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에 관한 논의

        박재희(Bak, Jae-Hee),김경훤(Kim, Kyong-Hwo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본고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에 대한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에 있다. 최근 들어 대학에 입학하여 대학 정규과정을 공부하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글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초급 과정에서부터 충분히 학습하였다고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학습자들의 글쓰기에서는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누락, 교체, 첨가와 같은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조사 사용 오류를 개선하기 위한 교재 개발과 교육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i) 초급 과정과 중․고급 과정이 연계된 조사 교육 목표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과 (ii) 초급 과정에서부터 격틀을 통한 조사 관련 문법 교육을 강화할 것 그리고 (iii) 중․고급 과정에서는 퇴고 과정을 통해 조사 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looked for the improvement plan to using case markers in writings by Chinese stduent who learning Korean. Recently many chinese students a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and some of them want t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sul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writing ability in Korean becomes important. However, we can find many mistakes in their writings. In particular, the Chinese students made the mistake when they used structural case markers such as ‘이/가’ and ‘을/를’ which is regarded as the basic grammar when they learn them in the beginner level. In order to build a effective method to teach case markers in Korean, this paper pointed out 3 things : (i)the method to teach case markers which is connected from the beginner level to advanced level, (ii)the method to teach case markers with sentence examples, (iii)the method to teach case markers wi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Based on these 3 things, this paper suggested that in the beginner level, the concept of argument structure and case frame should be taught and in the advanced level, the method of revising writing which is understood as the last step of composition should be taught.

      • KCI등재

        현행 공공언어 정책 방향에 대한 검토

        박재희(Bak, Jae-h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1

        본고는 정부에서 추진 중인 공공언어 사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공공언어 정책의 방향에 관해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 여러 공공기관에서 추진 중인 공공언어 사업은 2005년 제정된 『국어기본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에 제시된 공공언어 정책과 그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여 미흡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 현재 시행 중인 공공언어 사업중 하나인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을 검토하여 공공언어 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검토의 내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공공언어 정책의 방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현행 공공언어 정책에는 주체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 정책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공공언어 정책의 주체가 국가나 공공 기관이 아닌 일반 국민(언중)이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행 공공언어 정책에는 목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공공언어 정책을 체계적으로 실현시키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 정부에서 추진해 온 “쉬운 언어 정책(plain language policy)”을 참고하여, 공공언어 정책은 일반 국민(언중)들이 이해하고 쉽고 쓰기 편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공공언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대상과 내용을 구체화함에 있어서 일반 국민(언중)들의 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점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present opin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public language policy so that the public language project could be promoted more efficiently by reviewing the public language policy currently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e public language projects currently being promoted by various public institutions are based on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which was enacted in 2005.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the statutes and enforcement ordinances of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related to public language policy, and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insufficient part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public language policy. Besides, we reviewed 〈Making Easy-to-understand Law〉, one of the public language project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o see if the contents of the public language policy are well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view, this paper presented the opinions on the direction of public language policy as follows. Firstly, in the current public language poli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roblem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the policy because the subject of the policy was not specifically specified.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subject of public language policy should be the general public (language speaker), not the government or the state. Secondly, there was a problem in systematically realizing the public language policy because the goal of the current public language policy was not specifically presented. As suggested in the “plain language policy” that has been promoted in US governmen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ublic language policy should aim to use language that is easy for the general public (language speaker) to understand and write. Third, it was also suggested that in pursuing the public language project, a standard based on the national language ability of the general public (language speaker) is needed to materialize objects and contents.

