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집단 자아 존중감, 근무시간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기관의 사회적 지지와 보육환경의 조절효과

        박진이 ( Park Jin-i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집단 자아 존중감, 근무시간, 기관의 사회적 지지와 보육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관의 사회적 지지와 보육환경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46곳의 교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Mplus 7.2를 사용하여 1수준 교사수준(집단 자아 존중감, 근무시간, 직무 만족도), 2수준 기관수준(사회적 지지, 보육환경)으로 구성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근무시간이 짧고, 교사의 집단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의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기관수준에서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준 반면, 보육환경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집단 자아 존중감과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기관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 개인 차원을 넘어 교사가 소속된 기관차원에서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In the current research, the researche explored the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working hours, social support level and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level and working environment. Using a sample of 393 child care teachers in 46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The multi-level analysis which constituted as level 1(collective self-esteem, working hour, job satisfaction) and level 2(social support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performed using Mplus 7.2. The results of a multi-leve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having the shorter working hours and higher collective self-esteem were associ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child care centers with high social support whereas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was non-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Whereas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implied the institutional level of support to enhance job satisfaction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진이 ( Jin 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16편을 대상으로 동질성을 검증한 후, 랜덤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2.30(U3=98.9%)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경우 50%의 성공률을 보인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값이 48.9% 상승함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환경에 대한 지식변인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셋째, 하위 범주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20명 이하일 경우, 실험처치 총 횟수가 21회 이상일 경우, 실험처치 기간이 11주 이상일 경우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소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through a meta-analysis and provide basic knowledge to develop more appropriate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16 domestic studies on the topic published after 2008 and calculated effect sizes by applying the random effect model after performing a homogeneity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was 2.30, which corresponds to a U3 coefficient of 98.9%. This means the children who completed the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 gained 48.9% more effects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environmental knowledge had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all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Lastly, the results regarding the effect sizes of the subcategories of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categorized by number of participants, time of treatment, and period of treatment, wear as follows: The effect size groups with the highest scores, according to Cohen’s (1988) effect size standard, were those with fewer than 20 children and those that experienced more than 21 times in frequency of education. The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with a program duration longer than 11 weeks showed the highest effect.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prove the efficiency of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박진이 ( Park Jin Ie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3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일반적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4, 5세 유아 99명과 그들의 어머니 99명, 그리고 유아를 담당하는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표현에 만4, 5세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의 전체 점수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화’수용태도는 유아의 대인 적응성과 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difference depending on general tendency and related variables of acceptance attitude of parent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oward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To examine this, we did survey on 99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attending 2 kindergarten & 4 teachers in Kyounggi area. Results indicates first, 4-5 years children's caregivers' acceptance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was higher than average. Second, Total score of acceptance score up to related variables was not differed up to age. Third, examining correlations between caregiver's accep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skill of children, acceptance of anger has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 친밀성, 또래 공동체 의식, 성장신념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 간 다집단 분석

        박진이(Park Jin I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성장신념에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 친밀성과 또래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남녀 초등학생의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4월 3일부터 4월 24일까지 약 3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2.0과 Mplus 8.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사회적 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장신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교사의 친밀성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관계성, 그리고 성장신념 간의 구조적 관계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비인지능력의 기초가 되는 성장신념에 영향을 주는 제반 요인을 가정 및 학교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성장신념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가정 및 학교에서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Current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parenting and growth mindset and indirect effect of teacher closeness and the sense of peer community with elementary lower grade students. With the sample of 197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3rd April to 24th. Using SPSS 22.0 and Mplus 8.2,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paren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relatedness. Second, affective parenting had also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se of peer community. Third, teacher clos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parenting and the sense of peer community. Fourth,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ffective parenting, social relatedness and growth mindset. Current result investigated the correlates of growth mindset in familial and school context. This will the role of family and school to promote the growth mindset.

