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patial Process of Neo-liberalization in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 in South Korea and Malaysia

        박배균(Bae Gyoon Park) 한국공간환경학회 2006 한국공간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3

        On the basis of the view emphasizing the contextual embeddedness of neoliberalization proces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eoliberal restructuring processes have actually taken place within the national contexts defined by the path-dependent properties of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 particular, with empirical focus on the special economic zones in South Korea and the Multi-media Super Corridor in Malaysia, it explores how the political contestations between inherited institutional and political landscap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and emergent neo-liberal restructuring projects can be spatially mediated through 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 . Based on these case studies, this paper suggests general tendencies in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with respect to the spatialprocess of neo-liberalization as follows: 1)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have commonly experienced various kinds of tensions between the inherited practices and ideologies of the state-led developmentalism and the neo-liberal reform projects, which have been driven by the national ruling elites under various pressures from both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2) given such political contestations, the ruling elites in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have tended to deploy the 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 strategy, in which the application of more liberalized regulatory rules is territorially delimited within certain selected areas, as a way of avoiding massive social resistance against neoliberal restructuring projects and 3) the actual contents of the new neo-liberal spatial projects are influenced by the dialectical interplays between the 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 whichis likely to increase regional disparities, and the existing spatial strategy of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which has tended to focus on achieving a more balanced regional economy.

      • KCI등재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 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 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 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에서 ‘신자유주의화’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06 공간과 사회 Vol.25 No.-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화 과정의 맥락적 의존성을 강조하는 입장에 서서, 어떻게 신자유주의적 재편의 과정이 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경로 의존적 특성에 의해 규정받는 상황 속에서 실재적으로 일어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한국의 경제자유구역과 말레이시아의 ‘멀티미디어 대회랑’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발전주의 국가의 제도적·정치적 유산과 신자유주의적 재구조화 프로젝트 사이에 발생하는 정치적 긴장과 갈등이 어떻게 ‘공간 선택적 자유화(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를 통해 공간적으로 매개되는지를 탐구한다. 이 경험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는 아시아 발전주의 국가들이 신자유주의화의 공간적 과정과 관련하여 보여주는 일반적 경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On the basis of the view emphasizing the contextual embeddedness of neoliberalization proces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eoliberal restructuring processes have actually taken place within the national contexts defined by the path-dependent properties of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 particular, with empirical focus on the special economic zones in South Korea and the Multi-media Super Corridor in Malaysia, it explores how the political contestations between inherited institutional and political landscap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and emergent neo-liberal restructuring projects can be spatially mediated through “spatially selective liberalization.” Based on these case studies, this paper aims to suggest some general tendencies in the Asian developmental states with respect to the spatial process of neo-liber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국가의 영토성과 예외적 공간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2

        이 글은 동아시아의 특구가 지니는 정치-경제-사회적 의미를 국가 영토성과의 관련 속에서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구를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이 발현되는 예외적 공간이라 개념화한 아이와 옹의 논의를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옹과 달리 특구를 단지 신자유주의적 변화의 결과인 것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특구라는 현상을 근대국가의 영토성이 지닌 내적 한계와 연결시켜 설명할 것이다. 특히, 특구를 근대적 국민국가의 영토성에 내재된 이동성과 고착성 사이의 모순적 경향이 변증법적으로 발현된 것으로 바라본다. 또한,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달의 시공간적 맥락 속에서 보았을 때 특구는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공간성에 내재된 기본적 속성 중의 하나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난 1960년대 이래로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맥락에서 시도된 다양한 특구 전략을 1) 발전주의 특구, 2) 신자유주의 특구, 3) 체제전환형 특구라는 3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그 특징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see the special zones in East Asia in relation to the territorialities of the state. For this, it will introduce Aihwa Ong’s notion of ‘spaces of exception’, and provide some critical discussions on it. Unlike Ong, I do not see the spaces of exception as an outcome of neoliberal changes of the state. Instead, I propose to see the special zones in terms of the internal limitations of the modern state territoriality. In particular, I try to theorize the special zones in relation to the dialectics of the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mobility and fixity inherent in the territoriality of the modern nation state. In addition, it will be suggested to see special zones as an essential part of the spatiality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given the spatio-temporal contexts of the East Asian capitalist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paper will divide the special zon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East Asia since the 1960s into 3 different types, including 1) developmentalis

