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품격 언어의 분석적 고찰

        박덕유(Deokyu Park),강미영(Miyeoung Kang),김수진(Sujin Kim),이혜경(Hyekyung Lee),이옥화(Okhwa Lee),김철희(Chulhui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0 No.30

        This study aims to demand the improvement of a broadcasting language and raise the necessity for a nation-wide campaign for improving linguistic cultures with the correct and classy use of language, by investigating the actual usage of lower class language in media and showing the serious damage of the standard language. The categories of usage consist of vulgar expressions and terms against Eomun-gyubeom(Korean linguistic norm). Vulgar expressions mean poor quality in their contents and are divided into personality-insulting, discriminative, violent, and suggestive expressions, slang and chatting language, coarse language, unnecessary foreign language as well as loanwords. Terms against Eomun-gyubeom involve a nonstandard dialect, ungrammatical expressions, and errors in subtitles. Media language has a tremendous ripple effect on everyday language not just of the ordinary masses but also of the youth. Since media language is a public language targeted at unspecified masses, the lower class language that might damage our national language should be sublated in broadcasting.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어 문법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기초 연구

        박덕유(Park Deokyu),윤화영(Youn Hwayoung),김수정(Kim Sujung),김성희(Kim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학습의 장점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는 오프라인 학습의 장점을 통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국어 문법에 대한 교수⋅학습 능력을 배양시키는 데에 있다. 방법 2020학년도 2학기 문법교육론 수강생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문법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결과 블렌디드 러닝의 온라인 문법 수업은 대면학습의 장점을 보강해 나가기 위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도록 개방화 수업 모형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 플랫폼은 하나로 통일되어 실시간 확인 후 피드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고 학생과의 실시간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한 매체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어 문법의 평가는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의 지필 평가와 차등을 두고 평가 시기와 횟수, 평가 방법, 평가 주체의 다각화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를 점검해야 한다. 결론 문법은 언어사용능력의 기반이 되므로 학습 내용에 따라 온라인(어휘, 의미, 담화 영역 등 기능을 중시하는 인지주의 문법)과 오프라인(음운, 형태, 문장 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 문법) 수업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에 대한 교수⋅학습 기초 모형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in Korean grammar by utilizing Blended Learning that incorporates online learning that can be studi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offline learning that maximize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Methods To this aim, this study carry out a survey twice targeting grammar education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I University. The surveys were taken about the learner 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Blended Learning. And based on these surveys, the dire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efficient grammar education was suggested. Results First of all, the online classes of Blended Learning needs an open class model that increases students participation to reinforce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offline classes. Nex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media to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real-time intercommunication with students. Cause the unified learning platform has a difficulty in feedback after real-time check.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grammar education using blended learning is recommended to diversify learners achievements in timing, frequency, methods and subjects of evaluation, contrary to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offline-oriented paper-based examination. Conclusions Since grammar is the basis of language literacy, appropriate combinations of online classes (cognitive grammar that values functions such as vocabulary, meaning, discourse, etc.) and offline classes (academic grammar centers on phonology, form, and sentence areas) should be made, and we proposed a basic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스포츠 분야 공공언어 정비 방안 연구

