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DX - 10 DBMS의 스키마 관리의 설계 및 구현

        박유미(Y.M Park),이길행(G H Lee),우왕돈(W.D.Woo),조주현(J H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지금까지 전전자 교환기 TDX-10의 DBMS에서는 실시간 접근을 위한 방안으로 데이타베이스를 오프라인 상에서 미리 제작하였기 때문에 운용자가 교환기 운용중에 릴레이션을 생성하거나 소멸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단지 데이타를 검색, 소멸, 삽입, 변경하는 등의 데이타 조작만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운용중에 발생하는 시스템 형상의 예기치 못한 변경에 따른 데이타의 구조 변경은 즉시 수용할 수 없었으며 오프라인 상에서 데이타베이스를 다시 제작하여 로딩해야만 했다. 본 논문은 TDM-10 DBMS에서 구현된 질의어 처리기를 통하여 사용자와 친숙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메뉴 선택 방식으로 운용중에 직접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하여 릴레이션을 생성 및 소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키마 관리기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에 따라 교환기의 효율적인 운용과 운용중 안전하고 간편한 데이타의 등적 조작 및 철저한 데이타 검증이 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 고대의 두류 재배와 활용

        박유미(Park, Yu-Mi)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5 No.-

        선사시대 사람들에게 豆類는 경제적 식물종이었다. 그들은 야생 두류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에 두류의 야생종을 순화하고 재배화 할 수 있었다. 고대 국가 성립 이후에도 이와 같은 두류의 생산과 활용은 촉진되었다. 먼저, 음식생활에서는 두류의 활용이 활발하였다. 질 좋은 두류의 소출은 고대인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고대의 음식문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재배된 두류는 가축 사육을 증대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牛耕이나 수렵 등에 활용되는 가축으로 고대인들은 식량생산을 늘리고 동물성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축 사육에 있어 중요한 문제는 먹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인데, 두류 재배를 통해 얻은 부산물을 가축 사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두류의 재배는 다른 곡물의 생산량 증가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두류 농사는 지력을 보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옥한 토지에서 좀 더 많은 농작물의 생산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콩과 다른 작물과의 혼작은 장려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두류 재배와 활용은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생태환경을 이해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체계화한 성과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고대인들은 두류를 활용하여 음식생활 및 농산물과 가축 사육의 증대 등에서 다면적 성과를 얻어냈음을 짐작할 수 있다. Pulse crops such as beans, red beans, etc. have belonged to "economic plant species" since prehistoric times. People who used wild pulse crops as food crops in the New Stone Age systemized information about pulse crops and sought to make growing them possible. Pulse crops were grown through the stages from wild species to domesticated species and cultivated species. There has been a large increase in production and use of pulse crops cultivated like this since establishment of ancient countries. Grown pulse crops and their by-products were used for ancient people"s food and their animal feed-stuffs, and helped increase crop productivity. Yielding quality pulse crops can not only solve people"s food problems but enhance the flavor of food and raise nutritional quality. Lots of the foods which can be made using pulse crops such as "ddeok" and various types of "jang," probably made their food life diverse. The major cattle such as cows, horses, etc. were able to be the important goods of ancient people. Through the cattle used to plow the fields or hunt, ancient people were able to create opportunities to increase food production and enjoy animal food. Supplying feed was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livestock breeding, and the by-products obtained from the growth of pulse crops were able to be used for feed-stuffs. The amount of crops obtained from farming has relevance to fertility of soil as well. The reason is because a little higher increase in output is expected in the fertile land. One of the ways to solve it is to grow some crops together with beans in the same soil. Ancient people who supplemented fertility of soil through growing some crops together with beans were probably a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crops including beans. It is thought that growing pulse crops like this and using products obtained from it is what people achieved by having understood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sitively systemized it since prehistoric times. As a result, ancient people were able to get multilateral results in terms of food, agriculture, stockbreeding, etc. using pulse crops.

      • KCI등재

        수학-신체 연계활동이 영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유미(Park, You-Mi),최인숙(Choi, In-So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수학-신체 연계활동이 영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두 곳의 영아 28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8주간 실험집단 영아를 대상으로 수학-신체 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신체 연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영아의 수학적 개념 전체 점수와 모든 하위범주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학-신체 연계활동이 영아의 수학적 개념 전반에 결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mathematics-physical connected activities on toddler’s mathematical concepts. To examine this, the participants of were 28 toddles from two Daycare-Center in G-city. The mathematics-physical connected activities treated to the experiemental group for 8 weeks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s-physical connected activities performed better in all areas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test and sub-categories(categorization, number, space, measurement and order)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test tha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infant’s mathematical concepts were improved by using mathematics-physical connected activities.

