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합건강검진 수검자들의 비만수준과 혈압,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와의 관련성

        박규리(Park, Kyu-Ri),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일부 종합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BMI와 혈압,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2007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기간에 한국건강관리협회 대전지부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의 지역주민 3,731명(남자 2,312명, 여자 1,41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BMI 가 증가할수록 SBP, DBP, TG, TC, LDL-C, AST, GGT, ALP의 평균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C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BMI는 SBP, DBP, TG, TC, LDL-C 및 GGT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HDL-C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순서형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BMI가 증가함에 따라 SBP, DBP, TG, ALT, GGT의 비정상치에 대한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s,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based on differential combinations of BMI in health checkup examinees. Study subjects were 3,731 adults of 20 years and over (2,312 males, 1,419 females), not recognized as taking medicines for or having cardiovascular diseases, who underwent health package check-up at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Daejeon Branch from Jan. 2007 to Dec. 2009. As a results, the mean values of SBP, DBP, TG, TC, LDL-C, ALT, AST, GGT, AL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level of BMI, but the HDL-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higher level of BMI. On correlation of BMI with various factors, the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BP, DBP, TG, TC, LDL-C and GGT, while the HDL-C was negatively correlated. Based on the result of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ratio to the abnormal level of SBP, DBP, TG, ALT and GG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BMI increased.

      • KCI등재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 관한 불교사상적 담론

        박규리 ( Park Kyu - R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7 禪文化硏究 Vol.23 No.-

        소설 『싯다르타』는 카스트 제1계급에 속하는 바라문의 아들인 주인공 싯다르타가 실제 불교를 창시한 석가모니 부처님을 만난 이후 다양한 인생 경험을 거쳐 마침내 법[진리]을 얻게 된다는 내용으로 출간 직후부터 서구인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헤르만 헤세는 이 소설에서 현실의 인간이 어떻게 세속적 쾌락과 아상, 그리고 마음의 오만을 초극하여 불교적 절대경지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에 관해 매우 구체적이며 심도 있게 그렸다. 본고는 헤르만 헤세의 대표적 불교 구도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싯다르타』에서 핵심적인 불교사상을 도출, 이를 바탕으로 소설이 지니는 불교사상적 가치와 의의를 고찰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소설 『싯다르타』에서 발견되는 주요 사상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 가능하다. 첫째, 『싯다르타』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주요사상은 실유불성(悉有佛性)으로서의 존재성, 곧 불성사상(佛性思想)이다. 소설 속 주인공 싯다르타는 처음에 지향하던 단순한 자기초월 내지 극복이라는 수행의 목적을 세존을 만난 이후 누구나 구족하고 있는 불성의 체득으로 전환함으로써 구도의 목적과 가치를 대승불교적으로 합일시키고 있다. 둘째, ‘불립문자(不立文字)’ 개념이다. 불교에서는 진리자체를 말이나 글로써 과연 정확하게 전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불립문자(不立文字)’관이 제시되었다. 이 불립문자의 개념이 소설 『싯다르타』에서도 구도에 이르기 위한 매우 중요한 방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불이적(不二的) 세계관’이다. 소설 『싯다르타』에서 합일적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헤세의 이른바 ‘총체적 단일의식’은 세상과 자아와의 연관성, 곧 일체 존재간의 관계를 불가분의 상입상즉의 관계로 보는 불교의 핵심진리 기제인 ‘불이적(不二的) 세계관’에서 비롯되어 전존재적 동류의식으로 발현되고 있다. 이렇게 『싯다르타』에서는 ‘불성사상’과 ‘불이사상’, ‘불립문자’ 개념 등 서양 문학작품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불교사상적 정수를 담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싯다르타』에서 발견되는 불교사상 철학을 토대로 이 소설이 가지는 불교문학적 가치와 의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Siddhartha is one of Hermann Hesse’s masterpiece novels. Hesse depicts in it in detail how a human being may overcome this-worldly pleasures, selfishness and self-centeredness so as to reach the ultimate state of Buddhist ideal. Siddhartha in the novel is a youth from a family of brahman class, the priestly and thus highest rank in ancient Indian caste system. He lives a comfortable and honorable life. However, the fervor for new experiences and wisdom grows stronger as he gets aged. He sets on the journey for enlightenment and comes across with Gautama Buddha. He thenceforth go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vicissitudes and at last attains the enlightenment to the Truth after much meandering of life. This novel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West as soon as it was published. Numer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it. But there has been almost no serious study on the Buddhist ideas and philosophy in the novel.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instead, to explain away its Buddhist ideas in terms of Indian or Taoist or even Christian philosophy. The most important key ideas underlying Siddhartha are: Firstly, everyone of us human beings has the Buddha - nature and thus the inherent identity as a Buddha; secondly, we are all dependent on one another, mutually inter - penetrating, and thus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 beings of non - duality (advaita); thirdly, the enlightenment to these truths is ineffable and thus cannot be taught in words, but might be only experienced through the deepest insight into human conditions. Siddhartha is a narrative of the whole process of vicissitudes toward the ultimate enlightenment to the Buddhist Dharma from the perspective of Mahayana Buddhist, especially Zen Buddhist, ideal. What it advocates in terms of the ideas of universal Buddha - nature and Non-duality are the same as the Buddhist doctrines’ focal points: The limitless potentiality and dignity of human dignity; and the compassion for all beings.

