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권별 유보통합 관련 사회적 담론의 의미구조 분석: 1982년에서 2016년 사이를 중심으로

        이정욱 ( Lee Jeong-wuk ),류승희 ( Ryu Seung-hee ),임수진 ( Lim Soo-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Language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신문기사에 나타난 유보통합과 관련된 사회적 담론을 각 정권별로 분석하여 의미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진흥법이 제정된 1982년부터 박근혜정권기인 2016년까지 국내 5개 종합일간지에서 보도한 유보통합 관련 기사 전문 101개를 대상으로 KrKwic과 UCINET NetDraw를 사용하여 핵심어를 도출하고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핵심어 간 의미구조를 나타내는 연결망 분석을 시도한 결과, 유보통합은 정부에 따라 ‘일원화’, ‘통합’, ‘유보통합’과 같이 다른 용어로 표현되었으며 각 정부에서 추진하고자 한 유아교육 정책, 당시 사회적 상황들과 관련하여 사회적 담론으로 논의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둘째, 통합의 요소로 언급되는 ‘법’, ‘행정부처’, ‘재정’, ‘교사’는 신문기사를 기초로 한 사회적 담론에서도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유보통합이 점차 보편적 복지의 성격으로 논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성공적인 유보통합을 위해서는 유보통합의 근원적 목적을 뚜렷이 하고, 보편적 복지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안정적인 재정 확보가 우선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newspaper articles on Integration of ECEC in each presidential regime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explain the meaning in the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ECEC. From 1982 to 2016, 101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rranged for analysis. Using the word analysis program KrKwic and the network analysis program UCINET NetDraw, 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extracted and the connection patterns of the key 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on of ECEC’ has been expressed in other terms such as ‘Unification’, ‘Integration’ and 'Integration of ECEC’ according to the regime. There was a tendency to be discussed by the social discourse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pursued by each regime and social issues. Second, ‘law’, ‘administrative ministry’, ‘finance’, and ‘teacher’, which were referred to as elements of Integration of ECEC, were also important to social discourse based on newspaper articles. Third, an approach to Integration of ECEC has been expand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welfare. In order to successfully approach Integration of ECEC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main purpose of Integration of ECEC should be clear, the direction of universal welfare should be established, and stable finance should be given priority.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주제와 활동의 연계성 분석