      • KCI등재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과 금문 지역경제의 변화

        박배균(Bae-Gyoon Park),김민환(Min-Hwan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Kinmen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lectics between fixity and mobility with specia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Kaoliang liquor-related economies in Kinmen. Traditionally, Kinmen had been deeply connected to the economies of flow,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on the basis of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of overseas Chinese migrants. Since 1949, however, Kinmen had suffered from economic hardship because it had been disconnected from the economies of flow due to the geo-political tens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Kinmen Kaoliang liquor was born on the basis of local efforts to overcome the economic hardship when Kinmen was isolated and not fully incorporated to the national economy of Taiwan in the late 1950s. Kinmen Kaoliang liquor became nationally famous in Taiwan as the Taiwanese soldiers, who served in Kinmen, returned to their home with bottles of Kinmen Kaoliang after their military service. With the nationalization of Kinmen Kaoliang liquor, the Kinmen economy became fully incorporated into the Taiwanese national economy. As the China-Taiwan relationship has been greatly improved since the 1990s, the economies of flow have been revitalized in Kinmen. The revitalization of the economies of flow would provide new windows of opportunites to Kinmen, but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new challenges as the tensions between the economies of flow and the particular placeness and territoriality of Kinmen have been growing in recent years. 이 논문은 금문고량주를 소재로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이라는 관점에서 대만 금문도의 지역경제를 살펴보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금문은 전통적으로 남중국과 동남아에 걸쳐 형성된 흐름의 경제에 편입되어 있었으나, 1949년 이후로 이 흐름에서 단절되어 경제적으로 고립되는 어려움을 맛보았다. 중국의 복건성과는 단절되었으나, 대만본섬과는 아직 경제적으로 연결되지 않았던 시기에 고립경제의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한 모색 속에서 탄생한 것이 금문고량주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금문도에 복무하러 온 대만본섬 출신 군인들이 기념품으로 금문 고량주를 대만본섬으로 갖고 나가면서 이것이 유명해졌다. 이때부터 고립경제의 상징이었던 금문고량주는 대만 본섬과 금문 사이의 새로운 이동의 상징이 되었다. 계엄해제와 소삼통(小三通) 이후 금문의 경제는 다시 흐름의 경제에 접속하게 되었다. 현재 흐름의 경제는 금문의 지역사회와 경제에 새로운 기회의 창을 제공해주지만, 동시에 금문 사회에 형성된 독특한 장소성, 영역성과의 충돌과 갈등도 심해지고 있다.

      • KCI등재

        스마트 도시론의 급진적 재구성 : 르페브르의 ‘도시혁명’론을 바탕으로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2

        본 논문은 주류 스마트도시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론을 급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의 스마트도시론을 그에 내재된 국가중심적 발전주의, 산업주의, 기술결정론에 초점을 두어 비판한다. 이어서,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소개하고, 그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스마트 도시에 대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방법론적 도시주의’적 인식론을 비판하면서, 만남과 마주침을 통한 도시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도시적 만남과 마주침의 과정이 스마트 기술과 연결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해 논하고, 보다 해방적인 도시사회의 형성을 위해서는 자유로운 만남과 마주침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해 저항하는 급진적인 마주침의 정치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critical re-reading of smart city discourses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First, it criticizes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for their state-centered developmentalism, industrialism, and techno-determinism. Second, it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n the smart city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In particular, it criticizes the ‘methodological nationalism’ and ‘methodological cityism’ inherent in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and suggests to see the smart city pheonomena through the urban lens, not through the ‘city’ perspective. Also, it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urban processes of assembling and encountering can be posi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mart technologies. Finally, it emphasizes that the construction of emancipatory urban society requires radical politics of encounter that resists against all kinds of forces separating between people, things and spaces in urb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1 No.-

