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율정책이 재선에 미치는 영향 : 아르헨티나 메넴과 마크리 정권 비교사례연구

        박성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 of Exchange Rate Regime on Reelections in Argentina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Menem and Macri administrations PARK Sung-hwan Korea University Abstract Due to economic recession is a critical problem even after the military regime was terminated in 1983 Argentina,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economic reform program is a urgent task to all elected governments. And 'Election' reflects public preferences about incumbent‘s economic policies effectively more than authoritarian regime owing to democratic regime guarantees rights of political expressions. Consequently after democratization, when economic performances were disastrous, Argentine people have tended to punish incumbent by ’voting’ to opposition party which may cause electoral turn over. 'Carlos Menem'(1989-1999) and 'Mauricio Macri'(2015-2019) both governments were elected to presidents since former administrations had failed to handle chronic economic instability factors especially ‘hyper inflation’, ‘soaring unemployment’, and ‘external debts’. They also carried out 'orthodox stabilization policies' in his entire tenure despite some ‘defects’ that neoliberal and pro-market policies including privatization, deregulated capital market, fiscal austerity which could harsh to most of Argentine voters such as urban working-class. However Menem was re-elected to president in 1995. In the contrary, another right wing government, the 'Mauricio Macri' was failed to succeed presidential re-election in 2019 although he undertook the neoliberal orthodox stabilization programs likewise Menem's. What factors brought about different results between Menem administration and Macri though both are same right wing governm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shed light on the 'variables' which cause different electoral results in two democratic right wing governments. I argued 'different economic performances' raised 'opposite electoral results'. And also this paper suggest that the 'foreign exchange rate systems' are main factors which brought about cause ‘different economic performances.’ While fixed exchange rate in Menem's period enabled to drop the inflation rate drastically,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in Macri's period led to fluctuation of foreign currency flow, in turn exacerbated the inflation and was defeated in next term presidential election. In conclusion Menem's stabilization programs accomplished at least to mitigate 'inflation' which in turn could secured public political supports, on the other hand Macri administration's programs could not improve any economic instability factors such as inflation, unemployment, external debts. Key words: Menem, Macri, inflation, economic stabilization program, neoliberal-orthodox policy, heterodox policy, economic voting, fixed exchange rate system,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El Impacto del Régimen de Los Tipos de Cambio sobre Las Reelecciónes en Argentina : Un estudio comparativo de los gobiernos de Menem y Macri PARK Sung-hwan Universidad de Corea Resumen Aunque alcanzó la democratización en 1983, la recesión economía ha sido un problema importante en Argentina. Entonces era necesario que fundan las programas sostenibles de estabilización económico los gobiernos Argentinos desde había terminado militarismo. Además por que el régimen de democrático protege los derechos de la libertad política, las preferencias de públicos son reflejado en que más que la dictadura militar. Por eso, después la democratización, públicos Argentinos han propendido castigar incumbente con ‘voto’ cuando se llevó resultados malas de estabilización económico. ‘Carlos Menem’(1989-1999) y ‘Mauricio Macri’(2015-2019) son dos presidentes derechos desde la democratización, quienes implementaron una programa estabilización ortodoxa. Les eligieron para presidente, pues los gobiernos precedentes fueron resultados malas en economía, particularmente ‘inflación’, ‘tasa de desempleo’, ‘deuda exterior’ los que han sido problemas crónicos en Argentina. Hay