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 트라우마센터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재풍 ( Jae Poong Park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2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증진 및 외상사건을 경험한 후 야기될 수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각종 스트레스의 치료를 위한 경찰 트라우마센터가 운영은 되고 있으나, 센터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경찰 트라우마센터의 수혜자인 경찰관의 센터 이용만족도는 트라우마센터의 서비스 질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트라우마센터의 효과성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전반적인 트라우마센터의 이용만족도를 측정하고,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이용경로, 환경, 서비스, 인구사회학적특성)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트라우마센터 이용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었다. 특히 친절성과 대응성의 만족도가 다른 분야의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이용만족도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그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트라우마센터의 이용만족도중 친절성과 효과성에서 비간부와 간부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지구대·파출소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이 경찰서나 지방경찰청보다 더욱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섯째, 교통과 생활안전기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이 형사와 수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트라우마센터 이용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여섯째, 지방청별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서울과 부산의 경우 광주와 대전의 트라우마센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근무기간에 따른 이용만족도의 경우 1년 이상 5년미만일 경우 전체 이용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트라우마센터의 이용경로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대하여 확인해본 결과 자발적 이용자가 의무상담자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a police trauma-center for treatment of various police stress. This center is for police officers who experienced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stress that may be caused by traumatic events. This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center is very important but there is no. A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 using the trauma-center is a way to evaluate the quality of trauma-center service, which you can learn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effectiveness of trauma-center. So this study measured customer experience and overall trauma-center and propose som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each factor (using the route, environment, servic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the overall satisfaction value of the users was higher than average. Especially, the kindness and responsiveness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Second, the more police officer is young showed higher effectiveness-satisfaction. Thir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ecutives and non-executives in the kind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trauma center. Fourth, police officers who working in a police box and a police branch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working in a police station and Metropolitan Police Agency. Fifth, a police officer working in the Traffic Division and Public Safety Division was showing a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 and Detective Division. Sixth, Seoul and P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are much higher of overall satisfaction to the Trauma-center than Gwangju and Daejeon. Seventh, periods of duty more than 1 year less than 5 years were analyzed highest satisfaction indicators in the whole periods. Eighth, the results about usage route for trauma-center showed that the voluntary person who using service is more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duty consultant.

      • KCI등재

        경찰개혁을 위한 시민신뢰에 관한 연구

        박재풍 ( Jae Poong Park ) 한국경찰학회 2011 한국경찰학회보 Vol.13 No.4

        신뢰가 낮은 경찰을 신뢰할 수 있는 조직으로 만든다는 것은 경찰개혁의 핵심 과제이다. 처음부터 신뢰할 수 있는 경찰을 만든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경찰의 존재이유가 시민을 보호하는 일이기에 시민의 신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시민의 신뢰 없이는 경찰의 법집행, 위험방지, 질서유지와 같은 경찰활동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결국 이는 시민을 위한 경찰개혁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신뢰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신뢰를 약화시키는 구조적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경찰에 대한 불신은 크게 경찰의 권력적 작용, 경찰의 정치적 역사, 경찰관에 대한 면책성 마지막으로 시민을 의심하는 태도로 기인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하여 첫째, 공평하고 투명한 법집행을 행하여야 하고 둘째, 과도한 공권력을 제한하며 셋째, third parties를 활용하여 상호이해를 높이고 넷째, 시민의 불신을 이용하여 시민의 참여와 감시를 독려하고 다섯째, 지역사회만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시민의 신뢰를 구축하고 마지막으로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통하여 경찰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Establishing trustworthy police forces is the key challenge for police reformers in low-trust settings. For many reasons, trustworthy police forces are difficult to maintain, and even harder to establish from scratch. They however remain important both to preserve where they exist and to establish where they are absent. Without them, the vulnerability of ordinary citizens to human rights abuses will be much greater. In their absence, the very idea of policing by consent will remain, at best, a phantasm. This literature therefore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ensuring trustworthy police. Reasons not to trust the police are, their structural location and historical functions, impunity and ``Reason to suspect``. The article concludes by pointing to some inherent limits or constraints upon trust-building, including the impact of the wider environment in which policing occurs, and the need to trust the tools we use for building trust. First, acting failrly and respectfully, Second, limiting the use of force, Third, bringing in third parties, Fourth, mobilizing trust, Fifth, trust-building at the local level Finally the role of civil society

