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보건소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언아(Eun-A Park),최성용(Sung-Yong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전국 보건기관 이용률과 보건기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특성과 지역특성변수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개인특성변수 선정을 위해 2016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하였고, 지역특성변수는 국가통계포털과 한국환경공단의 대기환경 연보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분산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보건기관 이용률에 대한 개인특성변수와 지역특성변수를 함께 분석하기 위해 다수준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보건기관 이용률은 25.54%이고 군, 시, 대도시 순으로 나타났다. 다수준회귀분석 결과, 고령지역, 여자, 높은 연령, 낮은 교육수준과 낮은 소득수준, 걷기 실천자, 영양표시 독해자, 우울감 경험자, 고혈압 진단을 받은 자, 건강검진을 받은 자, 필수의료서비스 미충족자, 배우자가 있는 자, 기초생활수급권자에서 보건소 이용률이 증가하였다. 반면, 스트레스 인지자, 인구 천명당 보건의료인 수가 전국 평균이상이고 보건복지예산 비중과 재정자주도, 그리고 실업율이 평균 이상으로 높은 지역에서 보건소 이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지역보건의료정책 수립시 지역주민의 건강행태와 정신심리적 변수 등 개인특성 뿐 아니라 지역특성 변수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as well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ir utilization based on data from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National Statistical Portal,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dependent samples t-tests,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vealed that aged regions, women, older age individuals, respondents with lower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alking practitioners, nutrition label readers, individuals experiencing depression, those who have received health checkups, those who are not covered by essential care, those who have spouses, and basic livelihood beneficiaries have increased use of public health centers. However, the use of public health centers decreased in stressors, and regions in which the population per 1,000, number of health care workers, health and welfare budget, fiscal independence, and unemployment rate were above the national average. As above,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analyze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health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when establishing local health care policy.

      • KCI등재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로봇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 이용 경험

        박언아(Park, Eun-A),정애리(Jung, Ae-Ri) 한국노인간호학회 2021 노인간호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depth experiences of subjective memory droppers registered at the Dementia Safety Center in S-si, Gyeonggi-do and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a robot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ing approach was adopted for this study. Focus groups with a total of 9 older adults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from February 18 to February 25,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Three main themes and eight sub-themes emerged. One main theme was ‘discovery of hope for reviving cognitive function’, the second theme was ‘difficulty concentration while learning’, and the third theme was ‘the motivating power that promotes learning’.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s of robot-based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operate programs that closely reflect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memory loss and cognitive decline in order to show long-term effects.

      • KCI등재

        대학생의 음주.흡연 동시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언아(Park, Eun A),최순옥(Choi, Soon Ook),황혜민(Hwang Hye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음주 흡연 행태를 파악하고 음주⋅흡연 동시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B시 소재 B 대학교 대학생 1-3학년 총 5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20년 5월 18일부터 6월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음주⋅비흡연군, 비흡연⋅음주군, 음주⋅흡연 동시사용군으로 구분하여 건강행태와 건강수준, 환경변수의 차이와 음주행태와 음주 흡연 동시사용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비흡연⋅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용돈(OR=1.000, p<.05)이었고,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행태에는 낮은 학점(OR=32.318, p<.05)과 중등도 스트레스(OR=3.687, p<.05), 남자 적정음주량에 대한 인식(OR=3.303, p<.01) 및 여자 적정음주량에 대한 인식(OR=2.495, p<.05)이었다. 결론 대학생의 교내 금주, 금연 교육과 홍보활동을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수준과 건강행태가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실효성 높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occurrence of drinking and smoking among college students in community. Methods The method of research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523 college students. The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May 15 to June 1, 2020.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health levels, related system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both drinking and smoking.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influences on non⋅smoking and drinking habits were allowance(OR=1.000, p<.05), and that influences on the behavior of co⋅occurrence of drinking and smoking were low grades(OR=32.318, p<.05), Middle-Side Stress (OR=3.687, p<.05), and the right amount of drinking for men (OR=3.303, p<.01) and women(OR=2.495, p<.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health levels and health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for non-smoking, non-drinking, and promote activities on campus, and is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빈곤층 여성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언아(Eun A Park),이인숙(In-Sook Le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2

