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활사업의 참여만족도와 활성화방안 연구 : 김해시지역을 중심으로

        박종주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와 자활사업 활성화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립방안 모색과 자활사업의 성공적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남 김해시에서 주관하고 있는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사업 참여특성을 살펴본 결과, 자활사업 중에는 사회적 일자리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생계유지를 위해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가 가장 많았다. 또한 자활사업에는 2년 미만 참여한 참여자가 가장 많았으며, 자활근로 이전에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노력해 본 적이 있는 참여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구직을 위해서는 주변사람에게 부탁한 참여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자활사업 만족도 중에는 인간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참여소득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과 학력, 그리고 주거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 결혼 여부, 가족 수, 가정의 월수입, 건강상태, 그리고 종교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여자가 남자보다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가 높았고, 전문대졸인 참여자가 다른 학력 소지자보다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자활사업 참여 특성 중에는 사업단 유형과 자활사업 참여이유, 그리고 구직을 위한 노력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기간과 자활근로 이전 구직을 위한 노력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자활공동체 참여자와 생계유지를 위해서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 그리고 구직알선센터를 방문한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보다 자활사업 참여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자활사업 활성화 요소를 살펴본 결과, 자활사업 활성화 요소 중에는 월 인건비 지급액 인상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다음으로 참여유도 및 활력, 자활 성공자 배출과 삶의 질 향상과 의식전환 순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자활사업 활성화 요소에 대한 욕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과 학력, 가족 수, 가정의 월수입, 주거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활사업 참여특성 중에는 사업단 유형과 참여이유, 참여기간, 자활근로 이전 구직을 위한 노력, 그리고 노력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자활사업 활성화 요소 중에서 월 인건비 인상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을 볼 때, 현재 지급되는 자활급여 이외에 작업성과 및 사업성과에 따라 성과급제도의 도입뿐만 아니라 소득공제를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self-support programs with the program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possible ways of self-reliance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and on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self-support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articipants in self-support programs supervised by the city of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5.0,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he larg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kinds of programs that aimed at helping them find a job, and the greatest group took part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o make their living. The bigg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for less than two years, and the majority ever tried to find a job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And the largest group asked people around them for help for their job hunting.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ith the self-support programs, they weren't satisfied a lot with the programs. To be specific, they were most gratifi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participation. There were gaps among them in satisfaction with the self-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credential and the form of residence, which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ir age, martial status, family size, monthly family income, health status and religion made no differences to that. The women found it more satisfactory to participate in the self-support programs, and the junior college graduates found it more satisfactory to do that than the others.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here we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corporation, participation reason and the form of job hunting efforts, a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nd whether they ever tried to get a job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made no differences to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elf-support communitie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s to make a living and who ever visited placement agencies found it more satisfactory to participate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hird, as a result of seeking ways of revitalizing the self-support programs, they considered it most necessary to raise monthly personnel expenses,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thought that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The third biggest group thought that successful self-support cases should be presented, and the fourth greatest group put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llowed by the change of mind-set. They had a different opinion on how to dynamize the self-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age, academic credential, family size, monthly family income and the form of residence amo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he type of corporation, reason of participation,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rior job hunting efforts and the form of the effort made differences to that. Given the finding that they considered it most necessary to raise monthly personnel expenses to revitalize the self-support programs,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dynamize self-support programs. For instance, a performance-based pay system should be introduced in addition to current self-support allowances so that participants could be pai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ir own and programs, and income deduction should be enlarged.

      • 관절염 모델에서 백굴채전탕액이 척수와 척수 신경절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와 Substance P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종주 又石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Rheumatoid arthritis is an autoimmun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joint destruction and deformity. Currentl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supplemented with steroid hormone remains the major recommended strategy for its treatment. But long term treatment with these drugs may result in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ulcergenicity and renal morbidity. Because of these side effects, a more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 herb is desired to treat rheumatod arthritis. Herba Chelidoniie produces an analgesic effect similar to morphinis. This herb has been used as an anodyne, analgesic, antitussive. The alkaloids have a anesthetic effect on sensory nerve ending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Herba Chelidoniie, the extracts of Herba Chelidoniie treated in arthritic rat model.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were injected in the subcutaneous tissue of left foot paw of rats to induce arthritis. Herba Chelidonii extracts(HC) was administered immediately into the peritoneal cavity after CFA injection for 12 days. The spinal cord and ganglia were frozen sectioned(30㎛).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for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 and substance P in the L4, L5 and L6 spinal dorsal horn and ganglia were done, and the paw swelling was measured with a micrometer and the blood leukocytes were coun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w swelling of HC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12th day after CFA injection compare to control group. 2. The change of differential leukocytes counts of HC treated group increased the ratio of lymphocytes, and decreased the ratio of neutrophils compare to control group. 3. The extent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fiber of dorsal horn of HC treated group was weakly stained compare to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CGRP immunoreactive neurons of L6 spinal cord of HC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control group. 5. The extent of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rve fiber of dorsal horn of HC treated group was weakly stained compare to control group. 6. The number of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urons of L4, L5 and L6 spinal cord of HC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control group. Thes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Herba Chelidonii extracts reduce the number of CGRP and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urons and nerve fibers of spinal dorsal horns and ganglia, and decrease paw swelling in arthritic rat model, which may be closely related to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 Chelidonii.

