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석적 계층화 과정법에 의한 전문대학의 교육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

        박동열(Dong Yeol Park),정철영(Chyul Young Jyung) 한국직업교육학회 1999 職業 敎育 硏究 Vol.1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indicators for evaluat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junior colleges within Parsons` theoretical framework, 2) to compute the appropriate weights for indicators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3) to identify an application scheme for the developed indicators and their weight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available literature, surveying college experts with mailed questionnaires, and holding a series of conferences with leading exper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ndicators to evalu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junior colleges consisted of 4 divisions, 11 sub-divisions and 40 elements. 2) Regarding the divisions` weights, there was a conflicting view between two specialist groups; the faculties in college weighed high on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ivision, while the researchers high on the goal attainment division. But both weighed relatively lower in the management function division and the college health division than the others. 3) Concerning the sub-divisions` weights, the human & physical resource sub-division and change adaptation sub-division were weigh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sub-divisions in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ivision. The weights for educational achievement was the highest in goal attainment division, and the weights for clarity of management was the highest in management function division, and the weights for job motivation was the highest in college health division. 4) Most of the faculties and researchers perceived that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very necessary to promote competition among colleges. Indicators and their weights should be developed once every two or three years by researchers, managers in community, faculties in college, and administrator.

      • KCI등재

        환경 분쟁과 전략적 봉쇄소송

        박동열 ( Dong Yeol Park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1

        전략적 봉쇄소송(Strategic Lawsuits Against Public Participation; SLAPP)은 법적 분쟁의 해결보다는 일반대중의 참여를 봉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SLAPP는 소송에 수반되는 비용이나 부담을 공적 발화나 행동을 한 자에게 전가할 뿐만 아니라 소송의 상대방이 아닌 자의 참여를 위축시키는 폐해가 있어, 미국의 27개 주는 SLAPP 억제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SLAPP가 문제되는 일반적인 영역은 환경 분쟁과 관련된 영역이다. 개인 및 사회집단과 국가 간의 상호협력 작용을 통해 환경정책이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일반대중의 공공참여가 SLAPP로 인해 저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LAPP는 일반적으로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 사건과 이를 본안으로 하는 가압류신청 사건으로 대별할 수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가압류신청 사건이다. 그동안 실무는 가압류신청 사건의 긴급성과 밀행성을 강조하여 가압류신청을 쉽게 인용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채무자는 일단 가압류가 인용되면 즉각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현행 법률의 해석상 소권남용의 법리를 SLAPP에 대한 억제논의의 근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압류신청 사건은 채권자의 주장과 소명만을 기초로 보전재판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채권자에게 소권남용의 법리가 엄격하게 적용된다. 피고를 보호하고 실익이 없는 재판의 진행을 자제하며 소송이 당사자 일방의 자의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도 가압류신청이 SLAPP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에 그 신청을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의 경우와 달리 법률적, 사실적 근거를 갖춘 SLAPP가 상당수 존재하고, 승소율 역시 높은 수준이다. 법원으로부터 인용될 가능성이 높은 소를 제기한 제소자에게 SLAPP 억제논의로부터의 해방 기회의 부여가 문제된다. 제소자가 해당 소송의 승소개연성을 밝히는 등의 방법으로 SLAPP 억제논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Strategic Lawsuits Against Public Participation (SLAPP) is aimed not so much to resolve legal disputes as to block people from participating in public affairs. SLAPP not only imputes the cost or burden involved in a lawsuit to the person who has expressed an idea or has taken action but also shrinks participation of any other person than the adversary of the suit. Due to this undesirable effect, twenty-seven states in the United States have enacted and implemented laws that place certain restrictions on SLAPP. SLAPP issues most frequently arise in the aspects related to environmental disputes. Since environmental policie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social groups and the state, we should not allow SLAPP to discourage people`s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Generally, SLAPP may be grouped in two contrasting types: The first one is lawsuit seeking compensation for tort-based damage and the second one is, with the said first one being the merit, the case of motion for provisional attachment, and cases of the second type generally pose more imminent issues that should be fully addressed. With much stress on the nature of urgency as well as necessity for sudden action, courts have been rather generous in granting request for provisional attachment without strict scrutiny. Once a provisional attachment is granted, the debtor subject to such decision is instantly affected. In light of interpretation of the laws currently in effect, the doctrine against misuse of suit may be viewed as a ground to restrict SLAPP. As provisional attachment request leads to a trial that should proceed only based on allegations and explanations unilaterally provided by the creditor, it is imperative that the creditor be governed by the good faith doctrine against the misuse of suit with greater stringency. Protection of defendant, restriction of meritless claims, and prevention of leaving a lawsuit at a unilateral discretion of one of the parties are the other reasons that the courts should not grant request for provisional attachment if it may be constructed as SLAPP.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Korean courts, unlike their US counterparts, have numerous SLAPP cases established well with legal and factual grounds, with high percentage of winning the suit. It is argued whether one who has filed a lawsuit that bears a high probability of winning should be granted an opportunity to keep himself/herself unaffected by theories justifying restriction of SLAPP.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iler with opportunity to be shielded from theories to restrict SLAPP, particularly if such filer shows high chance that the case will be concluded in favor of him/her.