unos defectos en la ‘programa estabilización ortodoxa’ como privatización o finanzas gobierno reducciónes los que ocurrirían diferencial de pobre y rico, pero Menem y Macri la ejecutaron. Pero Menem se eligieron presidente otra vez en 1995, mientras Macri fui fracasado la reelección en 2019, a pesar de se condujo la programa pro-mercado como de Menem. ¿Qué factores causaron los resultados distintos entre los gobiernos de Menem y Macri? El propósito mayor de estudio es que explicar sobre ‘las variables’ que causaron resultados diferentes entre dos gobiernos derechos. En este estudio, supongo que resultado distinto en ‘económia’ produce resultado distinto en ‘reelección'. Y también alego que ‘régimen de los tipos de Cambio’ es principal factor el que ocasionaría resultado distinto en programa estabilización de económia. Mientras que ‘régimen de cambio fijo’ en era de Menem permitía caído tasa de inflación rápidamente, ‘cambio flotante’ en Macri llevó la situación precaria con salida de divisas extranjeras, al fin pierde a la próximo reelección. Al menos la reforma económica ortodoxa de Menem consiguió reducir tasa de inflación que se apoyarian públicos políticamente, pero la que de Macri no estabilizar ningunas entre inflación, desempleo, y deuda exterior. Palabras clave: Menem, Macri, inflación, programa estabilización económico, programa estabilización ortodoxa, programa estabilización heterodoxa, voto economicó, régimen de cambio fijo, régimen de cambio flotante 국문 초록 박성환 고려대학교 ‘경제 안정화 정책’은 민주화 이후 아르헨티나의 역대 민선정부에게 최우선 국정 과제였다. 1983년 군부 종식 이후에도 외채문제, 고 인플레이션, 높은 실업률 등 만성적 경제 위기가 만연했기 때문이다. 과거 군부 체제와 달리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는 대중의 정치적 선호를 보장하기 때문에 성과가 미미한 경제 안정화 정책에 대해 대중이 차기 선거에서 야당을 선택함으로써 정권교체가 단행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렇듯 민주화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경제 안정화 정책의 성과 달성 여부’는 민선 정부의 재선 승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 분석할 메넴 정부(Carlos Saúl Menem Akil, 1989-99)와 마크리 정부(Mauricio Macri, 2015-19)역시 이전 정권(각각 라울 알폰신 정부,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정부)의 경제 실책을 계기로 집권에 성공할 수 있었고, 개혁 초기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불평등 심화 등 비용을 발생시키는 신자유주의적 정통 처방책을 추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메넴 정부는 1995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했고, 마크리 정부는 2019년 재선에 실패했다. 두 정권 모두 동일한 정통적 안정화 정책(orthodox policy)을 추진했음에도 상이한 대중지지가 나타나게 된 까닭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메넴과 마크리 정부가 각기 다른 재선 달성 결과가 나타난 원인에 대해 경제 안정화 정책성과가 상이했기 때문이고 이 성과의 차이는 양 정부가 시행한 ‘환율정책’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메넴 정부는 자국의 페소화와 달러 가치를 1대1로 동결한 강도 높은 ‘고정환율제’(태환법)를 시행하여 이전 알폰신 정부 때 거의 4,000%에 달하던 인플레이션을 집권 3년 만에 17%대로 떨어뜨리는 등 적어도 ‘인플레이션 완화’라는 소기의 경제성과를 달성했기 때문에 95년 재선에 성공했다. 반면 마크리 정부는 ‘변동환율제’를 시행하여 외자 유치 제고를 꾀하고, 페소화의 평가절하를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를 유도했다. 그러나 페소화의 평가절하는 수입품 가격 인상을 야기하여 인플레이션을 악화시켰고 민영화를 포함한 탈규제 정책은 실업률 악화와 내수 침체를 야기하여 집권 초기부터 도시 중산층 및 노동자 계층의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안정으로 인한 환율상승이 가속화되자 마크리 정부는 2018년 9월 IMF 긴급구제금융을 요청하는 상황에 이르렀고 결국 이듬해 대선에서 제1 야당인 페론당의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ández) 후보에 패배, 재선에 실패했다. 본 연구는 양 정부가 시행했던 상이한 환율정책(고정환율제, 변동환율제)이 경제 안정화 정책성과 여부를 결정했고 이러한 차이가 상이한 대중지지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정권의 재선 성공 여부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내용을 핵심 가설로 상정한다. 아울러 아르헨티나에서 민주화 이후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가 대부분 기존 정부 집권기의 저조한 경제상황에 기인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이 현 정부의 경제성과에 따라 차기 대선에서 여당 지지여부를 결정한다”는 ‘경제투표 이론’(economic voting theory)을 상정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상정한 ‘경제 안정화 정책의 성과’는 주요거시경제지표인 1. 물가안정(stability), 2. 고용안정(equality), 3. 수지안정(fundamentality: 산업 및 외채문제)이다. 메넴은 적어도 정권 초기에 물가안정을 달성한 반면, 마크리는 저 셋 중 어느 것도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중의 지지(재선 성공)를 확보할 수 없었다. Key words 메넴 정부, 마크리 정부, 인플레이션, 경제 안정화 정책, 신자유주의 정통적 처방책, 이설적 처방책, 경제투표, 고정환율제, 변동환율제

