정은 교육부에 속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큰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데. 본 연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그 문제점들과 IDEA의 이상적인 가족-중심적 접근과 실제 서비스와의 차이점들이 드러났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과 관련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multi-case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four immigrant Korean families of children dealt with the transition from home to preschool speci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the interrelated issues of disability, family, and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y. In order to have a whole picture of the transition process and to incorporate the different perspectives and voices of both parents and professionals, multiple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used; direc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 of documents. Based on these multiple sources of data, I took a closer look at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hildren their families and the service providers who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ir journey to find preschool program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loss of competencies from early intervention service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and the impact of transition on the whole family. Through observing practices and sharing the stories of family members and the service providers, I was able to describe each family's multiple layers of transitions that were elaborated by their children's special needs and their transition from home to preschool. Each layer of transition broadened the understanding about transition, because each layer of transition could only be understood by taking the whole context into account including the children, their family members, the service providers, the different agencies and the schools within a larger EI/ECSE system. Since all of these elements were interwoven in the transition process, it was critical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ransi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differ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의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에서 나타난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적응

        박혜준(Park Hye-Jun)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1

          국경을 넘어 낯선 나라에서 새로운 삶의 기회를 찾기 위해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이주노동자들은 어떤 형태로든 가족의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소수집단으로서의 이주노동자 가족들의 구체적인 삶의 경험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다양성과 차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 자녀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부모의 이주노동으로 인하여 가족이 분리되고, 이후 다시 한국에서 부모와 재결합하여 생활하게 된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삶의 경험을 들어보는 것이다.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과 새로운 한국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삶에 의미를 찾아가는 이주노동자의 자녀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life experiences of children of migrant workers after they reunited with their parents or new family member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children of migrant workers from China and Mongolia.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researcher began this study with the question of how we could change our negative perspectives on migrant workers as low-paid workers from poor countries into more positive ones in which we could view the migrant workers as one of the family members with rich family stories and as the active participants of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수행 중심의 포트폴리오의 개발과 적용

        박혜준 ( Hye Jun Park ),백유순 ( You Soon Bac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 대해서도 교사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전문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포트폴리오의 개발과 적용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수행중심의 포트폴리오는 우리가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에게 부분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 포트폴리오 평가방식을 유아특수교사양성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자신들이 교사로서의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및 실질적인 실습경험 등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이다. Teaching and Learning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However, the importance of teacher assessment of their teaching has not been emphasized as much as that of assessment of children about their learning. Many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U.S. are using teaching portfolios as part of pre-service students`` assessment and graduation requirements. And many schools are also using professional teaching portfolios for teacher recruitment and promotion purpose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various ways to develop performance-based professional teaching portfolio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portfolios, prospective and practicing teachers will be able to document their knowledge and reflections as educators.

      • KCI등재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도덕교육적 함의와 교사의 역할

        박혜준(Park Hye Jun),김윤경(Kim Yoon Ky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최근 창의적 체험활동의 주요영역으로 봉사활동이 강조되면서 봉사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학자들이 ‘봉사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본래 봉사학습은 미국의 경험주의 교육 전통에 이론적 배경을 둔 것으로 능동적 학습 원리에 기반을 둔다. 봉사학습은 ‘봉사’와 ‘학습’ 모두에 강조점을 둔 것으로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수행평가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봉사활동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봉사를 통한 교육이 학생의 도덕성을 기르는 데 보다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도덕교육적 원리에 의거하여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봉사학습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그런 면에서, ‘배려’와 ‘관계’, ‘행복’에 주목한 나딩스의 철학은 봉사학습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봉사학습은 사회정의감, 공동체감, 도덕적 실천력을 제고한다는 데 보다 큰 의의가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낯선 사람과 관계 맺기를 통한 자기성찰과 도덕적 성장’이다. 도덕교사는 봉사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부딪칠 다양한 문제들에 유의하는 한편,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 교육과정의 요구를 고려하여 봉사학습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획할 수 있어야 한다. Emphasis on creative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s part of community service made educators more aware of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mmunity service. In order not to make community service as mere experiences about society, the educat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as a new pedagogical technique. Service learning was based on the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of learning by doing. However, it is important for educators not to confuse service learning with community service or volunteer work. Service learning i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nnects classroom lessons with meaningful service to the community. Community service may provide students a sense of community, empathy, and a meaning in life, but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what they learn in school, so it usually remains as individual experiences. Especially when the goal for the lesson is for students to teach values and to foster moral senses and ethical minds, the educators should carefully prepare the activities that promote both services based on what students learn in school and learning that reflects the real-life services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principles of moral educa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service learning and to adapt its core ideas into mo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connect the notion of 'caring', 'relationship' and 'happiness'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Nel Noddings. Students can learn about social justice, a sense of community, and a power of moral execution through service learn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reflection and moral growth through reciproc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role of moral educators is critical. Teachers should take many things into consideration including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level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the possibilities and obstacles the students may encounter in the community when planning their lessons for servi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