        박덕유(Deokyu Park),이안용(Anyong Lee),김수정(Sujung Kim),권영문(Youngmoon Kwon),송민영(Minyeong Song),남경영(Kyungyoung Nam),김학범(Hakbeom Kim),이수연(Su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 공공언어를 대상으로 난해한 용어를 선정하고 알기 쉬운 용어로 순화하여 홍보⋅교육함으로써 공공기관과 일반 시민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첫째, 용어 선정을 위한 용어선정위원회 및 용어정비위원회를 구성하여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스포츠 관련 용어를 약 400개 이상 선정하고 순화어로 대체하였다. 둘째, 선정된 용어에 대해 전문위원회의 자문을 통해 100개의 순화어를 선정하였다. 셋째, 100명의 일반시민검토위원회를 구성하여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용어에 대한 수용도 조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공기관전문위원회에서 스포츠 전반이나 혹은 여러 종목에서 두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50개의 용어를 최종 확정하였다. 넷째, 최종 확정된 용어에 대한 성과물을 제작하고 공공기관과 관련 학회,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홍보 및 배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정비 대상 용어로 수집한 용어들의 어종별 어휘 수는 영어가 323개(78.2%)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혼종어는 36개(8.7%), 한자어는 32개(7.7%), 프랑스어는 11개(2.6%)로 나타났다. 이 외에 잘못된 일본어⋅중국어 표현과 신조어도 포함되었다. 둘째, 선정된 용어에 대해 전문위원회의 자문을 통해 용어 선정의 적합성, 용어 대체어의 정확성과 용이성을 기반으로 평가하여 총 100개의 순화 용어를 선정하였다. 셋째, 일반시민검토위원회를 대상으로 적합성과 용이성의 수용도 조사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50개를 선정한 결과, 어려운 외래어나 일본어 투의 줄임말이나 신조어 등의 스포츠 용어가 상위에 나타났다. 또한 인터뷰 조사 결과, 어려운 용어를 쉬운 용어로 순화하는 과정 자체가 매우 유익하며 신선하고 재미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확정된 최종 용어는 시민, 학회, 각 관련 기관, 기업체 등에 순화 용어 보급과 활용을 위해 용어 해설과 예시를 담은 소책자, 팸플릿, 포스터 등과 동영상 3편을 제작하여 배포 및 교육함으로써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어려운 스포츠 및 스포츠 인권에 관련된 어려운 용어를 선정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이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용어 해설 및 예시를 담은 성과물을 제작 및 보급했다는 점에서 실제 활용되는 가치가 있다. 또한 전문위원회와 일반시민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공공언어에 대해 더욱 친숙하게 접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향후 국어 사용 환경 개선 운동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erms of ‘Sports Terminology’ and ‘Terms related to Sports Human Rights’, is to allow public institutions and ordinary citizen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use of difficult sports terms by selecting foreign languages, excessively abbreviated terms and new words that do not fit the grammar and refining them into easy-to-understand terms to promote and educate the general public. Methods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a terminology selection committee and terminology improvement committee were formed to select terms, and more than 400 sports-related terms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replaced with refined words. Second, 100 refined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selected terms through consultation with an expert committee. Third, a citizens’ review committee of 100 people was formed to analyze the acceptance survey of term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and based on this, 50 terms were finalized by the specialized committee of public institutions, taking tin to account that they can be easily used across all sports or in various sports. Fourth, outputs with the finally confirmed terminology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public institutions,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general citize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vocabulary words by language for collected terms subject to improvement was 323 English (78.2%),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amount, 36 hybrid words (8.7%), 32 Chinese characters (7.7%), and 11 French (2.6%). In addition, incorrect Japanese and Chinese expressions and newly words were also included. Second, a total of 100 refined terms were selec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xpert committee, by evaluating the selected terms based on the suitability of term selection and the accuracy and ease of term alternatives. Third, as a result of 50 terms selected by the citizens’ review committe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ceptance survey of suitability and ease of use, sports terms adopted from difficult foreign words, abbreviates of Japanese words, or new words appeared at the top.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people responded that the process of refining difficult terms into easy terms was not only very good, but also refreshing and fun. Fourth, in order for the distribution and use of refined terms for people, academic societies, related institutions and businesses, the finally determined terms were actively promoted by producing three videos as well as booklets, pamphlets and posters containing terminology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erms, distributing them to people, and educating them. Conclusion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duced and distributed outputs containing terminology commentary and examples for easy understanding and use in everyday life by selecting difficult terms related to sports and/or sports human rights.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expert committee and ordinary citizens, public institutions can become more familiar with such research, and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itize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ovement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using the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실태 및 지도 방향

