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박선숙 총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갈등관리유형과 조직몰입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몰입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72명이며, 2018년 1월 8일부터 2월 9일 사이에 설문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갈등관리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Rahim(1983a)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관심의 정도에 따라 갈등관리를 5가지로 유형화한 ‘개인 간 갈등관리 유형 측정검사(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mflict)’를 백은영(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Porter, Steers Mowday와 Boulin(1974)이 개발한 조직몰입 설문지(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와 Lee, Allen, Meyer와 Rhee(2001)가 개발한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고광혁(2011)이 수정·보완하고 박동현(2014)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버전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백분율,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사후검증 Scheffe test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몰입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갈등관리 유형에서 교사의 연령, 학력, 시설유형, 반 형태, 현재 기관의 근무 경력과 총 기관의 근무 경력, 현재 직장의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조직몰입도 유형에서 교사의 연령, 시설유형, 현재 기관 교사의 수, 현재 기관의 근무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몰입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인 통합형은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인 배려형은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인 지배형은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인 회피형은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인 타협형은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갈등관리 전체는 조직몰입도 전체와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통합형, 배려형, 지배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지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지배형, 회피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조직몰입도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지배형, 회피형, 타협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는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문제 상황을 개인의 주관적으로 이끌어가기 보다는 개방적인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서 보육교사의 문제를 적절히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열린 조직문화를 조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들의 갈등상황에서 문제를 회피하기 보다는 좀 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며 자율성을 가지고 문제해결을 위한 통합적 대안을 모색하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보육교사의 갈등을 적절하게 잘 관리하면서 조직의 몰입을 높일 수 있는 보육교사 교육과정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연수과정에서 갈등관리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 background-oriented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Study subject were 27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onducted from January 8 to February 9, 2018, thus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s study tools: (1) in order to examine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this study used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developed by Rahim (1983a) by classifying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into five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self and others, and adapted by Baek Eun-Yeong (2004); and (2) in order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used bo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 developed by Porter, Steers Mowday and Boulin (1974),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developed by Lee, Allen, Meyer and Rhee (2001), modified/supplemented by Go Gwang-Hyeok (2011), and used by Park Dong-Hyeon (2014).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rcentag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addition, as occasion demands, Scheffe post hoc test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artially different. In detail,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age and schooling, facility type, class type, teacher’s career in the current child-care center and total career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eacher’s number of job changes.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age, facility type,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current child-care center, and teacher’s career in the current child-care center.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ype of integration, a sub-variab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wo sub-variable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type of consideration, a sub-variab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wo sub-variable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type of domination, a sub-variab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hree sub-variable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type of avoidance, a sub-variab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wo sub-variables, such as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type of negotiation, a sub-variab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hree sub-variable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refore, the whole conflict managem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three sub-variable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had effe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hole. The types of integration, consideration and domination were predicting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 sub-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ypes of domination and avoidance were predicting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a sub-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ypes of domination, avoidance and negotiation were predicting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a sub-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pened organizational culture with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settle down their problems appropriately not through their subjective opinions but through opened mutu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It is also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to avoid conflict situations, but to express their opinions properly and try to find out comprehensive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voluntarily.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stablish a training cour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which teachers’ conflict can be appropriately managed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training course must attach great importance to its educational contents of handling and solving conflicts appropriately.

