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질토 지반에서 흙막이벽체-지하공간 연속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종덕,유정선,김도엽,이석원,Park, Jong-Deok,Yu, Jeong-Seon,Kim, Do-Youp,Lee, Seok-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과 같은 수직굴착과 터널과 같은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굴착에 따른 지반 거동과 토압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굴착 단계별로 벽체 거동, 토압 변화, 그리고 지표 침하의 측정이 가능한 길이 160cm, 높이 120cm의 모형 토조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균일하게 조성된 사질토 지반에서 벽체에 임의의 변위를 가하고, 토압 변화와 지표 침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은 흙막이벽과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시공을 모사하기 위하여 흙막이벽 굴착을 모사하는 우측벽체 10개 및 지하공간 굴착을 모사하는 하부벽체 5개를 순서대로 거동시켜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벽체의 주동변위로 감소된 토압이 주변 벽체로 분담되는 아칭현상이 모든 벽체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연속되는 시공을 모사한 실험에서 phase마다 아칭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하부1단 벽체의 거동 시, 우측10단 벽체는 다른 경우와 달리 토압이 50%정도만 회복됨을 보였다. The ground movement and changes in earth pressure due to the consecutiv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and underground space were studied experimentally. A soil tank having 160 cm in length and 120 cm in height,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vertical excavation like retaining wall by using 10 separated right side walls and underground space excavation like tunnel by using 5 separated bottom walls.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and surface settlem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crease of earth pressure due to the wall movement can cause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of the neighboring walls proving the arching effect. Experiments simulating continuous construction sequence also identified arching effect, however only 50% of earth pressure was restored on the 10th right side wall due to the movement of 1st bottom side wall unusually.

      • KCI등재

        지하굴착 이격거리에 따른 흙막이벽체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종덕,안창균,김도엽,이석원,Park, Jong-Deok,Ahn, Chang-Kyun,Kim, Do-Youp,Lee, Seok-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지상구조물 건설을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이용하여 지하굴착이 이루어진 지역에 근접하여 새로운 지하공간이 신설될 때, 지하굴착과 흙막이 벽체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고 있던 토압의 변화 및 지표 침하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지하공간 굴착 단계별로 흙막이 벽체의 토압 변화 및 지표 침하를 측정할 수 있는 길이 160 cm, 높이 120 cm의 모형 토조를 제작했다. 실험은 균일하게 조성된 사질토 지반에서 하부 지반에 변위를 가하고, 수직한 흙막이 벽체의 토압 변화 및 지표면 침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은 인접한 지하공간 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높이별 토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모사하는 우측 벽체 10개 및 지하공간 굴착을 모사하는 하부 벽체 5개로 구성하고 하부벽체를 거동시킴으로서 지하굴착을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하부 1단 벽체의 거동 시에는 흙막이 벽체의 토압에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하부 3단의 경우는 지하 굴착이 흙막이 벽체와 충분히 이격되어 토압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하부 1단 벽체를 굴착한 결과, 우측 하단부 벽체 주변의 응력이 감소되고, 우측 중간부 벽체 주변으로 응력이 재분배되는 아칭현상을 증명할 수 있었다. The changes in earth pressure and ground settlement due to the underground excavation nearby the existing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underground excavation and retaining wall, were studied experimentally. A soil tank having 160 cm in length and 120 cm in height,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underground excavation like tunnel by using 5 separated bottom walls.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ages by using 10 separated right walls simulating the retaining w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th pressure was changed by the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however the earth pressur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the lowering of third bottom wall(B3) since B3 had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from retaining wall.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induced the decrease of earth pressure in lower part of retaining wall, on the contrary,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induced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in middle part of retaining wall proving the arching effect.