      • KCI등재

        Exploring Peer Dynamics on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Types in a 1<sup>st</sup> Grade Elementary School Setting: 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김진구 ( Jin-gu Kim ),박진이 ( Jin-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4 No.S

        This study investigated friendship dynamics regarding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subtypes through 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SIENA) involving a sample of 1<sup>st</sup>-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ree classrooms (N = 78, 50% girls at waves 1 and 2) and they were followed up from April to July of 2016.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al aggression and social preference were socialized in the peer network of 1<sup>st</sup>-grade students. The effects of socialization on overt aggression and perceived popularity were not significant. This study’s participants tended to select friends with similar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In addition, social preference became similar among frien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er influe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tudent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This varied by level of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type. There are resulting implications for class management, teacher consultation, and transition.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연구

        이정욱 ( Lee Jeong-wuk ),박진이 ( Park Jin-i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을 사례로 하여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5년 4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약 3개월간 총 16차시의 수학수업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이 외에도 면담, 문서화된 자료 등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은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는 단 방향적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또래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은 특정 활동유형에 국한되어 드물게 이뤄졌으나 놀이 속에서는 비교적 활발히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에서는 인정하기와 칭찬을 중시하는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넷째, 1학년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에 국한된 의사소통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실제 교실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여 수업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first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We observed 16 math lessons in two first grade elementary classrooms for three month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have been drawn as follows: First, the vertical communication initiated by the teacher was most prevalent. It showed teacher-directed forms of discourse such as IRE and funneling patterns with some exceptions in one teacher`s lessons. Second,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ery little and occurred mainly in the play context. Third, the positive comments of acknowledging and praising were used, focusing on the first graders` emotional needs. The teachers thought the first graders were still young. Fourth, math talk in the classrooms heavily depended on the multimedia to arouse children`s interests. Lastly,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solely based upon the textbook. The teachers strictly followed the textbook sequence and the content without adjustments. Building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주제와 활동의 연계성 분석

        이정욱 ( Jeong Wuk Lee ),박진이 ( Jin 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betwee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age 5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books for the 1st grade integrated subjects in terms of the themes and the activities. The subjects for analysis were the structure of the them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heme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and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the themes in both teachers’ guidebooks differed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 of the themes in the Nuri guidebooks consisted of ‘life themes, themes, sub-themes, and main-contents’ while that in the first grade guidebooks consisted of ‘big themes, sub-themes, activity-them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ive of the 11 life themes in Nuri, Kindergarten and Friends, Spring.Summer.Autumn.Winter, My Family and Me, My Town, and My Country, were similar with 8 main themes such as Me and My School, Spring, Family, Summer, Neighbors, Autumn, My Country, and Winter in the first grade guidebooks. The degrees of the continuity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pring’ and ‘My Country’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were relatively low. In ‘Spring’ and ‘My country’, the level of activities of the first grade was mostly higher than that of the Nuri. However, there were some retrogressive activities in Nuri guidebooks. 본 연구는 동일한 주제로 통합교육과정을 구현하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주제 및 활동수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와 통합교과 지도서의 주제 구성체계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지도서는 생활주제에 대한 내용 중심으로 생활주제-주제-소주제-주요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통합교과의 주제는 대주제-소주제-활동주제-성취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리과정 지도서의 5개의 생활주제 ‘유치원과 친구, 봄.여름.가을.겨울, 나와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는 통합교과 지도서의 8개의 대주제 ‘학교와 나, 봄, 가족, 여름, 이웃, 가을, 우리나라, 겨울’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생활주제와 대주제 차원에서는 주제명이 달라 연계되지 않더라도 하위에 있는 주제/소주제, 소주제/활동주제 차원에서 연계가 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둘째, 공통적인 주제인 ‘봄’과 ‘우리나라’에 나타난 주제 내용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일부 주제 내용에서 누리과정 지도서의 내용이 통합교과 지도서의 내용보다 심화·확대되어 계열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봄’과 ‘우리나라’ 활동수준의 연계형태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과 지도서의 많은 활동이 누리과정 지도서 활동보다 심화 및 확대된 연계형태로 나타났으나 일부 활동은 누리과정 지도서의 활동수준이 더 높은 역행 형태를 보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정욱 ( Jeong Wuk Lee ),박진이 ( Jin 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금년에 처음 실행하고 있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어린이집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 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총론에 제시되어 있는 편성·운영지침을 준수하여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어린이집 교사들은 하루 평균 4.98시간 동안 누리과정을 운영하며, 1일 1시간 정도의 바깥놀이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교사들은 창의·인성교육을 하루 일과 속에 통합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실시하는 비중은 누리과정 도입이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어린이집 교사들은 보육계획안을 작성하고 있으며, 주간보육계획안, 연간보육계획안, 일일보육계획안, 월간보육계획안 순으로 작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들이 연간보육계획안 작성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은 생활주제였으며, 다음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어린이집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연간보육계획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유아평가를 실시하는 비중이 누리과정 운영평가를 실시하는 비중보다 다소 높았다. 누리과정 운영평가의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유아 평가는 대부분 매일 또는 월 1-3회 실시하며 평가의 방법은 주로 관찰에 의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5 is being implemented appropriately in Seoul child care centers. Participants were 339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note first, that the teachers tended to follow the National guidelines in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utilized for an average of 4.98 hours a day as part of the daily program and the daily schedule offered outdoor play for 1 hour a day. The teacher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into the daily routine and emphasized good lifestyle habits as much or more in the Nuri curriculum than they did in the previous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Second, all the teachers made plans on how to teach and care for the children. The highest percentage of teachers wrote weekly plans, followed by writing yearly, daily, and monthly plans. The teachers considered themes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most frequently while creating their yearly plans. Lastly, the teachers evaluated children more frequently than they did the program and the teachers in public child care centers conducted more program evaluations than did teachers in a private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자기평가방법으로서의 의미 연결망의 활용가능성 탐색: 유아음악활동계획안 분석을 중심으로

