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피드백이 추가된 하이브리드 협력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숨겨진 속성 과제를 중심으로
박정연,박주용 한국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3 No.1
하이브리드 협력이란 개인이 먼저 과제를 수행한 다음 그 결과를 이용하는 협력 방식을 가리킨다. 선행연구에서 이 방식이, 처음부터 협력하게 하는 방식에 비해 아이디어 산출과제에서 더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방식에 피드백을 추가하는 새로운 협력 방식을 제안하고 의사결정 과제에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피드백이란 과제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수행 결과에 대해 서로 코멘트를 주고받는 활동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별 구성원의 의사결정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사결정 장면에서의 피드백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숨겨진 속성 과제를 사용하였다. 이 과제에서는 집단 구성원들이 공유되지 않은 특수한 정보를 공유할 때 비로소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267명의 대학생 참가자를, 처음부터 함께 과제를 수행하는 전통적 협력 조건, 하이브리드 협력 조건, 그리고 피드백이 추가된 하이브리드 협력 조건으로 나누어 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의사결정과 토론의 질을 비교하였다. 의사결정의 질은 의사결정의 정확성으로, 토론의 질은 토론 강도와 토론 편향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토론 강도는 시간당 언급된 정보의 양으로, 토론 편향은 비공유 정보 대비 공유 정보의 언급 비율로 계산되었다. 실험 결과, 피드백이 추가된 하이브리드 협력 집단에서의 의사결정이 가장 정확하였고, 하이브리드 집단과 전통적 집단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토론 강도에서는, 피드백이 추가된 협력 집단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하이브리드 협력 집단이, 그리고 전통적 협력 집단이 가장 낮았다. 토론 편향의 경우, 세 협력 방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피드백을 이용한 협력이, 기존의 다른 협력 방식에 비해, 숨겨진 속성 과제에서 집단 의사결정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언론에서의 미세먼지 보도가 국내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세먼지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
박정연,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8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 reports on particulate matter on tourists’ risk perception and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domestic tourists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media reports regarding particulate matter affect tourists through comparisons with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and empirically analyzed based on 325 valid responses.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media reports regarding particulate matter affect perceptions. Economic risk perception affected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hysical risk perception affect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oreover, media report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fluence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tourism research with regard to the issue of particulate matter, which has recently emerged, and for contributing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by adding the media reports and risk perception of particulate matter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i-xMo-2Fe 베타계 타이타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부식 특성에 미치는 Mo의 영향 평가
박정연,이용재,이재관,이동근 대한금속·재료학회 202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62 No.2
Titanium alloys are currently used in offshore industries. The titanium alloys used in offshoreplants need to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because offshore plants areexposed to harsh corrosive environments. At this time, the Ti-6Al-4V ELI alloy is mainly used in offshoreplants because it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Ti-6Al-4V ELI alloyhas the disadvantage of poor formability. To improve this, studies on metastable beta-Titanium alloys witha BCC structur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a metastable beta-titanium alloy was fabricatedusing Mo, which is inexpensive and improves corrosion resistance, and Fe, which improves strength, amongthe titanium beta stabilizer elements. After the Ti-6Al-4V ELI and Ti-xMo-2Fe alloys solution treatments,electrochemical corros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corros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properties were also analyzed through compression tests at room temperature and Vickers hardnessmeasurement. Corrosion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xMo-2Fe alloy were considered inconnect experiments such as microstructure analysis and hardness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corrosion resistance of the Ti-xMo-2Fe allo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Ti-6Al-4V ELI alloy, and it wasconfirm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ongation rate of Ti-xMo-2Fe with its BCC structure get higherthan Ti-6Al-4V ELI alloy.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정연,유형근,조용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NLP 전략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제시전략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고루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nstituted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be constructed?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constructed program? Program was devised based on counsel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 In-Woo(1995). To measure effects of the program, two classes in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of Park, Jin-A(2001) is used as a test tool,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nalyzed by Mixed ANOVA as data processing.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dealing with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ss coping abilit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oping a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s study is to use it to enable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in actively and effectively coping with problems in their personal, home and school life, by acquiring effective stress coping ability and improving positive stress coping ability.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 및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 및 추구혜택과 구매행동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한국화장품 수출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화장품 구매 경험이 있는 베트남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베트남 여성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36부를 제외한 31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도구의 요인분석은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였고, 브랜드이미지와 구매행동은 1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추구혜택은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어 요인 1은 ‘경제성 추구’, 요인 2는 ‘기능성 추구’, 요인 3은 ‘브랜드 추구’로 명명하였다.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각 변수 간 상관관계는 브랜드 이미지는 구매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구혜택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 경제성 추구도 구매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독립변수로써 브랜드이미지는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가 높을수록 구매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화장품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독립변수별로 추구혜택의 하위요인별 경제성 추구,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가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추구혜택 중 경제성 추구,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혜택이 높을수록 구매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