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직무요구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통제의 조절효과

        박미진(Park, Mee-Jin),최인화(Choi, In-Hwa),김현미(Kim, Hyun-Mi),정민선(Jung, Min-Sun),김진희(Kim, Jin-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직무요구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무통제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학교상담실, 대학상담기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설개인상담소 등에서 종사하는 상담자 230명을 임의표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세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요구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직무통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요구는 직무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소진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직무통제는 소진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요구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직무통제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상담자의 직무에 관한 직무요구-통제 모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상담자의 소진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제안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unselors’job contro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job demand and burnout. This analysis is utilized with data from 230 counselors working in several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article indicate that job demand is positively related with job control but negatively related with burnout. Job control is negatively related with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ontrol is also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of the results, 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bout counselor"s job performance and their burnout.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미진(Park Mee Jin),김진희(Kim Ji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위치한 4년제 대 학 2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3명을 표집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성격 5요인(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사교성, 정서안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성격 5요 인과 삶의 만족 간에서 5요인(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사교성, 정서안정성) 모두 유 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한계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analysis is utilized with data from 323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Chungnam. The results of this article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big five personality factors(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s, agreeableness, emotional st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re also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s, agreeableness, emotional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of the results, 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교사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박미진(Park Mee jin),최인화(Choi In hwa),김진희(Kim Ji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교사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8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초·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440명을 임의표집하여 진로소명, 자기효능감, 직업몰입, 직무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진로소명, 자기효능감, 직업몰입, 직무만족 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기효능감은 교사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 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직업몰입은 교사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 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진로소명과 직업만족 사이에서 직업몰입이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한계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s’s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career call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administered to 440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August in 2015 to February in 2016. The results of this artic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areer call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the self-efficacy did not show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p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career calling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As a result, occupational commitment plays a role of mediating between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교육자의 인식으로 본 창의성 발현 요인

        박미진(Park Mee Jin),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4

        본 연구는 미술교육자들이 인식하는 미술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핵심 요인들을 제안하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창의성 발현을 위한 핵심 요인의 탐색과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교육자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15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조사와 총 249명의 미술교육자들의 응답을 분석하여 최종 요인 체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미술에서의 창의성을 판단하는 핵심적인 기준으로 사고의 독창성, 새로운 시각적 표현, 미술 지평의 확장이 제안되었으며 미술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창의적 환경, 창의적 사고력, 창작에의 몰입, 시각적 문해력 요인이 제안되었다. 이들 요인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창의적 환경은 사고력(.45), 몰입 능력(.42), 시각적 문해력(.30)과 같은 개인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 사고력(.47), 창작에의 몰입(.29), 시각적 문해력(.32)은 미술에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을 제안하고 미술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하여 인지적 능력, 정의적 특성, 영역 관련 기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창의적 환경 구성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nd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in the arts as perceived by a group of art educators; we then analyzed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We explor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ith 15 experts in art education; their creativity evaluation criteria and perceptions of influencing factors were examined using the Delphi method study. And We examined the importance of the above perceptions to 294 art educato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universities. Consequently, art educato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a creative environment on creative thinking, flow experience during creation, and visual literacy was .45, .42, and .30, respectively. Further, the effectiveness of each factor-creative thinking, flow experience during creation, and visual literacy-on creativity was .47, .29, and .32, respectively.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First, we recommend the need for a transition in the perception of cognitive abilitie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domain-specific techniqu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and recommend more varied approaches to develop creativity in art education.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relevant assessment tools and criteria, and suggest the need for support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t educators perceive to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및 직업포부의 관계

        조붕환,박미진,Cho, Bung-Hwan,Park, Mee-Jin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직업포부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직업포부에 미치는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의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직업포부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성은 진로인식과 직업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을 독립변인으로, 직업포부를 종속변인으로, 그리고 진로인식을 매개변인으로 보고 변인간의 관계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변인간의 관계모형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were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personality, career awareness, and occupational aspi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se purpose, we analysed the data from 3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ding revealed that creativity personality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awareness and occupational aspiration. And creativity personality ha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wareness and occupational aspiration.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reativity personal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effect to occupational aspiration. However, career awareness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of creativity personality and occupational aspiration. The implication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based on 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