      • KCI등재

        일반논문 : 경허말년 禪詩에서 드러나는 버림과 깨달음의 상징성

        박규리 ( kyu ri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경허는 끊어진 우리나라의 선맥을 되살린 근대선의 증흥조로서 뿐만 아니라, 근초(近初) 한국 선시(禪詩)의 전범이라 할 만한 뛰어난 선시를 다수 남긴 선사로 유명하다. 그러나 경허는 1904년 갑자기 불교계를 떠나1912년 입적할 때까지 환속 후 8년 동안 이전 시절과는 대조적으로 일체의 저술활동 없이 오로지 시(詩)만을 남겼다. 만약 불교 궁극의 목적이 깨달음에 있으며, 그 깨달음은 결국 인간 실존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소급되고 발현되어야 한다면, 경허 말년의 행화와 이에 바탕 한 그의 선시가지니는 실존적 의미와 가치는 매우 지대하다 할 수 있다. 경허는 일생토록 무애자재한 행화를 보였는데, 이러한 행화의 의의는 ‘불이문(不二門)을 증득한 초탈 방광함’이라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특별히 이러한 내적 논리가 그의 말년 선시에서에서 고스란히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경허 말년 선시의 발화방식과 상징성을 정리하자면 무위대도(無爲大道)와 평상무사(平常無事), 그리고 승속불이적(僧俗不二的) 버림과 반본회귀(反本回歸)라 할 수 있다. 특히 말년의 선시에서는 그의 주요 선사상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그 어떤 분별도 집착도 생하지 않고[無生] 작위하지 않는[無爲] 최상승선의 도리가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경허 환속 후의 말년 선시에서는 그 무엇보다 승과 속이 따로 없는 진정한 불이의 세계에 대한 깨달음의 단상과 사유를 자유롭게 펼치고 있다. 이에 경허 말년 선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허의 최상승의 깨달음, 그리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파격적 선어(禪語)와 세속적 기물 감성을 얼마나 명안(明眼)으로 밝힐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불이대도문(不二大道門)에 이르지 못한 세인의 입장에서 경허 깨달음의 경지 내지 선시의 비의(秘意)를 올곧게 이해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경허 말년의 선시는 더욱 예민하고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할 것이며, 더욱이나 경허 최상승의 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세속적 잣대 내지 소승적 안목으로 그의 선시를 함부로 예단하고 규정짓는 오류에서는 벗어나야 하리라 본다. Gyeongheo is famous for his Seon poetry as well as for his activities revitalizing Korean Seon. During the eight years since his sudden leave from monastery in 1904 till death in 1912, Gyeongheo left no writing other than poems. We may reasonably expect that those Seon poems of his last years provide us with access to his post-awakening spirituality and life. They are precious materials for our understanding of how Seon Buddhist ideals may be embodied by an awakened Seon master`s everyday life. The Seon poems Gyeongheo wrote in his last years express the spiritual horizon where no more discrimination, attachment, or karmic activity arises even in the midst of the life of samsara, that is, arising and ceasing. We can see such Seon ideals as “everyday life in nirvana and asamskrta” and “renouncement beyond the dichotomy of monkhood and laity” are working as the very basis of those poems. ‘enlightenment is not simply a subject but the very essence of Seon poetry. A Seon poem, by definition, is a song of enlightenment―a lyric of the One Mind, i.e., a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is not that a particular kind of poetic form, subject, or rhetorical technique characterizes a lyric as a Seon poem. What makes a poem a song of Seon experience is the enlightenment the poet expresses by it. Gyeongheo lived a life of post-awakening during the last years. He lived in great freedom from all fetters of attachment including the dichotomous fram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His Seon poems in that period express his spirituality of asamskrta and renouncement transcending all conventional discriminating framework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very cor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esthetics.

