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조직의 소통문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박이레(朴이레),채린(朴彩璘),Khaltar Odkhuu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최근 공공조직을 둘러싼 환경변화의 폭이 큰 가운데,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조직의 소통문화는 조직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쳐 업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혁신이 적용되는 범위가 확장되는 환경 가운데, 조직관리 측면에서의 혁신도 강조되고 있다. 혁신은 성공할 경우 큰 유익을 가져다주게 되지만, 그만큼 위험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소통문화를 조직침묵과 의사소통 방향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에서 혁신행동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며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체념적 침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평적 의사소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수직적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혁신행동은 체념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완전 관계를 매개하였지만, 순응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행동은 수직적 의사소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지만, 수평적 의사소통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의 소통문화, 혁신행동을 통한 업무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e midst of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public organizations,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an organization affects the organization’s work process, which also affects wor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novation is expanding, innov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also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the organization into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irection and analyzed its effect on work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dings suggested that adaptive silence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work performance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dicating that vertical communication has an important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through its influence on fostering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by weakening the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deriving work performance through communication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의 조절효과

        박이레(Park Ie Rei),문명재(Moon M.Jae)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3

        이 연구는 공공봉사동기,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공무원은 이직이 다른 직업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특징이 있으나, 최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공무원의 이직의도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를 이직의도와 직무열의로, 독립변수를 공무원의 공직 수행에 대한 대표적인 동기 이론인 공공봉사동기로, 직무에 따른 하위 요인이 직무탈진 및 열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무요구-자원모형을 독립변수이자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과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에는 직무요구의 하위변수인 업무과부하(+), 역할모호성(+)이 영향을 미쳤고, 직무자원의 하위변수인 상사의지지(-)와 업무자율성(-)이 영향을 미쳤다. 직무열의에는 공공봉사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직무요구의 하위변수인 업무과부하(+),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원의 하위변수인 상사의 지지(+), 업무자율성(+)이 영향을 미쳤다.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로 두고 조절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사의 지지가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thusiasm of public officials. Nevertheless public officeals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ir turnover is not so high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a recent survey of public officials reveals that the rate of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officials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se phenomena,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thusiasm,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controlling variabl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job overload (+) and role ambiguity (+) of job requirements had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support of the boss (-) and job autonomy (-) of job resources had an effec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job enthusiasm, and job demands (+), role ambiguity (-), support of the boss of job resources (+), and job autonomy (+) affected job enthusiasm.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moderating analysis using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the support of the supervisor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thusiasm.

      • KCI등재

        新에너지 거버넌스와 에너지 전환체제 성공조건 탐색: 에너지 가격정책 수용성에서 개인가치, 에너지선호, 정치경제학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분석

        박이레,김서용,황희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ional acceptability of energy price polic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in an exploratory dimension. Recently, a social discussion on the transition of energy system has been made. The shift to energy policy toward de-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demands the cost burden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change in overall energy price policy. The public acceptance of energy price policy is a factor that induces the possibility of energy conversion. Therefore, a systematic analysis is required. In this study, energy-related price policies are defined as rate increase, tax increase, progressive system, low income support, and rate discrimination,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value factors, energy preference factors, and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re examin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t the product level. As a result, the stronger the value of environmentalism, the more support for the low-income group, but the higher the level of objection to the use-based rate discrimination policy (which is expensive for home use and cheap for industrial use). In the energy preference factor, the preference for nuclear waste was to raise prices, support low-income class, and the new energy preference was to intensify the progressive system. Energy security supports the rate increase and the progressive system. The upper class showed support for all policies except tax hikes, and the higher the rate burden, the higher the support for various policies. However, the higher the actual expenditure, the more against the progressiv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 가격 정책에 대한 국민적 수용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가격 정책의 유형을 기능적 성격에 따라 수요조절정책(요금인상, 세금인상), 복지정책(누진제도 강화, 저소득층 지원), 산업정책(용도별 요금 차별화)으로 구분하고, 개인의 가치적 요인, 에너지 선호요인, 정치경제학적 요인 등이 개별 정책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가치적 요인인 환경주의는 저소득층 지원정책의 수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용도별 요금차별화 정책의 수용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선호요인 중 원자력 폐기에 대한 선호는 가격인상과 저소득층 지원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에너지 선호는 누진제도 강화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안보는 요금인상과 누진제도 강화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경제학적 요인 중 계층인식은 세금인상을 제외한 모든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금부담 능력은 모든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요금 지출은 누진제도 강화정책의 수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정보기술 수용성과 정보화 수용성 제고 전략

        박이레,김서용,문정욱 경인행정학회 2021 경인행정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2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디지털 정보 기술은 사회에 긍정적, 부정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에 대한 수용성이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 의 목적은 4차 디지털 정보 기술에 대한 정보 수용성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이 수용성 결정요인으로 주로 정보통신기술의 기술적 특성에 주목하여, 인간적, 가치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기술이 가진 특성뿐만 아니라, 기술이 가져오는 편익과 위험,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이 가진 역량과 가치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 기술, 자원, 위험인식, 가치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정보기술의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데 기여한다. 연구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개인의 기술수용에 설명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변수별로는 심리적 요인(자발 성, 성과기대), 기술적 요인(급진적 혁신, 상대적 이점), 자원적 요인(기기 소유), 위험지각 요인(기술 이미지)가 개 인의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기후 변화 위험 인식은 실제 대응 행동으로 이어지는가?: 정책 지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이레 ( Ie Rei Park ),( Chengyu Song ),유나리 ( Nari Yoo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1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이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응하려는 국가적 차원의 대응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고, 개인의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인식도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개인적 차원의 대응 태도와 실천은 이러한 경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대응 행동 간 관계, 그리고 이 관계를 매개하는 정책 지식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 ‘2020 글로벌 시대의 환경 및 기후 변화 대응 인식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위험은 대응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책 지식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정책 지식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지각된 위험과 대응 행동 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지식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였다는 데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actions, and als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olicy knowledge. As the risks from climate change increases, nation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more active around the world, and individuals’ awareness of climate change risks has reached a high level. Yet the individuals’ attitude and actions response in climate change are still needed to be enhanced. Based on this reality,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Based on this,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well help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dividuals’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conduct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 of individual knowledge of policies increases as their perception of the risk increases,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the individuals’ response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corresponding behavior through the mediator of policy knowledge and re-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licy knowledge to maximize policy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