      •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부정렬증후군 여대생의 근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박성환 남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부정렬증후군 여대생의 근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박성환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부정렬증후군 여대생의 근두께와 균형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운동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임상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정렬증후군을 가진 여대생 34명을 대상으로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군 17명(실험군), 능동비진동 몸통안정화운동군 17명(대조군)을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대상자들은 주 3회, 총 8주 동안 1∼4주는 40분, 5∼8주는 50분, 5세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운동 전과 운동 8주 후에 근두께와 균형을 측정을 하였다. 대상자들의 근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배곧은근, 뭇갈래근, 중간볼기근을 측정하였고, 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균형측정기를 이용하여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측정하였다. 각 집단에 시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근두께의 집단 내에서 실험군은 양쪽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곧은근, 중간볼기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대조군은 왼쪽 배바깥빗근과 양쪽 배곧은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균형의 집단 내에서 실험군은 정적균형, 동적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대조군은 정적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부정렬증후군 여대생의 근두께를 증가시키고 균형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환자의 재활이나 임상 적용 중재에 있어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한국불교 수행의식에 관한 연구 : 순당·간당·설법·송주의 구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박성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수행의식을 대상으로 그 종류와 특징을 연구하였다. 불교의 수행은 ‘智’와 ‘行’을 기본덕목으로 하고 있다. 수행의식 가운데 선행의식인 「순당(巡堂)」이 ‘智’에 해당한다면, 본의식인 「간당(看堂)」 「설법(說法)」 「송주(誦呪)」 등 3가지 의식의 경우 ‘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불교는 본래 ‘보화응동(普化應同)’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전파되는 지역마다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고, 역사의 굴곡을 함께하며 지역마다 다른 모습으로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불교 역시 신라시대에 五敎九山이던 것이 고려조로 내려오면서 天台宗을 중심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이어 야기된 무신의 난을 계기로 선종이 한국불교의 중심에 자리하면서 이 땅의 불교는 ‘원융’이라는 특색이 뚜렷하게 드러나게 됐다. 특히, 수행의 방법 역시도 원융이란 차원에서 다양한 양태를 지니게 되었으니, 오늘날 총림에 선원․강원․율원․염불원 등이 갖추어져 있는 이유다. 선원에서는 간당으로, 율원이나 강원에서는 설법으로, 염불원에서는 송주로써 수행의 방법을 삼는다. 또, 총림이 아닌 여타의 사찰에서는 아침 예불 후, 입승(立繩)이 간당․설법․송주 가운데 한 가지를 택하여 수행에 임하도록 종두(鐘頭)에게 명한다. 이는 원융불교(=通佛敎)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이들 수행의식은 1700년이라는 한국불교의 역사 가운데 선조사 스님들의 지혜와 후학을 살피시려는 자비로 빚어진 것으로 여타 불교국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공전절후의 명품이다. 그럼에도 일제 총독부에 의해 자행된 사찰령과 해방후 서구문명의 범람 그리고, 6.25 한국전쟁 후 자체적 法亂으로 인해 그 명맥이 거의 단절되었으니 이른바 문화단층현상이다. 현재 이와 같은 수행의식을 거행하는 사찰이 전무한 것이 바로 그 증거이다. 다행히 봉원사 영산재 보존회에 약간의 불씨가 남아 있고, 심상현의 단편적 논문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 정리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전통의식이자 한반도의 무형문화인 수행의식의 멸실을 막고, 나아가 수행의식의 보존·복원·전승에 일조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이들 수행의식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순당(巡堂)」은 선종사원에서 주지가 대중의 行儀를 살피기 위해 승당을 순회하는 것을 뜻하며, 巡案이라고도 한다. 단, 본 연구에서는 한국불교에서 수행의식으로 거행하는 순당작법으로 한정하여 살피기로 하였다. 즉, 「간당(看堂)」 등 본의식에 앞서 거행되는 선행의식으로서 당내를 돌며 거행하는 정형화된 일련의 의식절차를 말한다. 순당작법이 거행되는 시점은 오전과 오후 곧, ≪朝巡≫과 ≪夕巡≫로 구분되며, 거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보다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행자로서의 최종 목적이 무엇인지 거듭 확인해야 하고 또, 전쟁에 견주어도 좋을 만큼 어려운 여정을 극복하기 위한 준비가 완비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본 작법에서 읊조리는 ‘송자방(頌子榜)’의 각종 게송은 곧 목적지를 확인토록 하는 것이며, 동시에 수행자의 정신자세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당내를 돌며 거행하는 이유는 수행의 여건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는지 등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간당(看堂)」은 선가에서 入禪을 위해 거행하는 일련의 작법을 말하며, 일체의 언어가 없이 거행하므로 ‘黙言作法’이라고도 한다. ‘看堂틀’, ‘선채(禪寨)’, ‘주장자(拄杖子)’, ‘죽비(竹篦)’, ‘장군죽비(將軍竹篦)’ 등의 법구를 사용하지만 ‘죽비’ 외에는 낯설다. 그래도 ‘간당간당’이라는 의태어가 여기서 온 말임을 생각하면 조금은 친숙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入禪에서 작법의 주인공은 입승과 사미 1인이다. 入禪은 입승의 주도하에 모두 14개의 단계를 거쳐 선에 드는데, 이때 간당작법을 행하는 상대의 주인공이 사미인 것은 남순동자가 53선지식을 참방함을 본뜬 것이다. 放禪의 경우에도 작법의 주인공은 입승과 사미 1인이다. 모두 4개의 단계를 거쳐 선에서 나오는데, 의식상에서의 일이지만 照用同時의 소식을 체득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일련의 작법을 맺는다. 특히, 눈여겨 볼 대목은 백파긍선 스님의 「간당론」이다. 스님은 禪을 심천에 따라 三種禪으로 정리하고 이를 간당작법에 배대하였다. 곧, 백파긍선에 의해 행해진 禪相判釋이다. 