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의 주장 - 폐기물정책과 과학기술

        박균성,Park, Gyun-Seong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9 과학과 기술 Vol.32 No.12

        우리나라의 폐기물 정책은 감량과 재활용을 우선으로 하면서 소각과 매립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정책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예가 많아 장기적인 계획이 어려워 과학기술발전에 혼란을 빚게 된다. 폐기물의 적정한 관리를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법정책간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 처리책임 및 관리·감독책임 - 폐기물배출자, 처리업자 및 행정청의 책임 강화를 중심으로 -

        박균성(Park, Kyun-S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3

        불법폐기물 및 방치폐기물에 대한 처리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폐기물의 불법처리 및 방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폐기물에 대한 처리 및 관리·감독 책임체계를 적정하게 하고,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행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폐기물의 처리책임 및 폐기물처리에 대한 관리․감독책임이 적정하지 못하고, 명확하지 못한 점이 적지 않다. 그리고, 실제에 있어서 불법처리되거나 방치된 폐기물에 대한 조치 또는 대집행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그 동안 폐기물의 처리책임 및 관리·감독책임에 대한 연구가 없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들 연구는 주로 산업폐기물의 처리책임에 관한 연구이었고, 생활폐기물의 처리책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폐기물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 및 감독책임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었다. 그리고, 산업폐기물의 처리책임에 관한 연구도 상당히 오래 전에 행해진 것이고, 이들 문제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현행 폐기물처리법령상 폐기물 처리책임체계 및 폐기물 관리․감독책임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배출사업자의 처리책임의 강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감독책임의 명확화 및 실효성 확보방안 등을 중심으로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기물의 처리책임 및 관리감독책임을 명확하게 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폐기물배출 사업자에게 수탁폐기물처리업자가 수탁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는지를 확인할 의무를 부과하고, 폐기물배출사업자가 수탁폐기물처리업자의 적정처리에 대한 확인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에는 불법처리된 위탁 폐기물에 대해 처리책임을 지는 것으로 하는 등 배출사업자의 처리책임을 강화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폐기물처리업자의 방치폐기물에 대한 처리책임을 강화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업의 양도 등으로 폐기물처리업자 등의 폐기물처리의무가 양수인 등에게 승계되는 경우에도 종전 폐기물처리업자 등의 처리책임을 인정하여야 한다. 또한, 폐기물처리공제조합의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폐기물처리공제조합이 보충적으로 처리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불법처리를 한 폐기물처리업자와 공동으로 처리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생활폐기물의 처리책임자는 시(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포함)·군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폐기물의 불법처리에 대한 조치명령권자 및 대집행권자를 특정하여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긴급한 경우에는 불법폐기물에 대한 조치명령 없이 대집행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사업자가 적정하게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지를 행정기관이 확인하는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Under the “Wastes Control Act”, the responsibilities of waste treatment and supervisory responsibilities of administrative agencies to waste treatment are unclear or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clarify and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treatment and supervision of waste. In the first, it should impose an obligation on the waste discharge business person or entity(hereafter called “waste discharge business person”) to ensure that the consign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or entity(hereafter call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is capable of properly treating the waste. And, it shall be prescribed that the waste discharge business person is responsible to the waste illegally treated, when he did not verify ability of consign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In th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consign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for neglected waste. Even if the waste treatment obligations of the consign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ee due to the transfer of the waste treatment business, the responsibility of the former consigned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 should be recognized. In the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s for Waste Treatment Business. In other words, it is appropriate that the Mutual Aid Associations for Waste Treatment Business does not take charge of supplementary treatment, but rath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waste treatment in cooperation with the waste treatment business persons or entities. In addition, it is appropriate that the person responsible for household waste is to a Special Self-Governing City, a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 a City/Gun. It is necessary to clearly specify the measures commender and the execution by proxy for the illegal disposal of waste. In case of urgency, it shall be possible to conduct the execution by proxy for illegal disposal of wastes without order of illegal wast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uty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aste treatment company properly treat the waste.

