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구성선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 구 성 선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수학습 전공 (지도교수 권 성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 도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 준 인식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의 질 제고와 음악교과의 교수역량 신 장을 위한 현직 단계에서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은 개인특성(성 별, 학위별, 교직경력별, 실습지도경력별) 및 재직학교의 특성(학교설립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의 절차는 크게 다음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과 음악교과 교수자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 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역량을 잠정 도출하였다. 둘째, 잠정 도출된 역량

      • 한국대학의 골프 학과 교육과정 연구

        가멀러브 파루후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한국 대학의 골프교육도 새롭고 선진적인 방 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과 재능을 키우고,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며, 나아가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육 성하여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교육이다.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골프교육도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다음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원칙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이다. 최신 기술 및 트랜드 반영에서 골프는 기술과 트랜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분야이 다.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최신 기술 및 트랜드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현업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전공 및 융합 교육에는 골 프 산업은 클럽 운영, 경영, 기술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이뤄져 있다. 교육은 이러한 다양성을 반영하고, 학생들이 전문화된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실무 경험 강화 교육에는 이론 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이 부여되어야 한다. 산업체와의 협력,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실제 업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시장에 대한 역할에서의 골프는 국제적인 산업이기 때문 에 학생들이 글로벌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국제적인 시각을 갖춘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인성 및 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서의 골프 교육은 인성과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에도 주력해야 한다. 골프는 개인 기술뿐만 아니라 스 트레스 관리, 팀워크, 리더십 등 다양한 미래의 리더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자막으로 연구 및 혁신을 통한 발전 방향에서의 대학은 연구와 혁신을 통해 골프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기 술을 개발해야 한다.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문제에 대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별 골프 학과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골프 교육을 발전시키고, 이들 대학의 골프교육을 개선할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용인대학교, 호서대학교, 중앙 대학교, 중부대학교가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교과목을 개선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프로그램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 의 골프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각 대학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상세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골프교육은 더욱 전문적이고 구체적이 될 수 있 다. 둘째, 골프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은 각 학과와 대학 간의 연계가 있어야 한다. 연 계성을 갖춘 골프교육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이어진다. 셋째, 학교와 국내외 골프 산업을 연결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골프교육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이는 졸업 후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조치는 미래에 고급 골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차별화된 전 문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분야의 인재 양성이 가능해지며, 이는 골프교육이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 2015학년도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효과성과 타당성 평가 연구 : 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안수진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평가를 실시하여 합리적인 논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대입전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인과모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평가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근혜정부의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은 전체적으로 평가할 때 학생․학부모의 부담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에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교육주체가 대입전형의 간소화보다는 여전히 복잡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정책목표 달성에 실패한 정책이다. 그 근거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015학년도 대입전형제도의 복잡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사 77.4%, 학부모 42.6%, 학생 39.5%가 여전히 대입전형제도의 복잡하다고 인식하거나 오히려 복잡성이 증가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5학년도 대입전형제도의 간소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교사 60.3%, 학부모 45.8%, 학생 55.8%가 간소화 되었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학년도 각 전형별 간소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기 위주 전형(37.8% 응답비율은 편의상 각 교육주체(교사․학부모․학생)의 긍정적 응답 비율의 합에 평균 비율을 반영하였다. ), 특기자 위주 전형(36.5%), 학생부 종합 전형(31.6%), 논술 위주 전형(15.6)에서 평균에 못 미쳐 간소화 정도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나 박근혜정부의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효과성이 미비하여 교육주체가 대체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교육주체의 평가에 근거하여, 박근혜정부의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은 ‘학생․학부모의 부담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박근혜정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정책 범주별 효과성 평가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입전형에 관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인식한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종합적인 정책집행 효과성은 수능 위주 전형(3.04점)>학생부 교과 전형(3.02점)>논술 위주 전형(2.72점)>학생부 종합 전형(2.68점)>실기 위주 전형(2.66점)>특기자 위주 전형(2.58점) 순으로 효과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수능 위주 전형과 학생부 교과 전형은 교육주체 부담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여전히 전형기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다양한 대학별 전형명과 전형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학생부 종합 전형은 오히려 교육주체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교육을 통한 대비가 힘들어 사교육비 증가를 유발하는 논술 위주 전형과 실기 위주 전형, 특히 특기자 전형은 교육주체 부담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입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대입제도에 관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인식한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의 종합적인 효과성은 대입 간소화, 공교육 정상화, 교육주체 부담 완화, 계층 간 불평등 해소,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실현 등의 효과성이 대부분 효과 없음인 3점 미만 수준이기에 교육주체 부담 완화와 공교육 정상화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전형방법 수 제한 정책은 거의 효과가 없거나 다소 낮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수시지원 과정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대입전형으로 인해 교육주체가 느끼는 복잡성과 부담이 여전하거나 오히려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능-EBS 연계 정책은 매우 미세한 효과가 있거나 효과가 없다고 나타났는데 사교육 대체 효과가 있다고 인식한 학부모와 본인들의 부담 완화에 별로 효과가 없다고 인식한 교사를 통해 정책집행 결과에 대한 교육주체별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집 시기 개선 정책은 교사는 높은 간소화 효과를 인식했지만, 학부모와 학생은 수시 지원에 있어 선택과 기회가 줄어들었다는 상대적 박탈감으로 낮은 효과성을 인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형방법 수 제한 정책은 미미한 효과나 다소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사교육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특기자 전형과 학생부 종합 전형 시행이 공교육 정상화를 저해하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능력에 의한 교육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교육주체의 부담을 오히려 증가시킨다고 분석되었다. 