따라서 간당작법은 보다 원활하게 참선에 들기 위한 목적으로 거행하는 수행의식으로서 선종이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한국불교에서는 보다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의식이다. 그럼에도 오늘날 간당을 거행하는 사찰이나 선방은 찾아볼 수 없고, 간당이란 용어를 알고 있는 스님조차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반드시 복원․전승되어야하는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의식이다. 「설법(說法)」은 설법은 석존께서 깨달으신 직후부터 열반에 이르실 때까지 중생교화를 위해 사용하셨던 일관된 방편이다. 어떠한 일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게 되면 자연스럽게 하나의 정형화된 형식을 갖추게 되는데,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설법 역시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독특한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본고에서 정리한 표준안을 중심으로 볼 때, 한국불교의 설법의식은 총19개의 항이 ‘귀의’ ‘결계’ ‘청법’ ‘설법’ ‘회향’ 등 모두 5단계의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별로 중요한 1개 항씩만 소개하면, 제1단계 ≪귀의≫는 <1.연향게> <2.삼정례> <3.찬불게> 등 3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2.삼정례>에서는 청법에 앞서 지극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삼보님께 귀명례를 올린다. 제2단계 ≪결계≫는 <.4.송주> 1개 항인데, 대비주를 지송하여 얻게 되는 공덕으로 설법과 청법의 장을 구획하여 도량의 청정화를 도모한다. 제3단계 ≪청법≫은 <5.십이불>로부터 <11.청법게> 까지 7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9.거량>은 참석 대중에게 古則公案을 들어 불교의 진수를 보여, 참석대중을 비롯한 영가에게 본 법회에 참예 가능한 명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단계 ≪설법≫은 <12.입정> <13.설법> 등 2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3.설법>에서는 대중의 근기에 맞는 방편설로 법의 요지를 전하는 것으로 가장 한국적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제5단계 ≪회향≫은 <14.십념정근>로부터 <19.귀명례> 까지 6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18.수경게>에서는 經이나 설법 등이 더 이상 필요치 않은 경지에 이르렀음에 대한 환희로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곧 여기까지 이끌어준 법사를 향한 최고의 찬탄이기도 하다. 이상 소개한 절차에서 가늠할 수 있듯 禪·敎·淨土가 잘 어우러져 원융불교라는 한국불교의 특징과 우수성을 잘 나타나 있는 의식이라 하겠다. 「송주(誦呪)」는 염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염불수행 전후로 게송과 다라니를 보충하여 체계를 갖춘 의식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주를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석문의범󰡕에 나타난 의식절차를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등의 5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연구자가 파악한 송주는 제1단계 ‘발단’의 경우 앞으로 거행 될 절차를 위한 준비의식으로 ‘송경의식’에 해당되며, 제2단계 ‘전개’는 대비주를 중심으로 송주를 거행할 도량[依報]과 염불행자의 몸[正報]를 청정히 하는 절차로서 ‘결계의식’이라 한다. 제3단계 ‘위기’는 穢土에서 살아가는 중생이 能禮이므로 淨土에 계신 여래를 친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19.준제진언>을 통해서 해결하는 절차로서 ‘준제의식’이다. 제4단계 ‘절정’은 송주의 핵심이 되는 절차로서 염불의 공덕을 극대화하고 다시 원만회향하기 위해 거행되는 ‘염불의식’이다. 제5단계 ‘결말’은 정토종의 수행방법인 ‘염불’과 간화선의 수행방법인 ‘화두’가 서로 원용 된 대목으로 ‘회향의식’이다. 종합하면, 송주는 밀교의 목적인 ‘卽身成佛’과 정토교의 목적인 ‘往生淨土’를 위해 거행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선종에서 표방하는 ‘見性成佛’을 목적으로 한다. 즉, 禪宗을 중심으로 한 원융불교라는 특징이 매우 잘 드러나 있는 한국불교 전통의식이 바로 송주이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전통의식이자 한반도의 무형문화인 수행의식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이를 방편으로 成佛이란 朗報가 이어지기를 기대하며 작성한 것이다. 바라거니와 이번 논문이 한국불교 수행의식의 수승함을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복원․보존․전승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This paper is for the sor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rituals. The practice in Buddhism is based on ‘智’ and ‘行’. The pre-ritual of 「Sun-dang(巡堂, circumambulating the hall)」 corresponds to ‘智’ and the main-rituals of 「Gan-dang(看堂, meditation ritual)」, 「Seorl-beop(說法, teaching dharma)」 and 「Song-ju(誦呪, recitation of a dhāraṇī)」 are focused on ‘行’. Buddhism has the characteristic of ‘Bo-wha-eung-dong(普化應同)’. It means that Buddhism has accepted the various cultures of regions and the historical events and has developed to be different shapes of Buddhism. The Buddhism sects of 五敎九山 in Shil-la dynasty had been reorganized into the Chun-tae Order(天台宗) in Ko-ryeo dynasty. After the Revolt of military officials in Ko-ryeo dynasty, the Zen Buddhism became the core of Korean Buddhism and the characteristic of Won-yung Buddhism appeared obviously. Espcially, the practices are cultivated in various ways under Won-yung Buddhism. So there are various places like Seon-won, Gang-won, Yul-won and Yeom-bul-won in a big monastery. Gan-dang is the main ritual performed at Seon-won, Seorl-beop is at Gang-won or at Yul-won and Song-ju is at Yeom-bul-won. In a temple except a monastery, after the morning ceremony, Ip-seung(立繩) selects the