      • 천장 및 측면 개구부가 존재하는 공간의 화재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유미(Yu Mi Park),이치영(Chi Young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화재 시 공간 내 화재 현상은 개구부의 면적 및 위치, 공간의 크기, 가연물의 종류 및 위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공간 내 화재 현상(공간 내 온도, 개구부 유동의 속도 및 질량 유량 등)은 가연물의 열방출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화재 시 공간 내부의 연기 및 공간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개구부를 통해 각각 유출 및 유입되기 때문에 개구부 조건에 따라 공간 내 화재 현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공간 내 화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파악하고 각 인자와 구획실 화재 현상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장 및 측면 개구부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천장 개구부 면적과 열방출률 조건이 공간 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천장 개구부 면적과 화원 열방출률 조건에서의 실험을 통해 공간 내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천장 개구부 유동의 속도를 측정하여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실험 결과를 이론적 접근을 통해 도출된 예측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 KCI등재

        프랙탈(Factal) 조형 원리를 응용한 헤어 디자인 커트 연구

        박유미 ( Yoo-mi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7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프랙탈(Fractal) 조형 원리를 응용하여 헤어 디자인 커트 원리와의 연관성이 발견되어 연구하였다. 예를 들어 프랙탈의 기본 조건이 서로 연관성을 갖는 다양한 변화를 거쳐 자기 유사성, 무작위성 그리고 불규칙적인 특성이 나타나는데, 헤어 디자인 커트조형과도 매우 밀접한 유사성이 발견되어 본 연구를 하였으며, 헤어 디자인 커트를 프랙탈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서 보다 21세기 미래 지향적인 헤어 디자인 커트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프랙탈 기하학 조형 원리의 특징들 중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 불규칙성(Irregularity), 무작위성(Randomness) 선정하여 프랙탈 기하학과 관련된 자료 중 논문, 단행본, 기사, 인터넷 매체 등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고찰한다. 프랙탈 조형 원리의 자기 유사성은 동일한 커트라인의 반복을 통하여 액티베이티드(Activate) 한 무게감이 표현됨을 알 수 있었고, 불규칙성은 모발의 질감처리를 통하여 율동감과 불규칙적인 언액티베이티드(Unactivate)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미래 지향적 헤어 커트 디자인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applied fractal design principle and hair design cut. For example,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fractal go through various changes which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and show self-similarity, randomness and irregularity. And since these have close connection with hair design cu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ay the cornerstone of future-oriented hair design cut research in 21st century by reinterpreting hair design cut from the viewpoint of fractal. Among thos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design principles, we select self-similarity, irregularity and randomness and we collect and consider the data about fractal geometry from articles, books, thesis, internet media etc. We found out that self-similarity of fractal design principle expressed activated weight area by repeating same cut line, and irregularity showed a rhythmical sense and irregularly unactivated through hair texture treatment. We expect to see more active and various future-oriented research for hair cut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유미 ( Yu Mi Park ),채영문 ( Young Moon Chae ) 창조교육학회 2014 창조교육논총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gral literatur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teacher`s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and self-esteem of teaching process of early childhood student The participants were 52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in Chungcheongnam- do. The integral literatur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designed by the resercher and treated for 13 weeks peri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integral literature activities using books have positive effectss on their teacher``s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all of subareas. Second, the integral literature activities using books have positive effectss on their self-esteem in all of sub-areas.

      • 축산시설 악취 배출계수의 국가별 산정 및 평가 기준 비교

        박유미 ( You-me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축산 농장의 악취에 대한 민원은 지난 몇 년 동안 급격히 증가해 왔으며 가축 산업의 확장과 발전에 대한 주요 장벽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관리 할 목적으로 축산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계수를 제시하였다. 배출계수는 축산농가로부터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중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제시하는 악취 배출계수 기준이 아직 없으며 배출계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악취관련 기준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악취 배출계수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별 배출계수 분류기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경우, 축종별로 배출계수를 제시하며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경우 축종별, 일령별, 내부시설, 분뇨 처리방법 등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계수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후, 배출계수 측정방법 비교를 위하여 네덜란드 프로토콜과 VERA 프로토콜을 분석하였다. 유럽쪽 국가들은 VERA 프로토콜을 참고하고 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예외로 악취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프로토콜을 별도로 제시하고 있었다. 악취 규제기준의 분석 결과 유럽환경청에서 따로 제시하는 악취 규제기준은 없으며 국내의 경우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으로 나누어 배출구와 부지경계선에서의 농도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경우 지자체에서 악취 규제기준을 제시하도록 하지만 환경부에서 악취 집중지역과 도심지역, 교외지역 여부에 따라 기준을 권고하고 있다. 덴마크의 경우에는 토지이용목적에 따라 규제기준을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자료 비교를 통해 국내 축산악취 배출계수 및 규제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추후 국내 배출 계수 산정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축산시설 악취 배출계수의 국가별 산정 및 평가 기준 비교

