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력정도에 따른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특성 분석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시각은 사회생활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사회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요 수단이다. 시각장애 분야에서는 시각이 상실되었거나 부분적으로 결손된 학생들은 일반학생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져 왔다. 일부 연구자들은 사회적 기술에 전반적인 결함이 있다고 보고하기도 하였고, 일부는 사회적 기술의 일부 영역에서만 일반학생과 차이를 보일 뿐이라고 하면서 전반적인 결함설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는 이경림(2005b)이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특수학교인 시각장애 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평가한 결과서투르지만 가끔씩 사회적 기술들을 보인다고 보고한바 있다. 그러나 일반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적인 제약이 있는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사회적 기술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저시력 수준에 있는 학생을 포함한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A광역시 소재 일반 초등학교와 일반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정상시력 1.0 이하인 학생73명의 사회적 기술을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4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시력이 0.05에서 0.3까지의 저시력 학생들은 평균 2점대를 받은 항목과 3점대를 받은 항목들로 구분이 되어 나타난 반면, 시력이 0.4에서 0.9까지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모든 사회적 기술 항목에서 3점대의 평균을 보여 ‘항상 기술을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자주 해당 기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정도별로 나누어서 사회적 기술 점수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시력이 0.05에서 0.3까지의 저시력 학생 집단과 0.4에서 0.9까지의 학생 집단간의 사회적 기술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항목별, 영역별, 전체 점수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below normal visual acuity studying in regular schools. The 73 subjects consisted of 34 student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05 to 0.3 and 39 student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4 to 0.9. Their general education teachers rated 53 items of Social Skills Rating Scale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SSRS-SVI) with four-point Likert’s scale.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SRS-SVI total scores of two groups of students grouped by degree of visual acuity.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the two groups in self-control,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gnition factors. The mean total score was 3.33 and mean scores of several SSRS-SVI items were below 3.0. The mean score in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ose in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ore structured social skills training included teaching a student to initiate and sustain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eaching a student to introduce himself to others, developing strategies with a student on ways to participate in conversation at the appropriate time,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social skills of children below normal visual acuity. Especially, students with low vision require structured intervention strategies(for example, structured social skills training, peer-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peer-support social skills models) to learn specific social skills in regular schools.

      • KCI등재

        특수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박순희(Sun-Hi Ba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2 No.-