      • KCI등재

        규칙제정절차에서의 국민의 참여

        박동열(Dongyeol Park)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3 행정법연구 Vol.- No.37

        국민과 행정기관의 관계가 일방관계에서 협력관계로 변화하면서 행정의 패러다임은 통치에서 협치로 전환되었다. 정부는 행정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자적 직접참여 확대 등 행정에 대한 국민의 실질적 참여보장을 위한 제도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민의 참여와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 행정법에서도 참여와 투명성의 요청이 두드러진 분야는 단연 규칙제정 분야일 것이다. 행정기관의 규칙제정 권한은 의회로부터, 재결 권한은 사법부로부터 위임받은 것으로 보는 행정에 대한 특유한 이해는 행정의 권한행사에 관한 절차를 중시할 수밖에 없었고, 자연스럽게 규칙제정절차에서의 국민의 참여보장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행정절차법의 일반적인 규칙제정절차인 고지와 의견제출에 의한 규칙제정절차는 이해관계인에게 규칙안에 대한 의견제출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국민의 참여를 보장한다. 그러나 고지 및 의견제출에 의한 규칙제정절차는 대심구조에 기초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참여보장에 구조적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고, 절차지연의 문제나 제정된 규칙에 대한 불복률이 높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규칙제정절차를 대심구조에서 협력구조로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자는 논의가 있었으며, 1990년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법(the Negotiated Rulemaking Act)의 제정으로 결실을 이루게 되었다.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법은 국민과 행정기관 사이의 고양된 협력관계를 토대로 규칙제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절감, 제정된 규칙에 대한 불복률의 감소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를 위하여 행정기관은 협상과정에서 협상참여자들의 최적협상대안(Best Alternative To Negotiated Agreement; BATNA)의 인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합의가 성공적으로 도출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1997년과 2008년의 통계학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절차는 전통적인 규칙제정절차의 절차지연의 문제나 제정된 규칙의 불복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행정현실에서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절차의 활용은 극히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1990년대보다도 그 활용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행정기관이 그의 정치적, 법률적인 권한을 제약하는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절차의 사용을 꺼려하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진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은 행정입법에서의 혁명이라고까지 지칭되며 국민의 참여를 보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제도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이 행정현실에서 국민의 참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 아니면 단지 서류의 디지털화에 그칠 것인지는 앞으로 지켜볼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민과 행정기관의 협력적 요소가 강조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법치주의에서의 법이 국가권력행사를 제어하거나 사회국가적 급부를 실현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행정의 의사결정과정에서 국민의 협조와 참여를 보장하는 것으로 중점이 놓이고 있다. 협력적법 관계는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라고 할 것인데, 미국에서의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법과 관련한 논의와 행정현실에서의 실패 및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에 관한 논의는 참여가 행정의 화두가 된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administrative agencies, which was once lopsided, became cooperative, the administrative paradigm has shifted from governing over people to cooperating with people.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changes in an administrative milieu, government is actively seeking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through means including online direct participation. The noticeable features of the U.S. administrative law are public participation and transparency. The area of the law where the features stand out the most is rulemaking. In the US, where the executive’s power of rulemaking comes from the legislature, and the power of adjudication from the judiciary, guarantee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rulemaking process and placing heavy emphasis on regulating the executive’s exercise of power naturally and necessarily follow. Notice which is essential to the rulemaking process of the U.S. administrative law, and the process by which government gives an opportunity to an interested party to submit opinions about a regulation, together grant people the right to participate. However, the rulemaking process that relies on submission of opinions and notice has its foundation on the adversarial system which, by its nature, limits public participation. Also, the process gives arise to the issue of delay and a high ratio of non-compliance with regulations enacted. Therefore, discussions urging the change of the adversarial system to a non-adversarial one emerged and eventually resulted in the enactment of the Negotiated Rulemaking Act of 1990. The Negotiated Rulemaking Act(“the Act”) was expected that by encouraging people’s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it would reduce the time consumed in the rulemaking process and the ratio of noncompliance with regulations enacted. According to the Act, even though administrative agencies no longer serve as a decision-maker but as a participant in a negotiation, they are still required to spend time and efforts in order to successfully reach an agreement by influencing the thoughts of other participants regarding the 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However, the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1997 and 2008 show that the Act fail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old issues of delay and noncompliance. In the actual rulemaking process, the application of the Act remained at a negligible level and dropped further in the 2000s. This implies that administrative agencies are reluctant to apply the Act because it restricts the executive’s rights. On the other, the fast development of technology enabled electronic rulemaking. The new rulemaking system, referred to as a revolution, is acclaimed as a system which would allow actual public participation. However, it still remains as a question whether electronic rulemaking would allow people to actually participate, or simply stop at digitalizing documents. Likewise, in Korea, cooperation between people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s gaining more attention. Fundamentally, under legalism, law is a tool of not only restricting the state’s exercise of power and benefiting society and government but also ensuring public coopera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executive’s decision making process. The issue of a cooperative legal relationship is a problem that concerns us of now, not of future. The discussions that emerged in the U.S. concerning the Act, the failure of the Act in practice, and electronic rulemaking, are applicable to us for whom the focus of administrate law is currently on public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어 인칭의 특수성이 제기하는 문제 - 정신역학적 관점에서의 한국어와 프랑스어 대조 연구 -