        이정욱 ( Jeong Wuk Lee ),박진이 ( Jin 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betwee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age 5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books for the 1st grade integrated subjects in terms of the themes and the activities. The subjects for analysis were the structure of the them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heme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and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the themes in both teachers’ guidebooks differed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 of the themes in the Nuri guidebooks consisted of ‘life themes, themes, sub-themes, and main-contents’ while that in the first grade guidebooks consisted of ‘big themes, sub-themes, activity-them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ive of the 11 life themes in Nuri, Kindergarten and Friends, Spring.Summer.Autumn.Winter, My Family and Me, My Town, and My Country, were similar with 8 main themes such as Me and My School, Spring, Family, Summer, Neighbors, Autumn, My Country, and Winter in the first grade guidebooks. The degrees of the continuity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pring’ and ‘My Country’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were relatively low. In ‘Spring’ and ‘My country’, the level of activities of the first grade was mostly higher than that of the Nuri. However, there were some retrogressive activities in Nuri guidebooks. 본 연구는 동일한 주제로 통합교육과정을 구현하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주제 및 활동수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와 통합교과 지도서의 주제 구성체계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지도서는 생활주제에 대한 내용 중심으로 생활주제-주제-소주제-주요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통합교과의 주제는 대주제-소주제-활동주제-성취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리과정 지도서의 5개의 생활주제 ‘유치원과 친구, 봄.여름.가을.겨울, 나와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는 통합교과 지도서의 8개의 대주제 ‘학교와 나, 봄, 가족, 여름, 이웃, 가을, 우리나라, 겨울’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생활주제와 대주제 차원에서는 주제명이 달라 연계되지 않더라도 하위에 있는 주제/소주제, 소주제/활동주제 차원에서 연계가 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둘째, 공통적인 주제인 ‘봄’과 ‘우리나라’에 나타난 주제 내용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일부 주제 내용에서 누리과정 지도서의 내용이 통합교과 지도서의 내용보다 심화·확대되어 계열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봄’과 ‘우리나라’ 활동수준의 연계형태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과 지도서의 많은 활동이 누리과정 지도서 활동보다 심화 및 확대된 연계형태로 나타났으나 일부 활동은 누리과정 지도서의 활동수준이 더 높은 역행 형태를 보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분야 R-러닝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이정욱(Lee, Jeong-Wuk),이소정(Lee, So-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R-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분석을 통해 R-러닝이 고유한 정체성을 확보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행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1월부터 2013년 4월까지의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학술지 논문 45편을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R-러닝 관련 연구의 내용 경향과 방법론적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연구주제는 교육과정 및 R-러닝 프로그램, 교사교육, 발달 및 심리와 관련된 주제가 R-러닝의 테크놀로지나 교수ㆍ학습방법 관련 연구에 비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R-러닝의 개념에 대해서는 초기에는 로봇의 기능과 디지털 콘텐츠를 결합하여 교사를 보조하는 보조교사의 역할로 접근했으나 최근에는 R-러닝 실행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물리적 혹은 교사, 유아, 학부모, 원장 등 인적 자원에 대한 활용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여 정의하고 있었다. 또한 R-러닝의 구성요소에 대해 로봇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여 유아나 교사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에서부터 유치원, 학부모, IT 관련기기를 포괄하여 이해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연구 방법론적 경향 분석에서 연구대상은 유아,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졌으나 질적연구 역시 높은 비율로 이루어져 자료 수집방법에 있어서도 양적 연구와 관련된 실험과 질적연구와 관련된 관찰과 면담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은 양적연구를 위한 기술통계 및 차이분석과 질적연구를 위한 질적 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R-lear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R-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continue to move in desirable direction of R-learning. For this purpose, 45 research articles(from January 2002 to April 2013) in journals record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ntents trend as well as the methodological trend. The study also used frequency distribution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 research topic were usually focused on curriculum and program,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psychology instead of technology of R-learning and teaching method. 2) the definition of R-learning were extended from digit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the function of Robot as an assistance to application of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while practicing R-learning. 3) R-learning were composed of Robot, children, teacher, kindergarten, parents, and diverse IT application. in research contents trend. Second, 1)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children, 2) even though quantitate research were usually conducted tha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lso gradually were conducted, and 3) data analysis were usually u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연구

