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수학의 역사

        박춘성,Park, Choon-Sung 한국수학사학회 200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고대 Greece, 고대 Babylonia 등에서 시작한 수학의 발전 과정과 19세기 이후 집합론을 바탕으로 공리주의적 방법으로 현대수학이 발전하였음을 알아보고 특히 위상수학의 발전과정을 요약해 보았다. The thesis is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starting from the old Greece and the old Babylonia. The modem mathematic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et theory in the axiomatic method since the 19th century. The primary impetus of this thesis will be to summary the development of topology.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학문별 차이점 규명 : 교육학, 경영학, 공학의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박춘성(Park, Choon-sung),도수정(Do, Soo-Jung),손영화(Son, Young-Hwa),조지현(Jo, Ju-H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 간 공통점은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 분야별 차이점은 영역 특수성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의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 총 119편에서 창의성 관련 키워드를 찾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학문별 창의성에 대한 공통 키워드는 ‘새롭고, 사고, 산출, 절차, 독특한, 해결’ 등이었다. 둘째, 각 학문에서만 나타난 창의성을 대표하는 개별 키워드는 교육학은 ‘지식, 인지능력’, 경영학은 ‘다양한’, ‘가치’, 공학은 ‘사회’, ‘시스템 ’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문별 공통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별 개별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의미를 구분 지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rough analysis on domestic creativity-related studie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It was performed in assumption that academ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long to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respectively. For this, creativity-related keyword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119 paper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fields published from 2005 to 2021 on academic database. The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common keywords on academic creativity, ‘new’, ‘thinking’, ‘output’, ‘procedure’, ‘unique’ and ‘resolution’ were obtained. Second, in individual keywords representing creativity in each field, ‘knowledge’ and ‘cognitive ability’ were found in education while ‘diverse’ and ‘value’ were discove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 engineering, ‘society’ and ‘system’ were obtained. Third, academic common and individual keywords were understood as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each.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eaning of doma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creativity, focusing on academic creativity-related keywords.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과 사회창의성의 관련 및 교육적용을 위한 소고

        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3

        Clearly it is an important issue for all in any organisation or institution who rely upon creative and innovative thinking especially at a time of massive change. So the concept & measurement of creativity has gained importance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social creativity and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esearch methods. It is clear that the phenomenon of creativity is extremely complex but the creativity measurements focus on individuals. However recent research has begun to downgrad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reativity. The latest studies suggest that creative ideas are more often generated in active social creativity than by individuals creativity. Social creativity is a complex, multifaceted concept. In this paper, social creativity were divided into four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n, argue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new insights provided by social creativity are driving creativity theory to broaden the scope and levels of its research. Through this change, creative education will be shifted. 창의성 교육의 강조와 함께 창의성의 개념과 측정은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육환경과 사회창의성 및 교육적용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창의성에 대한 연구접근은 매우 다양하고 각 연구마다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환경범주와 사회창의성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사회창의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흐름을 조망하고, 측정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적인 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창의성 연구의 저변 확대와, 이를 통하여 창의성교육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 KCI등재후보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춘성(Park Choon sung),이경화(Lee Kyung hwa),김진희(Kim Jin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통합창의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유아는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C어린이집에서 만 4세 유아 20명을 무선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아통합창의성 검사'(이경화, 2012)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를 실시 후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고, 실험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과정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10차시로 구성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들은 표준보육과정인 누리과정의 4월-5월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인의 일부(유창성, 독창성, 도형의 완성도, 주제, 비관습성, 새로운 요소 첨가)에서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us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set up as follows ; How does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ity(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20 young children randomly, who belonged to C kindergarten in Gwanak-gu, Seoul. They were dived into 2 groups randoml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children each. The 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Lee, 2012) was applied as pre and post test for measuring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xposed to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an ordinary education program. Total creativity score (language creativity, drawing creativity) and some of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hildre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hildren. However, the differences of creative person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language creativity. But imagination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발전지표 탐색

        박춘성(Park, Choon Sung),홍성두(Hong, Sung doo),여승수(Yeo, Seungs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발전 지표”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지표가 가지는 본래적 의미를 탐색하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발전 지표를 추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발전 지표를 바탕으로 지표의 본래적 의미에 맞게 대학의 체제 모형에 입각한 발전지표들을 추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지표의 일관성을 고려한 투입, 과정, 산출의 체계적 지표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완성한 지표는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강화의 기제로 작용 할 수 있으며,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현황을 나타내는 기초 자료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dicators o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dicators, first, we focused on inherent meaning for the indicators, and then reviewed related articles. Using the indicators, we set up a systematic model that include three process: input, process, and output. We expected that these indicators from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improving quality of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ites. In addition, the indicators could be used for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n science-gift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자기보고식 영재판별검사 프로파일 분석