      • KCI등재

        Thiodiglycol를 분해하는 Cupriavidus sp.의 분리와 특성

        박종덕,김지천,윤기홍,Park, Jong-Deok,Kim, Jee-Cheon,Yoon, Ki-Hong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4

        탄소원으로 thiodiglycol(TDG)을 함유한 배지에서 농후배양하여 인삼토양으로부터 TDG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WS-32의 형태적, 생화학적,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이 Alcaligenes faecalis와 유사한 생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16S rRNA 서열이 Cupriavidus 속 균주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WS-32는 $33^{\circ}C{\sim}37^{\circ}C$, pH $6.0{\sim}8.0$에서 성장이 우수하였으며, TDG에 의해 성장에 약간의 저해를 받지만, 배양후기에서는 이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HPLC를 통해 배양액 내 잔존하는 TDG를 분석한 결과 2일 배양하였을 때 배지내 잔존하는 TDG가 상당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 WD-32의 균체 파쇄상등액은 TDG의 산화활성을 보였으며, pH 8.0과 $45^{\circ}C$에서 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다. A Gram-negative bacterium capable of degrading thiodiglycol (TDG), main hydrolysis product of sulfur mustard, was isolated from ginseng field in enrichment medium supplemented with TDG as carbon source. The isolate, WS-32, grew optimally at $30-37^{\circ}C$ and pH 6.0-8.0. It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genus Cupriavi연 on the basis of 165 rRNA sequence, while its biochemical properties were highly homologous to Alcaligenes faecalis. The cell growth of WS-32 strain was slightly inhibited on LB broth by TDG, but the maximum level of its growth was maintained stably in the presence of TDG. After incubation of inoculated LB medium or uninoculated LB medium containing TDG for 2 days, TDG amount of the culture filtrate was analyzed to decrease noticeably by HPLC. TDG and alcohols were also oxidized by cell-free extract of the isolate with maximum activities at pH 8.0 and $45^{\circ}C$.

      • 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울퉁불퉁 종아리, 터질듯한 다리통증 '하지정맥류'

        박종덕,Park, Jong-Deok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10

        가을은 단풍 산행을 위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계절이다. 등산은 심폐와 온몸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지만, 등산 전 몸 상태에 대한 점검 없이 무리한 등산을 할 경우 평소 약해진 다리 혈관이 늘어난 혈액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건강을 해칠 수가 있다. 더욱이 등산을 즐기는 중장년층이라면 종아리 근육의 탄력이 약화되어 정맥혈관이 확장되는 정맥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정맥류가 있는 경우라면 악화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외래어 및 그 표기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박종덕 ( Jong Deok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이 글에서는 외래어는 국어인가, 아닌가에 관련된 문제,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기준에 관련된 문제, 외래어의 표기 원칙에 관련된 문제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외래어가 국어인가, 아닌가에 대한 문제는 우리의 국어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누어온 기존의 분류를 인정할 것인가 폐기할 것인가에 귀결된다. 둘째,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기준에 관련된 문제 역시 국어의 어휘가 삼중 체계로 되어 있다는 설에 접맥되어 있다. 셋째, 외래어의 표기 원칙에 관련된 문제는 본질적으로 외래어를 국어로 볼 것인가, 외국어로 볼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글쓴이의 주장은 외래어는 외국어이며, 따라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들온말 표기법`으로 재정비되어야 하고, 그 경우 들온말은 적절한 국어로 순화된 말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만 원지음대로 과학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is thesis, discussion is focused on (1) whether loan words can be considered as Korean, (2) problems concerning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on between loan words and foreign words, and (3) the orthography of loan 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of whether loan words should be considered to be Korean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accept the traditional standard of differentiating and categorizing the Korean language into the native tongue, Sino-Korean and loan words. Second,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on between loan words and foreign words are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tripl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Third, the question concerningthe orthography of loan words should be answered in relation to whether loan words should fundamentally be regarded as part of the Korean language. The writer`s assertion concerning these questions are loan wordsare in essence a part of a foreign language, thus, the current standard of orthography should be revised to a new standard of "orthography for borrowed words," and then in principle, it should be refined into a conventional standardof Korean orthography, and only for exceptional cases, allowing it to be expressed in the original form according to systematic and scientific orthography standards