        이정욱 ( Lee Jeong-wuk ),박진이 ( Park Jin-i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을 사례로 하여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5년 4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약 3개월간 총 16차시의 수학수업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이 외에도 면담, 문서화된 자료 등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은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는 단 방향적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또래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은 특정 활동유형에 국한되어 드물게 이뤄졌으나 놀이 속에서는 비교적 활발히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1학년 수학수업에서는 인정하기와 칭찬을 중시하는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넷째, 1학년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에 국한된 의사소통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실제 교실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여 수업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first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We observed 16 math lessons in two first grade elementary classrooms for three month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have been drawn as follows: First, the vertical communication initiated by the teacher was most prevalent. It showed teacher-directed forms of discourse such as IRE and funneling patterns with some exceptions in one teacher`s lessons. Second,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ery little and occurred mainly in the play context. Third, the positive comments of acknowledging and praising were used, focusing on the first graders` emotional needs. The teachers thought the first graders were still young. Fourth, math talk in the classrooms heavily depended on the multimedia to arouse children`s interests. Lastly,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solely based upon the textbook. The teachers strictly followed the textbook sequence and the content without adjustments. Building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정욱 ( Jeong Wuk Lee ),박진이 ( Jin Iee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금년에 처음 실행하고 있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어린이집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 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총론에 제시되어 있는 편성·운영지침을 준수하여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어린이집 교사들은 하루 평균 4.98시간 동안 누리과정을 운영하며, 1일 1시간 정도의 바깥놀이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교사들은 창의·인성교육을 하루 일과 속에 통합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실시하는 비중은 누리과정 도입이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어린이집 교사들은 보육계획안을 작성하고 있으며, 주간보육계획안, 연간보육계획안, 일일보육계획안, 월간보육계획안 순으로 작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들이 연간보육계획안 작성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은 생활주제였으며, 다음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어린이집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연간보육계획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유아평가를 실시하는 비중이 누리과정 운영평가를 실시하는 비중보다 다소 높았다. 누리과정 운영평가의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유아 평가는 대부분 매일 또는 월 1-3회 실시하며 평가의 방법은 주로 관찰에 의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5 is being implemented appropriately in Seoul child care centers. Participants were 339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note first, that the teachers tended to follow the National guidelines in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utilized for an average of 4.98 hours a day as part of the daily program and the daily schedule offered outdoor play for 1 hour a day. The teacher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into the daily routine and emphasized good lifestyle habits as much or more in the Nuri curriculum than they did in the previous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Second, all the teachers made plans on how to teach and care for the children. The highest percentage of teachers wrote weekly plans, followed by writing yearly, daily, and monthly plans. The teachers considered themes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most frequently while creating their yearly plans. Lastly, the teachers evaluated children more frequently than they did the program and the teachers in public child care centers conducted more program evaluations than did teachers in a private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후보

        3 , 4 , 5세 유아의 크기비교 능력 및 전략

        이정욱(Jeong Wuk Lee),오애순(Ae Soon Oh)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4

        In this study of age differences in the correct judgment of relative size and size comparison strategies, 114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the relative size of 2 figures. Findings were that older children judged size comparison more correctly than younger children. The 5-year-old children used the strategy of superimposition more frequently than younger children, though children in all age groups most frequently used the strategy of one sided comparison with one side of each figure touching the other. The strategy in which one figure is put on top another with a general shape adjustment led most frequently to correct judgment of the relative size of 2 figures.

      • KCI등재

        단계별 유보통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정욱 ( Jeong Wu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단계별 유보통합의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통합의 개념 확대, 보편적 접근성, 그리고 유아교육·보육의 시장화 측면에서 현행 유보통합 논의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추진된 유보통합 방안은 상대적으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가 심각하게 상충되지 않는 사안들에 한하여 일부분이 진행되어 왔고, 재무회계규칙과 같이 이해관계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치는 사안들은 교착 상태에 빠져있어 향후 유보통합의 순조로운 행보를 예측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유보통합은 단순히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된 체계를 일원화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육·보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틀을 갖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보통합의 개념을 육아휴직이 종료되면 뒤이어서 기관의 교육·보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개념으로 확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단계별 유보통합의 제한적인 논의를 넘어서 모든 영유아가 양질의 유아교육·보육에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국가가 무상으로 지원하는 교육·보육과정 기본시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장기적으로는 영유아에게 교육·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부여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유보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민간시장 중심의 공급정책으로부터 국공립 중심 공급정책으로 전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National committee for ECEC integration was launched in 2014 and announced the three-phase plan for ECEC integration that would be carried out until 2016.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the three-phase plan of integration and discussed key issues of integration: the concept of integration, universal access, and market-led ECEC. The concept of integration is proposed to be expanded as one seamless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leaving no care gap between the end of parental leave and a child’s entitlement to an ECEC place. Since children do not have a legal individual entitlement to ECEC services in the current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gration ensures that ECEC services are universally accessible as a right and a free of charge.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marketization of ECEC and recommends to increase government provision of ECEC services to move more fully integrated new ECEC system.