        박봉수 ( Bongsu Park ),박덕유 ( Deokyu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조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띄어쓰기 교육의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개국 81명이 쓴 작문을 통해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3명과 한국어 교사 3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띄어쓰기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띄어쓰기 오류는 총 304건으로 붙여 쓴 오류가 248건(81.6%)로 띄어 쓴 오류 56건(18.4%)보다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명사와 명사를 붙여 쓰거나 의존 명사를 관형어에 붙여 썼으며 조사를 띄어 쓴 경우가 많았다. 이에 문법 지도 방향으로 단어에 초점을 둔 의미 중심 접근법과 조사, 어미, 접사 등 형식형태소에 초점을 둔 형태 중심 접근법, 그리고 관형어와 결합하는 명사류에 초점을 둔 형태·의미의 상호보완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educational guide for teaching the proper word spacing to the immigrant women through analyzing the types of errors that appear in word spacing in texts written by immigrant women and through awareness investigation among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For the awareness investigation, we reviewed 81 written texts by 81 women from eight different countries and conducted an interview/several interviews with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majority of the errors occurred from combining separate words - of the total of 304 different errors, 248 errors (81.6%) happened by combining separate words and 56 errors (18.4%) happened by placing a space within a compound word. Most students conjoined a noun with a noun or a dependent noun with an adnominal phrase or placing a space within a postposition. Thus we applied three guidelines - a meaning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vocabulary, a form focused approach that centers on formal morpheme such as propositions, word endings and affixes and a mutual form·meaning approach that underlines nouns that combines with adnominal phrase.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 TOPIK 쓰기 결과물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방야(Fang Ye),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Ⅱ 쓰기의 결과물에 나타난 맞춤법 오류를 바탕으로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한글 맞춤법> 규정 및 TOPIK Ⅱ 쓰기 중 맞춤법의 채점 기준에 따라 TOPIK 쓰기에서 나타난 맞춤법 오류를 유형화하고, 공개된 한국어능력시험 답안지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Ⅱ 쓰기 영역의 작문형 문항에서 나타난 맞춤법 오류 사례를 추출하고 학습자가 흔히 범하는 맞춤법 오류 원인을 결합한 읽기 활동과 쓰기 맞춤법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중국인 학습자가 TOPIK 쓰기 수행에서 한글 철자, 문법, 어휘, 띄어쓰기 등의 정확히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 맞춤법 체계의 차이, 문법 지식 및 문어체 표현에 대한 인식의 결핍, <한글 맞춤법> 인지 미숙 등의 원인을 고려하여 읽기 및 쓰기 활동을 통합한 맞춤법 교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맞춤법 오류 문제를 해결하도록 기술하였다. 결론 맞춤법은 쓰기 영역에서 가장 중요하다. TOPIK Ⅱ 쓰기 영역의 작문형 문항에서 한글 맞춤법 오류를 줄이기 위해 읽기와 쓰기 활동을 통합한 ‘도입→제시→탐구⋅토의→연습→평가’ 단계의 맞춤법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llustrate how Chinese learners can correctly use spelling by analyzing the causes of errors based on spelling errors shown in the results of TOPIK II wri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Korean spelling regulations and the grading criteria of spelling in TOPIK II writing, the spelling errors in TOPIK II writing field were extracted from the open Korean proficiency test answer sheet, and a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plan was presented. Results In writing activities,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ies using Korean spelling correctly, such as Korean spelling, grammar, vocabulary, and spacing.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plains how learners solve their own spelling problems based on a spelling learning model that incorporates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y considering the lack of knowledge of Korean spelling and causes such as Chinese interference and spoken environment. Conclusions Spelling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writing. To reduce Korean spelling errors in the writing-type questions of TOPIK II, this study proposes a sp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ntroduction → Presentation → Exploration⋅Discussion → Writing → Evaluation” phase, which incorporates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 교육 연구 - `-(으)ㄴ, -던, -았던`을 중심으로

        김수정 ( Kim Sujung ),박덕유 ( Park Deo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복합문을 만들기 위해 초급에서부터 배우는 문법 항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들도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사용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각 어미 간의 차이점뿐만 아니라 유사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 간의 유사성 및 차이점 등을 기술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작문과 설문 조사 및 인터뷰, 그리고 한국인 모어 화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와 연구자의 실제 교수 학습 경험을 토대로 과거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에 따른 7단계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are a grammar item that teaches from the beginning level to make compound sentence. Nonetheless, Korean learners in advanced levels also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because there a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the e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ose endings. For this purpos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were describ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and Korean textbooks. We also examined the use of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through the writings practices, questionnaires, interview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questionnaires of Korean native speaker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we selected and presented 7 steps of th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s.

      • KCI등재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적 강조 표현 교육 연구

        손만복(Wanfu Sun),박덕유(deokyu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요즘 많이 사용하는 어휘적 강조표현에 초점을 두고, 이 표현이 K-POP의 특징이기도 하다는 점, 그리고 많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K-POP을 통해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어 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K-POP을 활용한 어휘적 강조표현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 어휘적 강조표현은 여러 가지 의미와 용법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어휘적 특성을 살펴보고, K-POP 가사에 나타난 어휘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어휘적 강조표현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오류 원인을 밝힘으로써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정적 강조표현에 대해 학습자들이 그 유형별 특성에 따른 부정사를 정확히 고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상이 다른 경우에 적합한 부정사가 무엇인지를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부사적 강조 표현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각 상황에 따라 적합한 정도 부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반복적 강조표현과 파생적 강조표현의 경우에는 잘못 쓰는 것보다 어휘 자체의 뜻을 모르는 상황이 많아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결론 한국어 어휘적 강조표현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K-POP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K-POP에 들어있는 한국어 어휘적 강조표현을 목록화하고, 오류가 많은 부정적 강조표현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vocabulary emphasis using K-POP and find ways to learn about it, reflecting that this expression is also a characteristic of K-POP and that many foreign learners want to learn Korean through K-POP. Methods Since there are various meanings and uses of the Korean lexical emphasis expression, this paper examines the lex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 vocabulary shown in the K-POP lyrics. In addition, an efficient educational plan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error pattern of vocabulary emphasis and revealing the cause of the error based on the results. Results 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learners cannot accurately select infinitiv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negative emphasis express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ducate what infinitive is appropriate when the subject is differ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learners about adverbial emphasis so that they can use appropriate adverbs for each situation. Third, in the case of repeated and derivative emphasized expressions,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tself is not known rather than incorrectly written, so education is need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use K-POP in order to efficiently educate Korean vocabulary emphasis. Accordingly, the Korean vocabulary emphasized expressions contained in K-POP were listed, an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negative emphasized expressions with many errors was presented.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 표지 교수·학습 연구: ‘그러게, 그러니까’를 중심으로

