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한 아동기 생애 부정적 경험의 유형화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박애리(Park Aely)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생애 부정적 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을 잠재계층 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통해 유형화하고 유형화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온라인 서베이 방식을 활용하여 전국 2, 3년제 대학교 및 4년제 대학교 대학생을 편의표집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한국의 인구특성에 비래해 온라인 서베이 참여자의 성 비율과 서울과 비서울권 대학의 참여자 학생 비율이 50:50으로 동등하게 도달하는 시점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여 총 1,037개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Mplus를 이용하여 LCA을 실시한 결과, ACEs 4가 다음의 4개의 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ACEs가 높은 그룹(class 1, 6.4%),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에 노출된 그룹(class 2, 20.1%), 경제적으로 어려운 그룹(class 3, 13.2%), ACEs가 낮은 그룹(class 4, 60.4%)으로 나타났다. ACEs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ACEs가 높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그룹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낮았으며 가구소득이 낮고 돈을 벌기 위해 현재 일을 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에 따라 ACEs에 대한 실천적 예방적 접근의 다각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CA. We used a structured online survey questionnaire to conveniently sample college students from two, three, and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After the data was collected 1,037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e performed the latent class analysis using Mplus, and identified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to four groups, namely participants with high overall ACEs (class 1, 6.4%), exposure to child abuse and domestic violence (class 2, 20.1%), economic hardship(class 3, 13.2%), and low ACEs (class 4, 60.4%). Results indicated that more women than men, those with fathers and mother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those with lower family income, were in the groups for high overall ACEs or economic difficulti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ultilateral effort of practical and preventive approaches to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 KCI우수등재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잠재적 유형화

        박애리(Aely Park),정익중(Ick-Joong Chung)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patter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an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patterns of ACE influence depressive symptoms,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maladjustment. Methods: This study utilized 1,033 adults (ages 18-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Latent Class Analyses (LCA) were employed to identify homogeneous groups of adults with similar patterns of ACE. Multiple linear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E classes and the three adult outcomes of depressive symptoms,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maladjustment. Results: LCA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classes fit the data best across the sample and were labeled Low ACE Group (61%), Child Maltreatment Group (20%), and Family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Group (19%).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gender,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indicated that compared with adults in the Low ACE Group, adults in the Child Maltreatment Group and the Family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Group reported more depressive symptoms, more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and higher interpersonal maladjustment. Conclusions: Adults who have multiple ACE can be more susceptible to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adulthood.

      • KCI등재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성인기 우울장애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애리(Park, Aely)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의 누진적인 빈도를 확인하고 이것이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 성인기 우울장애 및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 조사한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사용하였다. 1,03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10개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중 4개 이상의 부정적 경험에 노출된 경우가 18.6%에 해당되었다. 우울장애의 경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0인 경우를 비교 집단으로 했을 때, 나이, 성별, 월평균 가구소득, 고졸여부를 통제하고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4 혹은 그 이상일 경우 성인기에 우울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6.11배 높았다. 또한, 자살생각의 경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0인 경우를 비교집단으로 하고, 통제변수를 통제했을 때,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4 혹은 그 이상일 경우 성인기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4.14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신건강 영역 종사자에 대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영향력을 알리고, 실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umulative scor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s) are related to depressive disorders and suicide ideation in adulthood. This study used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collected by Sungkyunkwan University in Korea. As a result of a study of 1,033 people, 18.6% of the 10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was exposed to more than 4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mulative scores and depressive disorders and suicide ideation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 and inco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no ACEs group, 4 or more scores ACEs group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a depressive disorders(OR=6.11, 95% CI: 3.39-10.98) and a suicide ideation(OR=4.14, 95% CI: 2.56-6.68) respectively.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social contexts to prevent negative consequenc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 KCI등재

