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연성 편평족 아동의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이 편평족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박재섭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연성 편평족 아동 5명을 대상으로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을 통한 편평족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편평족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테이핑, 인솔 및 신발 등의 외적인 요인을 동원한 수동적인 근육작용을 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능동적으로 본인의 근력강화를 통해 교정하는 운동프로그램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발과 발목을 작용하는데 관련된 근육 훈련에만 집중된 연구였다. 하지만 유연성 편평족의 경우 하지 전반적인 역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구설계 A-B를 설정하고 4주간 총 12회, 1회당 30분씩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을 실시하고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 방법은 교각운동(Bridge exercise), 직립자세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로 설정하고 실시하였다. 아동의 연령에 따라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중재 전‧후 고관절 외회전 각도 측정, VAS(시각적 아날로그 통증척도) 및 발목의 주상골 조면의 높이 측정하였다. 결론으로 첫째, 고관절 외회전근 강화운동으로 중재 후 고관절 외회전 각도 증가하였다. 둘째, 시각적 아날로그 통증 척도가 감소되었다. 셋째, 주상골 조면의 높이가 증가된 모습 나타내었다. 또한, 보행 시 발목관절이 안정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연성 편평족 아동들에 대한 발목관절 및 발 관절에만 국소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고관절의 각도 및 근력 상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해결해 나아가도록 한다면 향후 편평족에 대한 문제점들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準同型 寫像의 考察 : 高等學校 數學敎科 內容을 中心으로

        박재섭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Homomorphism is conception that play a essential part commonly in every field of the modern mathmatics we can define it's conception as conserving algebraic structure and concurrently one algebraic system being corresponded other algebraic system. Reviewed in this paper are group homomorphism, ring homomorphism, vector-space homomorphisrn. and homomorphism discovered mathmatical curriculum of high school. As a result of review there is a discovery that homomorphism has application to De Morgan's law, distributive law, power's function, logarithmic function. differential, intergration, probability, complex, and so on in mathmatical curriculum of high school. Accordingly, it may be atfirmed that when conception of homomorphism is educated in the teaching front of middle & high school, it aids studing concrete concetion without reluctance in advanced school or callage.

      •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박재섭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학 영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의 개선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설문지는 교사, 학부모,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 학부모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7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학생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1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및 신입생, 학부모, 영재담당교사 및 각 학교 영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등 총 570명에게 배부하였다. 그 중 회수된 523부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학부모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학생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잠재력 개발에 있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교사는 사회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형태로는 영재교육원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출석수업을 병행한 사이버 강의 개설에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재교육의 내용으로서는 학부모와 학생이 창의력개발을 찬성하고 있었으며. 과학영재교육 시작 시기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현재 울산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4학년부터 시작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번 선발된 학생의 과학영재교육 기간으로는 2년이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횟수로는 교사와 학부모가 주당 1회에 높은 비율이 나왔으며. 학생은 학기중과 방학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울산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영재특성에 맞게 잘 갖추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과학영재의 판별 방법이나 도구로는 객관적 검사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과학영재의 판별에 있어서 과학에 대한 흥미·관심·적성이 효과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학영재를 판별할 때 고려하는 교과로는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수학, 과학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각 학교에서 적용하는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학생의 인식에서는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선발 방식으로는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다단계 선발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셋쩨, 각 학교에 영재 담당교사의 의무 배치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찬성을 하고 있으며, 교사도 높은 비율로 찬성을 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교육은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초·중등교사 및 교수가 담당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 시 필요한 항목으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과학분야에서의 실력, 전문성과 영재교사로서의 열의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연수시간은 120시간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울산의 영재교육이 타지역보다 잘 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만족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재 선발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전체적인 과학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부모는 영재교육 기간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학생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또한 영재교육프로그램개발에도 투자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Ulsan and what problems it was faced with in a bid to seek ways to elicit potentials fro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enhance their ability and improve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How is science gifted education provided in the city of Ulsan? 2. What are the problems with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3. What are possible reform measur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that respectively targete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 things.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was compris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7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And the questionnaire for students was composed of 11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70 people who included students, new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each school in Ulsa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523 people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In order to see how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ceived science gifted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and x^(2)(Chi-square) test were implement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tudents felt the higher need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an the parents and teachers did,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object of gifted education was to develop students' potentials to facilitate their self-realization, while the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teaching students to be community-minded.