      • KCI등재

        어린이집 만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의 누리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이정욱 ( Lee Jeong-wuk ),류승희 ( Ryu Seung-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식과 이를 결정하는 근거를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만 3~5세 혼합연령 2학급의 교사들이며,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실행하는지 단일도구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혼합연령학급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을 계획, 실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교육과정 계획 단계에서는 교사 간 협의에 근거하여 ‘올해 연간교육계획안 주제의 재구성’, ‘전년도 교육과정 소주제의 재구성’, ‘소주제를 조직자로 5개 영역 통합에 의한 재구성’, ‘연령별 누리과정의 수준별 재구성’의 방식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뤄졌다. 교육과정 실행 단계에서는 교사 개인의 판단에 근거하여 ‘유아들의 흥미를 따르기 위한 단위활동의 첨가와 삭제’, ‘개별 유아의 수준에 맞춘 맞춤 설계’의 방식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뤄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혼합연령학급에서도 교육과정 재구성이 다채롭게 이뤄질 수 있으며,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 협의와 교사 개인의 판단이 갖는 의미를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case study examines how ‘Nuri curriculum for ages 3~5’, as a national curriculum, is reconstructed in the multi-aged classes of 3~5 year old children.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two teachers of multi-aged classes for 3~5 year old in a child care cent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formal and informal teacher interviews, and documen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e multi-aged classes wa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planning stage, teachers conducted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teachers collaboration such as ‘changing the pre-planned annual themes based on children’s responses’, ‘reorganizing the previous year’s themes’, ‘integrating 5 areas of Nuri curriculum by the sub-themes’, and ‘reconstructing the age-based Nuri curriculum into a level-based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implementing stage,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based on the individual teacher’s judgement, expressed as ‘addition and deletion of unit activities to follow the interests of children’, and ‘unit activities customized for each child’.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way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discussed. Also, the meaning of both teachers’ collaboration and an individual teacher’s judgement i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 개발

        마혜진 ( Hye Jin Ma ),이정욱 ( Jeong Wu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은 시안개발단계, 수정안 적용 및 평가 단계, 최종프로그램 구성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의 기본방향은 영아기 정서의 중요성, 영아교사의 정서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사-영아의 사회·정서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목표는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통해 교사와 영아의 사회·정서적 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공감, 관계기술의 네 가지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며 전체 교수·학습과정은 인식하기, 조절하기, 공감하기, 관계맺기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회기별 교육진행 과정은 도입단계인 ‘마중’, 복습단계인 ‘돌아보기’, 학습단계인 ‘배워가기’, 적용단계인 ‘함께하기’, 마무리 단계인 ‘배웅’의 과정으로 매회기 2시간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은 대그룹으로 진행되는 강의, 발표하기, 소그룹으로 진행되는 토의, 현장사례토론, 워크숍, 역할극, 개별활동으로 진행되는 저널쓰기의 방법으로 구성된다. 교수매체는 시청각 자료와 인쇄매체로 교육내용 전달을 위한 교수매체, 교육내용의 이해를 돕든 교수매체, 교육평가를 위한 교수매체로 구성된다. 평가는 교사저널, 소그룹 토의 내용, 프로그램 평가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This study reports on a model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imed at improving the emotional competence the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The developmental process concerning proposal drafts and revisions, application and evaluation and the final reorganized model are discussed in detail. The final proposed in-service education program is outlined here. 1)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ants and toddlers emotions,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and caregiver-child socio-emotional relationships. 2)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improve caregiver-child socio-emoti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 enhancement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3)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rogram includes emotion awareness, emotion regulation, emotion empathy, and relationship skills. 4) The program is composed of eight sessions, and the entire teaching-learning course is conducted from cognizing to regulating, empathizing, and building relationships. 5)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e lecturing, presenting, debating, case discussing, role-playing, and writing journals. 6) Teaching-learning instructional techniques include audiovisual materials and printed documents to help the delivery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and its evaluation. 7) Program evaluation instruments utilize teachers` journals, small-group discussions, and program evaluation questionna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