        임수진 ( Lim Soo-jin ),박진이 ( Park Jin-i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자기평가방법으로서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 과정에서 음악활동계획안에 내포된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두 명의 담임교사가 작성한 음악활동계획안 126개를 수집하여 KrKwic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UCINET을 활용하여 의미 연결망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분석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음악활동계획안에 내포된 개념을 살펴본 결과, 두 담임교사의 음악활동계획안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서는 공통적으로 노래, 부른다 와 같은 단어가 가장 많이 등장하여 노래부르기를 중심으로 기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악적 개념보다는 동일한 패턴의 활동방법 진술이 주로 작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두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기평가 도구로서 연결망 분석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시각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도구, 계획한 활동과 실행한 활동과의 간극, 음악적 개념을 반영한 수업과 즐거운 수업, 활동평가의 어려움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빅 데이터 분석이나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사용 되어온 의미 연결망 분석방법을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반성적 자기평가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한 점에서 수업분석과정에 제공하는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ability of the semantic network as a mean of self-reflection tool as well as the meaning of educational objective and methods in music lessons plans.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using KrKwic and semantic network using UCINET were performed with 126 music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by two class teachers and collected from March 2016 to February 2017. In addition, interview with two classroom teachers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list. First, words such as sing , songs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on applicability of semantic network as a mean of self-reflection tool, visual and objective evaluation tool ,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and actual practice of music activities , music concept reflected lesson versus fun lesson , difficulty of activity evaluation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n implication of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semantic network, which was used general analytic process of big data, as a mean of self-reflection tool.

      • KCI등재

        종단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그릿 사회화 과정 및 또래 공동체 의식, 교사 친밀성과의 관계 분석

        유주영(Yoo Joo Young),박진이(Park Jin I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grit and the effect of peer community and teacher closeness. Participants were third to sixth graders from 32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N=963, 47.4% girl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SIENA) was adopted to disentangle socialization process of grit.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select their friends based on similarity in grit (peer selection). Students with similar grit level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ended to form cohesive peer groups at the end of the semester. Grit is more related to self-control and future-orientation based on individual student goals rather than a result of social learning. Also, peer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rit at the end of the semester. In contrast, teacher clos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This finding indicated that peer context plays a crucial role in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highlighted the peer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of grit and discussed the role of peers in academic adjust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의 사회화 과정을 탐색하고 학급수준에서 또래 공동체 의식, 교사 친밀성의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년 학생 963명, 총 32학급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Rsiena 1.2-12를 사용하여 종단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또래선택효과가 나타났다. 학기 초 그릿수준이 유사한 학생들은 학기 말에 응집적인 또래집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학기 초 또래 네트워크는 학기 말 그릿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릿이 사회적 학습의 결과이기 보다는 학생 개인의 목표에 기초한 자기통제 및 미래지향성과 관련이 높음을 시사한다. 셋째, 또래공동체 의식은 학기 말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교사 친밀성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친밀성 보다 또래 맥락이 학업적 동기와 사회적 발달에 핵심적 영향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그릿의 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또래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적 적응에 미치는 또래공동체 의식의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