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preferred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from, and the largest group of the respondents put a moderate value on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academies. The parents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classes than the teachers. As for what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arents and students prize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tudents found it more appropriate to start receiv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mpar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y generally found it satisfactory for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to offer gifted education to fourth and higher graders. Concerning an ideal ter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y felt that every selected student should take that education for two years. As for its frequency, once a week wa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whereas the students thought that it should be conducted during both regular school days and vacation. Second,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that objective tests should be implemented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elieved that interest and aptitude should be the major criteria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three groups agreed that math and sc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dentifying them, and they took a favorable view of each school's existing metho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As to in which way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should screen gifted students, the parent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multistage screening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Third, the parents and students found it more necessary for each school to compulsorily secure a gifted education teacher than the teachers did, and a large number of the teachers also agreed to that. The parents wanted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o hav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ofessors conduct gifted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Regarding what should be covered in training programs for gifted education teachers, the students placed more stock in superb expertise, zeal and commitment than the teachers and parents did, and gifted education teachers were wanted to take training courses for 120 or more hours. As for in which field of gifted education Ulsan outperformed the other regions, all the three groups expressed satisfaction at gifted education programs, but didn't view gifted student screening favorably. Concerning problems with overall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the parents pointed out a shortage of gifted education term,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mentioned a lack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universalize gifted education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take steps to let students gain access to gifted educati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should make more investment in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 생인공진피의 냉동보존방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재섭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가지 제약에도 불구하고 동종이식이 손상된 조직의 치환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손상된 조직을 타인으로부터 건강한 조직으로 대체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일단 적출된 조직 또는 장기를 이식에 이용할 때까지 그 생물학적 기능을 잃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다. 적출조직의 냉장이나 조직배양과 같은 단순한 방법은 조직의 생존기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과 오염 가능성 또는 유전적인 불일치와 같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위해 냉동보존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냉동보존기술은 조직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또한 쉽게 운반이 가능하고 화상환자에게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학적으로 만든 생인공진피를 그들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냉동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냉동보존시 세포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지표로 하여 살펴보았고 MTT 분석을 통하여 세포의 회복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냉동속도를 정확하게 원하는 속도로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정교한 냉동장치(controlled-rate freezing device)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인공진피는 냉동보호용액의 노출온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냉각속도가 느릴수록 보다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196℃의 저장온도에서는 조직이 형태학적으로 변형을 일으킨 반면 -130℃ 이상의 저장온도에서는 조직이 육안적으로 integrity를 완전하게 유지하였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비독성이면서 생분해성인 6% Hydroxyethyl Starch solution(Sigma product)를 생인공진피의 냉동보존에 사용한 결과 10%dimethysulfoxide(DMSO)/DMEM보다 세포의 회복률 측면에서 훨씬 뛰어난 냉동보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생인공조직의 냉동보존에 응용한다면 많은 경제적 시간적 낭비를 줄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known that allografts has been widely used for substituting damaged tissues or organs even under various limitation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to replace them for healthy tissues or organs is to preserve them keeping their own biological function. As the simple method such as refrigeration or tissue culture is costly and high potential to contaminate, there could be some difficulties in general use. Therefore, it is absolutely essential to develope the cryopreservation techniqu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technique can lead to long-term cryopreservation of tissues or organs, and also provide the convenience of delivery and the instant supply to patients. In this study, our efforts were made to develope the long-term cryopreservation method of tissue-engineered bioartificial dermal equivalent keeping his own biological function. For this purpose, we studied the primary factors exerting on cell recovery at cryopreservation and MTT assay was carried out to measure cell recovery. Also new freezing program used for cooling bioartificial dermal equivalent was set up to lower a temperature to -90℃ at cooling rate of 1℃/min. As a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ell recovery tended to increase as the exposure temperature of cryoprotectant solution was down, and the cooling rate became lower. It was also shown that the samples cryopreserved at -196℃ didn't retain their integrity but ones cryopreserved above -130℃ retained it. So, this fact implies that storage above -130℃ is the safe way fitted in cryopreserving bioartificial dermal equivalent. In addition, 6% Hydroxyethyl Starch/0.9%NaCl was introduced to cryopreserve bioartificial dermal equivalent and it showed much more cryoprotective effects than 10%DMSO/DMEM in view of cell recovery. Although it is needed to study further about its function to prevent cells from cryoinjury, it is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hydroxyethyl starch to cryopreserving bioartificial dermal equivalent might reduce economic and time waste.