      • KCI등재

        시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절차적 정의 모델을 중심으로-

        박재풍 ( Jae Poong Park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6

        경찰활동에 대한 지역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경찰에 대한 신뢰와 경찰활동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경찰관의 법 집행 활동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고 투명성을 갖춰야만 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경찰권 행사는 정당성과 공중의 지지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 법 준수라는 측면에서 시민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어 도구적 관점과 규범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하였다. 둘째, 경찰기관과 같은 법 집행기관은 절차적 정의모델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 절차적 정의모델에 따른 법 집행은 시민 개개인의 권리가 존중되고, 경찰과 조우하는 사람들이 해당 경찰관이 권한을 남용하거나 사사로운 마음이 개입하지 않고 단지 올바른 일을 공정하게 처리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시민들의 신뢰는 기본적으로 법에 대한 순응과 개인의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과정에 기초한 규제 즉 절차적 정의, 동기와 관련된 신뢰, 의사결정과정 등에 대한 모든 일련의 과정에서의 시민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시민들이 경찰기관과 같은 법 집행기관에 대한 자발적으로 복종하고 순응할 때야 말로 기본적인 상호협력이 기본적으로 생성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Tyler의 과정에 기초한 규제모델을 통한 경험적 실험과 Hough와 그의 동료들이 경험적으로 확인한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의 공중신뢰와 경찰의 정당성에 관한 실험을 확인하였다. Since the 1990s, National Police Agency has adopted the concept of community policing in line with western style police administration. Then, the laws and syst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prevention of local crimes and patrol have been improved. Anyway, Process-based regulation has the additional long-term advantage of encouraging support for legal authorities, enhancing the view that the police are legitimate and ought to be obeyed, and increasing voluntary deference and law-abiding behavior. Through a process-based approach to regulation, we seek to build and maintain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to encourage people to accept willingly the decisions of individual police officers. We will further explore the way in which people define procedural fairness and infer the trustworthiness of others` motives. To enact process oriented approaches to policing and the operation of the criminal justice agen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erences about fairness and trust that people draw from the behavior of legal authorities, and the changes in behavior to which people will respond. We predict that people will consider two aspects of the behavior of authorities when evaluating procedural fairness and trustworthiness during a personal encounter: the quality of the decision making procedures used by the authority, and the quality of the treatment they receive from the authority. These two elements have also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within the group engagement model. It shows the conceptual model for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public and police officers. In the process-based model of regulation, a central goal of legal authorities is to encourage the reciprocal trust and cooperation of the public by behaving in ways that most people perceiv as procedurally fair and based on trustworthy motives.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which was conducted in Oakland and Los Angeles, and England and Wales to test empirically the argument that experiencing procedural justice trusting the motives of police officers and legitimacy.

      • KCI등재

        신임경찰관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 사이에 대한 인과성 분석

        박재풍 ( Park Jae Poong ),박주혁 ( Park Ju Hyeok ),김가은 ( Kim Ka E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5