one ritual from Gan-dang, Seorl-beop and Song-ju to direct a Jong-du(鐘頭) that all the attendee perform the practice through the selected ritual. This scene could be found only in Won-yung Buddhism. These practice rituals are the master-pieces that handed down from the wisdom and the mercy of ancestal monk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these can’t be found in other Buddhist countries. But these rituals has been almost disconnected through the inspections of Japanese governor at the age of Imperialism, the inundation of western cultures after the Independent day of the Korea, and the internal conflict of the Korean Buddhism after the Korean-war. This is so called ‘the cultural disconnection effect’. This effect could be proven through the fact that there is almost no performance in the Buddhist temples these days. Fortunately, the Yeong-san-jae conservation association of Bong-won temple has conserved the rituals and several papers on the rituals of prof. Shim sang-hyun at Dong-bang graduation school univ gave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This paper is for the conservation, the restor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ractice rituals. the content of the practice rituals is as follows. 「Sundang(巡堂)」 is the circumambulating the hall that the chief monk checks out the disciples’ practices in the Zen temple and it is also called ‘巡案’. This paper sets limits to Sundang-Jakbeop as the practice ritual in Korean Buddhism. this is the pre-ritual performed before the main rituals like 「Gan-dang(看堂)」. the time of performing Sundang-Jakbeop is the morning and the evening ; Josun(朝巡) in the morning and Seoksun (夕巡) in the evening. The disciples should make sure the ultimate objective of practice and the preparation to endure the hard journey like war. All the Ge-song of ‘Song-ja-bang(頌子榜)’ recited in this jakbeop are for the checking out the destination and the disciples’ mental attitude. The circumambulating the hall is also for the checking out the conditions of practice. 「Gandang(看堂)」 is the serial jak-beops in Zen Buddhism for the Ip-seon (入禪) and it is called ‘黙言作法’ because of performing without words. There are many Buddhistic equipments like ‘Gan-dang-teul’, ‘Sun-chae(禪寨)’, ‘Ju-jang-ja(拄杖子)’, ‘Juk-bi(竹篦)’, ‘Jang-gun-juk-bi(將軍竹篦)’. We are not familiar with those equipments except ‘Juk-bi(竹篦)’ but the mimetic word ‘Gandang- Gandang’ makes us feel familiar with them. The Ip-seung and the Sa-mi play the main role in Jak-beop. There are 14 steps under the control of Ip-seung to enter the Zen and the making opposite performer of Gandang-jakbeop to be Sa-mi is from the scene that Nam-sun-dong-ja versed 53 Zen wisdoms. The main roles of 放禪 are the same as Ip-seon(入禪). In 放禪, there are 4 steps to come out of the Zen and it comes to an end with mastering the state of 照用同時. Especially, 「Gan-dang-ron」 written by the monk ‘Baek-pa-geung-seon’ is important. He arranged 禪 into 三種禪 and applied it to Gandang-jakbeop. It is 禪相判釋 by the monk ‘Baek-pa-geung-seon’. The Gandang-jakbeop is the pracice ritual that makes the disciples enter the Zen easily and it has the special meaning in Zen Buddhism. There is almost no temple to perform Gan-dang and is no monk who knows even the word of Gan-dang today. The Gan-dang is the traditional ritual that should be restored and transmitted. 「Seolbeop(說法)」 Seorl-beop is the consistent method for Sakyamuni Buddha to enlighten the public from the moment he enlightened to the moment of nirvana. From the view point of this paper, Seorl-beop ritual consists of 19 terms in 5 steps : ‘Gui-eui’, ‘Gyerl-gye,’ ‘Cheong-beop,’ ‘Seorl-beop,’ and ‘Hoi-hyang’. The 1st step :《Gui-eui》consists of 3 terms of <1.Yeon-hyang-ge> <2.Sam-jeong-rye> and <3.Chan-bul-ge>. In <2.Sam-jeong-rye>, the disciples give themselves up to the Triratna before the Chung-beop. The 2nd step : 《Gyeol-gye》consists of 1 term of <4.Song-ju>. The merit of reciting Dae-bi-ju makes the field of Seorl-beop and Chung-beop and promote the sanctification of truth-plot. The 3rd step : 《Chung-beop》 consists of 7 terms from <5.12-Buddha> to <11.Chung-beop-ge>. <9.Geor-ryang> Picking 古則公案 up and showing the truth of Buddhism to the public give the justification