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통합의 두 가지 접근

        박현진(Park Hyeon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은 공히 도덕과 교육이 ‘통합적 인성의 형성’을 목표로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는 교과임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과의 궁극적 목표로서의 통합적 인성을 제시할 때에는 도덕성을 하나의 총체로 설명하면서도, 정작 그것을 달성하는 하위 목표나 도덕과 수업 절차 등을 제안할 때에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이 각각 별개의 요소로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도덕과 교육과정은 ‘통합’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임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설명할 때에는 양립할 수 없는 두 방식―‘가법적’ 방식과 ‘승법적’ 방식을 동시에 주장하는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수업의 실제에서 드러나는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도덕과 교육과정의 설명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도덕과 수업의 실제 사태를 ‘처방’이 아닌 ‘이해’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도덕과 수업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것처럼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각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은 서로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로 인해 수업 사태에서 교사와 아동이 상호작용하는 매 순간마다 동시에, 총체적인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도덕과 교육이 그 자체로 승법적 방식의 통합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은 별개로 분리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 각각을 길러내어 합치는 것이 아닌, 도덕과의 본질을 이루는 ‘윤리학적 개념’을 내용으로 하여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온전히 구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treated the core concept to define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But,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not formed a clear definition. On the one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o make a collection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reas' of morality; each area is separated in 'bag of morality'(addi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he state of mind as a whole; mind is the whole and is expressed with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multiplied approac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moral education shows that integration in the moral education has to be defined 'multiplied approach'. Human mind―integrated character― is the 'whole' that is expresse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So,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of human mind as a whole cannot but react at the same time wh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with context of teaching-learning―ethical concepts. Ethical concepts are the results that humankind have quested for meaning of 'integral character' for the long history, and this shows that the moral subject classes that seek the meaning of ethical concepts hold a specific position in building integral character. Ultimately, the moral education is building integral character by 'internalizing' ethical concepts, and this fact alone is enough to show that the moral education has integral nature.

      • KCI등재

        도덕적 인간의 형성과 이야기-말과 글의 특징을 중심으로-

        박현진 ( Hyeon J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도덕과 수업은 도덕적 인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특별히 마련된 이야기의 장이다. 도덕적 인간이 현실 속에서 도덕적 이상향을 추구하는 인간을 의미한다고 보았을 때, 도덕과 수업에 요청되는 이야기는 학생으로 하여금 현실의 이면에 들어있는 도덕적 이상향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에 비추어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도록 하는 이야기라 말할 수 있다. 내러티브 접근에서 강조하는 일상적 대화는 말이 지니는 특성상 학생의 관심을 현실에의 필요 충족에 머무르도록 한다는 점에서 도덕과 수업의 본질을 실현하는 이야기로서 한계를 지닌다. 반면, 내러티브 접근에서 비판하는 윤리학적 개념을 담은 텍스트는 글이 지니는 특성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응고되어 그 의미가 왜곡되는 죽은 이야기가 될 위험성을 지닌다. 결국 도덕과 수업의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의 삶을 반영하는 일상적 대화와 도덕적 삶의 의미를 숙고하며 내면을 되돌아보도록 하는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이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교사의 이야기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이야기이며, 바로 이 점에서 도덕과 수업의 본질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narrative can realize the nature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light of orality and literacy. The nature of moral subject education is making a child to be a moral man. A moral man lives in current society, but he is not a man who satisfies needs of current society. He is a man who seeks to understand moral ideal and lives it in his whole life.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 of a spoken dialogue and a written text, both of a spoken dialogue about daily life and a written text about moral concepts have some possibilities and limits in realizing the nature of moral subject education. So, it needs a teacher`s specific role to awake both narratives` potential possibilities and realize the nature of moral subject education. A teacher has to take interactions between a dialogue about daily life and a text about moral concepts through his specific storytelling.

      • KCI등재

        심미적 정서와 도덕교육 -비고츠키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박현진 ( Hyeon J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3

        일반적으로 도덕교육 내에서 지식교육과 정서교육은 각각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함양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 활동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비고츠키에 따르면, 고등정신기능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은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총체로서의 마음의 한 측면을 가리키며, 고등정신기능의 발달은 개인의 내부에서 ‘심미적 정서’가 발생됨으로써 무의식의 한 측면이 의식 수준에 일깨워지고, 그 결과로 총체로서의 마음의 폭과 깊이가 더욱 확장되어 가는 것을 가리킨다. 인간의 마음이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달되며, 도덕교육이 이를 추구하는 활동이라고 본다면, 도덕교육 내에서의 지식교육과 정서교육은 각기 다른 활동이 아니라 심미적 정서의 발생을 추구하는 동일한 활동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덕교육의 역할은 도덕교육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심미적 정서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교육내용으로 다루는 것이 지식이냐 정서냐에 관계없이, 그 모든 교육내용에 붙박혀 있는 심미적 정서를 구현해내는 교사를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clear the role of mor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moral development in view of Vygotsky`s `Aesthetic emotions`. According to Vygotsky,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mental functions means to awaken an aspect of unconsciousness to conscious plane, and this process can be called `transubstantiation`; morality is defined as the moral dimension of higher mental functions. The experience of aesthetic emotions is meaning to transubstantiation in itself, so moral education can be defined as the activity to pursue the experience of aesthetic emotions. It means that all educations called moral education, either knowledge education or emotion education, have to pursue the experience of aesthetic emotions.