      •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인식, 태도 분석

        박선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연구의 결과를 환경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서울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설문지는 최은영(2007), 김정은과 이상원(2010)의 검사 문항을 초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의 설문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은 생물보전의 중요성에 관한 지식수준은 높으나 고유종 및 외래종, 귀화식물과 생물이 멸종하는 까닭에 관한 지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은 하위 영역 중 생물다양성의 가치가 가장 높았으며, 태도의 하위영역 중에는 실천에 참여하려는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교육경력에 따른 분석에서는 교육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가 교육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의 경험 유무 따른 결과는 환경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 보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태도가 높았고, 환경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 중에서도 환경교육 관련 연수를 받은 집단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의 상관관계의 결과를 살펴보면 지식과 인식, 인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지식과 태도사이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교육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한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에 대한 생물다양성 교육 강화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관련된 지식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초등학교는 담임교사가 거의 모든 교과를 가르치기 때문에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현직교사 대상의 연수 과정에서 생물다양성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 둘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위하여 생물다양성이 손실되는 다양한 원인과 이를 보전하는 바른 방법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태도는 환경교육관련 연수를 받는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만큼 환경교육관련 연수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식의 습득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의 변화를 이룰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vestigat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1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to check into their relevant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by using Choi & Kim`s tes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suitably to teacher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have a high level knowledge on importanc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but low level knowledge about endemic species, exotic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and the reason that became extinct species. Most of them are aware of the value of biodiversity in subordinate category, and they show the best concerns about putting it into action. There are no differences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for the impact of teaching career, those who have been teaching longer surpassed the others shorter in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the teachers, having experienc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show higher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an the others who are not. Second,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wareness, between awareness and attitude, but knowledg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 Follo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First, through reinforcing educa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t needs to improve standards of knowledg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Si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eaching most of subjects it should include education of biodiversity conversation in university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 for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t need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 that they could realize many causes of loss of species and how to preserve them. Third, since the group having experienc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shows higher attitud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t needs to invigorat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th, it needs to develop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so that acquisition of knowledg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could change into advisable attitud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 중학생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어느 정도 관계가 있고 설명력을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마포구 소재의 전체 중학교 14개교의 1∼3학년의 모집단 중 3,04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2009년 한국 청소년지표 조사Ⅳ: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중 ‘진로·직업교육의 학교 진로교육 유형별 참여 및 만족도’와 ‘진로·직업역량’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첫째, 성별, 학년, 학교설립형태, 학생구성형태,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 참여수준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 만족도, 진로·직업역량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통제변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직업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직업역량의 하위구성요인 중 남학생은 ‘진로직업지식’이, 여학생은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는 1학년의 진로·직업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의 요구에 맞춘 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진로·직업역량이 높아지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진로교육을 적극 확대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수준’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은 모든 유형(6개)을 경험한 그룹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교육 참여 효과가 입증된 만큼, 중학생의 진로·직업역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진로체험을 확대하여 충분한 진로탐색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직업역량에 대한 인구사회학적인 변수를 통제하고 진로교육 참여와 진로교육 만족도의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진로교육 만족도’가 진로교육 참여 보다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학생의 진로교육 체험 등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현장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교육 설계의 차별화와 진로교육의 참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및 불만족 요인을 낮추기 위한 교육과정 개선 등의 연구도 보완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on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46 students in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all the 14 middle schools in Mapo–gu, Seoul.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adapted from the '2009 Korea Youth Indicator Survey IV: Career and Occupation of Youth Indicator(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is study were to crosstab,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eneral career·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ub factor ‘career job knowledge' was higher in boys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was higher in girls. As for the ’grade’ variable,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of the first grade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pport plan tailored to the needs of career·voca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is needed. So, career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expanded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for increasing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Second,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level of career education' was highest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all the six typ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various care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hird,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had a greater effect on career·vocational competency than participation itself in career education. Therefore, active and divers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we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nd an improvement of curriculum to lower the factor of dissatisfaction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career education design according to the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creas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 조선초기 明使 迎接과 宴享