      • KCI등재

        「만인보」인물의 유형적 고찰

        박종덕 ( Jong Deok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본고는 「만인보」 전권을 분석하여 호명된 인물의 유형을 살핀 것이다. 「만인보」 전 30권에 약 4,001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음을 근거로 대략그에 육박하는 인명이 호명될 것이라 짐작만 할 뿐이다. 기왕의 연구 성과가 총체적 의미를 확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선행되었어야 할 연구였지만 「만인보」 전권이 소논문 연구에 적합하지 않을 만큼 분량이 방대하고, 25년에 걸친 출간 기간이 「만인보」 전권의 인물 연구가 지체된 원인이다. 본고는 시인의 말을 참조하여 전 30권을 대강 6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만인보」 제 1부(1권-9권)는 고향과 고향 부근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제 2부(10권-15권)는 70년대 사람들의 갖가지 초상을 그리고 있다. 제 3부(16권-20권)는 1950년대 전후를 묘사한다. 제 4부(21권-23권)는 1960년대 초 혁명 전후의 인간군상을 묘사한다. 제 5부(24권-26권)는 승려를 호명하고 있다. 제 6부(27권-30권)는 1980년대 사람들 중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희생자를 집중적으로 호명하고 있다. 「만인보」의 서사를 구성하는 전체 인물은 약 7,224명이다. 이 중에서 실명으로 파악되는 인물은 약 4,227명이다. 여기에는 사물도 포함된다. 사물을 인물의 범주에 포함한 이유는 사물이 서사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사람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역사를 사람을 통해 노래하는 「만인보」는 1980년대의 벽두에서 종료된다. 만일 「만인보」의서사가 오늘까지 이어졌다 하더라도 호명되는 인물의 질감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이 「만인보」의 현재성이요, 「만인보」에서 호명한 인물들이 지니는 의의이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all the books of “Maninbo” and studying the aspects of the portrayed characters. We can only guess that there should be names reaching the number of poems based on the fact that around 4,001 poems are included in a total of 30 books of “Maninbo.” Although this study should have preceded in order to ensure the general significance of research already published, the entire series of “Maninbo” is so extensive that it is not fit for the research of an article and it even took 25 years to complete the publication of the whole series. That is why the study of characters in the whole series of “Maninbo” has been delayed.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we divided the whole 30 books in the series into 6 sections and examined them thoroughly, referring to the poet’s comments. The first section(Book 1 to 9) is the story of his home and people living around there. The second section(Book 10 to 15) portrays a variety of figures in the 1970s. The third section(Book 16 to 20) describes the life before and after the 1950s. The fourth section(Book 21 to 23) portrays the various types of men before and after the military takeover in the early 1960s. The fifth section(Book 24 to 26) deals with Buddhist monks. The sixth section(Book 27 to 30) focuses on the victim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mong people of the 1980s.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rrative of “Maninbo” is approximately 7,224. Around 4,227 characters among them are mentioned under their real names. Things are also included in this number. Why we place them under the category of characters is they play important roles as much as human characters as elements of its narrative. “Maninbo”, singing human history through people ends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Even if the narrative of “Maninbo” continues down to this day, the texture of characters named in it would not be changed at all. It is the nowness of “Maninbo” and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s named in “Maninbo.”