        박유미 ( You-me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국내 1인당 축산물 소비량의 증가로 인하여 축산업의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따라 축산관련 민원이 2013년 기준 약 19.8%에서 2018년 약 33.3%로 증가하여 지역주민과 농가의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MAFRA, 2020). 이러한 이유로 일부 국가에서는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축산시설의 오염물질 배출계수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제시하는 악취 배출계수 기준이 아직 없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환경부의 권고안을 참고하여 이격거리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통일된 기준 없이 지자체 별로 다른값을 제시하는 등 축산악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악취 관련 기준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악취 배출계수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배출계수, 측정방법에 대한 프로토콜, 국가별 규제기준을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배출계수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 분석을 위한 모델링결과비교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인자에 대한 국가별 특징을 살펴보면 배출계수의 경우 국내를 제외한 유럽국가에서는 축종별, 일령별, 사육시설 구조 등에 따라 자세히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동물 마리당 악취 배출계수를 산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현장실험의 경우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프로토콜, 나머지 유럽국가는 VERA 프로토콜에 제시된 악취 측정방법, 샘플링 위치 및 횟수, 배출계수 산정방법 등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법적인 효능으로 작용하는 악취 규제기준의 경우 각 국가별 공업지역, 기타지역, 농업지역 등에 따라 분류하여 기준값을 제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배출계수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고자 수치모델을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평지로 이루어진 유럽국가와는 다르게 복잡한 지형 및 산지가 많아 지형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지형 고려 유무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고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 KCI등재

        맥적(貊炙)의 요리법과 연원

        박유미 ( Yu Mi Park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맥적(貊炙)은 최남선의 연구 이래로 우리 민족의 특징적인 육류음식문화 기원으로 여겨 졌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연구에서 맥적을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가 아니라고 보거나 또는 우리 민족의 문화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여 맥적의 종족적 연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맥적은 漢代의 기록인『釋名』이나 위진시대의 문헌인『搜神記』등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양념을 한 통구이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육류를 잘게 잘라 나무 막대에 꿰어 굽는 중국식 적(炙)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맥적에 대해기록한 문헌 자료에서 맥적의 연원을 호맥(胡貊), 적(翟/狄)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하였으나 이들은 종족의 명칭 이라기보다 한족(漢族)이 아닌 종족, 즉 이종족의 범칭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맥적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식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식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에 관한 연원이나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맥적은 맥족 계열의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맥족과 관련하여 그 기원이나 지리적 위치 문제 등으로 맥적(貊炙)은 최남선의 연구 이래로 우리 민족의 특징적인 육류음식문화 기원으로 여겨 졌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연구에서 맥적을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가 아니라고 보거나 또는 우리 민족의 문화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여 맥적의 종족적 연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맥적은 漢代의 기록인『釋名』이나 위진시대의 문헌인『搜神記』등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양념을 한 통구이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육류를 잘게 잘라 나무 막대에 꿰어 굽는 중국식 적(炙)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맥적에 대해 기록한 문헌 자료에서 맥적의 연원을 호맥(胡貊), 적(翟/狄)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하였으나 이들은 종족의 명칭 이라기보다 한족(漢族)이 아닌 종족, 즉 이종족의 범칭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맥적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식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식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에 관한 연원이나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맥적은 맥족 계열의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맥족과 관련하여 그 기원이나 지리적 위치 문제 등으로 Maekjeok(貊炙) has been considered to have its origin in the meat food culture unique to the Korean people since the research of Choi Nam-seon. Recent researches home and abroad, however, tend to reserve the judgment of its ethnic origin, not regarding it as one of Korean food cultures or believing that there is no ground to consider it as part of Korean culture. The records of Seokmyeong and Sushingi tell that Maekjeok is a barbecue dish with seasonings and has unique features different from the Chinese skewered dish made of sliced and grilled meat. Old documents present various origin names of Maekjeok such as Homaek(胡貊) and Jeok(翟), but they were not ethnic names but used to refer to ethnic groups that were not the Han race, which raises a need to pay attention to food name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ekjeok since food names generally contain the origin and information of food. Considering those aspects, Maekjeok seems to be a food of Maek ethnic group, which has several candidates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Goguryeo is one of them. There are many different documents that refer to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The Chinese academic researches on Yemaek people do not deny the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to the barbecue cooking method of Maekjeok and that various livestock animals might have been used to make Maekjeok with the pig and lamb being the usual choices since it is more likely that the lamb and pig whose main purpose was meat were used as Maekjeok materials rather than the horse and cow that were draft animals.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ethnic life customs of Manchuria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 where the Goguryeo people, one of the Maek ethnic groups, resided, the pig must have been the main material of Maekjeok rather than the lam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