다만, 모집요강 발표 시기 정책은 종전의 늦은 모집요강 발표 시기와 잦은 변경으로 인한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진로진학설계와 안정적인 대입전형 준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수능성적 반영 완화 정책도 미세한 효과성을 나타냈으나 수시 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 우선선발 방식, 그리고 논술고사가 초래한 학부모 사교육비 부담과 사회적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학에 권장이나 유도가 아닌 좀 더 강력하게 정책을 집행할 필요가 있다. 사회통합 기여 정책은 다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어려운 지역적․경제적․계층적 여건으로 인해 교육 기회를

      •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복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복순 지도교수: 김대길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 및 직무만족 하위변인과 각각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 크기는 급여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관계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만족 하위요인 중 관계 만족과 직업 만족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영향 크기는 관계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급여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를 부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가 있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경로에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 하위변인 중 관계 만족 과 직업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폭력피해 예방 정책 입안 시 우선순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가 폭력피해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또한 직무만족을 덜 약화시킨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는 이용자 가정이 근로 장소인 관계로 폭력피해 발생 시 대처가 쉽지 않다.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별, 지역별로 구분 하여 폭력피해 예방, 대응, 사후관리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 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인권을 보호 하고, 사회적 지지 연계로 직무만족을 느끼며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가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직하지 않고 돌봄 직종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예방과 대처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의 사후관리를 위한 상담 및 치료 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 실태 파악 및 지원 을 함으로써 장기요양요원으로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여섯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연 계를 위한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일곱째, 폭력성향이 있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맞춤형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폭언, 폭행, 성희롱 등의 예방 및 대처가 가능한 특화된 요양보호사를 양 성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 로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에도 불구하고 방문요양보호사에 대한 확률표집이 아 닌 비확률표집의 연구결과 도출에 대한 일반화라는 연구의 한계를 제시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확률표집의 연구 및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용형태를 제안 한다. 주제어: 방문요양보호사, 폭력피해 경험, 직무만족,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한국 제품 구매의도 및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산동성 하택시(菏澤市)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병장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중국 본토 대학생들의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한국 제품에 대 한 구매의도와 한국 방문의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 대학생들 의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기업에 시장 정보를 제공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류 문화 제품이 중국 대학생 소비자 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어 한국 기업이 제 품 포지셔닝과 브랜드 구축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확보하며, 한중 문화교류를 촉진 하는 데 기여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산동성(山東省) 하택시(菏澤市)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 및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K-콘텐츠 중에서 K-푸드, K-화장품, K- 영화 및 드라마, K-게임이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특히 K-게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K-음악은 한 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국 방문의도 측면에서는 K-음악, K-푸드, K-화장품, K-게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K-게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K-영화 및 드라마는 한국 방문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는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콘텐츠 중 K-게임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들의 한국 제품 구매 및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에서는 혁신적인 게임 경험을 강조하고 지역 문화와 결합하여 창의성과 트렌디한 플레이 방식을 갖춘 게임을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K-음악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음악이 주관적 이며 선호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마케팅은 소비자를 보다 더 세분화하여 주요 문화체험 방식을 이해하고 관련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홍 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K-영화 및 드라마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소셜미디어 의 성장으로 대학생들이 실시간 여행 경험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 라서 한국 방문의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인 플루언서와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창작 콘텐츠를 유도하며,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 해 한국 문화를 전시해야 한다. 넷째,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가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를 확인했다. 한국 제품 구매는 사회적 행위로써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사회적 네 트워크를 형성하여 방문의사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마케팅 전략에서는 제품의 사 회적 속성을 강조하고 사용자 참여를 장려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K-콘텐츠, 한국 제품 구매의도, 한국 방문의도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he perception of K-cont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mainland Chin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product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arket information to Korean companie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was emphasized. Furthermore, by uncovering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ultural products on the Chinese college student consumer group, we aimed to contribute to helping Korean companies secure empirical data for product positioning and brand building, and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awareness of K-conten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among college students