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돼지, 닭 및 소유래 Staphylococcus hyicus subsp. hyicus의 staphylokinase 산생능

        박준서,박청규,Park, Joon-seo,Park, Cheong-kyu 대한수의학회 1997 大韓獸醫學會誌 Vol.37 No.2

        Staphylococcus hyicus subsp. hyicus strains isolated from pigs, chickens and cattle were examined for the production of staphylokinase after inhibition of staphylococcal proteases by two procedures with EDTA(disodium). In one, EDTA was added to the bovine fibrin-dog plasminogen agar medium in concentration of 0.07% and paper strips soaked in 2mg/ml soy bean trypsin inhibitor were then applied on the agar plates. In the other, paper strips soaked in 5% EDTA solution were applied on the bovine fibrin-dog plasminogen agar plates and the strains to be tested were then streaked at right angles with the strip. By these procedures, staphylokinase activity was detected in 8(88.9%) of 9 strains from diseased pigs and in 57(80.3%) of 71 strains from skin of healthy pigs, but not in any strains from skin of healthy chickens and milk samples of mastitic cattle. Additionally kinase activity in 9 Staphylococcus species and subspecies isolated from bovine intramammary infections was also tested by these procedures. Staphylokinase activity was detected in 74.2% of Staph aureus strains and in 25% of Staph xylosus strains.

      • KCI등재

        유사 공간구조로 조성된 신도시 보행 몰의 이용행태 특성 비교 분석 - 분당 서현지구의 동·서 보행 몰을 중심으로

        박준서 ( Park Joon-seo )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형태로 조성된 두 공간의 이용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분당 신도시의 서현 지구 내 두 보행 몰을 대상으로 물리적 및 행태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 Time Lapse Camera 기법과 설문조사를 공간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공간 모두 유사한 공간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변동 가능한 시설들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쪽 몰이 판매, 식음 및 주점들이 더 많이 입점하고 있었다. 2) 두 보행 몰 모두 단순한 이용행태를 보이고 있으나, 밀도와 이용행위의 정도에 있어서는 동·서 간에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동측의 이용밀도가 더 높고, 이용자수가 많으며, 이러한 차이는 야간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3) 두 보행 몰의 차이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서측보다 동측에 사람을 유인하는 시설이 많음으로 인해 이용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이 두 보행 몰은 공간의 물리적 구성은 유사하나, 세부 시설의 구성과 그 이용의 패턴에 있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공간임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ow people use two spaces, which had been constructed in a same time and have similar form. This study analyzed physical and behavioral phenomena of two pedestrian malls in Seohyun district, Bundang new town. I carried out field survey, time-lapse-camera method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rm of both sites are similar to each other but changeable facilities are different. The east mall have a lot more small stores, restaurants and bars then the west mall. 2) Both sites have simple behavioral pattern but their density of crowds and number of use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ime and each malls. The density of crowds of east mall is much higher than the west. These tendency of difference become more evident in night time. 3) The east mall have more frequently used facilities, so is more crowded than the west. As a result, the east and west mall are similarly structured spaces but differently characterized spaces by physical components and behavioral pattern.

      • KCI등재

        환경계획ㆍ설계를 위한 장소성 개념 연구: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비교 분석

        홍성희 ( Hong Sung Hee ),박준서 ( Park Joon Seo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장소성의 실천적 연구에 앞서 장소성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이다. 1980년대 장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많은 시간이 을렀으나, 현재까지도 장소성은 복잡하고 모호한 개념으로 남아 있으며, 용어 혼용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에 당면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주장된 장소와 장소성 개념에 대한 국내ㆍ외 논의들에 대한 고찰을 기본으로 장소와 장소성 개념을 정립하고 있으며, 더불어 현재 혼용되고 있는 장소성의 영어적 표현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와 장소성의 사전적 정의와 각 용어들이 국내에 사용된 시점과 내용들을 살펴보고, 제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종합ㆍ분석하여 장소와 장소성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유사 개념들과 제개념 간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각 개념들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장소성 연구의 혼란을 빚고 있는 장소성 개념의 모호성과 용오 혼용의 문제점,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혼용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두 용어의 사용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sense of place’를 장소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study is related establishment of concept for ‘sense of place’, prior to studying practical research. Even though it’s taken a lot of time since discussing the ‘sense of place’, the concept is not still obvious but complex and ambiguous. And use of the term mixed in with another term is causing confusion. So, this paper considers many other discussions that several scholars define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at home and abroad, in order to establishes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irst, we look into dictionary’s definition, process on introduction of ‘sense of place’ and scholars’s definition, Next, we compare the concept similar to ‘sense of place’ with ’sense of place’ so that definitize the concept. Finally, it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oncept’s of the concept’s ambiguity and use mixed in with the terms, ‘sense of place’ and ‘placeness’, that causing confusions in studying ‘sense of place’. We suggest that unify use of the term by comparing ‘sense of place’ with ‘plac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