      • KCI등재

        인ㆍ허가의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균성(Park Kuyn-Sung),김재광(Kim Jae-Kw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6

        The legal fiction system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private sector through simplified process relieving the burden of businessmen(applicants) and speeding the process up and could be said as appropriate system in contemporary needs of deregulation. But it is not established in legal theory completely. Therefore, we need to review the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in terms of legal theory. :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gal fiction system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and concentrated force(Konzentrationswirkung) in the german legal system, the basis and the object of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the application to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etc. and the submission of attached documents, the legal nature of consultation with relevant agency on licensing, the concentration level of licensing procedures, decision method of licensing requirements, and the system of first-admission and later-consultation(licensing in part) etc. And in this article, I tried to show the problems of system on licensing fictionalized legally : unbridled spreading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absence of introducing the legal fiction on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obscuring in that system, practical using of it, conferring with agencies taking charge of licensing fictionalized legally, requiring package documents and first-admission and later consultation(licensing in part). In addition, I have brought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at system : introducing 7 principles for that licensing system, enhancing plan for making it's process transparent(adopting notice of that licensing system, representing its requirements and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legally fictionalized clearly), promoting the convenience for applicant (to introduce part-licensing system and pre-decision, to submit documents step by step for each progress, to give a right of claim on making a measure's standards and asking a explanation of it, to join the process for relevant applicant in licensing step, and to represent notice system of required documents for licensing, including licensing standards in the table of civil petition treatment), reducing the time for authorization and permission(to organize the licensing council such as Package Council for Complex Civil Petition on Construction(Building Act, Article12), to represent the period for asking cooperation and regulations fictionalized legally without opinions in the law of legal fiction), de-regulating the standards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improving of licensing process etc.

      • KCI등재

        법에 있어서의 공익 ; 프랑스 행정법상 공익개념

        박균성 ( Kyun Sung Par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서울대학교 法學 Vol.47 No.3

        En Coree, il n`y a pas eu de presentation sur la notion d`interet public en droit administratif francais. En France, le term d`interet general est plus utilisee au lieu de celui d`interet public. En France, l`idee d`interet general a ete formee 18eme ciecle. Il existe deux conceptions d`interet general : une conception utilitariste et une conception volontariste. En Frace, la derniere l`emporte. L`interet general est une notion difficile a definir. Il est plus que la somme des interets prives. Il est une notion differente de celle de l`interet de la personne public et de interet collectif. Dans le domaine de l`expropriation, la notion d`utilite publique est utilisee au lieu de celle d`interet general. Elle est controlee par la theorie du bilan(balance des avantages et des inconvenients de l`expropriation. La fonction de l`interet general est suivante : l`interet general est un moyen justificatif de l`action administrative. Il est une limite a une limitation des droits et a pour fonction le controle de l`administration. Il est une base du droit administratif, droit public. Il est un element principal des notions differentes du droit administratif : la puissance publique, le service public, le domaine public etc. Il est aussi une base de la specificite du droit administratif : celle de l`acte unilateral, celle du contrat administratif, celle de la responsabilite administrative. Il est un moyen d`exception du principe de l`egalite et de l`application de la directive. Aujourd`hui la notion d`interet general est critiquee de la part du marxiste, du sociologiste, de la pensee du neo-liberalisme. La notion d`interet general a fait l`objet du changement continu, mais utile aujourd`hui encore. La theorie de l`interet general en France est valable en Coree. Pourtant, l`intere t general est une notion comportant une valeur et une notion influensee par la realite. C`est pourquoi il est naturel qu`il y ait des differences entre la theorie de l`interet general en France et celle en Coree.

      • KCI등재

        원자력 안전법제의 재검토

        박균성(Park, Kyun-Su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행정법연구 Vol.- No.33