        청년세대의 주거 빈곤 진입과 주거 불안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박애리 ( Park Aely ),심미승 ( Shim Miseung ),박지현 ( Park Jihy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주거 빈곤 진입과 주거 불안정성에 따른 경험적 인식 및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우리사회의 청년세대는 주거 빈곤과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의 어려움으로 규범적인 생애궤도에 진입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분석결과, 청년들은 원 가족과 함께 살 수 없는 상황 및 집값이 비싼 서울에 집중된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이주해오면서 주거 빈곤에 진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청년세대는 주거 공간의 취약성에 따른 심리적 고통과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비싼 주거비용은 괜찮은 주거공간으로의 이행을 어렵게 만들어 안정적인 미래를 계획할 수 없게 하는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공임대주택과 보증금 지원 등 청년들의 지원욕구가 반영된 접근 가능한 주거 복지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들 청년세대가 성공적인 성인기로 안착할 수 있도록 사람 중심의 주거 정책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ntry to housing poverty and perception of the housing instability for young adults who experienced the housing insecurity. Presently, young adults have difficulties in entering the normative lifespan because of the socio-economic situation such as housing poverty.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y fell into the housing poverty for reasons that they separated from their family without affordable housing and moved to Seoul to find the only available job which paying less and fewer benefits. Also, they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convenience caused by housing inst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public housing, support for the housing deposit and hous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y could settle into adult roles such as marriage, families, and career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KCI등재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박애리 ( Aely Par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10대 초반에 지각한 부모의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조사 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KCYPS)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자아존중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은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방임의 관계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 축을 동시에 넣고 매개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사회 적 위축을 증가시키며 이는 다시 우울정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우울간의 관계에 중요한 매개 변수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위축은 단 독으로 매개하지 못하나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존재할 때 자아존중감과 함께 방임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부모로부터의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감 정적인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긍정적인 자아체계 강화를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neglect on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between neglect and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utilized 2,34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wave of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KCY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tls are following. Firs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Second, social withdrawal itself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Third,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together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Conceptual and practical ramif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맞벌이 가구와 남성홀벌이 가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부부관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김유나 ( Yuna Kim ),박애리 ( Aely Par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on parenting stress among dual- and single-earner famil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parenting stress. To access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e included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as the dimensions of marit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Method: We employed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data. Our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1,515 parents having at least one child aged under 4 years. Also,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for both mother and father in dual-earner families. While both indica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for father, marital conflict onl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mother in single-earner families. Second, father involve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parenting stress for father in both dual- and single-earner families. Third,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father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 in the dual-earner families and between father involv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the single-earner famil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ed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such as parenting education and community-based campaign. In addition, we recommended that policy and practice need to identify marital relationship dynamics to promote father``s involvement and to reduce marital conflict in both dual- and single-earner families accordingly.

      • KCI등재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이 중년여성의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순둘(Soondool Chung),박애리(Aely Park)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 여부를 종단적으로 유형화하여 중년여성들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해서 1차년도(2005년)에 응답한 50세에서 64세에 해당하는 여성가구원 중 2차년도 및 3차 부가조사까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 64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손자녀 돌봄은 종단적으로 돌봄지속, 돌봄 중단, 돌봄전이, 비돌봄의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구원 수, 가구 소득, 취업여부 및 건강상태와 자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지 여부 및 연금가입 여부 등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손자녀 돌봄 중단만이 경제적 노후준비와 정서 및 사회적 노후준비, 그리고 신체적 노후준비 모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녀 의 경제적 지원여부나 연금가입 여부보다는 중년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건강상태 및 취업여부가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손자녀 돌봄의 중단이 노후준비로의 편입을 이끌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가족의 지원과 사회적 지원에 앞서 개별적인 노후준비 역량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줄 것이 요청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tterns of grandparenting roles on the economic preparation, emotional and social preparation, and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life. Using data from four waves (wave 1 in 2005 through wave 3 in 2009 and additional wave in 2010)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ndparenting ro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and physical preparations,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Those who were continuously raising a grandchild as well as those start to raise a grandchild did not differ from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The results indicates that grandparents who care of their grandchild will be important target for intervention to prepare for successful aging later.

      • KCI등재

        연구논문 :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순둘 ( Soondool Chung ),박애리 ( Aely Park ),기지혜 ( Jeehye K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의 지속 여부에 따라 손자녀 돌봄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1차년도(2005년)에 만 50세 이상의 가구원 중 4차년도(2011년) 조사까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를 개인별로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손자녀 돌봄은 종단적으로 돌봄지속, 돌봄중단, 돌봄전이, 비돌봄의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비돌봄 노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돌봄중단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전이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연령층에 따라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중년층에서만 나타났으며, 돌봄전이와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또한 중년층에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을 경험한 조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손자녀 돌봄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제고방안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tterns of grandparenting role on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data were utilized. In this study grandparents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indicating duration of care for their grandchildren-those who were continuously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were low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Also,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were higher levels of family-relationship-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The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only discovered among grandparents under 65 and grandmothers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showed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e discuss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the grandparenting roles for grandparents` healthy life.

      • KCI등재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 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순둘(Chung, Soondool),박애리(Park, Aely)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연령통합 인식이 고령친화 환경인식과 사회결속력 인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세에서 86세까지 성인 997명이였다.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WHO에서 제시한 고령친화도시가이드라인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연령통합인식은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결속력 인식은 사회통합에 관한 측정도구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적 자본 척도 가운데 신뢰와 사회응집력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 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대상자들의 사회결속력 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연령통합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결속력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고령친화 환경조성 및 연령통합인식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between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2017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SK). A total of 997 adults from 20 to 86 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age-friendly city guidelines set out by WHO a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was measured using questions that asked about age flexibility and age diversity. Also, the social capital scale was used to measure perception of social bo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were controll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social bonding in a positive direction,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Seco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controlling for covari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age-friendly environment and age-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