        종예(ZONG YI),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모국어 화자처럼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적인 지식만 필요한 게 아니라 실제 담화에서 상황이나 맥락에 적절하게 목표언어를 잘 이 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의 경우 다양한 담화상황에서 목표언어를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지만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다양한 방식이 실현되지 못하고 오직 단일한 방식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바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국어 화자처럼 다양한 담화 표지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어 구어담화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실제 한국어 교재에서는 크게 다루고 있지않은 담화표지 ‘그러게’, ‘그러니까’의 기능 및 특성,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보고 학습 자료와 학습자의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기술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중국인 학습자를 가르칠 때 보다 효율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있다. The ultimate goal of Chinese learners in learning Korean i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e as fluently as native speakers. To this end, we need not only language knowledge, but also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arget language in actual conversation. But in fact, Korean native speakers naturally use the target language in a variety of conversational situations, but Chinese students can not achieve a variety of ways, only one way, which has become a problem. This is because Chinese Korean learners do not correctly use such diverse conversational signs as native speaker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often use it in oral conversation, but in fact, it does not often appear in Korean textbooks. It ha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geureoge and geureonikka, as conversation signs.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ing materials and learners usage pattern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Chinese learners are formulated. This not only solves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ut also can teach Chinese students more efficient courses, which is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this paper.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 연구

        안경아(An, Kyounga),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의 위상과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한국어」 교재의 위상과 내용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한국어」 교재를 실제 사용하는 교수관련자인 한국어학급 한국어 강사와 이중언어 강사, 통합학급 교사, 한국어학급 담당교사에게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어학급 운영계획서를 통해 현장에서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교과 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학교적응활동을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는 학습시기가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학습이후로 늦고 지도내용이 공통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으며, 선택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활용 빈도가 낮고, 통합교사와 한국어강사와의 교육활동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의 지도 시기를 한국어 학급 초기부터 시작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과의 내용 연계를 통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고 학습 누락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를 담당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강화되고, 한국어 강사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연계와 소통을 원활히 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arning tool Kore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atus of its use in school settings, and problem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tool Korean’.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curriculum, the status and content of the 「Standard Korean」 textbook was reviewed through references, and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common curriculum textbooks. In addition, we interviewed Korean language instructors, bilingual instructors,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ho actually use 「Standard Korean」 textbooks to examine the operation situation in the field. Results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se of entry into the subject and school adaptation activities is an optional activity because the learning period is delayed after learning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tent is not connected with the common curriculum. The point was that it was composed, 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acher and the Korean language instructor.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ruction period of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is systematically done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of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rough content linkage with the comm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minimize the learning gap. Learning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부정 양태부사 대조 연구

        왕 원(Wang Yuan),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 양태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어 부정 양태부사 유의어와 이들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 어기부사와 묶어서 예문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의미·통사적 관계에서의 문장에서의 위치, 결합 문형, 호응관계 등이 어떻게 대응되는지 고찰하였다. 이들 대응관계 분석을 통해 한·중 부정 양태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몇 가지 찾을 수 있다. 공통점으로 첫 번째는 모두 각자 비슷한 의미와 용법을 가진 유의어 양태부사가 있으며 서로 ‘일 대 다’, ‘다 대 일’의 의미 대응관계를 가지며, 두 번째는 다양한 부정 표현과 호응하여 함께 쓰일 수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금지, 권유’의 의미를 가진 부정표현 ‘-지 말다’나 ‘别 + V’와 결합할 수 있는 부정 양태부사가 다른 부정 표현보다 결합에 있어 제약을 받는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 첫 번째는 중국어 부정 어기부사는 부정의 의미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부사 외에 다른 품사로도 쓰일 수 있으며, 두 번째는 한·중 부정 양태부사가 모두 부정 표현과 결합하여 쓰이지만 결합하는 부사의 유무, 부사가 결합하는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본고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정 양태부사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try to figure out the real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negative modal adverb between Korean and Chinese by analyzing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Korean negative modal adverbs. By analyzing these corresponding relationship,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gative modal adverbs. In common, first they all have synonyms of similar meanings and usages, and they have a semantic correspondence relation of ‘one to many and ‘many to one’. The second can be used together in response to various negative expressions. The third is that the combination with negative expressions of the meaning of ‘prohibition, suggestion’ will be limited, such as the expressions ‘-지 말다’ and ‘别 + V’. As a difference, first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negation, Chinese amodal adverbs have various meanings and can be used as other parts of speech besides adverbs. Second, both Korean and Chinese negative modal adverb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negative expression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bined adverbs, and the form in which adverbs comb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earning direction of negative modal adverb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