        본 연구는 65세 이상 빈곤층 여성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방문건강 관리사업 대상자 중 노인 교육프로그램 대상에게 수집된 기초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로, 2008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건강보험료부과하위 20%에 속하는 빈곤층 여성 노인 1,410명을 임의표출하여 조사하였다. 방문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자료 수집 및 방문건강관리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설명하고, 대상자가 동의한 이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 면담을 통해 시행하였고 이 중 1,208명만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분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x²-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75~84세가 54.4%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87.8%로 무배우자 비율이 높고, 간접적 경제수준인 의료보장 유형에서 의료급여가 74.9%를 차지하였다. 교육수준은 무학이거나 초등학교 졸업이 92.4%로 조사되었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이 72.7%, 보유 만성질환 수는 평균 2.81개, 인지기능이 13.51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태, 건강수준 변수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무배우자일수록(p<.05), 인지기능이 낮을수록(p<.01), 주관적 건강감이 낮을수록(p<.001)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교육수준, 건강행태, 일상생활수행 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보유 만성질환 수에서는 우울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지지 및 가족지지를 포함한 심리 사회적 요인이나, 영양, 질병특성을 고려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심층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빈곤층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감소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우선적으로 차별화된 맞춤식 중재가 요구되며 노인의 기초적인 생활보장문제와 인지기능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고려한 지역사회 기반의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in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1,208 elderly women over 65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e Public Health Care Center from Apr. 2008 to Jun. 2008.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y nurses at the time of enroll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show a tendency to have lower level in income, education, self-rated health, cognitive function compared with ordinary women in old age.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were spouse"s existence or nonexistence, type of insurance, cognitive function, and self-rated health.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decreas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the above-mentioned major influenc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 KCI우수등재

        구조화된 집단과정기법을 통한 지방의회의 지역사회 발전목표와 사업의 우선순위의 결정 : 양산군 의회를 중심으로

        김인,박언,허용훈 ( Kim In,Park An - Seo,Huh Yong - Hoon ) 한국행정학회 1995 韓國行政學報 Vol.29 No.3

        지역사회의 발전과 관련하여 地方議會가 다루는 정책문제들은 상당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들 정책문제와 관련하여 階層間이나 혹은 地域住民들 相互間의 利害關係 때문에 심각한 갈등이 노정되고 있어 地方議會가 傳統的인 會議方式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代案的인 회의방식이 `構造化된 集團過程技法`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지방의회의 政策管理能力을 크게 伸張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議會도 能率的으로 운영할 수 있다. 本 硏究는 慶南 梁山郡議會가 構造化된 集團過程技法을 적용하여 地域社會의 發展目標와 主要事業의 優先順位를 결정하는 것을 支援해 주는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향후 10년을 내다볼 때 양산군의회는 지역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交通, 道路, 敎育, 環境, 都市再整備, 地方財政 등 6개의 분야가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들 분야와 관련하여 20개의 主要事業과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이들 사업 중 `부산전철 양산까지 연장` 하는 사업이 가장 優先順位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었다. 의원들과 본 연구과정에 참여한 공무원들은 이러한 회의 결과의 妥當性과 收容性, 그리고 會議 過程의 效率性과 參與性 등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 비교

        최경원(Choi, Kyungwon),박언아(Park, Un-A),이인숙(Lee, In-Sook)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두려움, 건강상태, 규칙적 운동 횟수 등을 비교하고 낙상두려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53개 보건소의 2009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중에서 허약노인 사례관리를 위해 수집된 65세 이상 노인들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903명(남 259명, 여 3644명)으로, 평균 연령은 남성이 75.17세, 여성이 평균 77.54세였으며, 남성의 75.3%, 여성의 85.4%가 낙상 두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저소득층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정적 균형감, 과거 낙상경험이었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정적 균형감,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과 과거 낙상경험,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여부 및 영향요인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고위험군을 발견하고, 낙상 및 낙상두려움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접근을 포함한 다요인적 통합 프로그램을 성별에 따른 맞춤형으로 개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falling in frail elderly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e elderly over 65 years who were registered for case management for frail elderly of 253 public health center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Prevalence of fear of falling and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75.3% of the male elderly, 85.4% of the female elderly had the fear of falling. The predictors for men's fear of falling were static balance ability, experiences of previous falls, whereas for women static balance ability, TImed up and go, depression, experiences of previous falls, educational statu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Fear of falling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frail elderly according to gender should be assessed regularly to find the high risk group. On the basis of that, prevention program for fear of falling and fall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which should be gender sensitive.

