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FL Context and Learners' Affective factors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박혜순,Park, Hae-Soon The English Teachers Association in Korea 2006 영어어문교육 Vol.12 No.1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complex nature of social contexts regarding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 and to demonstrate the affectiv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find appropriate approaches within the context. To do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85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learners'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EFL learning. Additionally,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ere asked about the general circumstance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Findings indicate that in spite of the participants' high instrumental motivation, they rather show a negative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This paper intends to raise practitioner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ffect of learners' affective variables on EFL learning seems distinctive depending on the host country's EFL contexts.

      • KCI등재

        후천세계가 지향하는 인간상 탐구- 정역의 지인(至人) 중심으로 -

        박혜순,Park, Hye-soon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5 대순사상논총 Vol.25 No.2

        The theory of post-heaven provided Korea's many emerging national religions with spiritual ground. The I Ching originated in China emphasizes the principles of change or static aspects of world, while Right I Ching, which Il-Bu Kim suggested, underlines dynamic aspects of world. Il-Bu Kim is perceived to open a new stag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of I Ching in this regard. His most remarkable contribution is the view of Great Opening Era of Post-Heaven, according to which the clock of cosmos shows the era of great change from Pre-Heaven to Post-Heaven and in the world of Post-Heaven everything will take its proper place. As to human society, Il-Bu Kim foresaw the change from disharmony to harmony, imbalance to balance and era of xiaoren to that of junzi. The advent of such a new world, however, asks human's moral revolution as a prerequisite.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hought, human is the center of the Samjae, Heaven-Earth-Human and the only being which could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Without the change of human mind, however, human can neither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nor expect the right change of Heaven and Earth. Even though the world of n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smic harmony,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 the real change of Heaven and Earth can be achieved only with moral change of human. The human in the Right I Ching is a free man who sticks to nothing and communicates with cosmos with empty mind. This is the very image of perfect man(至人). The perfect man in the Right I Ching is the main agent of everything, that's to say, the main agent of the great opening to Post-Heaven Era. This is the reason why most leaders of Koran emerging religions concentrate on the change of human. In this regard, Jeung-San Kang encouraged people to become the perfect man through the purification of mind and body an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depending on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the Right I Ching. Cheok and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re what he suggested as a method of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Such a view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the accumulated sinful behaviors are obstacles to cosmic change and the time of mutual beneficience opens with the removal of the obstacles. If such religious practices are so effective, as Jeung-San Kang says, that future world could consist of perfect men who have achive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moral change, and change of consciousness, we could expect that the activities of xiaoren will be shrinked and junzi will be welcomed,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세계어로서의 영어 학습과 교육 방향

        박혜순(Park Hae-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이 연구는 일부 국가의 모국어로 사용되던 영어가 세계인들이 소통하는 매개 언어의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국 영어 학습자들과 교육자들에게 제기하는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자가 아닌 주체적인 영어 사용자로서 거듭나기 위해 다음의 문제들; 첫째)교육 대상 variety와 문화의 선정 및 내용의 범위, 둘째)영어의 소유권, 셋째)영어의 변화 및 변이형에 대한 관용 및 인정 범위, 넷째)교육 목표 설정에 관한, 다섯째) 마지막으로 세계어로서의 영어 사용자의 정체성 확립에 대해 다시 고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고찰 결과, 필자는 한국의 영어 사용자들이 세계어로서의 영어 사용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1)다양한 언어 문화적 배경을 가진 영어 화자들과의 소통을 도모하고 공헌할 수 있는 variety에 대한 탐색 필요성, 2)문화 간 교류 증대를 통한 경험의 축척과 문화 간 차이점과 유사점을 학습자 스스로가 파악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해 대화 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교육의 필요성, 3)학습자들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 그리고 학습 동기 고취 방법 탐구의 필요성, 4)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영어사용 주체자로서의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both Korean English learners and educators need to consider in the changing paradigm of English use from a mother tongue of few countries to the lingua franca between people of different lingua cultural background. Therefore, to encourage English learners to be an active and creative English user, reconsideration on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the following points; 1) the selection of the target variety and culture and the scope of their contents 2) the ownership of English 3) the scope of tolerance of linguistic change and variations 4) goals of English education 5) identity of users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is suggested. As a result, to be a user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in a global community, the need to pursue a variety that facilitates and contributes to effective communications between various English users, the need to build up experience through the increase in intercultural interaction, the need to provide learners with education that promote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tself and through which they can enhance their ability to grasp inter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the need to seek methodologies for promoting English educ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learners' ow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astly the need to help learner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English user with the sense of self-esteem are emphasized.