        후쿠시마원자력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원자력안전법제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원자력안전이라는 개념은 종래 주로 논의되던 기술적 안전뿐만 아니라 정치적 안전(심리적 안전) 및 물리적 안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우선 기술적 안전성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원자력의 안전성에 사전배려원칙을 적용할 것인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원자력의 안전성 판단에 있어 국가의 정책적 고려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례 및 지금까지의 통설적 견해인데, 원자력의 안전성 판단에서 안정적 에너지 공급이라는 정책은 부차적으로만 고려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통상 기술기준을 정함에 있어서는 기술수준뿐만 아니라 기술도입비용도 고려한다. 그렇지만, 원자력사고의 중대성에 비추어 원자력에서의 안전기준에서는 기술비용은 부차적인 것으로만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정치적 안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원자력안전법은 일정수의 주민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공청회 개최를 의무화하고 있는데, 의무적으로 공청회를 개최하도록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프랑스의 지역정보협의체를 참조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에 관한 주민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주민투표에 의한 원자력시설 부지의 결정은 주민의 반대와 불신이 심한 경우에 택할 수 있는 고육지책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원자력안전법을 개정하여 원자력사고의 적극적 공개에 관한 규정을 법령으로 규정하여야 한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의 물리적 안전이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원자로가 진도 5를 기준으로 설계되었는데 지진가능성을 재검토하여 필요하다면 지진에 관한 설계기준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테러로부터 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제와 방안이 강화되어야 한다. 현행법은 원자력사고에 대한 대응의 컨트롤타워를 원자력안전위원회로 하고 있는데, 심각한 원자력 사고의 경우 최고의 책임기관을 대통령으로 하고, 실무책임기관을 원자력안전위원회로 하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심각한 원자력 사고의 경우에 긴급조치권을 위원회가 아니라 위원장에게 주고 위원장의 긴급조치에 대해 위원회의 사후승인을 받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People"s concerns on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 have grown to greater extent, since nuclear accident at Fukushima in Japa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needed of the reexamination of nuclear safety legislation. The concept of nuclear safety should include technical safety discussed mainly as well as political(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First of all, it is required of the reexamination on technical safety. We should reexamine whethe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should apply to nuclear safety. The cases and common theory show that the national policy could be considered in judging nuclear power plant. And it is righteous to understand that the policy of stable energy supply can be considered secondarily only in terms of nuclear safety. The standards of nuclear safety should be comprised of the viable best technology from a seriousness of atomic accident in the world. Generally, the moment judging the safety under law is the time performing administrative measures. However, the moment judging nuclear safety must be not only the time exercising administrative act but also present. Political safety should be strengthened. The public hearing should not be held out of obligation until a certain number of inhabitants ask to hold it in Nuclear Safety Act, but provision of that act should enact to do so mandatorily. It is needed to organize the civil coordination boards on nuclear power plant with reference to regional civil information coordination boards in France. The way deciding lot of nuclear facility by local referendum seems to be a desperate attempt to respond against serious opposite and distrust of inhabitants. Nuclear Safety Act should be amended to reveal the information of nuclear accidents actively by law. The safety of nuclear plant has become an object of public concerns since nuclear accident at Fukushima in Japan. In Korea, guideline of nuclear reactor has been designed by 5 magnitude, which is not considered as sufficient standards. Re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earth quake, in case of reinforcement, we should take a measure. In addition, we should try to enforce legal system and measures to ensure safety of nuclear facilities against terrorism. In current law,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has held responsible to nuclear accident as a control tower. However, serious nuclear accident occurring, it is proper that the President is to be chief officer and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is to be working group. In the case of a serious nuclear accident, we should investigate ways in which the authority of an emergency measure is not authorized to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but to the chairman of that, and then chairman should obtain ex post facto approval of Commission on an emergency measure.