      • KCI등재

        국어학 :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박종덕 ( Jong Deok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이 글에서는 인접하여 경계하고 있는 두 시기의 언어 현상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리라는 전제 아래, 고대국어 주격조사의 실현 양상을 중세국어의 것과 결부하여, 음운론적인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고대국어의 실체를 재구해내는 일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 난점 중의 하나가 바로 자료의 해독 문제로서, 고대국어를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모든 자료를 한꺼번에 낱낱이 다루어 해독하는 일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고대국어를 재구할 수 있는 주 자료인 향가를 대상으로 고대국어의 주격조사 실현 양태를 밝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 ㅣ(伊, 是)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조건: ·ㅣ(是, 伊)/C―·ㅣ(伊)/V―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정도: 수의적, 주격조사 미분화형 공존 이에서 보듯이,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국어에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반드시 실현되는 ㅣ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수의적으로 실현된다. 둘째, 중세국어에 존재하는 ``ㅣ라셔, ㅣ셔, 겨셔`` 등과 같은 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대국어 주격형에는 중세국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유형인 ``체언+조사`` 미분화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고대국어 시기에는 중세국어 시기에 비해 주격조사 표기형에 대한 의식이 뚜렷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대국어에서 보이는 ㅣ주격조사는 중세국어 ㅣ주격조사 발달의 동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writing, on the premise that language phenomena are intim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earlier times and later ones,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the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relation to those in Middle Korean. Particularly, in this writing, from a phonological perspective I have translated the process of the realization of nominative case in Middle and Ancient Korean. It is not easy one to reconstitute the facts of Ancient Korean. One of the challenges is to decipher Ancient Korean, which is a realistic difficulty, meaning deciphering in detail at a time all the data presumed to include Ancient Korean. In this writing, therefore,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regarding only Hyang-Ga which could be the main material to reconstitute Ancient Korean. The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ㅣ" of the Nominative was used in Ancient Korean as in Middle Korean. Second, while "ㅣ" of the Nominative was surely realized in Middle Korean under any circumstances, it was not in Ancient Korean. It was common in Ancient Korean for "ㅣ" of the Nominative not to be realized even when it should be. Third,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s fewer in Ancient Korean than in Middle Korean. ``irasyeo(ㅣ라셔), isyeo(ㅣ셔), gyesyeo(겨셔)``, etc, which were realized in 16th century, were not to be seen in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conclusion, the closer to Middle Korean it got, the more strictly nominative case was used. In contrast, nominative case was not still realized more often in Ancient Korean. It seems that the Nominative "ㅣ" in Middle Korean might have developed in the foundation of Ancient Korean.

      • KCI등재

        『만인보』의 인물 호명과 서사 진술 방식 연구

        박종덕(Jong deok Park)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본 논문은 『만인보』를 대상으로 인물의 호명 방식과 서사 진술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호명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호명은 성과 이름을 갖춘 형태로 이루어져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름 앞에 직업이나 직책을 두어 호명하는 방식은 독자에게 인물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그 사전 정보는 반전의 효과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별명으로 인물을 호명하는 방식의 장점은 인물에 대한 해학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과 인물에 얽힌 서사를 압축하여 전달하는 경제성이다. 다음으로 서사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는 논평 없이 사건만 서술하는 방식, 사건에 대하여 화자가 논평하는 방식, 인물을 통해 논평하는 방식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논평 없이 사건만 서술하는 방식에서 화자는 사건에 대한 객관적 기록만을 남길 뿐 사건에 대한 개입이나 전지적 논평을 시도하지 않는다. 이는 다성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사건에 대하여 화자가 논평하는 방식은 다성성은 소거되어 있으나 텍스트의 진술이 매우 명료하고 서사를 압축하며 화자가 지닌 세계관에 대하여 짐작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인물을 통해 논평하는 방식은 진술의 질감이 매우 교조적이라는 점이다. 작가가 직접 발화하는 형식을 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메시지 자체가 교훈적이라는 점은 자칫 『만인보』를 경직된 시선으로 응시하게 할 우려가 있다. In this article, based on Maninbo, we examined the method of mentioning characters and narration statement, regarding "the speaker with the viewpoint of the poet" without separating the author from the speaker. The greatest effect of mentioning one's occupation or position is the reversal. It turned out that readers was able to obtain advance information of a character through the occupation or position in front of the character's name and then the lexical meaning had a ironical effect in many cases. In case of calling a character his or her nickname, its advantage is that they can reveal a vein of humor of the character and deliver the condensed narration of the character economically. Next, we studied the methods of narration statement. As a result, we could categorized them as the way of narrating events without comment, the way that the speaker comments on the events and the way of commenting through a character. In the way of narrating events without comment, the speaker merely keeps an objective record of events and he does not try intervening in the events or making omniscient comment. It has an advantage of guaranteeing the diversity. In the way that the speaker comments on the events, diversity is eliminated, however, its merit is that the direction of statement in the text reveals the clarity, condenses the narration and enables you to assume the speaker's view of the world. The benefit of the way of commenting through a character is that the texture of the character's statement is very doctrinaire. Although the author tried not delivering the message rigidly by using his own narration, it is apprehended that Maninbo might be analyzed with a rigid view in terms that the message itself is instructive.