      • KCI등재

        종성"ㄷ, ㅌ, ㅈ, ㅊ"의 ㅅ음화

        박재희 ( Jae Hee Ba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본고는 명사 말음의 종성 /ㄷ, ㅌ, ㅈ, ㅊ/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연결되는 구성에서 화자들이 이들 종성을 조사의 초성으로 연음하여 발음하는 표준 발음과 함께 선택적으로 종성을 [ㅅ]으로 교체하여 발음하는 ㅅ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ㅅ음화 이외에도 국어에서는 표준 발음과 음운 변동된 발음이 화자들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ㅅ음화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명사 말음의 종성 /ㅋ, ㅍ/이 모음 조사와 연결된 구성에서 화자들이 표준 발음과 함께 선택적으로 종성을 [ㄱ, ㅂ]으로 교체하여 발음하는 현상도 ㅅ음화 현상과 동일한 음운 변동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본고에서는 (i)표준 발음으로 실현되는 종성의 기저 음소와 (ii)종성이 중화(neutralization)된 불파음[pㄱ, tㄱ, kㄱ]이 화자에 따라 기저형으로 선택되어짐으로써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ㅅ음화는 화자들이 명사 말음 종성의 기저형으로 기저 음소인/ㄷ, ㅌ, ㅈ, ㅊ/ 대신에 불파음 [tㄱ]을 선택하고 이 기저형이 [ㅅ]으로 음운 변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 and the grammatical meaning of s-assibilation in Korean. At first, this paper tried to frame the discussion as follows: in order to figure out the whole picture of s-assibliation, we have to consider the fact that Korean speakers can select either the standard pronunciation or s-assibilation when the coda of the final syllable of a noun is one of /t, th, ch, chh/ occurs with the particle that starts with a vowel. Then, this paper looked for certain examples which showed the same distribution of s-assibilation such as the coda of the last syllable of a noun is /kh, ph/ and analyzed these examples with the examples of s-assibilation. This paper found that s-assibilation was not the result of a sound change. Instead, depending on Korean speakers, the neuralized form of the coda /t, th, ch, chh/, the implosive [t.], was memorized as a underlying representation as the same as the underlying phonemes. As a result, the sound [s] was not directly derived from phonemes /t, th, ch, chh/ but it was derived from the alternative underlying representation the implosive [t.].

      • KCI등재

        시간명사 구문에 관한 논의

        박재희(Jae-hee Bak)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2 No.-

        This paper examined nouns such as ‘때, 적, 무렵, 즈음, 녘, 동안, 지, 중, 시’, (i)which possessed a meaning related to ‘time’ and (ii) which were modified by an adjectival relative clause. In order to examine to these nouns, this paper tried to group these nouns into a category (hence after: temporal nouns) and scrutiniz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nouns.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formed by combining an adjectival clause and a temporal noun(heace after: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this pape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djectival clauses in Korean mentioned by previous studies (Ku et al. 2015). According to the syntactic-semantic relationship with the head noun that follows the adjectival clause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classified into a relative clause, an equivalent clause, and a linked clause (Kim 2002).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discussion to analyze the construction combined by the linking clause and the head noun as a subordinate clause or an adverbial clause rather than a noun phrase (Bae 2002, Yoo 2007, Ku et al. 2015). In this paper, even though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looks like being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built by the combining a linking clause and a noun,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struction built by the combination of a linking clause and a noun. In other words, previous studies (Bae, 2002, Ku et al., 2015) was explained that the construction built by combining a linking clause and a noun would be always analyzed as a subordinate clause or an adverbial clause. However, after examining a few of examples.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did not always work as a dependent clause or adverbial clause. When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could be realized as a general noun phrase, it was realized as a main component in the sentence, whereas when the temporal noun construction was realized as an adverbial clause, it served as an expression form to express the aspect in Korean. 이 논문에서는 ‘때, 적, 무렵, 즈음, 녘, 동안, 지, 중, 시’ 등과 같이 (i) 시간과 관련된 의미를 소유하고 있고 (ii) 관형사절의 수식을 받아 문장에 쓰이는 명사들을 하나의 범주(시간명사)로 묶고 관형사절과 시간명사의 결합으로 형성된 구성인 시간명사 구문의 문법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시간명사 구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 연구(구본관 외 2015)에서 논의되었던 관형사절의 특성과 유형을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관형사절을 후행하는 머리 명사와의 통사-의미적 관계에 따라 관계절, 동격절 그리고 연계절(김지은 2002)로 분류하였다. 특히 연계절과 머리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명사구가 아닌 종속절 또는 부사절로 분석하고자 한 논의가 있었다(배진영 2002, 유현경 2007, 구본관 외 2015). 본고에서는 시간명사 구문을 이루는 관형사절은 연계절에 해당되지만 연계절과 명사로 이루어진 구성과는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즉 선행 연구(배진영 2002, 구본관 외 2015)에서는 연계절과 명사로 이루어진 구성은 종속절/부사절로 항상 분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고에서는 시간명사 구문은 연계절과 명사로 이루어진 구성에 포함되더라도 명사구로 분석될 때와 종속절/부사절로 분석될 때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시간명사 구문이 일반적인 명사구로 실현될 때는 문장에서 주성분으로 실현되는 반면에 시간명사 구문이 (종속절/부사절) 실현될 때는 문장에 상(aspect)을 표현하는 표현 형식으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질병명 선정을 통해 본 공공언어 정책의 방향성