        박동열 ( Park Dong-yeol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7 프랑스어문교육 Vol.56 No.-

        Dans cette présente recherche, nous avons eu pour ambition générale d'étudier des questions soulevées par la particularité de la Personne en coréen. Pour ce faire, notre travail s'est porté sur une comparaison du système de la Personne en coréen et celui en français dans une perspective psychomécanique. La Personne coréenne est analysable en termes d'espace et du temps. Au niveau de l'espace, le système de la Personne procède d'une opération de séparation du NA (Moi) et Tal Na (Hors-Moi) : au NA, entité spatiale, s'oppose tout ce qui n'est pas Na (Neo, Keu). Au niveau temporel, intervient une autre opération d'inclure des terminaisons finales ou pré-finales, entités temporelles qui sont primitives dans le système de la personne en coréen et se voient être face à face première personne (Eo/A)/deuxième personne (Ya?, Eo?, Ni) au sein du rapport interlocutif. Et Ce face à face exclut du présent de parole l'autre partie du Tal Na, la troisième personne (Dae, Si) qui est réduit à l'état de délocuté. En coréen, une Personne pronominale constituant l'élément essentiel dans une discussion traditionnelle est un élément facultatif. Notre travail débute par une mise au point de l'élargissement de la notion de Personne. Étant donné que la Personne coréenne est réalisée par l'intermédiaire de moyens variés (terminaison finale et préfinale, sémantème du verbe, pronom etc), nous affirmons que le système universel de la Personne devrait être établi sur la base d'une notion élargie, contrairement à la notion existante. Ensuite, cette étude a examiné la corrélation entre la différence du système de la personne des langues et celle de la lexigénège du mot appartenant à la psychomécanique. Suivant que le mot s'achève au niveau de la langue ou celui du discours, la Personne réalisée diffère. Enfin, nous avons analysé le processus sur l'émergence de Personne qui se produit à partir de la couche de morphème impliquant une figure de personne potentielle dans la “Langue”, et qui passe ensuite par la couche de mot et la couche de phrase dans le mode génétique à réaliser sous l'effet de divers contextes en multi-niveaux dans le “Discours”.