        Within recent decades, the use of multimedia in special education has been explored and develop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urrent multimedia approach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suggest vision for applying multimedia in Special Education. There are a variety of new learning options that include multimedia and personaliz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Multimedia system, including computer, coul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volve active class working activities with higher motivation and interesting, and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ir learning. Recognizing the limited development and empirical base of support for technology applications i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ttention must be given to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alized applications to address their unique needs. In addition,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explored further in relation to software development for special need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ke effort to compile a list of learning needs, learning style and special activities to support the special needs of the learne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발달 연구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시각장애교육 전문가들은 선천적으로 실명한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이해 능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중점 관심사는 아동이 시각장애로 인하여 마음의 이론 발달에서 어려움을 겪는지와 이 능력 발달과 관련이 있는 변인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분석은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자신 및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에 대한 개념발달이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교하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의 이론 발달과 관련 있다고 언급된 배경변인 즉 연령증가, 시력정도, 언어성 지능과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마음의 이론 발달의 주요시기인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4세에서 12세까지의 선천적으로 실명한 아동들이었다.마음의 이론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망수용과제와 함께 위치변경과제와 비정상적인 내용물 제시 과제로 구성된 거짓믿음과제가 실시되었다. 결과로 연구대상들은 정상발달 아동들에 비해 느리나 마음의 이론 발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정도와 언어성 지능에 따른 시각장애아동들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발달 및 사회적인 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사회성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ged 4-12. Subjects were 48 students who are study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levels in 3 schools for the blind in OOO district in South Korea. All subjects were individually tested on a battery of two perspective-taking tasks and four false-belief tests including changed location tasks and misleading appearance tests. The battery was designed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that is, central aspect of social understanding. The subjects were given theK-WPPSI or K-WISC-III to determine their verbal intelligence. While increasing age significantly predicted gains in three kinds of task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between two ag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children with blindness and those with low vision. The subjects`` level of visual impairment and verbal intelligence do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 taking and understanding false belief.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among three educational experience groups. Educational background is likely to account for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exact nature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s difficulties and other abnormal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pretend pla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nd use. It would be very useful to seek qualitative information on visual and social experiences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영어 학습태도,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권혁일 ( Hyug Il Kwon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에게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습태도,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어 학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전국 시각장애 특수학교와 충북 청주시 일반 인문계 남녀공학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총 122명(시각장애 학생 56명, 일반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태도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범주에서 영어 교과태도는 시각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전략은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일반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 범주에서 초인지 전략과 인지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영어 결과는 일반 학생이 시각장애 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영어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은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취도가 우수학력인 학생들이 다른 수준의 학생들보다 영어 학습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영어 학습전략에 있어서도 기억전략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학업성취도 결과에 대한 장애유무, 영어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이 유의하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가 있지 않는 경우가 장애가 있는 경우보다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고,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은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만 초인지 전략이 영어 학습태도보다 모든 학력 수준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우수학력의 학생일수록 영어 학습태도가 높고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학력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교과의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지도계획과 실천이 필요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어에 대한 올바른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학생 모두에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English education in school is important for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strategies and scholastic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and analyzed relevant variables for both groups as a means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may contribute to greater effectiveness in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2 high schoolers (56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66 sighted students) studying in their second year. Scholastic achievements in both groups were measured using the English language evaluation results contained in the “2009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In addition, the researchers used both student attitude and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overall student attitudes to English language learning betwee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bu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rat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category of “attitudes toward English language class”. Second,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ir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 differences obtained in the sub-categorie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showed that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urth, student attitudes and strategies to scholastic achievement in English had overall significant impact only on those students possessing excellent scholastic abiliti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scholastic achievement among impairment status, learning attitudes and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 cognitive strategies. Learning attitudes,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ffecte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t is obvious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the most effective factor. Therefore, in the English classroom, maximum educational support must be provided to rais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rough producing effective attitudes and strategies in the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ng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cognitive strategies, will help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 KCI등재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충남지역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옥등 ( Ok Deng Lee ),박순희 ( Sun Hi Bak ),정해동 ( Hae Dong 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가족지원에 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가족지원 요구조사지를 제작하여, 충남지역 8개 장애전담어린이집의 학부모 160명에게 배부하고, 회수된 l2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부모는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교육 내용과 수준, 교사의 자질을 가장 중요시하며, 자녀지원 프로그램으로 장애전담어린이집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 가정에서는 신변자립 및 건강과 안전을 가장 원한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는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원한다. 셋째, 장애아동 부모는 가정에서도 교사와 치료사의 지원을 필요로 하며, 자녀의 장애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을 가장 해결하기 어려워하고 있으며, 부모와 자녀를 위한 지역사회 서비스의 기회를 제공받길 원하며, 교육비 및 치료비를 보조해 줄 것을 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중심의 가족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needs for family support of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ovince of Chungnam. A total of 12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earch tool,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on parents` needs for family support of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need supportive programs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dependent living and safety in their homes. In addition, they demand the development of policy on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which their children ask for their maximum development. Second, the most demanding programs are individualized counseling on nurturing their children as well as special training for improv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Third, the participants need serv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rapists in their homes and hav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community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ized family support programs which focus on special needs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se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home, and community under collaboration of professionals.

      • KCI등재

        전맹 대학생과 정안 대학생의 음악 감상 경험에 대한 언어적 서술 비교

        박혜영 ( Hye Young Park ),정현주 ( Hyun Ju Chong ),박순희 ( Sun Hi Ba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는 전맹 대학생과 정안 대학생의 음악 감상 경험에 대한 언어적 서술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충청권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전맹인 10명, 정안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내용 분석한 결과 첫째, 전맹 대학생 집단에서 시각지향성 버벌리즘이 관찰되어 정안 대학생과 동일한 수준의 경험이 가능한 음악적 상황에서도 버벌리즘이 발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획득한 맥락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버벌리즘이 매체나 학습에 의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서술 형태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한글 글분석 프로그램(K-LIWC)에서 전맹 대학생은 대명사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며, 부정적 정서 표현의 빈도가 정안 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맹 대학생 집단에서 정동적 서술과 시각 이외의 감각적 서술이 정안 대학생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에 대한 일화적 기억과 상황적 묘사에서 전맹 대학생은 상황적 묘사가 많은 반면 정안 대학생은 일화적 기억에 대한 서술빈도가 높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language used by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s. Participan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er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Ten participants were visually impaired and the other ten were normal sighted. Content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visually oriented verbalism is observed among visually impaired people even when they can experience the same level of musical experience with normal sighted people. Highly observed is verbalism by contextual information which is naturally obtained in daily life, rather than verbalism by the media, or by learning. Second, K-LIWC was employed to examine the types of verbal description between comparing groups, high ratio of use of pronouns in the visually impaired was observed as well as that of the description of negative emotions. Third, compared to normal sighted people, visually impaired people more frequently use affectiv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via senses except vision. Through non-vision senses that substitute or compensate visual impairment, the visually impaired understand and express emotions that the normal sighted feel through vision. Last, in regards to episodic memory and situational depiction, normal sighted people frequently narrate episodic memories, while visually impaired people rather focus on situational dep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