        박선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Kings of early era of Joseon actively utilized diplomacy with Ming in order to solidify their power along with justification of their authority.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reception and court banquet for Ming envoy who visited during the period of Taejo - Sejong, as an example. Ming envoy (明使) reception was conducted at Seonuimun (Gaeseong), Bansongjeong, and Mohwaru, nearby the capital city, however it was gradually expanded to a form to receive the envoy at Yeongseoyeok and Byeokjeyeok, outskirt of the capital city. Eventually, during Sejong period, remote receptionists were dispatched to Uiju and attended the envoy. Such remarkable change since Sejong period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of that period. Along with the process of arranging Ming envoy reception procedure, reception facilities were gradually prepared. Representative reception facilities were Taepyeonggwan in the capital city, Bansongjeong and Mohwaru, outskirt of the capital city, and local reception facilities that the Ming envoy passed through before the envoy arrived at the capital. On the other hand, Joseon government carefully took care of banquet along with reception of Ming enroy. Envoy banquet was a means for Joseon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Ming. Here, this research gave an overview of envoy banquet operation and classified the banquet according to type. King ordered to previously prepare the banquet by commanding separate gyemok at Yejo proper for the case according to Ming's situation and the visit purpose of envoy. As an example, when the prince crowning envoy visited during Sejong 5 year (1423), gyemok was determined for crown prince's banquet. This was based on the difference from general banquet in respect of the case given to Ming envoy. Banquet arranged for Ming envoy was various. Official banquet from Taejo- Sejong was arranged in order of Hamayeon· Yigilyeon· Onjimyeon· Jeonsongyeon. Along with this, unofficial banquet was determined, which was arranged when the envoy toured scenic spot, outskirt of the city, visited hometown, or received Seonggyungwan confucian shrine. This way, Joseon could directly deliver the country's diplomatic position through the reception of Ming envoy and banquet. Utmost respectful treatment of Ming envoy, who represented the emperor, was a product that intended to relieve diplomatic burden along with founding a country and unstable royal succession. Ming envoy reception and banquet were arranged during Sejong period and institutionally established. 조선 건국 초기 국왕은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자신의 권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명과의 외교를 적극 활용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례의 하나로 태조-세종 대를 중심으로 이 시기 입경한 명 사신에 대한 영접과 연향에 주목하였다. 건국 초 明使영접은 도성인근의 선의문(개성)과 반송정, 모화루에서 이루어졌으나 점차 도성 외곽인 영서역과 벽제역에 나가 맞이하는 형태로 확대되었다. 마침내 세종 즉위년에는 의주에 원접사를 파견하여 사신을 수행하였다. 세종 즉위년부터 눈에 띄는 이러한 변화는 당시 내부의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명사영접절차가 정비되는 과정과 함께 영접시설도 차츰 갖추어졌다. 대표적인 영접시설은 도성내의 태평관과 도성 외곽의 반송정, 모화루 그리고 명사가 도성에 이르기 전 경유한 지방영접시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편 조선정부는 명사 영접과 함께 연향에도 각별한 신경을 썼다. 사신연향은 조선이 명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에 사신연향의 운용모습을 개괄하고 연향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국왕은 명의 상황과 명사의 입경목적에 따라 그 격에 맞게 禮曹에서 별도로 啓目을 올려 사전에 준비하게 했다. 일례로 세종 5년(1423) 세자책봉사신이 입경했을 당시, 왕세자 위로연에 대한 계목을 정한 것이 있다. 이는 명사에게 베풀어지는 연향이 그 격에서 일반 연향과는 차이가 있었던 데 따르는 것이다. 명사를 위해 설행된 연향은 매우 다양하였다. 태조-세종 대까지 공식적인 연향은 하마연·익일연·온짐연·전송연의 순서로 운영되었다. 이와 함께 사신이 외방의 명승지로 유관을 떠나거나 고향을 방문할 때, 그리고 성균관 문묘를 배알할 때 수반한 비공식적인 연향도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조선은 명사 영접과 연향이라는 장을 통해 자국의 외교적 입장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황제를 대행한 명사에 대한 지극한 예우는 건국과 불안정한 왕위 계승에 따른 외교적 부담을 완화시키려는 의도의 산물이었다. 명사 영접과 연향은 세종 대에 정비되어 제도적으로 정착하였다.

      • 호텔관리자의 리더십이 종업원 신뢰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선숙 경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hotel industry in Korea faces the situation where it has to concern unpredictable development that cause the business recession. As new millennium begun, many enterprises in this country compete with other well-armed company from oversea so as to create new composition of group with adaptation and creativity skills. To sharpen competitive edges amid these challenges of the market economy, innovative leadership of hotel management is critical to create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where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general workers leads to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loyee's trust and management result in the hotel manager's leadership. For this study, I perform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work simultaneously. As the sample for empirical work, the objet is the employees who works in the hotel around Seoul city.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is to investigate general features and the aspect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for investigat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th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are employed and for the hypothesis confirmation, the path analysis is employed,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31days from July 1 through July 31, 2008.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is 330 and 287 copies of questionnaire among them are effective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insincere answers. A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are discovered. First, the leadership indicates significant effects in the management result of the hotel. According to core leadership, individual care, exceptional control, servant leadership in the leadership features affects management result in hotel. Second, trust indicates significant effects in the management result of the hotel. According to cognitive trust, affective trust in trust features affects management result in hotel. Third, the leadership and trust affects direct or indirect in management result of the hotel. it indicates to measure the effects in management result in the hotel. The effects of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in leadership is in order exceptional control, servant leadership. And the indirect effects of management result in the hotel by affective trust is in order exceptional control,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o exceptional control, core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in leadership features are highly influential. I suggest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and suggestion to improve competiton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 leadership features of the hotel employee indicates significant effects both the management result and employee's trust in the hotel. Therefore, the leadership of the hotel manager is a important variable to measure the management result of the hotel, it needs interest for the leadership of hotel manager to improve their work and to display latent ability, an initiative spirit in the hotel. Second, employee's trust indicates significant effects both the management result in the hotel. The hotel manager need to concern this results because employee's trust takes many positive results in the service organization. In order words, they are satisfied their job and work very hard when hotel employee attached significance their job and they are proud of their job. Specially, employee who is proud of their job will give a high quality service to customer. The customer will get satisfaction from the employee also it will takes very important parts for management result. 21세기의 무한경쟁 시대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전 세계 다국적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조직의 적응력과 창의력을 개발하고, 상사와 부하들의 공존공영의 정신으로 자발성과 책임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특히 호텔산업에서의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려면 호텔종사자들이 조직에 몰입하고,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한 호텔관리자의 혁신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며 호텔관리자, 즉 인적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달려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호텔관리자의 리더십이 종업원의 신뢰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표본은 서울시내 특급호텔 종사원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분석 중 표본의 특성과 인구 통계적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가설검증에는 경로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08년 7월1일부터 7월31일까지 31일간 이루어졌다. 