to the attendee and the deceased for attending the ritual. The 4th step : 《Seorl-beop》 consists of 2 terms of <12.Ip-jeong> and <13.Seorl-beop>. <13.Seorl-beop> gives the essentials of Dharma to the public and it is the most korean part. The 5th step :《Hoi-hyang》consists of 6 terms from <14.10-nyeom-jeong-geun> to <19.Gui-myeong-rye>. <18.Su-gyeong-ge> describes the joy to arrive at the state that the disciples don’t need the sutra(經) and the Seorl-beop. it also means the up-most praise to the Buddhist master who leads them. As it is known above, The ritual has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Won-yung Buddhism with a harmony of 禪, 敎 and 淨土. 「Songju(誦呪)」 is the ritual that Gye-song and Dharani reinforce Yeom-bul to maximize its effect before and after the Yeom-bul practice. To analyze the ritual systematically, the process in 『Seok-mun-eui-beop』 is devided into 5 steps : beginning-development-crisis-climax-conclusion. The 1st step ‘beginning’ : The pre-ritual as ‘Song-gyeong ritual’ that is preparing for the main ritual. The 2nd step ‘development’ : ‘Gyeol-ge’ ritual that sanctifies the body of disciple and the place through reciting ‘Dae-bi-ju’. The 3rd step ‘crisis’: ‘Jun-jae’ ritual that rescues the public who live in this world and have the difficulties to meet Buddha in the Pure-land through <19.Jun-je-jin-eon>. The 4th step ‘climax’: The core part of Song-ju ritual, ‘Yeom-bul’ ritual that maximizes the merit of Yeom-bul and leads the disciple to Hoi-hyang. The 5th step ‘conclusion’: ‘Hoi-hyang’ ritual that is the fusion of ‘Yeom-bul’ in Jeong-to Order and ‘Wha-du’ in Gan-wha-seon. Song-ju ritual is performed for ‘卽身成佛’ in Esoteric Buddhism and ‘往生淨土’ in Jeong-to Order. Ultimately, the ritual is for ‘見性成佛’ in Zen Buddhism. This paper is for the consideration on priority of practice ritual and hope for the public to be Buddha through the ritual. The practice ritual of Korean Buddhism should be conserved, restored and transmitted.

      •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yodoraku and sasang constitution in Korean subclinical hypothyroidism patients

        박성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한다. 방법 : 2010년 3월부터 2011년 4월 까지 종합건강검진을 목적으로 경희의료원을 방문한 1182명의 진료기록부를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진료기록부 열람을 통해 혈액 검사, 사상체질판별, 양도락 검사 자료를 확보하였고, 정상인 군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도출해내었다. 또한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 내에서 세분화 연구를 실시하여, 사상체질에 따라 갑상선기능 또는 양도락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통계적 기법으로 Student t-test, Mann-Whitney test, Fisher's exact test, Chi-square test, and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정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211명, 정상인은 939명이었다.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211명(남자 75, 여자 136) 중 56.87%가 40~59세의 범위를 보였다. 사상체질의 비율은 정상인 군에서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 태양인이 각각 40.06%, 21.61%, 37.75%, 0.58%였고,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에서는 각각 39.39%, 23.74%, 36.87%, 0%를 나타내었다. TSH 수치는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이 정상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 FT4, RBC, Hematocrit 검사는 비록 정상범위 안에 속하였으나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이 정상인 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 안에서 세분화연구를 시행한 결과, FT4와 TSH는 사상체질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도락 항목 중 H5(三焦)는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 모든 사상체질에서 정상인 군의 같은 사상체질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소음인간의 비교에서는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소음인은 태음인 및 소양인 보다 유의하게 낮은 양도락 점수를 보였다. 결론 :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FT4, RBC, Hematocrit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양도락 H5(三焦)의 수치 역시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 소음인은 정상인 내에서의 일반적 비율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양도락 점수의 비교를 통해 볼 때 증상의 호소가 상대적으로 가장 현저하리라 여겨진다. 향후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진단시, 혈액학적 특징과 더불어 사상체질, 양도락 검사 결과 역시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Key words : Subclinical hypothyroidism, Hematological, Sasang constitution, Ryodoraku.