        박재희(Bak Jae-hee)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본고에서는 공식적인 질병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행정 기관(통계청)이 보여주고 있는 공공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검토해 보고 이러한 노력이 공공언어 정책의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타 행정 기관에 모범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질병명이 현대 사회에서는 공공정보에 해당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언중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질병명과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질병명의 차이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질병명은 국어의 단어 형성 규칙과 인지언어학에서의 환유를 통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질병과 관련된 전문적인 정보가 반영된 질병명, 즉 공공언어에 해당되는 질병명이 요구된다는 점에 대해 논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과 <국어기본법 시행령>에서 공공언어와 관련된 조항들도 검토하였다.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현재 공공의 목적을 포함하고 있는 질병명도 공공언어 정책에서 논의되어야 할 전문용어에 해당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통계청> 산하 <질병분류상담센터>가 담당하고 있는 질병명을 수정하고 확정하는 업무는 단순히 이들 행정 기관만의 노력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중과의 적극적인 소통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공식적인 질병명은 행정기관과 언중 그리고 의료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에 의해 선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질병명이라는 전문용어의 표준화를 위한 행정기관의 노력이 타 분야의 공공언어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ir efforts to keep “publicness” shown by an administrative agency (Statistics Korea) in the process of selecting official disease names, and show that these efforts can serve as an example for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that are making efforts to implement public language policies. Firstly of all,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at disease names are the public information in modern society.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me of a disease that is used in everyday life and the name of a disease that contains special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discussed. Disease names common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 could be analyzed as formed through the rules of word form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 However, in modern society, we discussed the need for disease names that reflect more special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diseases, that is, disease names that correspond to public language. In addition, this paper reviewed the provisions related to public language in the <Basic Korean Language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contents reviewed, it was suggested that disease names that currently contain public purposes also fall under the terminology to be discussed in public language policy. It was confirmed that the task of correcting and confirming disease names, which the <Disease Classification Counseling Center> under the <Statistics Korea> is in charge of, is not determined simply by the efforts of these administrative agencies, but is determined by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language speaker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s current disease name selection process was the result of active communication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the public and medical experts. In this paper,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or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to standardize the terminology of disease name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public language policies in other fields.

      • KCI등재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박재희 ( Jae Hee Bak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본고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 ‘그’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김동인을 비롯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그’를 3인칭대명사로 쓰게 되면서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인칭대명사가 문법 범주에 가깝다는 점과 폐쇄류(closed-class)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일개인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20세기 초 언중들의 필요와 동의에 따라 선택되어진 결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지시대명사 ‘이, 그, 뎌(현대 국어 ‘저’)’ 중에서 ‘그’가 20세기 들어 인칭대명사로 선택된 까닭을 (i)한국어에서 대명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휘들의 특성과 (ii)개화기에 나타난 서사체서술 방식의 변화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 대명사는 화맥적 상황(화자와 청자가 전제된 상황)과 문맥적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국문 서사체 서술 방식이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한 ‘-라’ 종결어미 문장에서 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그’, ‘이, 그, 저’, 3인칭대명사, 언중, 문맥적 상황, 화맥적 상황, 서술 방식, 현대국어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 KCI등재