in Heze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mong K-contents, K-food, K-cosmetics, K-movies and dramas, and K-game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n particular, K-games had the most influence. However, K-music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n terms of intention to visit Korea, K-music, K-food, K-cosmetics, and K-game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In particular, K-games were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K-movies and dramas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intention to visit Kore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wareness of K-games among K-cont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purchase and visit inten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in marketing strategies to emphasize innovative gaming experiences and promote games with creativity and trendy play styles combined with local culture. Second, K-music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ecause music is subjective and preferences can vary. Therefore, cultural marketing must further segment consumers to understand major cultural experience methods and effectively promote related content. Third, K-movies and dramas did not affect visit intention, which may be because the growth of social media makes it easier for college students to obtain real-time travel experiences. Therefore, in cultural promotion, social media should be actively used, user-created content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cooperation with influencers, and Korean culture should be displayed through real-time interaction and visit intention should be increased. Fourth, we analyzed the results showing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Purchasing Korean products is a social activity and can increase intention to visit by forming a social network with common interests. Therefore, marketing strategies should emphasize the social nature of products and encourage user participation.

      •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 내러티브 연구

        김미자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 내러티브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김미자 지도교수: 최경애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research)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 다. 연구 목적은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 를 파악하고,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셋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유아 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다. 사 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의 연구 필요성 및 목 적을 바탕으로,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 히기 위해 집중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 애 경험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장의 역할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탐색한 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장 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한다. 연구 문제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립유치 원 원장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지원 방 안 마련,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원장의 역할 강화 방안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세계와 의미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 고, 그 의미를 당사자들의 주관적 세계 속에서 해석해 나가는 연구 방법이다. 연구 주제에 대한 참여자들의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나눌 수 있으며, 사회·문 화적 측면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시간과 사회적 존재로서 의 경험이 스며져 있다.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반영하여 본 연구의 주제인 사 립유치원 원장의 유아교육 정책의 변천에 따른 유아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참 여자 5인의 생각과 경험은 어떠한지 이야기를 통해 의미를 연구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나, 유치원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 둘, 유치원 교사로서의 경험과 성장, 셋, 유치원 교사 생활에서 겪은 어려움, 넷,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경험, 다섯, 유치원 정책 변화 에 대한 경험, 여섯, 원장 이후 삶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유치 원 원장이 되기까지의 과정의 인터뷰한 결과는 유아 교사가 되기까지의 계기,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유치원 교사가 된 후의 성장과 경험, 유치원 원장이 되 기로 마음먹기까지의 과정으로 유목화되었다. 연구 참여자 등의 유치원 교사 로서의 경험과 성장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근무환경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적은 급여와 일정 하지 않은 출퇴근 시간 등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며, 둘째, 업무환경의 어려움 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자료를 직접 제작하고, 아이들의 돌봄과 교육을 담 당하는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교육을 통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성장을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 참 여자들은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과정 파악의 어려움, 교사로서의 전문성 수준 하향,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한 교사로서의 전문성 하락 등으로 인해 다양한 어 려움을 겪고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유치원 원장으로 도전하게 된 계기 및 과정은 서로 각기 다른 계기와 시점, 사회 분위기 속에 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원장으로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 브 결과는 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교육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을 책임지고 이끌어 갈 원장의 지도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원 장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을 폐원한 원장들은 이후 다른 유치원의 임용 원장을 하거나 은퇴 이후 의 삶을 살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아교육 분야에 이바지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 고 이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교육 철학과 가치관, 그리고 유치원 교육에 대한 열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솔직하고 바람직한 연구가 향후 깊이 있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또한, 유치원 교사로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나아가야 할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육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주제어 : 사립유치원, 사립유치원 원장, 유아교육 과정, 유아 교육정책, 내러티브 연구 ABSTRACT Narrative Study on Teaching Life Experienc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Kim, Mija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questions through narrative research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ir meaning; second, to seek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eaching experience; and third, to explore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rough this, we motivate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support their growth. Based on the need and purpose of research on narrative inquiry regard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e research questions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re as follows. First, we explore how the rol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is