        경찰이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적·행태적 노력과 실제 많은 개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인식하는 치안서비스의 양과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존재한다. 경찰과 시민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인식차이요인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는 경찰 개인인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와의 인과성을 분석하여 치안서비스라는 공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임경찰관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경찰이 되고 중앙경찰학교에서 일정기간동안 교육훈련과 조직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찰관이 된다. 그리고 교육훈련을 통해 공공조직에서 추구하는 공직가치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뒷받침해주는 공공봉사동기의 세가지 차원 중 정서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나타났다. 특히 신임경찰관은 입직동기에서 대시민 서비스가 정서적 차원에서 “희생”과 “동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권력성은 “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이 조직사회화 과정 이전에 나타난 입직동기가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앙경찰학교 교육훈련과정에서 권력적 작용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향후 공공봉사동기 발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교과목에 대하여 공공봉사동기에 기반이 되는 공공성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하고 합리적인 균형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 is a consensus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that citizens perceive are still insufficient, despite the ongoing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efforts to improve police services and many improvemen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olice and citizen policing services, but in this study, the police service approach is call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an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 new police officer becomes a police officer with varying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dividual, and becomes a police officer while undergoing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public service values pursu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re formed in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ree 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particular, new police officers showed positive impacts on "sacrifice" and "sympathy" in emotional dimensions of motivations for “recruitment”, while “power” has a negative effect on "sacrifi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before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ffecte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the subject of the power action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was neg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and reasonable equilibrium to form the publicity based on public service motiv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subject for the new police officer.

      • KCI등재

        일반논문 : 북한 붕괴에 따른 경찰의 기능적 역할 -아랍의 봄과 같은 급박한 세계정세에서-

        박재풍 ( Jae Poong Park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6

        2010년 12월부터 시작된 아랍국가들의 반정부 시위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소위 아랍의 봄이라고 불리어지는 이러한 현상들은 급박한 세계의 정세를 대변해주고 있다. 이러한 급박한 세계정세는 중동국가를 넘어서 북아프리카까지 번졌고 아시아 지역까지도 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의 죽음으로 인하여 북한의 반정부 시위 혹은 정치세력간의 갈등으로 인한 혁명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고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붕괴가 아랍의 봄과 같이 걷잡을 수 없이 일어날 현상이라고 가정하에 우리나라의 경찰이 어떻게 기능적인 역할을 해야 할것인가를 모색하였다. 특히. 통일경찰의 명목하에 통합적 모색이 아닌, 과도기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북한과 우리나라의 경찰의 기능이 상이한 부분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경찰조직이 그 역할을 잘수행하기 위하여 첫째, 경찰은 북한의 갑작스러운 붕괴나 혁명이 먼 훗날의 일이 아님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북한의 붕괴될 경우 예측되는 치안수요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북한의 사태를 대비한 경찰의 치안범위 및 대상을 결정하는 경찰활동 역할모델을 정립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해 놓고 있어야 한다. 넷째, 경찰활동의 모델은 독자적 모델과 협동 모델로 구별될 수 있고 각 모델별 대응전략은 경찰청 산하「비상대책위원회」의 설립과 함께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Arab countries began in December 2010 anti-government protests have continued until now. So-called Arab spring of these phenomena and the world has come to represent the situation. The urgent world situation beyond the Middle East to North Africa, Asia, its flow has been suggested a lot of comments. In this environment 17 December 2011 North Korea`s Kim Jong-il`s death,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forces of anti-government protests and political revolu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growing list of conditions that are being deployed. Therefore, this study is the collapse of North Korea as an Arab spring rise out of control phenomenon, assuming a functional role in Korea and how the police should be. In particular, integrated in the name of the police unification, rather than the transition in terms of access and North Korea and the different parts of the police`s ability to tune. Police organizations in Korea in order to perform its role well first, the police recognize that sudden revolution in North Korea is not the distant future. Second, if the anticipated collapse of North Korea`s demand for peace is exactly what you need. Third,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in case the police policing the police to determine the scope and target activities to establish a role model. Fourth, the model of police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independent model can be identified as a model and the police response strategies under each model, police should be continue the research about "Emergency Committee"

      • KCI등재

        한국셉테드학회 연구 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10년간 한국 셉테드학회지를 중심으로

        박재풍(Jae-Poong Park),박주혁(Ju-Hyeok Park),손원진(Won-Jin Son) 한국셉테드학회 202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1 No.3

