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딜레마 :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을 활용한 질적 분석

        박영근,John L. Hosp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4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전환교육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행의 정도가 이에 미치지 못하게 만드는 교사들의 딜레마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혹은 전공과에서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전화 면담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 Windschitl(2002)이 제시한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 즉 개념적 딜레마(Conceptual Dilemma), 교수적 딜레마(Pedagogical Dilemma), 문화적 딜레마(Cultural Dilemma), 정치적 딜레마(Political Dilemma) 프레임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이론, 모델, 과정과 같은 개념적인 구성요소들이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동안 배웠던 개념적인 지식들을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실제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계획을 세워서 훈련을 시키는데 필요한 지식 및 전략에 있어서는 개념적 지식보다는 좀 더 실천적인 부분이라, 이에 대한 효능감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은 실제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문제행동 등이 전환교육 수행에 있어서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 외부적인 요소 즉, 학교장, 학부모, 관계 기관, 사업체, 정부기관 등의 협조 및 인식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lemmas keep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lthough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 and to analyze these dilemmas by using the four dilemmas framework suggested by Windschitl. This framework includes conceptual, pedagogical, cultural, and political dilemma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high schools or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special schools and conducted phone interviews with volunteer teacher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se four dilemmas in their own attempts to implement transition service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knowledged that conceptual components such as transition theory, models, and process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However, they tended to forget this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pply it in practical education settings. Second, teachers had more self-efficacy in pedagogical components involving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ransition services, such as transition assessment, transition planning, and transition training, than they did in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they tended to apply pedagogical knowledge daily in educational settings. They also recognized that pedagogical knowledge increases teachers’ self-efficacy for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over time improves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level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cultural factors such as varying student characteristics, severity of disabilities, and student behavioral problems inf luence teachers'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Fourth,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implementation are political, such as the principal’s cooperation, parental cooperation,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organization.

      • KCI등재

        Effec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Quality Managem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박영근,John L. Hosp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verify how the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influences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ing qualit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0 special school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with ID in Daegu, Kyungbuk, Ulsan, Kyungki, and Busan, Korea. For the data collection, modified Smith Teacher Intent to Stay Inventory, the Smith Teacher Job Satisfaction Scale, and Proposed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ecial school teachers’ overall job satisfaction is highest with the school environment and lowest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addition, teachers’ overall intrinsic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extrinsic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rinsic, extrinsic,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domain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taught, years of teaching, and degree held. As a results of correlation test,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1)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2) overall five job satisfaction domains and the quality of program, and 3)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program. Finally, a regression test indicate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ith working environment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influence the current job performance for managing qualit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mplication and suggest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박영근,조인수,John L. Hosp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들에 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지적장애아 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취업 및 고용유지를 위한 일상생활기술, 개인-사회적기술, 직업기술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취업 및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 학생들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성공적인 성인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적장애학생들이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취업 후 지속적인 고용 유지를 방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기 때문이다. 양적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취업 및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기술, 직업기술, 개인-사회적 기술이 모두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개인-사회적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의 결과에서도,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취업을 하고,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업 기술보다는 학생들의 성실성, 착한 인성, 사회성기술, 지시 따르기 등의 태도 등이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이를 교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percep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the significant skills requir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for gaining and maintaining employment. For this study,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quantitative survey method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were utilized. First, through quantitative survey method, the perception on significant skills of students with ID for gaining and maintaining employment was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quantitative survey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implemen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ifficulties keeping students with ID from maintaining employment and significant skills for gaining & maintaining employment were investigated. Many students with ID have had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for reasons such as behavioral problems, lack of social skills, or lack of diligence. Thus, many specia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significant skills for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as well as gaining employment. For successful vocational transition, daily living skills, occupational skills, and personnel-social skills are significant. However, students' personal-social skills are more important than daily living skills and occupational skills. Among personal-social skills, students' sincerity, diligence, good-hearted personality, social skills, and ability for following directions of a supervisor a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r gaining and maintaining employment.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실천적 과제

        박영근,김정현,John L. Hosp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성공적인 전환의 한 형태인 고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연구 및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먼저 지적장애아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아들을 위한 효과적인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요소, 고등교육 담당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제로 발달장애 학생들을 대학교로 진학시켜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 중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양적연구의 결과를 통해서는 효과적인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담당자 역할기대에 대한 인식이 조사 및 제시되었다. 심층면접에 따르면, 많은 교사들이 발달장애인들을위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심층 면접을 통한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고등교육프로그램의 현 실태와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교사 인식: 혼합 연구

        박영근 ( Yung Keun Park ),( John L. Hosp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전환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전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의 중요성, 수행정도, 수행에 따른 어려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중·고등부 혹은 전공과를 담당하고,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혼합 연구(mixed method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 교사들은 6가지 전환교육 영역 모두에 있어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실제 전환교육 수행수준은 그에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독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반적인 교육과정 및 관련 서비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환교육의 중요성 또한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전환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많은 어려움들로 인해 그 수행의 정도는 낮은 편이다. 주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어려움들은, 과중한 업무 부담, 비체계적인 학교 시스템, 장애에 대한 인식부족, 학생들의 장애 중도·중복화, 학교장의 비협조, 부모와의 비협조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전환교육 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 및 연수 제공, 과중한 업무 감소 및 전문 인력 확보,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수준 향상, 국가적 시스템 개선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transition services,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current implementation level, difficulties faced in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promot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s.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As a resul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because transition services help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when they become adult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kills to gain and maintain employment. Although they perceive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was relatively low.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ognized that many barriers keep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effectively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mong those barriers they cited were heavy workload, non-systematic school system,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verity of students’ disabilities, non-cooperation of the principal, and gaps in opin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providing in-service training for increasing teacher specialties, decreasing the workload, increas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ing national support systems, and building sound cooperation with transition agencies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