      • KCI등재

        시와 TV드라마를 활용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 방안 연구 -서정주 <자화상>과 tnN <미생>을 중심으로-

        박종덕 ( Jong Deok Park ),박상완 ( Sang Wan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현대사회에서 글쓰기는 하나의 소통으로 존재한다. 한 편의 글을 통해 이루어지는 소통은 저자와 독자,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를 한 차원 변화/발전시킨다. 특히 저자의 반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하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는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와 같은 현실적인 측면과 더불어 동시대를 되돌아보고 그 문제를 진취적으로 해결코자 하는 인문학적 모색이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시 <자화상>과 TV드라마 <미생>을 활용해 이러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현재의 자신을 되돌아봄에 있어서 그 문제적 현실의 원인을 과거에서 찾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가난과 부재로 대표되는 기성세대의 몰락이 바로 그것이다. 지금-여기의 자신이 있게끔 한 사회역사적 환경에 대한 탐색은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과거를 부정, 혹은 포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하는 자기 갱신의 과정은 시간성과 인과성을 바탕으로 한 서사로 표현된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통해 한 주체의 변화 과정은 당위성을 지니게 된다. 나아가 반성과 대안 탐색을 통해 구축된 새로운 자아의 모습은 절정의 순간 특별한 형식으로써 표현된다. 독자에게 저자의 성찰과 갱신은 필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때 만들어지는 공감대는 자아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쌍방 모두가 변화하는 동력으로 자리매김한다. 인간은 당대의 사회역사적 환경과 무관할 수 없다. 때문에 자신을 돌아본다는 것은 결국 나와 세계를 변증법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자아 성찰적 글쓰기는 바로 이러한 반성을 통해 만들어지는 대안을 신 주체로써 그려낸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의의를 갖는다. In today``s modern society, writing claims its existenc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rough a piece of writing changes and develops both the writer and reader and both the sender and receiver to another dimension. Self-reflective writing based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a writer, in particular, is even more important as a humanistic search to look back on the contemporary times and resolve the issues in an enterprising manner as well as address such realistic aspects as employment. This study examined how such self-reflective writing would be done through a poem titled <Self-Portrait> and a TV drama titled <Misaeng>. The two works share a common feature of looking back on the present oneself and finding the causes of the problematic reality in the past. It is the very fall of the older generation. Any explorations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s that have led one to standing here and now become a foundation for his or her formation of a new ego. The process of self-renewal, which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identity by denying or embracing the past, is expressed in a narrative based on temporality and causality. The changing process of a subject gets to secure its legitimacy through such a storytelling technique. Furthermore, the aspects of a new ego formed through self-reflection and alternative searches are expressed as a special form at the moment of climax. The readers accept the introspection and renewal of the writer as something inevitable, and the bond of sympathy created at the moment settles down as a driving force for self-reflective writing to change both the parties. Human beings cannot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s of the times, which is why looking back on oneself eventually means a dialectic exploration of oneself and the world. Self-reflective writing holds some humanistic significance by depicting alternatives made through such self-reflection as a new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