330명의 응답자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총 287부의 유효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리더십은 호텔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의 요인 중 핵심리더십, 개별적 고려, 예외 관리, 서번트 리더십 순으로 호텔경영 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는 호텔경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의 요인 중 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 순으로 호텔경영 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과 신뢰는 호텔경영 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의 영향력을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예외관리, 서번트 리더십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신뢰를 매개로 한 호텔경영 성과의 간접 영향요인은 예외관리, 서번트 리더십 순으로 나타났다. 호텔경영 성과에 대한 요인별 총 효과를 보면, 리더십의 요인 중 예외관리, 핵심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목적으로 제시하였던 효율적인 인사관리 및 호텔기업들에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리더십 특성이 호텔조직에 있어서의 종업원의 신뢰, 호텔경영 성과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호텔 관리자의 리더십은 호텔조직에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종사원의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잠재 능력 및 창의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는 호텔 조직 내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종업원의 신뢰는 호텔 경영 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의 신뢰는 서비스 조직에 많은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호텔 관리자는 이런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호텔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업무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감을 갖고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업무에 만족할 수 있으며, 더욱더 조직에 충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자신의 업무에 만족한 종사원은 고객에게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과 더불어 경영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고립된 국가들의 핵 무기 개발과 미국의 대외전략 : 이란, 리비아, 북한의 사례를 비교하여

        박선숙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ree states ? Libya, North Korea, and Iran, who either developed or are developing nuclear weapons. Adopting a joint method of agreement and difference of John Stuart Mill, it attempts to explore how their negotiations with the U.S. over their nuclear programs we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U.S. foreign policy, strategic concerns of each regime, their geological conditions, and their relations with neighboring st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in nuclear states can be examined a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 government, nuclear states can be distinguished by strategic values, their relations with other states, affecting the degree of pressures from the U.S.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se nuclear states are also distinguished by their different intentions for developing nuclear programs,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types of relations that they have with other states. This research argues that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in those "rogue" state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asymmetrical military relations with the U.S. government. All three states have attempted to increase political stability of their regim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uclear programs, but also tried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United States. While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may no be consistent, on its own, with economic development or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he "rogue" states seem to have believed that their nuclear programs will let them achieve these apparently conflicting objectives. With regard to the intention of developing nuclear weapons, Libya, North Korea and Iran have similarities. In the Cold War era, these states have taken their own line, under the banner of anti-Americanism, undergone economic blockades by the U.S. and sought to develop nuclear weapons. In the case of Iran and Libya, as they have argued, the asymmetrical military relations with Israel have affected their nuclear program. In the case of North Korea, the asymmetrical relation with South Korea and the U.S. Armed Forces made it develop nuclear weapons. After the Cold War, all of them have continued their nuclear programs, while trying to break free from isolation through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the U.S. government. The U.S. never recognized these states, blaming them of sponsoring international terrorism and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Northeast As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 which Washington has strategically essential interests. Under its strategical concerns, the U.S. government have taken enhanced containment- and pressure policy on these states. The U.S. has designated them as "rogue states", organized sanctions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pressured them to abandon nuclear programs. Libya, however, eventually, decided to cooperate in trials on terrorist crimes like the Lockerbie case and promised material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assisted the U.S. government's anti-terrorism efforts. Libya, in consequence, was able to change its position from a dangerous country or an enemy to a collaborator. In this respect, Libya, by giving up its nuclear programs, as able to finish its negotiation and normalized relations with the U.S. government faster than other countries. The different levels of nuclear weapon development programs by these countries also seems to have affected the U.S. negotiations with each states. Above all, the U.S. concluded negotiations with Libya which had failed to develop nuclear weapons. Even though there are other variables like the settlement over terrorist crimes and the cooperation by Libya for the war on terrorism, its failure to develop nuclear weapons seems to have affected Washington's decision on negotiations. In respect of the effectiveness of pressure policy, considering the nuclear test of North Korea in 2006 and the manifesto by Iran as a nuclear power, it is certain that U.S. pressure policy without military attacks was not effective at all in stopping their nuclear programs. On the other hand, relationships with other states are sharp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spite of economic sanctions, Europe maintained economic relations with Libya; England, the most important ally of America, has mediated between America and Libya. But North Korea and Iran, unlike Libya, have no reliable mediator like England, and this has delayed and interrupted negotiations. My research also shows that regime types of nuclear stat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S. foreign policy. After the Cold War, the U.S. has pursued two contradictory goals in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first, the maximization of national interest which is rooted on neo-realism; and second, the expansion of democracy based on the ideal of democratic peace. While rehabilitating authoritarianism in Libya, the U.S. government has imposed punitive sanctions on Iran, a semi-democratic regime. It shows that the U.S. prioritizes it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 over its ideological goals. The U.S. government has normalized its relationship with Libya, which, once a rogue state, is now providing some cooperation on the war on terrorism. It has also made North Korea an negotiation partner after its nuclear experiment. All of these show that the U.S. government is not ideologically driven in making foreign policy. Like Pakistan, Libya has normalized its relations with the U.S. through cooperation on the war on terrorism and hence strengthened the regime?s stability. In contrast, North Korea is not likely to give up its nuclear program until the U.S. government guarantees political survival of its regime through several measures, such as economic aid, the normalization of U.S.-North Korea rel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agreements; The government in Iran, whuch has relatively established democratic regim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would not give up its nuclear program unless it believes nuclear weapons in Israel does not threat its political stability of its regime.