        경험주 논항과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의 의미·통사구조

        박재희 ( Bak Jae-hee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6

        본 연구는 형용사를 서술어로 한 심리 표현 구문의 의미 구조와 통사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 논의에서는 심리형용사로 분류된 형용사만이 심리 표현 구문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심리 표현 구문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험주 논항의 실현 양상, 인칭 제약, 그리고 의미 해석 양상을 검토한 바, 본고에서는 경험주 논항이 심리형용사로 분류된 특정한 형용사에 의해서만 문장에 소개되고 의미역을 부여받는 논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논의에서의 제안만으로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고, 본고에서는 경험주 논항을 문장에 소개하는 내연적 술어 < feel >과 1인칭 화자를 문장에 소개하는 내연적술어 < guess >가 형용사와 결합하여 심리 표현 형용사 구문을 형성한다고 제안하였다. 이 같은 제안을 통해, 경험주 논항의 실현 양상, 인칭 제약 그리고 다양한 의미 해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형태의 형용사가 심리형용사로도 쓰이고 성상형용사로도 쓰이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find the semantic and syntactic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that was built by adjectival predicat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in Korean was considered to be built (i)when the predicate in this construction was the so-called psychological adjective and (ii)when the argument with “experiencer theta role” was introduced by the psychological adjective. However, considering (i)the status of the experiencer argument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ii)the restric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person” in the experiencer argument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and (iii)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when the experiencer argument was not overtly displayed,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experiencer argument was the argument of the adjective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d by the adjectival predicate. Thus, this paper suggested that (i)the covert predicate < feel > i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could introduce the experiencer argument rather that the adjectival predicate, (ii)anther covert predicate < guess > could introduce the first person speaker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As this suggestion, the reason that the restric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of person was existed in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built by the adjectival predicate could be scrutinized and the reason that an adjective could use both the psychological adjective and the attributive adjective could be explained.

      • KCI등재

        국어 문법 단위와 접어 설정에 관해서

        박재희(Bak, Jae-h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문법 단위(grammatical unit)는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 단위로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으로 구분된다. 언어 표현을 문법 단위에 따라 구분하고자 할 때, 형태소와 단어의 경계에 위치해 그 구분이 어려운 언어 표현이 존재한다. 이들은 다른 말에 의존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단어에 포함시키기 어렵지만, 접사나 어미와는 다른 문법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형태소라는 문법 단위로 한정시키기도 어렵다. Chae(1995), 시정곤(2005), 김양진(2008)에서는 이 같은 언어 표현을 ‘접어(clitics)’로 분석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접어라는 술어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와 기준을 논의하고, 단위성 의존명사와 단형부정문을 형성하는 부정소 ‘안’과 ‘못’이 접어에 속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grammatical unit”, as the term to indicate certain unit to deliver ‘meaning’ within the linguistic units, can be classified as morphemes,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In order to classify a linguistic expression based on the grammatical unit, it is difficult to classify certain expression because it exists between the grammatical unit of “morpheme” and the grammatical unit of “word”. As this expression is dependent to another word, it is difficult to classify it as the grammatical unit of “word”.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is expression as a derivational or inflection affix considering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Chae(1995), Si(2005), Kim(2008) proposed that this expression in Korean may be analyzed as “clitics”. This paper intends to display a standard or a basis to establish the notion “clitics” in Korean.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classifiers in Korean and negative element ‘an’ and ‘mot’ can be included in ‘clitics’.

      • KCI등재

        대명사 교육의 현황과 전망-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박재희 ( Jae Hee Bak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본 논문에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인 독서와 문법에 실려 있는 대명사 관련 교육 내용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내용이 수정·보완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현행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살펴보면, 대명사 관련 교육 내용은 주로 품사론의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다 보니 “지시성”, “대용성”, “범용성” 등과 같은 대명사를 정의함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개념들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며, “화맥”과 “문맥”에 따라 대명사의 지시 대상이 달라지는 국어 대명사의 고유한 특성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실은 국어 대명사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학습자들이 충분히 학습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술적 차원에서 논의된 대명사 관련 연구 성과를 교육 내용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시성”, “대용성”, “범용성”등 국어 대명사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킬 것과 학습자들이 국어 대명사의 특성을 실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대명사 관련교육 내용을 문장 분석과 담화 분석 단원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related to “pronouns” in 『Reading and Grammar』 which was published as the official high school grammar text book after a debate about reforming the education system on 2009, and suggested which part of the contents related “pronouns” in that textbook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teach “pronouns” to students more effectively. Every textbook designed to teach pronouns only in the part-of-speech section, so there was no space to teach the relevant concepts when defining the grammatical category of pronouns such as “reference”, “substitution”, “all-purpose”. In order to teach the concepts of pronou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to students more effectively, this paper suggested three things: (i)including the content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Korean academic scholar circle into the textbook content, (ii)including the concepts to define the grammatical category of pronouns into the textbook content, and (iii)showing various examples in the section of analysing sentence structure or the section of discourse analysis as well as the section of part-of-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