        그동안 한국 국가의 토건지향성과 개발주의적 성향에 대한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왔다. 하지만, 한국 국가의 정책이 왜 그러한 선택성을 보였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에서 토건지향적인 국가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전략관계적 국가론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난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국가의 공간정책과 그를 둘러싼 복잡한 정치-경제적 과정의 결과로, 지역적 스케일에서 영역화된 이해의 정치적 동원화가 매우 활성화되었고, 그 때문에 국가의 토건지향성과 개발주의적 성향이 강화되었음을 주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① 정당 정치에서의 중심적 균열구조가 지역에 기반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정당과 정치인들이 지역 차원의 개발주의 정치에 쉽게 순응하여, 국가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게 되고, ② 계급정치와 풀뿌리 민주주의의 미성숙으로 말미암아, 지역 차원에서의 장소적 이해가 강하게 영역화되는 경향을 보여주며, ③ 1970년대부터 지속된 지역주의 정치의 영향으로 지역의 정치-경제적 현실을 해석하는 담론의 프레임이 ‘중앙-지방’ 관계를 중심으로 매우 정치화되어 있다는 조건들이 한국 국가의 토건지향성 강화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 국가의 신개발주의적 토건지향성의 문제를 정권과 관료들의 비합리성, 무능, 비도덕성에 국한하지 않고, 그러한 성향을 가지게 한 국가 안에서, 그리고 국가를 통해서 작동하는 사회세력들 간의 더욱 복잡한 정치-사회-경제적 경합과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has been increasingly criticized by the critical social scientists in Korea, but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explained why the Korean state has shown such a developmentalist selectivi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s for the rise of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state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to the state.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highly politicized territorial interests mobilized at the local and regional scales, which has been conditioned by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Korean stat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territorialized party politic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suggests as follows: 1) the territorialized party politics, in which the partisan politics has been primarily structured on the basis of regional cleavages, has made the parties and politicians more sensitive to the politics of local/regional development, which has put great impacts on the state’s decision-making; 2) the weak development of the class politics (at the national scale) and the grass-root politics (at the local and regional scales) has facilitated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place-based interests and identities; 3) the ways in which Koreans interpret the politico-economic realities of regions and localities has been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discursive frame of the highly politicized ‘center-local’ relations, which has led to the intensified inter-local/inter-regional completion for the central government’s spending for local/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alist nature of the Korean state should not be attributed solely to the irrationality, incapability and immorality of Korean bureaucrats and politicians, but it needs to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more complicated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and contestations among force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 KCI등재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박배균 ( Bae Gyoon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3 No.3

        이 논문은 최근 대안적인 지역개발의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장소마케팅 개념이 인간주의 지리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본질주의적 장소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어, 장소간 경쟁을 심화시키고, 장소를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영역으로 만드는 장소의 영역화를 결과할 가능성이 큼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장소마케팅이 바탕을 두고 있는 본질주의 장소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장소는 복잡한 권력관계 속에서 사회, 정 치, 문화적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는 최근의 대안적 논의를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영역이 만들어지는 사회-정치적 과정을 소개하면서, 영역이 장소의 특수한 한 형태임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소마케팅이 장소를 영역화하는 전략임을 논증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discuss the place-marketing strategy that has been widely seen as an alternative way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last decade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the place-marketing strategy is highly likely to intensify the inter-local or inter-urban completion and to result in the territorialization of places because it is based on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that has been suggested by the humanistic geographers. In order to logically support my argument, I will critically review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and introduce an alternative notion of place, in which the place is seen as socially constructed through complicated power relations and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rocesses. Also, I will logically demonstrate that the place-marketing can be seen as a strategy for territorializing places by discussing how territory is socially and politically constructed as a particular form of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