form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his or her teaching experience. Second, we explore the meaning of the directo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experienc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 the aim was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the rol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or's role, and make suggestions on way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dire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is a research method that acknowledges the world of experience and meaning of research participants as it is and interprets that meaning within their subjective world. articipants can share more in-depth experiences about the research topic, and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narrative inquiry is steeped in the time and experience of being a social being related to human life. Narrative inquiry can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person's detailed story, life, experience, or the life of a few individuals (Creswell, 2007), so by reflect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we can reflect on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 sought to study meaning through stories about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The process of becoming a kindergarten teacher, two, Experience and growth as a kindergarten teacher, thre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life of a kindergarten teacher, four, Experience as a kindergarten director, five, Experience with kindergarten policy changes, six categories, and life after becoming a director were derive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process of becoming a kindergarten director were summarized as the opportunity to become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growth and experience afte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ecoming a kindergarten teacher, and the process of deciding to become a kindergarten director. Looking at w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about their experiences and growth as kindergarten teachers, the following common points can be found. First, due to the difficult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most of them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low wages and irregular commuting hours. Second, due to the difficult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kindergarten teachers produce educational materials themselve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The point is that you have to perform a variety of tasks. Third, we are striving to cultivate expertise and grow as teachers through various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kindergarten teachers a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due to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lowering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decreasing professionalism as teacher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Next, the reasons and processes that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take on the challenge of becoming a kindergarten director were found to have occurred at different times,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social atmospheres.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about the experience as the director of a private kindergarten show that in order to carry out a curriculum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who will take responsibility and lead the kindergarten can be seen as important, and that awareness and efforts about the role of the director are necessary. It appeared that he was think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directors who closed kindergartens still want to live a life contributing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re making efforts to do so, even though they are appointed directors of other kindergartens or are living a post-retirement life. Through research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values, and their passion for kindergarten education. I hope that honest and desirable research by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ill be conducted in depth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a kindergarten teacher, it is not easy to constantly think about and suggest an educational direction to pursue, but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In addition, as a kindergarten teacher, it is not easy to constantly think about and suggest an educational direction to pursue, but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 KEY WORD : private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arrative research

      • 무용/동작치료가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효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중국 경제의 발전과 세계 문화가 중국에 폭넓게 전파됨에 따라 해외에 서 유학하는 중국 유학생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도 적지 않다. 중국인들의 외국 유학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에서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은 적응문제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과 직면하게 된다. 한국의 중국유학생들은 대학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것 이외에도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회적인 가치관의 차이를 받아들여야 하며 특히 자신에게 고착되어 있는 지금까지의 중국문화를 뛰어넘어 다방면의 새로운 사회, 문화적 환경에 적응해야하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다. 본 논문은 중국유학생들 대상의 무용/동작치료가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유학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 충청도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 중 참여의지가 있는 36명을 선별하여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 검사를 진행한 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 18명과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 18명으로 구성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변화를 사전, 사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전검사에서 평균 15.75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14.9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통제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평균 15.88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20.17로 오히려 평균이 4.29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재한 중국유학생의 우울과 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그룹으로 함께 진행하면서 새로운 환경의 적응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긴장을 이완시키고, 자신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그룹의 성원들과 함께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경험한다는 점에서 참여자들에게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되며, 참여자들 간의 접촉은 그 동안 긴장되어 있거나 방어했던 자신의 정서를 느끼는 대로 표현하고 자기 수용을 통해 회복시키는 계기가 되고, 새로운 환경에서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감소시키며,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장인숙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 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치유학과 장인숙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에 급격한 변화로 생활 방식을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시켰으며, 식사 주거, 여가, 자녀 교육 등 가족 생활부터 외부 활동까지 사회적인 모든 영역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불러왔 다.