      • KCI등재

        『태일생수』에 나타난 물과 생명의 관계방식 고찰

        박혜순(Park, Hye So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6 생명연구 Vol.42 No.-

        이 글은 중국의 고대문헌 『태일생수』에 나타난 물의 기원 및 우주생성론을 통해 물과 생명의 관계방식에 대 해 살펴본다. 『태일생수』에서 물의 기원은 태일이다. 태 일의 의미는 크게 다음 4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도의 이 칭(異稱)이며 원기이고 하나[一]이다. 둘째, 첨성(瞻星) 신 앙의 대상이며 북극성이다. 셋째, 태일신이다. 넷째, 태일 의 실체는 물이다. 『태일생수』에서 물은 우주생성의 초 기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전 과정에 걸쳐 참여함으로 써 우주생성의 공동 근원자로 자리매김한다. 태일과 물 은 우주생성과정이 모두 끝난 뒤 “태일장어수(太一藏於 水)”로 일체를 이루어 공존공생의 동격체 즉 일자(一者) 가 된다. 이 일자는 “만물의 어미[萬物母]”, “만물의 벼리 [萬物經]”가 됨으로써 하늘도 땅도 음양도 어찌할 수 없 는 절대적인 위력을 발휘한다. 이로써 『태일생수』에서 물은 만물의 가능 근거, 만물의 모태, 생명의 원천으로서 의 존재론적 위상을 확보한다. 이 글에서 나의 관심은 일자인 물의 존재방식에 집중된다. 『태일생수』에서 우주 생성의 기본 원리는 ‘도움[輔]’이고, 그 기준은 ‘천도귀약 (天道貴弱)’이다. 천도는 유약함을 기준으로 삼아 ‘한번은 비우고 한번은 채우는[一缺一盈]’의 방식으로 만물을 돕 는다. 결론적으로 물은 ‘천도귀약’이라는 태일의 정신에 따라 ‘일결일영’이라는 단순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우주만 물의 생명력 영속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life based on the origin of water and cosmogony mentioned in Taiyishengshui, an ancient Chinese text. According to Taiyishengshui, the origin of water is The Great One(太一), which can be broad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four statements. First, it is another name(異稱) for Tao(道), as well as energy and the one(一). Second, it is the North Star and the object of star worship(瞻星). Third, it is the God of the Great One . Fourth, the true nature of The Great One is water. According to Taiyishengshui, water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cquiring a prominent position as joint creator. After the process of creation, The Great One and water formed a union in which The Great One is stored in the water(太一藏於水), becoming equal and co-habiting partners; in other words, they are united as the one(一者). This union became the mother of the myriad things(萬物母) and the alignment of the myriad things(萬物經), exercising an absolute power that Heaven is unable to kill, Earth is unable to smother, and Yin and Yang are unable to accomplish. In Taiyishengshui, therefore, water secures an ontological status as the foundation of everything, the mother of everything, and the origin of life. In this article, my interest is focused on water, its union with The Great One, its forms of being. According to Taiyishengshui, help(輔) is a fundamental principle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its standard form of help is “the way of Heaven values weakness(天道 貴弱)”. The way of Heaven sets vulnerability as a standard and it helps all creation by means of “emptying out once and filling up once(一缺一盈).”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way of Heaven valuing weakness, utilizes the simple means of “emptying out once and filling up once” to contribute to the eternal life of all creation.