      • 공공봉사동기와 혁신마인드의 관계에 대한 분석 : 성과면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재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조직·공공부문의 혁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왔고, ‘적극행정’을 실현하는 관료 등의 태도로서 혁신마인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초불확실성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른바 ‘코로나시대’를 직접 겪으면서, 전례 없는 새로운 위험과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무원의 혁신마인드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긴요하다 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공감대도 높다 볼 수 있다. 특히 공공봉사동기는 외재적 동기(보상 등)와 구별되는 동기로서,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혁신의 동기부여로 작용할 가능성 또한 기대된다. 공무원 등 공공부문에 특수한 동기 개념으로서 공공봉사동기를 혁신마인드와의 관계를 통해 접근하는 관점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중요한 행정이론적 함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적극행정 및 정부혁신의 가치와 성과관리를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에 대한 발전적 이해가 요구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성과면담의 중요성을 들 수 있겠다. 성과관리는 일시적·일회적인 차원이 아닌, 지속적인 과정의 개념으로서 접근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성과면담’ 과정은 기존 성과와 미래 성과 사이의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성과면담이라는 제도적 측면을, 공공봉사동기라는 동기부여 측면과 혁신마인드라는 직무수행태도 등 내재적 측면과 연계시켜 분석하는 점에서 이론적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무원에게 있어 혁신마인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혁신의 동기요인으로서 공공봉사동기의 역할을 확인하며, 조절효과로서 성과면담을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분석에 사용되는 설문지와 데이터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2019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표본집단은 공무원 4111명이다). 주된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공공봉사동기를 독립변수로, 혁신마인드를 종속변수로, 성과면담을 조절변수로 하여, 그 관계를 분석한다(그리고 성별, 연령, 직급, 근속년수를 통제변수로 한다). 결과해석과 관련하여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성과면담의 효과가 높은 공무원이 그렇지 않은 공무원보다 문제인식과 문제해결 과정 전반의 인식 수준과 지식의 양·자신감 등에서 우위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관으로부터 유용한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받는 성과면담이 공공봉사동기와 혁신마인드 간의 관계를 보다 발전적으로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들 중, 성과면담의 조절효과가 가장 크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유형이 ‘동일시 동기’임을 확인하였다. 동일시동기가 타인과의 공감성을 반영하는 점에서, 상관과 면담대상자와의 공감이 역시 중요한 성과면담의 조절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을 것이라는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성과면담의 요소들 중 특히 ‘목표이해성’이 높은 집단에, 동일시동기가 혁신마인드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목표이해성이 성과면담과 성과관리프로세스의 시작(출발점) 단계로서 공감성의 필요성·중요성 또한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정책적 함의와 관련하여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혁신마인드의 관계와 관련하여 성과면담의 조절효과를 제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성과면담의 각 단계별 분절적 접근이 아니라, 단계들 간의 ‘연계’를 고려하는 종합적 관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나아가 성과면담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상자의 ‘자기결정감·자기효능감’이 약화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성과면담을 수행하는 상관 개개인의 노력(피드백유형의 고려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연구 의의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공공봉사동기의 개념과 관련하여 기존의 다수 연구들이 Perry(1996)의 분류를 따른 것과 다르게, 김상묵 외(2010)의 분류를 따라 개념의 정합성과 한국적 맥락의 적실성 제고를 시도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관련 개념들과의 비교 작업을 통해 ‘혁신마인드’의 정의를 내린 점도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공봉사동기와 혁신마인드의 관계와, 성과면담의 조절효과라는 연구주제 설정에서도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넷째, 공공봉사동기·혁신마인드·성과면담의 세 가지 개념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문제해결(Problem-solving)’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확장적, 입체적 논의를 시도한 점도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는 부분이라 볼 수 있다. 다섯째, 성과면담에 대한 단계적 접근을 통해, 단순한 형식적·일회적인 절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과면담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과정으로 보는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The Interest on governmental organization is increasing, and the importance of innovative-mind is raised as an attitude of public-servants realizing ‘proactive-public service’. Experiencing so called ‘COVID-19 era’ characterized by hyper-uncertainty and so on, the innovative-mind of public-servants to cope with the unexampled new danger and quick changes of public administrative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Especially PSM(Public Service Motivation) is the motivation that differs from external motivations, and is expected to act as an continuous and fundamental motivation. The standpoint of accessing PSM through the relation with innovative-mind will have meaning to the theory of public adminstration. To connect innovation with performance-management,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n performance-management is required. And in this point of view, performance-feedback is important. Performance-management must be approached as a continuous process not an temporary event and is expected to be stepstones between past performances and future performan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ortance on connecting PSM as motivation with innovative-mind as an attitude. Specifically this study has a purpose on emphasizing necessity of innovative-mind to public-servants and verifying the role of PSM as motivation to innovation and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formance-feedback. This study uses public-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practiced by KIPA in 2019(sample 4111). The main analysis method 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PSM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innovative-mind and the moderator variable is performance-feedback(the control variables are sex, age, class, continuous service years). There are three statements about the result interpretation. First, as public-servants who have more effects from performance-feedback are superior to others on knowledge or confidence and so on about problem-solving process, performance-feedback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al relation between PSM and innovative-mind. Second, in the middle of the lower dimension of PSM, the ‘identification’has the most largest a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t is possible that as the identification motive reflects sympathy with other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formance-feedback which has importance in sympathy too is larger than the others. Third, the positive(+) influence that identification motive have in innovative-mind is larger in the group that especially goal-understanding is high than the group that is low. As goal-understanding is the beginning of performance-feedback and performance-management, goal-understanding has more importance in necessity of sympathy than other elements of performance-feedback. There are two statements about the implication to public policies. First, in order to reflect moderating effects of performance-feedback on the relation between PSM and innovative-mind,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erformance-feedback elements together not separately is necessary. Second,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ance-feedback be not weaken self-determination or self-efficacy emotions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feedback, and a chief who offer feedback be consider feedback type and so on. There are five statements about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tried to reflect propriety of the conception and korean context through taking classification of Kim&Vandenabeele(2010), not Perry(1996) that is taken by many studies. Second, this study has the definition of innovative-min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conceptions. Third,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setting the theme that the relation between PSM and innovative-mind, especially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formance-feedback. Fourth, this study accesses to the relation of PSM, innovative-mind, and performance-feedback through the standpoint of the ‘problem-solving’. Fifth,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ystemic and continuous performance-feedback process through the steps and elements of performance-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