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조성하고 특히 도심 내 의 공원과 초록 지역에 관한 관심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려는 욕구를 끌어올렸다. 구글의 스마트폰 위치정보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2월 평균 공원 및 녹 지공간 이용 빈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3월 말에는 51.0%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plan & Kaplan(1989) 및 Kaplan & Talbot(1983)의 연구와 김기원(2006)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며, 자연환경이 심리적 안정과 회 복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 종사자들은 여전히 갑질 문제와 관련된 고충을 겪고 있으 며, 이 중 경비원들은 특히 입주민으로부터 비인격적인 대우와 폭언, 모욕 등 을 당하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그들 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저하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주택 중 공동주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 는 상황에서, 공동주택 내 종사자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들은 주택 관리 업무뿐만 아니라 입주민을 위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에 따라 인간관계의 복잡성, 시간적 제약, 유지보수 부담, 법률 및 규정 준수와 같은 심리적 부담을 겪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동주택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 내용은 공원녹지 이용 형태, 사회적 특성 그리고 여가 만족도,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경로 분석과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모델적합도, 타당도 검증, 기저 모델과 제약모델 간의 적합 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가설1] 심리적분리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 결과 [가설 2]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분리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 이 정(+)의 영향[가설 3]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분리가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 4]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회복탄력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5] 은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미치 는 영향 관계를 정규직 비정규직 조절 효과[가설6]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비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정규직은 일자 리 안정성과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공원녹 지 여가만족과 회복탄력성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비정규 직은 일자리의 불안정성과 급여의 불규칙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이와같이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으 나 비정규직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규직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 을 맡을 가능성이 큼으로 업무 부담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 러한 업무 압박은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이 다. 심리적 분리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 효과분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관 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경 로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감소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을 통해 공원녹지와 자연환경의 이용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지역 주민의 심리적분리와 회복탄력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는 것을 분석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이 도시계획 및 공공정책 수집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 공하는 데 일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공동주택 종사자, 공원녹지, 여가만족, 심리적분리, 회복탄력성, 직무 스트레스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기결정성 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통합관점

        김주영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있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자기결정성 이론의 하위요인 중 무동기,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와 계획된 행동이론의 하위요인으로 참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참여의도, 참여 간의 직접효과를 규명하였다. 둘째, 무동기,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와 참여 간의 영향 관계에서 참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참여의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육부가 인정한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선정하여 유효 설문지 35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동기는 참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동기는 참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참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규범은 참여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행동통제는 참여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의도는 참여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각된 행동통제는 참여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무동기와 참여 간의 영향 관계에서 주관적 규범, 참여의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부(-)의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동기와 참여 간의 영향 관계에서 지각된 행동통제는 정(+)의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태도 조성을 위한 동기부여 전략, 사회적 지지 강화, 자원봉사활동 접근성 및 참여 장벽 감소, 그리고 자원봉사 중요성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치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증진하고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외재적 동기부여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인센티브 제공, 공식적인 인정 및 보상 체계 마련, 자원봉사활동과 학업 성취 또는 경력 발전과의 연계 강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이를 통해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기여를 촉진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자원봉사활동이 개인적인 만족감과 성취감을 줄 수 있도록 동기부여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더 깊이 관여하고, 더 큰 개인적 및 사회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 내에서 자원봉사활동이 긍정적이고 중요한 행동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학우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선배들의 모범, 그리고 교육 기관 및 사회적 리더들에 의한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격려와 지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은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지각된 행동통제가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봉사활동을 접근하기 쉽고 참여에 더욱 용이하게 만들어 대학생들의 참여의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여섯째, 참여의도가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원봉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개인적 성장의 기회로서의 가치를 홍보하여 학생들의 참여의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일곱째, 지각된 행동통제가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자원봉사활동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참여 장벽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덟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촉진을 위한 제언은 내재적 동기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참여의도를 증진시키며 행동 통제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는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더 쉽게 참여하고 그 활동을 지속하도록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고등학생 진로진학의사결정 분석 연구 : 인천광역시 일반고 3학년 학생 중심으로