      • KCI등재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현진(Hyeon Jin Park),신정욱(Jeong Wook Shin),김재우(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7

        목적: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체의 섬유주세포를 배양한 다음 0.25, 0.50 mg/mL anti-VEGF bevacizumab (BV)을 24시간 노출시킨 다음, carboxyfluorescein을 이용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측정하였고 trans-epithelial 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를 측정하였다. Western blot으로 MMP-1/-2 단백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Griess assay를 이용하여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0.50 mg/mL BV은 carboxyfluorescein의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17) TEER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308). 0.50 mg/mL BV은 MMP-1/-2 단백의 활성을 각각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14, p=0.016), 0.50 mg/mL BV은 NO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23). 결론: Anti-VEGF는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며, 이와 동반하여 MMP-1/-2 단백의 활성과 NO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on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Primary HTMC cultures were exposed to 0, 0.25, and 0.50 mg/mL anti-VEGF bevacizumab (BV) for 24 hours.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trabecular meshwork cell monolayer was assessed using carboxyfluorescein and trans-epithelial 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The levels of MMP-1/-2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as assessed with the Griess assay. Results: Bevacizumab at 0.50 mg/mL de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significantly (p = 0.017) and did not affect TEER (p = 0.308). Administration of 0.50 mg/mL BV decreased MMP-1 and MMP-2 activities (p = 0.014, p = 0.016, respectively) and inhibited NO production significantly (p = 0.023). Conclusions: Anti-VEGF decreased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HTMC monolayer, which was accompanied by decreased MMP-1/-2 activity and limited NO production.

      • KCI등재
      • 박귀희와 강정렬의 가야금병창곡 비교연구

        박현진(Park, Hyeon-Jin) 한국전통음악학회 2010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1

        가야금병창의 두 유파인 김창조 - 오태석 - 박귀희로 이어지는 유파와 한숙구 - 서공철ㆍ정달영 - 강정렬로 이어지는 유파의 가야금병창곡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박귀희류와 정달영류의 가야금병창곡을 비교해본다. 먼저 김창조 - 오태석 - 박귀희 유파(박귀희류)와 한숙구 - 서공철ㆍ정달영 - 강정렬 유파(정달영류)의 전승계보를 정리하고, 현재 박귀희에 의해 전승된 곡들과 강정렬에 의해 전승되어 지고 있는 곡들을 총괄적으로 살펴보고 두 유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곡들 중에서 춘향가 中 ‘사랑가’를 박귀희 명창의 연주곡과 정달영의 제자인 강정렬 명창의 연주곡으로 비교해보고자 하는데, 사랑가 中 중모리의 사설, 선율과 중중모리의 사설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사랑가(중모리)는 사설이나 장단수, 그리고 선율의 흐름이 거의 흡사했으나 단순히 여창과 남창이기 때문이 아닌 각 창자의 각기 다른 음악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박귀희는 노래 쪽에 좀 더 치중하고 가야금의 선율은 간단해지면서 병창특유의 경쾌한 느낌들을 살리고 있는 반면, 강정렬은 가야금의 선율과 노래의 선율에 적절하게 비중을 나누고 음을 알 수 있었다. 사랑가(중중모리)는 사설 자체가 완전히 다른 곡으로 각 두 곡의 근원을 찾아보는 일도 매우 흥미로운 과제가 될 듯하다. We suggest to compare two parts of Gayageum in chorus which are (Kim ChangJo, O TaeSeok, Bak GwiHui) Bak GwiHui"s school and (Han SukGu, Seo GongCheol, Jeong DalYoung, Gang jeongRyeol) Jeong DalYoung"s school. First, We arrange the pedigree of transmission of Bak GwiHui and Jeong DalYoung"s schools and comprehensively deal with songs from Bak GwiHui and Gang jeongRyeol. These schools have the songs of Sarang-Ga(love song) in Chunhyang-jeon in common and compare the melody and lyrics of Joongmori and joongjoong mori in Sarang-Ga(love song). Finally,Joongmori is almost similar to melody, rhythm and lyrics but have some different characters between male and female part. Bak GwiHui"s lyrics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lody of Gayageum. Also It has a a cheerful melody. On the other hand, Gang jeongRyeol"s song attaches to important between the melody of Gayageum and songs appropriatley. It is very interesting to be find the origins of Bak GwiHui and Gang jeongRyeol"s joongjoong mori because these songs have a totally differnet lyrics.

      • KCI등재

        녹차의 침출 후 찻잎 방치 시간 및 침출횟수에 따른 녹차 침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박현진(Hyeon-Jin Park),은종방(Jong-Bang Eun)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여러 번 침출 시 각 침출 사이의 시간 간격이 녹차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녹차 추출 후 상온 방치 시간과 침출 횟수를 달리하여 추출한 녹차 침출물의 색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pH, 총 폴리페놀 함량, 비타민 C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L* 값과 a * 값은 상온 방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증가하였고, b* 값은 상온 방치 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온 방치 시간에 따라서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비타민 C 함량은 대부분의 시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H와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상온 방치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부분의 시간에서 유의적으로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재 침출 시 방치 시간 간격보다 침출 횟수가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침출 횟수 측면으로 보았을 때 침출 3회차부터는 비타민 C, 총 폴리페놀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이 급격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reen tea infusi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lor, pH, vitamin C, total phenolic, total free amino acid,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These infusions were extracted for 2 min with different rest intervals (0, 30, and 60 min) between extractions at 95°C. Although the number of infusions significantly affected all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and the rest intervals between infusions affected only color, pH and total phenolic, total free amino acid,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In conclusion, the number of infusions c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rest interval for the infusion of green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