      • 포항지역의 이암 특성 및 매립재 활용에 관한 연구

        박종주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이암을 가지고 실내시험 및 시험성토를 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암은 응력해방이나 수분공급에 따른 기계적, 화학적 풍화 등의 진행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는 흡수팽창 및 팽윤이 없으나 절토나 파쇄 등에 의한 응력해방 후 전단면을 따라 슬레이킹 및 흡수 팽창하여 연약화되기 때문에 암반 전체적으로 전단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이암 표면부분 부터 연약 세립화되어 수분을 흡수하면 점토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시 검토가 필요하다.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정지역과 특정심도에서 채취된 이암의 시험결과를 가지고 포항지역 전체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특성을 대표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된다. 2. 토취장 전역에 대한 시추조사 결과 및 시험결과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채취지역과 채취심도에 따라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성질이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포항 지역의 이암이 채취 지역이나 깊이에 따라서 고결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시추 주상결과로도 알 수가 있다. 포항지역의 이암을 도로나 항만의 성토나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위치에서 얻은 시험결과 보다는 전체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 있는 토취장영역 전 심도에 대한 샘플링 자료 등을 가지고 매립 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3. 현재까지 나타난 이암 매립재에 대한 시험시공 결과, 이암 매립지반의 침하량 산정을 위해 사석매립시 사용되는 침하량 산정식을 적용할 수 없고 새로운 산정식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 이암을 매립 후 다짐시험을 통해서 노체나 노상재료로서 시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천으로 인해 물이 흡수되는 경우, 스펀지 현상등 다짐도가 현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암을 성토재나 매립재료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혼합처리 공법 등의 개량공법을 적용하야 한다. 그러나 개량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계측 및 시험시공 등을 통한 검증을 거쳐 매립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한 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암재료의 경우, 성토 후 시방기준 이상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이암매립 성토재료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매립재료서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검증 후 매립재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이암을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장기 침하 특성에 대한 규명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행된 이암을 이용한 시험시공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관찰을 통하여 이암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fully examined the problem that may appear when they are used for reclamation, and presented the solutions, and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ir site application and constructibility in relation to whether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General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such as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their problems, and drill log, drilling specimen analysis, indoor test, submersion and collapse test, liquid/plasticity limit test, etc, were conducted with the mudston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at identified the problem of mudstone as the material for reclamation and considered the usability through the construc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as reclamation material - except for the structures that may allow the collapse beyond the limit determined by the specification after the filling - following the validation of its fitness through the observation of mudstone reclamation fill materials.

      • 매립재로서 포항 이암의 공학적 특성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

        박종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presents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reclamation. Based on the various analysis on its characteristic and its site application, We considered whether Pohang’s mudstone could be used as reclamation material and proposed the solutions. In order to achieve deep understanding of the mudstone, we executed many analysis and tests such as drill log, drilling specimen analysis, indoor test, submersion and collapse test, and liquid / plastic limit test. Based on the observation, the suitability of mudstone for reclamation are conside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we found that it is proper to use verified filling materials rather than the Pohang’s mudstone for reclamation when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additional construction process such as leave period.