      •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현장에서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선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날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사회복지상담이 활성화 되어야할 필요성에 근거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상담이 실천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사회복지상담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사회복지상담의 개념과 목표 및 특성을 밝혀두었다. 다음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상담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무를 맡고 있는 2년 이상 경력의 사회복지사 4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0.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중에서 상담가 역할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상담에 있어서는 환경보다는 개인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사회복지상담 유형 중에서는 개별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클라이언트의 자발적 요청으로 사회복지상담에 참여하고 있었다. 소속 기관유형 별 사회복지상담에서 다루어지는 주제 면에서 볼 때는 건강문제, 교육문제, 안전문제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상담 관련 교과목과 사회복지상담 검사 도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상담에서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 인간의 존엄성 존중, 자기결정권, 사회적 책임, 사회적 정의 순으로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상담에 적용하는 지식은 강점관점, 생태체계적 관점, 해결중심 이론, 위기개입 모델, 인본주의 이론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사회복지상담의 기술에 대해서는 경청기술, 질문기술, 표현기술, 사정기술, 목적유지기술, 평가기술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 역시도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사회복지사의 소속 기관유형에 따라, 사회복지상담의 지식과 기술 사용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상담을 활용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을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사회복지상담 활용 역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사회복지상담의 활용에는 소속 기관유형과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의 특성과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교육과,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에 관한 전문교육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상담 매뉴얼의 개발, 보수교육의 차별화 및 전문화, 슈퍼비전의 강화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need for social work counselling that should be activated, which is increasing in demand. For this, analyze how social work counselling is being used on the practice field and seek the development plan for social work counselling. Firs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the concept and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counseling. Next, for analyzing how social work counselling is being used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by more than two years to be in charge of actual work in the field social workers of the 499 people. Data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Ver. 20.0. The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consultant role from the role of social worker in the practice field is accounted for the highest frequency. And it is analyzed that tend to emphasize personal than environment in social work counseling Secondly, one-on-one counseling is the most numerous social work counseling type which conducted by social workers, and participating was voluntary request from the client to the social work counselling. When seeing the topic that covered by each type of social work department, Health issues, Education issues, Safety issues were in order. Third, social workers need more training about subjects and examination tools about social work counselling. Fourth, the social workers were aware Confidentiality, Human dignity, Self-determ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justice, in order of importance value on social work counseling. Fifth, the knowledge which is being applied to social work’s social work counselling appeared Strengths Perspective, Ecological Perspective, Solution-focused Theory, Crisis Intervention Models, Humanistic Theory in order. And it depends on common characteristics. Sixth, for the technology of social work counseling Listen Technology, Question Technology, Expressed-Technology, Assessment Technology, Purpose Maintained Technology, Evaluation Technology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it depends on common characteristics. Seventh, the higher the rating for the use of social work counselling’s technology and knowledge of social workers, as with high levels of analysis that utilize the facil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work counseling. Eighth, social workers are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value, knowledge, skills of social work counseling, appeared to recognize that social work counseling is also important Based on this information, Institution type and the social work counseling value, knowledge skills can be seen to affect the utilization of social work. Thus, social worker who can act smoothly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needs empowerment training and professional training about the value, knowledge, skills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social work counselling manual,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fresher training, super vision was suggested as the develop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