        한국셉테드학회는 2010년 창립한 이후 지난 10년 간 도시 및 건축 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학회에서는 116편의 논문을 발간했고, 한국셉테드의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셉테드학회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 본 학회의 116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향후 학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116편의 논문을 주제어(제목 및 주제어), 연구자의 특성(성별, 전공, 소속기관, 신분, 단독 및 공동연구), 논문 인용 지수, 연구방법론으로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제어는 ‘범죄’ 및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 ‘상황’, ‘특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관어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학회가 나아갈 연구주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특성에서는 남성 연구자, 공동연구, 교수나 대학원생, 경찰학/범죄학, 건축/설계/디자인, 도시공학 등으로 특성이 나타났다. 창간 이후 발간된 논문 인용 지수는 평균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에서는 2017년 이후 질적연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향후 한국 셉테드학회와 학회지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논의할 수 있다. 우선, 연구주제는 포괄적으로 본 학회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연관주제의 다양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연구자의 특성에서 나타났듯이, 여성 연구자의 참여방안이다. 또한 한국 셉테드학회는 다학제적이고 융합적인 연구성격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기관과 여러 전공자 등 참여하는 홍보방안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인용 지수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The KOREA CPTED ASSOCIATION has conducted various research activities to effectively prevent crime through improvement of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over the past decade. As a result, The KOREA CPTED ASSOCIATION published 116 journal of the Korea CPTED and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Korean CP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116 journal published at The KOREA CPTED ASSOCIATION and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The KOREA CPTED ASSOCIATION. This study categorized 116 papers into subject words (title and subject words),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gender, major, affiliated institutions, status, single and joint research), citation index of papers, and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words are formed mainly on the study of crime , space for crime prevention , situation , and characteristics . In other words, the research theme of The KOREA CPTED ASSOCIATION is stab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were male researchers, joint research,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police studies/criminology, architecture/design, and urban engineering. The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published since its index has remained above average of 1, the rate of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iscus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CPTED ASSOCIATION and the journal in the future. First, the research theme is presented in a comprehensive direction for The KOREA CPTED ASSOCIATION,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related topics. Next, as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it is a plan for participation of female researchers. In addition, since The KOREA CPTED ASSOCIATION reflects the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research personali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various institutions and various majors. Finally,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quotation index.

      • KCI등재

        Third party Policing 도입에 관한 연구

        박재풍 ( Park Jae Poong ) 한국경찰학회 2011 한국경찰학회보 Vol.13 No.2

        전통적 경찰활동에서 지역사회 경찰활동으로 변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치안환경은 전 세계가 사회적, 문화적으로 공통적으로 맞이하고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지역사회 경찰 활동에서 경찰의 목표는 오늘날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라는 철학을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인식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개혁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라는 거시적인 패러다임을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Third party Policing을 살펴보고 그 도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Third party Policing이라는 개념은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범죄예방과 통제 그리고 문제해결이라는 과제를 경찰과 협력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강제하는 것이다. Third party Policing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도입이 되지 않은 경찰활동이다. 그리고 Third party Policing의 도입을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것들이 있다. 첫째, 시민의식의 변화이고 둘째, 법과 제도의 제정이며 셋째, 경찰과 다른 행정 기관과의 협조이며 넷째, 경찰조직의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시민참여프로그램의 내실을 다져서 Third party Policing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Community Policing changes today`s security environment in the world,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re common and can be welcomed. The goal of the police in community policing for today`s philosophy of community policing with community residents to recognize and to fulfill the reform program is to be developed. The study of the paradigm of community policing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a Third party policing plan will be presented. Third party policing`s concept is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nd the challenge of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nd forced to perform. Third party policing have not been introduced yet in the country`s police activities. Third party policing, and should precede the introduction of things that have to. First, the change of citizenship, the second, the enact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the third cooperation with police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and the fourth, police organizational change is needed. Finally,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conducted but needed substance support. Third party policing that should be the foundation of.