      • KCI등재

        대학생의 미세먼지 위험 예방행동 영향요인 : 건강신념모델 적용

        최순옥(Choi Soon Ook),박언아(Park E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비실험연구로, 대학생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예방행동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학년 학생으로 보건계열 120명, 비보건계열 120명을 포함한 총 240명에게 설문지 배분하였고 이중 응답이 미비한 6명 자료를 제외하고 총 234명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27일부터 6월 11일까지 총 16일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χ2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정도, 미세먼지 주의 정보 매체, 미세먼지 예방교육 횟수, 미세먼지 예방행동 교육의 도움 인식에서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지식과 지각된 민감성과 유익성, 자기 효능감, 미세먼지 예방행동 수행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과 장애성, 행동계기는 계열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먼지 예방행동 수행의 영향 요인으로 계열 관계없이 미세먼지 위험관련 지식과 행동계기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교정된 설명력(adjusted R2)은 전체 46.8%, 보건계열 36.9%, 비보건계열 50.2%이었다. 결론 대학생의 전공계열과 상관없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본적인 미세먼지 교육을 제공하고 일부 계열별 차이를 나타내는 건강신념의 하부영역인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장애성, 행동계기에 있어 보건계열의 지각된 장애성을 낮추고 비보건계열 학생들의 지각된 심각성과 행동계기를 높이는 실효성 있는 교육 전략이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의 미세먼지 예방행동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non-experimental, retospective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reventiv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on the risk of fine dus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in the 1st and 4th grade at one college in Gyeonggi-do, 120 in health major, 120 in non-health major. 234 respons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six responses with unfinished question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by online self-enrollment for a total of 16 days from May 27 to June 11 2021.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 test, Pears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 and non-health majors i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fine dust, fine dust-causing information media, number of fine dust prevention education, and help education on fine dust prevention behavi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ensitivity, benefit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fine dust prevention behavior of health and non-health college students, and perceived severity of fine dust and barriers, cues to 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fine dust risk-related knowledge and cues to 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in the performance of fine dust prevention actions. The explanatory power of multi-linear regression model(adjusted R2) was overall 46.8%, health 36.9%, and non-health 50.2%. Conclusions Regardless of college students major,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basic fine dus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various media, and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perceived barriers of health major students and increase perceived severity and cues to actions of students in non-health major.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fine dust prevention actions.

      • KCI등재

        노인대상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간호사의 역할과 직무

        한영란(Han, Young Ran),박언아(Park, Eun A),방미란(Bang, Mi Ran),안나원(An, Na Won) 한국보건간호학회 2021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 and tasks of nurses who were working for the elderly in the visiting health services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Literature reviews, two rounds of meetings with 5 experts and a two-round Delphi technique with 15 exper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Results: The nurses" role and job analysis revealed 5 roles, 16 duties and, 71 tasks. The nurses’ roles, including discovery and registration of households/groups in visiting health service in the community, case manager,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gram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Sixteen duties included cli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need assessment and plan establishment, education, consultation and support, seasonal health care, prevention and monitoring of infectious diseases, basic nursing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linkage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team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home environment management, monitoring and support for intervention outcomes, evaluation, administrative management, program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adoption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fficient nursing personnel to provide universal preventive health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a job training program to perform these roles well.

      • KCI등재

        빈곤 여성노인의 연령군별 요실금 중증도 및 관련요인

        최경원(Choi, Kyungwon),박언아(Park, EunA)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는 빈곤 여성노인의 요실금 중증도를 전ㆍ후기 연령군으로 구분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09년 전국 253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되어 낙상예방운동, 영양, 요실금, 약물복용, 우울, 인지기능저하 완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재가 노인 중 여성노인 4,036명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빈곤 여성노인을 전기와 후기 연령군으로 구분하여 요실금 중증도의 관련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노인은 허약상태, 만성질환의 수, 왼손 악력, 시각 장애 등 신체기능적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요인들이 관련성을 보인 반면, 후기노인은 허약상태만이 관련성을 보여 전기와 후기노인의 요실금 모두 허약상태와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이 신체적, 정서적 기능이 감소되었거나 기능의 쇠퇴가 진행 중인 허약상태일 경우 연령과 관계없이 일반 노인에 비해 요실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요실금이 있는 노인은 허약상태가 유발되거나 심화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요실금 예방과 관리에 있어 허약상태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필수적이며 허약노인에게 적합한 요실금 관리도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relevant factors according to age in low-income elderly women.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elders over 65 years of age registered in public health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eld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for fall prevention, nutrition, urinary incontinence, medication compliance, depression and recognition function enhancement.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rail statu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grip strength(left hand), and visual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in the young-old(65 to 74 years of age), while only frail status was associated in the old-old(75years of age or ol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rail status is common and crucial factor related to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of female elders regardless of age. Therefore, the intervention for preventing and getting over urinary incontinence for female elders should be focused on the prevention of progress to frailty.

      • 필터링을 이용하여 저화질과 점 잡음 이미지의 얼굴 인식 성능 개선 및 성능 비교

        박언(Eon Park),김진범(Jinbum Kim),전주성,남기은(Gieun Nam),차성원(Seongwon Cha),박민지(Minji Park),박세진(Sejin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The purpose is to extract facial areas from noisy images. The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is low in noise images. Use filtering to improve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We have two situations: low-definition images and point noise images. For both situations, we use Gaussian filtering and Median filtering to compare the filtering results with each situation to study which method is most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