        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영재판별평정검사의 타당한 사용을 위해서 자기보고식 영재평정검사를 제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자기보고식 영재판별검사의 실제 사용에 대한 함의를 얻는데 있다. 본 연구는 영재집단, 1종오류집단, 2종오류집단, 일반집단을 설정하였다. 4개의 준거집단 설정을 위해서 영재학급ㆍ일반학급과 지능ㆍ수학ㆍ과학 표준화검사를 사용하였다.<BR>  영재집단과 2종오류집단은 평정자가 달라도 같은 양상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반면, 1종오류집단과 일반집단은 평정자간에 프로파일의 양상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판별검사를 사용하여 영재판별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 부모, 학생의 평정결과가 일치하여야 함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연령 및 다양한 영재(예술, 체육)들에게 추가연구를 제안하였다.   Due to the relevance between screening and program eligibility,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ness could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on gifted children. The new theories of Giftedness emphasize the multi-dimensionality of outstanding abilities.<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profile of giftedness. The participants were 319 gifted children from three gifted schools, 293 regular students from the ordinary schools, and their teachers and parents.<BR>  In this study, criterion groups were used. Criterion groups were composed of true positive and true negative groups, which means real gifted and real ordinary children, respectively.<B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BR>  First, the rating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redict the gifted group and type two error group effectively. Second, the rating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redict the ordinary group and type one error group uneffectively<BR>  In conclusion, giftedness is base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ating result are fit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related to research design, test tool, participants.

      • KCI등재

        심화, 속진, 지능이론과 영재교육프로그램의 관련성

        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본고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전망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심화와 속진으로 살펴보았고, 지능이론의 관점을 이들과 비교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분류 형태인 속진과 심화 이외에 지능관련 프로그램의 3가지 준거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분류하였다. 특히 지능이론관련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최근 들어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그 특징과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심화, 속진, 지능이론관련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후에 국내ㆍ외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고, 영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ion and perspective for program development for Gifted Education. A program for gifted students should provide a comprehensively planned curriculum that utilizes within discipline and/or cross-disciplinary studies. Most of researcher agree that there are two kind of criterion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Acceleration and Enrichment are general criterion. In this study add a criterion in relationship intelligence theory. So four kind of criterion choice, Acceleration, Enrichment, Acceleration and Enrichment, and intelligence theory. The comparison between foreign and native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introduce a perspective on gifte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영재아와 일반아간 학교 및 가정 부적응 유형차이

        박춘성(Park Choon Sung),이정규(Lee Jeong K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교와 가정, 그리고 기타 부적응 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의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6학년의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가정, 기타 상황에서의 부적응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에 학교, 가정, 기타의 부적응 유형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영재학생만의 독특함을 반영한 부적응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적응 양태를 지닐 것이며, 특히나 공부에 대한 부적응은 없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단역동에 필요한 친구문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는 공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재들을 위한 문제 행동의 개입은 이러한 영재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워져야 할 것이다. Mentally deficient students need special help, no one denies. But many people forget entirely those students on the opposite end of the intelligence spectrum. Gifted students suffer unnecessarily in their life at school, home and others having trouble with intrapersonal confli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oolwork and forming appropriate social role models. Although some things are being done to remedy this situation, more needs to be done to prevent the waste of fine young minds. The study address crucial topics in the field, including maladjust for gifted students, considerations in school, home and others. As a results, maladjust problem are differ between gift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s. So, if plan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on gifted students then needs for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students. Thus any attempt to help a troubled gifted student must address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students or it is doomed to fail.

      •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의성 연구방법의 가능성 탐색

        박춘성(Choon-Sung Park),김진희(Jin-Hee Kim),고광만(Kwang-Man Ko)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 영역 특수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인공지능 연구는 그동안 공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지만, 최근 동향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문사회과학 연구 문제해결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으나, 아직은 기능성만 제시하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인문사회분야의 연구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살펴보고, 인공지능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여 창의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선행연구정리-전문가 회의-JSON-MongoDB-마스터잡(Mrjob)-RNN을 통한 결과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의성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공지능을 활용한인문사회 영역의 연구문제 해결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연구인력은 인문사회 영역전문가와 인공지능 전문가의 협업을 통한 연구가 현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향후 두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전문가에 의한 연구를 예측해 보았다.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method that can settle the issue of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using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engineering so far, but recent trends ar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researc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ggests a methodology that can solve the research area of creativ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earch method was presented in a way that combines the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summary-expert meeting-JSON-MongoDB-Mrjob-RN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olution of research problem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fiel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increase, and the research manpower accounts for most of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present tim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exper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by experts who can converge the two fields in the future was predicted.

      • 유아교육에서 창의성 발달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박춘성 ( Park Choon-sung ),허영태 ( Heo Young-ta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9 실천유아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창의성 슬럼프와 발달초기의 유아 창의성 연구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의성 슬럼프는 창의성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나타난 개념이며 주요한 내용은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창의성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후의 후속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논쟁이 있었는데, 슬럼프가 나타난다는 견해, 슬럼프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견해, 슬럼프라기보다는 다른 양상이라는 견해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금까지의 창의성 슬럼프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들이 최근에 등장하였는데, 창의성 슬럼프 연구결과들이 각기 다른 이유를 창의성 측정도구, 연구방법론의 문제, 국가 간 창의성 발달 차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유아교육도 창의성 연구를 위해서는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하는데, 창의성 측정도구, 횡단적 연구의 한계 극복, 인과관계 설명으로 요약하면서 연구를 마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eativity slump and early childhood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slump is a concept that has emerged as the concept of creativity has been established. The main content is that creativity declines dramatically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various controversies in subsequent researches, such as the opinion that a slump appears, the opinion that a slump does not appear, and the opinion that it is a different aspect than a slump. Research on creativity slump has been introduced recently. The results of creativity slump resear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reativity measurement tool, research methodology, and difference of development of creativity between countr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pointed out for the creativity research. The research is completed by summarizing the creativity measurement tools, the limit of the cross-sectional study, and the expla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