      • KCI등재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실태와 제도적 대처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박재풍(Park Jae Poong),김병화(Kim Byung Hwa)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3

        국회는 2012년 8월 「경찰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동법의 시행령은 “경찰관의 질병 및 건강에 관한 현황을 조사한 후 PTSD에 대한 건강장애요인을 고려하여 검진대상의 경찰관과 검진항목”을 정하도록 하고 있다. 경찰관은 직무특성상 외상사건에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잠재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요인의 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의 경찰트라우마센터는 4개소 밖에 되지 않는 등 상담인력, 교육, 홍보 등 인프라구축이 미흡하며, 경찰의 조직문화특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잘못된 인식과 오해로 인해 병원에 내원하기를 꺼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국내 경찰관 649명을 대상으로 외상사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우울증에 대한 스트레스 점수와 외상사건요인, 그리고 PTSD 위험군과 인구학적 특성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점수에서 외상사건의 경험유무와 횟수보다는 외상사건 요인에 따라 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테면, “동료의 부상 및 사망”,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교통사고”, “신체가 상당히 훼손된 살인사건”, “영유아사건” 등과 같은 요인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외상사건 혹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위험군은 PCL, IES-R-K, PHQ-9의 3가지 유형의 검사를 하여 고위험, 저위험, 일반군으로 분류하였는데 각각의 유형은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관의 기능에 따른 차이는 IES-R-K와 PHQ-9에서 공통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외상사건 혹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우울증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경찰관 기능 중 생활안전, 수사, 형사업무 순으로 위험군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경찰조직은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외부요인,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위험군 분류 등을 활용하여 정책수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ongress made law 「FRAMEWORK ACT ON HEALTH, SAFETY, AND WELFARE OF POLICE OFFICERS」at Aug, 2012. This decree provides that Mental health checkups shall be conducted for police officials suspected of having a mental condition,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uch cases, the Commissioner General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may entrust diagnosis of mental health conditions of police officials to a private institution specializing in psychological counselling, if necessary in order to determine persons subject to mental health checkups. Because Police officers mainly faced to traumatic events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s they belong to potential risk group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t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have only 4 police trauma centers and fall short of having professional counselors, education, public relation of mental health. Moreover the police officer of korea do not want to check their mental health because of police subculture. This study, taking problematic points, analyze traumatic events, PTSD, PCL, IES-R-K, PHQ-9 and correlation between potential risk group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649 police officers. This study shows: First, stress scores shows high in traumatic events factor more than the existence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 and counts. For example, “injury or death of colleague”, “accidents which have heavy casualties”, “murder case was dead body was ruined”, “ infants and children case” factors get a high score. Second, traumatic events and PTSD risk groups were classified under 3 heads as high risk, low risk, general group(estimated prevalence) by testing PCL, IES-R-K, PHQ-9 types and each type has a correlation with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correlation with traumatic events, PTSD and tristimania. Therefore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need to make a mental health plan using factors of PTSD and results of estimated prevalence for police officers.

      • KCI등재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통합적 정립

        박재풍(Jae-Po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현대의 경찰활동은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으로 귀결된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어왔지만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라는 패러다임에 관한 통합적인 모색은 등한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에서 파생된 프로그램 및 전략들은 실질적인 경찰활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경찰조직의 이슈 혹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경찰활동보다 의도적으로 좁은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한 초점을 가진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문제지향적 경찰활동(Problem-oriented policing), 깨진 창(Broken Windows), 컴스탯(Compstat), 제3자 경찰활동(Third party policing), 우범지대(Hot spots) 경찰활동으로 볼 수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관련된 경찰개혁 프로그램이나 전략들을 통합하여 다시 한 번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은 첫째, 다른 경찰활동의 개념과 구별하고 통합될 수 있는 것을 찾기 위함이고 둘째, 새로운 치안환경의 변화를 맞이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함이며 마지막으로는 지역사회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결국 이러한 통합적 모색은 현장의 경찰관들이 보다 쉽게 경찰행정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제로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Todays policing is toward to the Community Policing. Despite its widespread popularity, there exists a lack of common understanding amo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like regarding the scope of the community policing philosophy and of its ability to integrate these complementary ideas within it. These are Problem-oriented policing, broken windows, Compstat, third-party policing, and hot spots. We will present a definition of community policing and demonstrate how these other policing approaches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overarching community policing philosophy. We will also discuss the potential benefits of taking such a unified approach with the hope of encouraging further integration among policing inno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