      • KCI등재
      • KCI등재

        입법의 질 제고에 관한 연구

        박균성(Park, Kyun Su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1

        최근 선진각국은 입법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그 동안 우리 나라에서는 급속한 사회발전에 따라 제기되는 수많은 법적 수요에 대응하여 입법을 하는데 급급하여 입법의 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입법의 질 제고라는 관점에서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 해보았다. 입법의 질 제고에 관한 현행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위헌성 통제 미흡, 입법이유의 미흡, 입법평가의 미흡, 입법의 전문성 미흡, 정부입법계획의 미흡, 입법절차의 미흡, 불필요한 법령의 존재 및 법령 이해의 어려움 등이 있다. 입법의 질 제고를 위한 현행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1) 법령의 합헌성심사를 법령심사항목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2) 입법안에 입법이유가 충실히 제시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입법이유는 원칙상 개별조문별로 제시하여야 한다. 3) 입법안에 법령 개정의 근거, 관계법령 및 절차 준수 여부를 명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입법평가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여야 한다. 입법영향평가제도의 여건을 조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5) 입법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입법담당자의 교육을 강화하고, 입법심사기관의 공무원과 입법안작성기관의 공무원을 상호 교류할 필요가 있다. 입법작업에 대한 외부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6) 입법계획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7) 이해관계인의 의견청취를 강화하여야 한다. 8) 의원이 발의하여 제정하는 입법의 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시민단체에 의한 의원 입법에 대한 평가를 양적 평가에서 양적 평가와 함께 질적 평가도 병행하도록 변경하여야 한다. 9) 불필요한 법령을 제정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법필요성을 법제심사기준의 하나로 명시하여야 한다. 10) 법령규정의 수범자인 국민이 법규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re has been working for enhancement of the legislation quality in the advanced nations. But in the meantime, we almost were not paying atten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legislation, because we were busy ourselves about responding to the many legal demand that was based on the rapid social development in our country.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and tried to find their sol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the legislation qualit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n improving the legislation quality are the issues of lack of unconstitutionality pre-control, lack of legislation reason, lack of legislation assessment, lack of legislation expertise, lack of government legislation plan, lack of legislative procedures, the existence of unnecessary laws and difficulties in regulations. The ways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legislation are the following. 1)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stitutionality review as one of the examination items in the legislative process explicitly. 2) The legislative reasons should be presented in the legislative bills fully. In particular, they should be provided by individual articles. 3) They should clarify the basis of a law revision, the compliance with the related laws, ordinances and process. 4) They should phase in the evaluation system of legislation. It should endeavor to make a good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evaluation system of legislation. 5) The officer's ability in legislation should be strengthe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raining of the legislative officer, and interchange between civil servants of legislative review agency and legislative bill making agenc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outside experts on legislation. 6) They sh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egislative planning system. 7) The system of hearing and others should be enhanced for the party in interest. 8) They should estimate the quality of legislation that lawmakers proposed. The evaluation of the legislation by civic groups should be enforc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as well as the qualitative one. 9) The legislative necessity should be clarified as one of the examination items in the legislative process explicitly, so that they can't make a law unnecessarily. 10) The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easy for the individuels regulated by them to understand.

      • KCI등재

        전자행정 구현을 위한 법령의 현황 및 개선방안

        박균성(Park Kyun Sung)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4 No.2

        2001년 3월 전자행정에 관한 기본법 및 일반법의 성격을 갖는 ‘전자정부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2001년 6월 동법 시행령인 ‘전자정부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시행령’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들 법령의 제정으로 전자행정에 관한 법령이 모두 정비된 것은 아니다. 우선 전자정부법령과 기존의 행정에 관한 법령 및 정보통신에 관한 법령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고, 전자행정에 관한 법령의 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종이문서를 전제로 제정되었고 따라서 전자행정에 장애가 되는 규정을 갖고 있는 기존의 개별법령도 정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자행정에 관한 법령의 내용에 있어서 전자문서의 발송시기, 도달시기, 도달여부의 확인, 수신확인, 행정기관이 발송하는 전자문서의 서명날인, 행정기관간의 행정정보의 공동이용,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전자정보의 공개, 전자행정절차 즉, 전자문서에 의한 신고, 신청, 전자공문서에 의한 처리결과의 통지, 전자적 고지ㆍ통지 등에 있어서 보완되고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다. March 2001 saw the legislation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Act (the full name of the act is "the Act Concerning the Promotion of the Electronic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Based on this, the regulatory ordinances were enacted in June 2001. There still remain, however, several other things that call for perusal.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re occur any conflict between these newly legislated act and ordinances on the one hand and currently existing acts on public administration 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The latter are assumed to be in principe concerned with paper documents, so if they turn out to include some clauses that pose obstacles to electronic administration, necessary measures must be taken. Secondly, further elaboration is called for concerning the following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Act: the time of sending and/or arrival of the electronic document, verification of the arrival and/or receipt, signing, sharing information among administrative institutions, public access to electronic information, electronic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application and notifying by electronic means, etc.