      •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에 대한 고찰 : 성체성사는 구원의 희생 제사이다

        박성환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체성사는 그리스도교 신앙생활의 정점이며, 중심이다. 이는 제자들과 최후 만찬을 나누실 때 “(너희는) 나를 기념(기억)하여 이 예식을 행하여라”(루가 22,19)라고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사제이면서도 인류의 모든 죄를 대신하여 스스로를 제물로 하느님께 바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상 희생 제사에서 기인한다. 하느님의 새로운 백성인 교회는 성체성사 안에서 인간의 구원을 위한 결정적인 사건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 및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 안에서 발생한 하느님의 구원업적을 기억하고, 기념하며, 희망한다. 성체성사가 교회의 중심 성사가 되고 일체의 경신행위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성체성사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에 대한 확고한 믿음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과거의 그리스도 사건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성체성사를 통하여 성찬 음식 안에 특별히 현존하신다. 즉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성령을 통해서 빵과 포도주의 형상으로 자신의 역사와 함께 현존하시는 것이다. 다시 말해 부활하신 주님께서 세상에서의 고난의 흔적을 당신의 몸에 간직하고 나타나신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성체성사 안에서 당신의 삶과 고난, 세상에 대한 사랑과 그 사랑을 위해 치르신 희생과 함께 현존하신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체성사가 희생 제사라는 것은, 십자가상에서 결정적으로 이루어진 예수 그리스도의 모든 이를 위한 자기봉헌을 희생제사의 형태로 성체성사 안에서 기념함으로써 과거의 사건이 현재화되고 영속화되어 그 효력이 성체성사에 참여한 이들에게 분배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체성사는 교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을 위한 것, 다시 말해서 아직도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이들을 포함한 세상 모든 이들을 위한 것이며, 산 이와 죽은 이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성체성사의 일치와 친교를 이루는 기도를 통하여 하느님에게서 멀어진 이들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헌신에 함께 참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체성사는 크게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수직적 차원으로서의 희생 제사적 측면과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들 상호간의 일치와 친교를 이루는 수평적 차원으로서의 식사 또는 친교적 측면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는데, 이 두 가지의 의미는 성체성사 안에서 상호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역사, 문화, 특수한 상황 그리고 지역 안에서 두 가지의 측면 가운데 유독 한 가지의 측면만이 강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체성사를 제정하신 본연의 의도와 초대 교회 전통에서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과 식사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고 존중된 것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볼 때, 그리스도교의 역사 안에서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과 식사적 측면 중에서도 주로 제사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것은 성체성사를 하느님과 인간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거치면서 성체성사의 식사적 측면이 부각되기는 하였지만, 반면에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과 식사적 측면이 함께 조화되어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언급하기 위하여 성체성사의 제사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접근을 하였다. 왜냐하면 두 가지 의미 중 보다 본질적인 의미라 할 수 있는 제사적 의미, 곧 당신 자신이 사제이면서도 스스로를 제물로 바치심으로써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인 성체성사를 조명해 보고 이로부터 일치와 친교를 이루게 하는 식사적 의미의 성체성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보다 깊은 열정을 가지고 성체성사에 참여하기를 고대한다. 성체성사는 그리스도 교회의 모든 활동이 지향하는 정점이며, 모든 그리스도교적 생활의 중심이고 거기에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살아가는 힘이 흘러나오는 원천이다. 참된 생명을 주는 성체성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성체성사 안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을 느끼고 전례에 정성되이 참여함으로써 하느님께서 주시는 참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신앙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Sacrament of Eucharist is the climax and main core of Christian life. It came from Jesus’ sacrifice of taking all the sins of the world by himself to save people, and also reflects Jesus’ last favour at The Last Supper; “Do this in memory of me.” Church remembers, celebrates, and hopes Jesus’ life and death and God’s salvation from resurrection through the sacrament of Eucharist. Sacrament of Eucharist is the main sacrament of all because of the faith we feel about Jesus during this sacrament. It means that Jesus is still living right now with his history in the shape of bread and wine by Holy Spirit Jesus is the Living God in the sacrament of Eucharist with his pains and sacrifice as he resurrected with the scars and pain from the world. Therefore, Sacrament of Eucharist is a sacrament of sacrifice because we honour the memory of Jesus’ love and sacrifice in the Sacrament of Eucharist and the power of that history becomes perpetual and affects people attending the sacrament. Sacrament of Eucharist is not only for the church but also for the world which includes non-Christians, and for the ones who are dead - prayer for unity in Sacrament of Eucharist gathers everybody to the Mass; even the ones who don’t live Christian life. Usual perception of people about Sacrament of Eucharist is formal because it’s a sacrament but could be informal too because Jesus wants to unify with us by having ‘supper’ with us. Only one side of those perceptions has been focused but that’s not what Jesus and the early churches wanted. The sacramental side has been more emphasized because people thought the Sacrament of Eucharist is a connection between God and people. However, the supper side (informal side) was brought up to the surface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but then it resulted in decreased sacramental image. Therefore, I stressed on sacramental side on this essay to conclude with the balance of both perceptions of Sacrament of Eucharist I think we can understand the supper side by fully understanding sacramental side first because Jesus’ sacrifice is the most essential significance of Jesus’ life for us. I hope all the Christians attend the Sacrament of Eucharist with more passion by that procedure. Sacrament of Eucharist is the climax, baseline, and fountain of Christian life. We need to feel the Living God and importance of Mass by proper understanding of Sacrament of Eucharist.