      • KCI등재

        협전(俠傳)의 초기적 형태로서의 "장생전(蔣生傳)" 연구

        박혜순 ( Hea Soon Park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18세기 이후 창작된 人物傳에는 유독 `遊俠`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많이 등장한다. `俠`에 대한 인식은 18세기에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조선 초부터 계속적으로 있어왔고, 뚜렷하진 않더라도 `俠`의 문학적 형상화 역시 17세기를 전후하여 이미 등장하고 있다. 조선 초 俠에 대한 지배층의 인식은 대개 부정적이었다. 그러던 것이 16세기에 이르러 미묘한 변화를 보이며 여러 문집과 심지어 실록에서도 긍정적 인식이 보이고 있다. 긍정적이었던 부정적이었던, 지배층 혹은 문인들 사이에서 이슈화될 정도로 `俠`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는 사실은 당시 `俠`이 상당히 유행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俠`에 대한 인식과 그 문학적 형상화는 단순히 조선 후기에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현상이 아닌 그 이전부터 동아시아의 `俠`의 전통 속에서 서서히 그 일단의 면모를 드러내고 있었다. `俠義 문학`이라는 광의의 차원에서 보았을 때, 동아시아 전통 속에서의 `俠`에 대한 인식이 문학작품 내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를 전후한 시점이다. `傳` 작품 내에서는 허균의 `蔣生傳`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허균의 `傳`에 신선적 분위기가 깔려 있는 것에 대하여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그동안 조선 전기 `傳`에 나타나는 `신선전`의 창작 경향과 허균의 도선적 기질에 경도되어 `蔣生傳`에서 간취되고 있는 `俠`의 형상을 이인적 취향으로만 치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본고에서는 蔣生傳에 허균의 `俠`인식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고 본다. 그 고찰 과정으로 허균의 `俠`인식의 배경을 살핀 뒤, `蔣生傳`을 대상으로 `俠傳`의 초기적 형태로서의 가능성을 살핀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고에서는 `蔣生傳`을 통해 `俠義문학` 내에서 그 단초를 보이는 협객의 형상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Among stories of legendary figure written after the 18th century, there are especially many works related with `Yuhyeop(chivalrous spirit, 遊俠)`. However, the recognition for `Hyeop(a man of chivalrous spirit, 俠)` had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literary formation of `Hyeop` also appeared around the 17th century even though it was not very clear.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ing classes` recognition of `Hyeop` was mainly negative. Then, the recognition changed slightly in the 16th century and positive recognition is noticed in various collections of works and even true records. Whether it was positive or negative,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comments on `Hyeop` made by the governing classes or literary men prove that `Hyeop` was popular at that time. This recognition and literary formation of `Hyeop` were not only characteristic phenomena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y were gradually emerging in the tradition of `Hyeop` in East Asia. In a wide sense of `Hyeopui(俠義) Literature`, the recognition of `Hyeop` was formed within literary works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 concretely around the 17th century. Heo Gyun`s `Jangsaengjeon` belongs to this among `Jeons(stories of figures, 傳)`. We can`t deny that there is immortal atmosphere in his `Jeon.` However, It is my position that the form of `Hyeop` noticed in `Jangsaengjeon` was considered extraordinarily because the creative trend of `Sinseonjeon` in `Jeons` in the form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Heo Gyun`s idealistic dispositions were focused too much.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Heo Gyun`s recognition of `Hyeop` and investigated a possibility as an early form of `Hyeopjeon(stories of chivalrous figures, 俠傳)` from `Jangsaengjeon` on the basis of that Heo Gyun`s recognition of `Hyeop` was reflected on `Jangsaengjeon` to some extent.