      • KCI등재

        시간생성시간(chronogénèse)체계에 기반 한 서법이론의 보편성 연구 - 프랑스어와 한국어 대조 분석 -

        박동열 ( Park Dong-yeol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6 프랑스어문교육 Vol.52 No.-

        Dans cette étude, nous avons pour ambition générale d'établir l'universalité du système de mode fondé sur la notion de chronogénèse, noyau du système verbal dans la théorie guillaumienne. Pour ce faire, notre travail a comparé le système du mode en français et celui en coréen. Notre travail débute par une présentation de deux notions fondamentales de la théorie de chronogénèse. D'une part, la spatialisation du temps qui comporte les contenus suivants : le temps ascendant et le temps descendant, le temps d'univers et le temps des événements, la configuration pluridimensionnelle, le temps opératif; et d'autre part, la systématique du mot et la formation du verbe. Ensuite, nous avons exposé le système de la chronogénèse en français et en coréen qui consiste essentiellement en un processus de représentation de l'image du temps qui se développe lui-même dans le temps et qui est susceptible d'être interrompu à divers moments de son développement. La sémiologie du verbe français, corrélées à cette hypothèse d'une image du temps en formation, permet de poser l'existence de trois saisies fondamentales, de trois chronothèses : chronothèseⅠ, une image du temps en puissance, mode quasi-nominal(infinitif, participe); chronothèseⅡ, une image du temps en devenir, mode subjonctif; chronothèse Ⅲ, une image du temps formé, mode indicatif. En ce qui concerne le système du mode coréen, nous avons proposé également trois modes, à savoir, un mode quasi-nominal se terminant par des morphèmes, um, ki, un, ul, a, ko, ke, gi, da; un mode de la citation et de la connexion se terminant par nya, da, ja, la, ryo; un mode indicatif se terminant par ni/nya?, a, na?, ji, ke. Enfin, nous avons comparé la propriété de la forme du présent des deux langues, représentant un centre de symétrie sur l'axe des époques. En français, le passé et le futur sont vus comme des mouvements en éloignement du présent. En revanche, le présent coréen se construit horizontalement dans un sens descendant avec le composé d'une quantité minimal de passé et d'une certaine quantité de futur. Il est l'instant ultime du futur et l'instant premier du passé. Par rapport à ce présent, en coréen, les événements sont perçus comme étant situés, soit dans la finitude du “non-révolu”, soit dans celle du “révolu” qui n'est autre que le passé. Le morphème ôt donne une image qui se développe sur son cours descenda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인칭의 보편성과 특수성

        박동열(Park Dong yeol)(朴東㤠,) 형태론 2016 형태론 Vol.18 No.2

        본고는 한국어 인칭 실현 양상에 관한 목정수 (2014)의 저서 『한국어, 그 인칭의 비밀』 에 나타난 인칭 개념과 인칭 분석의 틀을 정신역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의 인칭 개념은 비교언어학과 유형론적 관점에서 보편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존 개념과 달리 광의적이다. 필자는, 이 광의의 인칭 개념을 가지고 그가 설정한 한국어 인칭체계는 보편적 적용이 가능한 체계이며, 저자의 ‘어미중심 문장론’과 ‘인칭중심 언어학’ 주장은 바로 넓은 인칭 개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음, 그의 전방위적 인칭 분석은 발생적 관점에서 재해석될 수 있다. 즉 한국어 인칭 양상은 잠재적 인칭 자질을 내포한 형태소 층위에서 출발하여 발생적으로 단어 층위, 문장 층위를 거치면서 각종 문맥의 영향을 받아 중층적으로 발현된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좀 더 체계적 인칭 분석을 위해 각 층위에서 발생하는 인칭 작용을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person and the frame for the analysis of person shown in the book Korean language, Secret of the Person, written by Mok, Jungsu. First, unlike existing concept, his concept of person is broad and universal as well in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nguistics and typology. We claim that Korean person system h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is broad concept, can be applied universally and his argue about ‘inflectional ending-centered syntax’ and ‘person- centered linguistics’ is due to this large concept of person. Second his various analysis of person can be reinterpreted in the genetic viewpoint. That is, Korean person starts from the morpheme layer which involves a potential person figure and then goes through the word layer and the phrase layer in the genetic fashion to be realized with the effect of various contexts in multi-levels. Therefore we claim that it is necessary to minutely analyze the process of person rising which occurs in each layer for more systematic analysis.