      • 정부경영평가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성환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Government’s Management Assessmen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overnment’s management assessment (GMA) towards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of their employees. Since 2004 when GMA system was introduced, little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concerning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GMA and its influence on the workers employed in the quasi-governmental agencies. Moreover, indices assessing management were varied and diverse across agencies, and thus, limited to the internal assessment of each organization. To fill the research gap, this study attempts to conduct an empirical case study on K Corporation, a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 that is undergoing a management assessment process. K Corporation established internal performance assessment indices of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in connection with strategic goals and strategic tasks based on three major policies focused on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goals efficiently. An ad hoc commission strives to enhance performance by posting an internal assessment handbook every year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value for construction work, by checking, assessing, and returning performance results on a regular basis and compensating individual employees differently for their performance by objective criteria.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GMA syste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K Corporation employees and analyzed whether the GMA system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x hypotheses that the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education of the GMA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 Th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on the GMA showed that the hypothesis of understanding system, acceptability,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GMA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education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C. The acceptabilit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with the OC. Second, four hypotheses that the evaluation index and the evaluation proces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job was made. The evaluation index was significant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valuation process was not significant for the job satisfaction. Also,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process were foun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OC. Third, six hypotheses that usefulness, reflux, and compensation, which are the result factors of the GMA, will positively affect job attitude. Usefulness, reflux, and compens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job satisfaction. Also, Reflux and compensation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C. On the other hand, useful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C. In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GMA system of the K Corporation. First,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memb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ptability of GMA. In other words, there needs to be a change of percept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harmonize innovation and social values requir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o the current organizational integrity. Second, a positive thinking about the system should be raised through systematic training on the objectives and procedures of the evaluation system. Third, strengthening the reflux system for assessment results requires the use of long-term indicators and the development of embedded performance indicators that are recognizable to members, rather than short-term aspects of the assessment index. However, since this research is limited to a single organization, K Corporation, among various quasi-governmental agencies,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other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Keywords: Government’s management assess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特許權侵害에 따른 損害賠償에 대한 硏究

        박성환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급속한 經濟發展과 더불어 特許權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또한 세계 모든 국가가 과거에 존재하던 財産權과 더불어 特許權이라는 권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권은 과거의 재산권과는 달리 無體物이어서 사실상 점유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침해에 대하여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침해에 대한 損害賠償을 산정하기가 어렵다. 특허권침해시 損害賠償이 적절하고 용이하게 보상되어져야만 기나긴 시간과 노력 그리고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개발한 기술을 소유하고 있는 특허권자의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特許權者의 發明을 침해하는 경우를 억제하여 올바른 산업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특허법은 이러한 측면에 대하여 너무 미흡하고 抽象的인 규정을 의존하고 있으므로 실제 侵害訴訟에서 특허권자의 손해배상을 산정하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特許權 침해시 損害賠償에 관련된 규정들의 해석론을 제기함으로 특허권자 보호를 위한 법적용의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고, 損害賠償算定과 證據確保의 困難性 등의 특수한 문제점을 검토하여 그 해결책을 연구하고자 한다. Appropriate Reparation for damage must be assured in patent infringement. In that case, the right of the patentee who has developed the technique with huge cost and great effort can be protected.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strain the case that impede the invention of others and to strive sound industry development. But related regulations of Reparation for damage in Korea patent law are insufficient in that it assure the appropriate reparation for damage and protect the right of patentee from infringement. Compared with legislation example of major nation about the regulations applied to reparation for damage, this thesis point out reasonable method and the problem of legisl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for patentees. For that Patentee claim damages appropriately or entirely, The fact of infringement must be easily manifested. And there must be reasonable system of investigation of evidence and exact assessment of the damage. It's natural to put the emphasis on this point in suit or trial about reparation for damage. At this point of view, I will deal with translation and application of related patent law, proposal of legislation, method and computation of reparation for damage, and example of countries.

      • 資本利得 課稅制度 導入에 관한 硏究 : 株式讓渡差益 課稅를 中心으로

        박성환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avorable tax treatment for listed stock transactions is regarded as the major source of tax inequity. This problem is important in two aspects : (1) to enhance tax equity among residents and (2) to balance tax treatments for residents and nonresidents considering the globalization of financial marke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find an appropriate solution to impose capital gains tax on listed stock transactions. An approach to find the solution is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institutional details and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USA, United Kingdom, Japan, and Taiwan, already introduced capital gains tax on listed stocks. The conclusions are : (1) Realized capital gains from stocks should be taxed because it is an income derived from economic transactions. (2) Appropriate adjustment mechanisms must be prepared to absorb the expected portfolio effect, lock-in effect, and tax evasion. Also,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stock price movements which may inpair economic growth by shrinking capital markets. (3) Taxation on capital gains from stocks should be implemented step-by-step considering experiences of Japan and Taiwan. (4) Tax equity and efficiency, and administrative simplicity should also carefully be combined in designing capital gains tax for stocks. (5)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tax,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s, perfect computerization of security transaction, and the strengthen the taxation on real estate must be well established in advance. This study is subject to the limitation of lacking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various anticipated effects of capital gains tax on listed st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