      • KCI등재

        생태적 감응력 회복을 위한 공부론: 致良知

        박혜순(Park Hae-soon)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4

        왕양명에 의하면 인간은 누구나 조화의 정령인 良知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천지의 중심이 된다. 그러나 현대문명은 부분에 치우친 나머지 전체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현대문명 구조 속에서 인간은 갈수록 생명에 대한 감응력을 상실하고 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천지의 중심인 인간이 바로 서야 천지의 조화가 회복될 것이다. 인간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감응력이 회복되어야 한다. 감응력이 회복되면 타자의 고통이 내 것이 되고, 자연훼손이 바로 내 몸의 손상으로 느껴질 것이다. 그것을 지행합일로 잇는 선상에서 생태위기의 극복방안은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왕양명은 인간을 天地之心으로 규정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막중한 책임과 사명감을 부여하고 있다. 이로써 인간에겐 天地의 化育을 도울 막중한 책임이 있다. 인간이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는 것은 천지만물과 감응할 수 있기 때문이고, 만물과 한몸을 이룰 수 있는 근거는 바로 ‘一氣相通’에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양지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자연스런 직각 능력으로 시비선악을 아는 것이다. 그런데 양지를 자연사물에 적용시켜 생각해 볼 때, 식물들도 꽃 피워야 할 때 꽃 피울 줄 알고, 열매 맺어야 할 때 열매 맺을 줄 안다. 어쩌면 이렇게 때를 알고 때에 맞게 할 줄 안다는 사실 자체가 자연만물이 각기 明德을 밝히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양명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행합일에 있다. 이런 맥락에서 왕양명은 事上磨煉할 것을 요구했다. 생태위기라는 사태(事上)에 직면하여 양명학을 통해 우리가 먼저 배울 것(磨煉)은 바로 생명에 대한 감응력 회복이다. 맹자의 정명사상에 따르면, 인간이 천지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내지 못할 때 인간에게 부여된 天地之心이라는 名은 상실된다. 天地之心이라는 名의 實은 良知로서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는 바로 도덕원리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도덕원리를 상실하면 천지 사이에서 누릴 수 있는 막대한 권한도 동시에 잃을 수밖에 없다. 왕양명은 “그대가 갖고 있는 한 점 양지가 그대 자신의 준칙”라고 했다. 이 때 心(양지)의 개념은 도덕주체로 칸트의 순수실천이성에 가까운 개념이다. 우리가 양지로서 만물을 보면(以良知觀物) 각자의 타고난 본성을 볼 수 있을 것이고, 物의 본성을 볼 수 있을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사물에 대한 감응력을 회복하여 사물과 더불어 생명의 기운을 서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Wang Yang-ming, human-being is the center of Heaven and Earth because everybody has his own innate good knowing. However, contemporary civilization inclines much to part, it considers little about the relationship as a whole. In this environment, human-being become losing lifes responsibility. From the ecological point if view,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should be recovered only after human-being, the center of Heaven and Earth, ought to do his duty in the universe. In order for human-being to do so, the responsibility needs to be recovered, above all. Once the responsibility is rehabilitated, the pain of others becomes mine and natural damage is felt like hurting of my bodies. The recovery method for ecology crisis can be obtained in line with Unity of Knowing and Action. Wang Yang-ming assigns tremendous responsibilities and missions over nature to human-being by defining human-being as Core of Heaven and Earth. In this regard, human-being has full responsibility to help the universe to change and grow. Human-being is able to help the change and growth because human-being can response to all beings in universe. The ability to unity with all beings in universe lies on having a essential connection with all beings by means of Ch'i among all beings(一氣相通). Innate Good Knowing is the intuition sensibility which is given at birth and can tell right from wrong and good from bad. When we apply Innate Good Knowing co all beings, plants know when co bloom and when to fruit instinctively. Isn't this the counter-evidences that knowing the time and do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time is reflecting natural things possession of The Illustrious Virtue? For these reasons, it is assumed that all things have their own innate good knowing respectively. The ultimate goal of Wang Yang-ming's paradigm lies on the Unity of Knowing and Action. In this regard, Wang demanded action over thought, namely, thought should be shown, exercised and refined in daily lives. As we are in the status of ecological crisis, the first thing we have co learn is how co recover Responsibility. According co Menciuss Rectifying Names theory, when human being fails co perform the role as the center of Heaven and Earth, the name of Universe Core, assigned co human beings, is deprived. The materialness of the name of Universe Core is innate good knowing. Its incorporated meaning is morality principle. Therefore, if human-being loses morality principle as human beings, we can not but losing the enormous authorities which can be honored all over in Heaven and Earth. Wang Yangming said that "A fraction of your Innate Good Knowing is your principle". Innate Good Knowing, described here, is similar to Kant's pure practice reason. When we see natural things with the eye of Innate Good Knowing, we are able to see their innate natures. When we can see them, we will naturally recover the Responsibility corresponding co all beings and share the spirits of lives in line with all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