      • KCI등재

        미국 행정법에서의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

        박동열(Dongyeol Park)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2

        행정입법 분야의 혁명으로까지 지칭되는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은 국민 참여의 폭과 깊이를 대폭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제도이다. SNS로 대표되는 웹 2.0은 국민에게 정책에 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기회를 부여함은 물론이고, 피규제자 및 이해관계인들에게 규칙제정에 관한 상호작용적이고 복합적인 의사소통의 장(場)을 마련해준 것으로 평가된다. 웹 2.0에 기반한 규칙제정 2.0도 논하여지고 있다.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은 민주적 정당성의 증진, 정책결정의 질적 향상, 행정비용의 감소 및 규제순응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그 중 상호작용적이고 숙의적인 의견제출 과정의 형성 및 민주적 책임을 부담하는 기관의 규칙제정에 대한 통제권한의 향상 등을 내용으로 하는 민주적 정당성의 증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동안 규칙제정 과정에의 참여가 현실적으로 곤란하여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자들에게까지도 실질적인 참여기회를 부여할 수 있게 된 것 역시 중요하다. 정보기술의 발달은 규칙제정 과정에서의 참여의 모습을 변화시킨다.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에서의 참여는 고지와 의견제출에 의한 규칙제정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의견제출은 물론이고,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에서 이루어지는 협상의 단계를 넘어, 법률이나 정책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능동적, 적극적 참여이다. 전자적 방식에 의한 규칙제정은 규칙제정 과정에서 참여와 투명성의 증진을 가져오고, 이는 제정될 규칙의 정당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기능한다. 그렇지만 제출된 의견의 상당수가 종전 의견의 반복에 불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 ‘고지와 의견제출’이 ‘고지와 스팸’으로 전락할 여지마저 존재한다. 규칙제정 과정이 플레비사이트(plebiscite)가 되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에서, 행정기관은 제출된 의견의 수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그것을 토대로 숙의를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의 행정입법에 관한 논의는 그동안 위임의 범위와 한계,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의 법 형식이나 성질론 또는 그 구별기준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국민의 행정에 대한 참여 욕구가 급증하였고, 행정입법에 대한 광범위한 참여를 뒷받침할 기술적 토대가 상당부분 마련되어 있는 현재, 국민 참여를 통한 행정입법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에 관한 논의 역시 위와 같은 전통적인 논의와 더불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담배광고 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미국에서의 경고도안(graphic warnings) 부착강제에 제기된 헌법적 의문을 중심으로 -

        박동열 ( Dong Yeol Park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4

        Tobacco-related disputes can generally be classified as litigation for the damages caused by smoking and tobacco regulation. In our current reality, absent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acts, tobacco litigation functions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ocial means of tobacco control. The Unites States has enacted and is enforcing the Family Smoking Prevention and Tobacco Control Act (TCA). The essential feature of the TCA is the granting of powerful supervisory authority over tobacco products to the FDA, which is designated as the main federal regulatory body for the manufacture, marketing and distribution of tobacco products. Meanwhile, based on the TCA, the FDA has enacted regulations making the affixing of graphic warnings, etc., on cigarette packs and tobacco advertisements mandatory, to which tobacco companies filed suit against the TCA and the regulations enacted by the FDA for the violation of their First Amendment rights.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Sixth Circuit ruled that the TCA provisions providing for the FDA regulation of cigarette packs and tobacco advertisements did not violate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the tobacco companies. However,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found the regulations enacted by the FDA forcing the affixing of graphic warnings, etc., on cigarette packs, etc., to violate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tobacco companies. In our case, discussions regarding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laws have, up to this point, mainly b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smoke, or the restriction of tobacco companies’ freedom of occupation.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discourse in the United States regarding graphic warnings shows that the violat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lso accounts for a very important portion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laws. With the enactment of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laws now a task immediately at hand, discussions in the United States regarding the TCA, and the content thereof, have many implications on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