        배성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진학의사결정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진로진학교육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직업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대학 및 전공(학과)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대입전형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재학 중인 일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13개 학교를 임의 표집 하여 총 39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1주일 후에 회수하여 미 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후 나머지 327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2014 학교 진로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자체 제작한 설문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대계열(문‧이과) 및 중계열(인문‧사회‧교육‧자연‧이공‧의약‧예체능), 직업, 대학 및 전공(학과), 대입전형 등의 결정에 있어서 본인의 실제 결정시기 및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시기, 고려 사항, 도움 받은 사람과 학교 진로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미결정 사유 등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시기와 관련하여 실제 본인이 결정한 시기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진로진학의사결정 시기에 있어 차이기 있었다. 즉, 실제로 고등학교 입학 후 1학년과 2학년을 거치면서 진로진학의사결정을 했으나, 그 보다 일찍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부모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대학 및 전공(학과) 결정에서 부모님의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반면, 대입전형 결정과 관련해서는 학교 담임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제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전공(학과) 결정에서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 결정과 대입전형 결정에서는 각각 학업능력과 교과 성적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학교 진로활동 프로그램 중 진로심리검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특히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과정에서는 진로심리검사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반면, 대학 및 대입전형의 결정에서는 진로상담의 영향을, 전공(학과)의 결정에서는 동아리 활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이 진로진학의사결정을 미루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몰라서, 특별히 하고 싶은 것이 없어서, 성적이 너무 낮아서, 구체적인 꿈이 없어서 등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진로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 진로진학교육이 나선형으로 재구조화 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진로선택기에 적합한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에 전문성을 갖춘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증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기적인 진로진학의사결정 실태에 대한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career and education decision making of 3r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i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we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ries First,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of a Liberal Arts Track or a Natural Science Track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Secon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regarding future careers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ir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in relation to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Fourth,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with regards to vari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 methods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3rd grade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in In Cheon. The questionnaire of 390 copies was distributed in 13 schools. After removal of dishonest questionnaires and surveys which were not received after one week, the remaining 327 par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referenced with a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the Career Education Survey of School as a reference in 2014.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career decision making time, considerations, a person and a school career program, job, university department and majo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gap between the actual decision making time and the ideal decision making time. Most high school students decided their career during 1st grade ~ 2nd grade. Second, students are most affected by parents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Specifically, the decision of a liberal arts, natural science, or a vocational decision, was found to have received the most help from parents in reference to the decision of university and major(the Department). On the other hand, in conjunction with the university admission method, the decision was found to be affected most by the homeroom teacher and cram school teacher of the school. Third,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students made decisions based upon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Specifically, with regards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or occupation determination, students considered their interests and the suitability when determining the Department.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admission method and university decisions considered the school record and academic aptitude. Fourth,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career psychological test and career counseling in the school career activities program. In particular, they received the most help in the decis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disciplines. In the vocational decision process, they received a lot of guidance through career psychological tests. 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ng universities and university admission method, students were affected by career consultation. In their decision of University Department (Major), students were influenced greatly by club-activities and career-psychological test. Fifth, many students put off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e reasons are that they don’t know their interests or have low aptitude; they have a poor academic record or they have no specific dre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Second, school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be promoted by restructured into spiral. Third,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be customized for individual students on career choosing time. Fourth, is urgent need to promote the school's career and education counselor with expertise. Fifth, through the longitudinal study,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areer and education decision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