      • HEVC 움직임 보상을 위한 2D 병렬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박종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UD(Ultra Definition)급 비디오 실시간 복호화를 위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2-D 병렬 움직임 보상기를 제안한다. HEVC 복호화기의 움직임 보상은 전체 복호화기 연산량의 약 49%를 차지하고 있으며, 초고해상도의 영상을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보간 연산 능력과 메모리 대역폭을 요구한다. 따라서 복호화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보간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의 병렬 보간 필터와 외부 메모리의 접근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사용 버퍼를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병렬 보간 필터는 많은 보간 연산을 처리하기 위해 8 탭 FIR 필터를 2차원으로 병렬화한 2단 파이프라인 구조로 설계하여 동시에 4x4 예측 블록을 생성하도록 고속화시켰다. 재사용 버퍼는 4x4 블록 보간 연산에 필요한 11x11의 참조 프레임 데이터를 병렬로 공급하기 위한 멀티뱅크 구조를 가지며, 움직임 벡터에 따른 중복적인 외부 메모리 접근을 최소화하기 위해 검색 영역간 재사용 기법을 사용하여 수평·수직방향의 중첩되는 참조 프레임 데이터를 재사용함으로써 외부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최소화시켰다. 제안하는 HEVC 움직임 보상기의 처리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tsmc 0.18um ASIC 공정에서 HDL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동작주파수 60MHz에서 UD급 동영상을 초당 50프레임으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In this paper,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2-D parallel Motion Compensation is designed for UD(Ultra Definition) video processing in real-time. Motion compensation is occupied for approximately 49% of total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e HEVC decoder. In order to process ultra high resolution video decoding in real-time, high performance of interpolation and bandwidth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VC decoder, we design high performance of parallel interpolation filter and reuse buffer reducing the external memory access. For this parallel filter architecture, 8-Tap FIR filter is parallelized, and a 4×4 block 2-D interpolation filter is designed with 2-stage pipeline. and also Reuse buffer having multi-bank architecture is designed to supply the 11x11 reference frame data to the 4x4 block interpolation. In order to reduce the external memory access from motion vector, the external memory access is minimized by using Search Area Stripe Reuse scheme which reuse reference frame data duplicated o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Proposed motion compensation unit for HEVC decoders is implemented using tsmc 0.18um ASIC process. It could deal with real-time video images of UD(4096×2160)@50fps at 60MHz.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종주 (지도교수: 이성기)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7,426명 중 전국 광역시 및 기초자치단체 245개 기관 중 10%에 해당되는 1,743명을 무작위 할당 표집을 통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로 총 1,743부를 배부하여 약 90%인 1,580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지 38부를 제외한 1,54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척도의 중간 값 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여자, 4년제 대졸, 8급, 보수교육을 받지 않고, 초과근무시간이 많은 공무원일수록 높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는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 50대, 대학원 재학 이상, 6급 이상 공무원이 높았다. 소진 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여자, 30대, 미혼, 4년제 대졸, 8급, 그리고 보수교육을 받지 않은 공무원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로 사용된 4개 변수 중에서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그리고 소망적 사고 추구가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망적 사고 추구의 상호작용이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소망적 사고 추구 대처방식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소망적 사고 추구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는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므로 직무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가 소진을 감소시키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자기관리 기술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조직 내 상사와 동료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망적 사고 추구 대처방식이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심리 상담과 정서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직무교육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복지전담공무원 Abstract Th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among Public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yle Park, Jong-Joo (Advisor: Lee, Sung-K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public social workers on their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job-stress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43 public official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quota sampling from 245 organs of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There were 17,426 public social workers in the country, and the subjects accounted for 10 percent of them.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e-mail, and the answer sheets from 1,580 public officials who approximately accounted for 90 percent were gathered, and the data from 1,542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38 incomplet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1.0,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mean score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was a little above the median value of the scale. The public social workers who were female, who were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hose grade was eighth, who didn't receive continuing education and who did a lot of extra work were under heavier job stress. The most common job-stress coping style was problem-focused one, and this style was more prevalent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in their 50s, who were receiving or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whose grade was sixth. The level of their burnout wasn't high, and the workers who were female, who were in their 30s, who were unmarried, who were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hose grade was eighth and who didn't receive continuing education were more burned ou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on their burnout, job stress exerci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rnout. Third, four variables were selected as the moderating variables, and burnout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problem- 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seeking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among the four variables. Fourth, whether the job-stress coping style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produced any moderating effects when their job stress affected burnout was analyzed. As a result, interaction between job stress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 and wishful thinking seeking produced moderating effects. In other words, the public social worker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ere less burned out because of job stress when they sought after wishful thinking more. In addition,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seeking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o reduce burnou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how to relieve the job stress of public social worker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s their burnout was under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mong the job-stress coping styles,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served to decrease burnout. Therefore self- management education and appropriate relat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public social workers to manage themselves, and they should be allowed to have a sufficient chance to boost their bond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Since wishful thinking seeking was found to have been effective at alleviating burnout, psychological counseling should be offered, and the kind of programs that aim at bolstering emotional stability should be developed. Besides, on-the-job train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m not to suffer from job stress, and counseling programs also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manage themselves without having any adverse impact on their organizatio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job-stress coping style as a way to relieve the burnout of public social workers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these public officials is increasingly stressed to ensure the superb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Key words: Job stress, burnout, job-stress coping style, public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