      • KCI등재

        한미 FTA의 국내법적 문제에 대한 시론적 연구

        박균성(Park, KyunSu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행정법연구 Vol.- No.32

        한미FTA의 협상과정에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영향 및 법적 문제를 검토했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FTA가 자유무역에 관한 조약이라는 이유로 한미FTA가 주로 국제법 내지는 통상법의 관점에서 검토되었고, 국내법적 관점에서는 충실하게 검토되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은 한미FTA의 이행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었음에도 한국의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비준동의 하였다. 그런데, 한국에서 조약은 원칙상 국내에서 법률과 같은 효력을 갖는다. 이러한 점들에 비추어 볼 때 한미FTA의 국내법적 영향 및 국내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한미FTA의 규정 중 국내 법률관계에 직접 구속력을 미치고, 국내법원에서 재판규범이 되는 규정이 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미FTA는 한국의 행정조직, 행정절차 및 행정구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공동위원회는 국가의 권력구조 및 입법권, 행정권 및 사법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한미FTA의 보상에 관한 규정 중에는 한국의 보상에 관한 법률 규정과 충돌하는 규정이었다. 한미FTA의 직접수용에 관한 규정 중 시장가격에 의한 보상규정 동은 우리의 보 상법규정과 다르다는 점과 개발이익이 보상액에 포함되는 점이 문제가 된다. 한미FTA상의 간접수용 은 적지 않은 법적 분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미FTA상의 간접수용은 우리의 재산권보장체계 및 보상 법체계와 다른 법체계룰 갖고 있다. 간접수용에 의한 보상은 헌법 제23조 제3항의 보상을 넘는 보상으로서 그 자체가 위헌은 아니지만, 간접수용은 미국투자자를 국내투자자보다 보호하여 평동원칙에 위반하는 것이 아닌지 문제된다. 미국에서 처럼 한국에서도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고 미국에서와 같이 이행법을 통하여 협정의 이행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 것은 아닌지 검토되어야 한다. FTA와 같은 성질의 조약은 국내법상 상대적 효력만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은 아닌지도 검토를 요한다. 미국에서 한미 FTA를 국내법상 이행하는 한도내에서만 한국에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국가기관의 공권력 행사에 관한 국가기관과 사인(개인투자자) 사이의 분쟁이 ISD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공익에 대한 고려가 소홀히 될 수 있다. 한미FTA가 우리나라의 주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의 법체계에 큰 혼란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향후 한미FTA의 국내법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the Korea-US FT A should have been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effect and legal issue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Korea-US FT A has not" been reviewed faithfully in light of national law, but only iri light of international law or trade law,· because it is a kind of free trade treaties. In addition, the South Korea have ratified and agreed unconditionally to contents of Korea-US FT A in comparison of U.S. But U.S. has legislated the provisions to limit legal effects in nation, when they legislated law related to implementation of Korea-US FT A. The treaty shall take the same status as the legislation in the South Korea. Given these facts, it is necessary to review Korea-US FTA"s impacts and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aw.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in regard to this point. Provisions of Korea-US FT A should be reviewed carefully whether it has included one having directly binding force to domestic legal relation or becoming the trial norms in domestic courts. Korea-US FT A can affect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dministrative remedies quite a few in the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Joint Commission should affect quite a few power structure of state and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power and judicial power; And some of Korea-US FT A provisions on compensation conflicts with the regulation of Korean law on it. Indirect expropriation under Korea-US FT A has raised legal issues considerably. We, South Korea, should examine if it is legitimate or riot for the Agreement to be implemented by the Implementation Law like U.S., which has denied the legal effects of Korea-US FT A in national wide. And they also require review that it is legitimate or not for the treaty, a kind of FTA, to have relative effects under the domestic law. The domestic legal status of Korea-US FT A in the South Korea should be accepted to the extent of U.S. implementing it. When the dispute between state agencies and an individual(individual investors) associated with public authority is subject of lSD, considerations of public interest can be neglected. They require the more in-depth study about impact of Korea-US FT A upon domestic law from now 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