      • 노이즈 추가된 입력에서 고유 모달 특징 맵을 통한 멀티모달 오디오 비주얼 질의응답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 개선

        박규리(Kyu Ri Park),오영민(Young Min Oh),김정욱(Jung Uk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6

        이 논문은 멀티모달 기반의 컴퓨터 비전 연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멀티모달 Task 에서 입력으로 받는 음성 정보와 시각 정보는 Noise 가 섞인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Noise 로 인해 AVQA (Audio-Visual Question Answering) 모델의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노이즈가 추가된 입력에도 멀티모달 정보를 활용하여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있는 강인한 AVQA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Task 에서 시각 정보가 시각(Visual) 입력뿐만 아니라 음성(Audio) 입력에도 영향을 주며, 음성(Audio) 입력 또한 시각(Visual) 입력에 상호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모달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Original 특징 맵에 기반한 학습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다른 모달에 노이즈가 추가되는 경우에도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더욱 강인한 AVQA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 KCI등재

        법정 『무소유』에서 드러나는 선적(禪的) 사유

        박규리(Park, Kyu-R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법정의 『무소유』는 현대인들이 가슴에 새겨야 할 지혜로운 삶의 지침서인 동시에 선불교사상이 오롯이 녹아있는 수상록이다. 『무소유』의 미덕은 작가가 스님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이 접하기 쉬운 수필문학 형식으로 일상의 단상을 통해 깨달음을 전달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이유로 『무소유』가 한편으로는 마치 문학의 영역에 국한된 것처럼 치부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이를테면 『무소유』에 대한 연구가 대개 문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과 불교학계에서의 『무소유』에 대한 적극적인 불교 내지 선사상적 측면의 조명이 미흡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은 반증된다. 한마디로 일반 세속수필과는 달리 『무소유』는 중생심(衆生心)만으로 쓰이지 않았다. 비록 주로 일상사를 기술하고는 있지만 『무소유』는 세간의 문학적 잣대만으로는 온전한 설명이 불가능한 선적(禪的) 사유에서 출발함으로써 그야말로 일반 문학집과는 큰 변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무소유』에서 법정은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며, 모든 것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물상에 대한 집착을 떠나 최소한의 소유로 만족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이라 한다. 이와 같은 무소득(無所得)의 인식은 본질적으로 선적 진리관에서 우러나오는 대승불교적 사유에 입각한다. 따라서 ‘공과 불이의 중도관에 바탕한 무소유’, ‘본래무일물과 무소유’ 그리고 ‘침묵의 헐을 통한 수행’에서 드러나는 평범함 속에 가리워진 비범의 진리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살피느냐에 따라 『무소유』의 독법은 제대로 완성되리라 보는 것이다. Ven. Beobjeong’s Non-Possession, a collection of his essays, went out of print in 2010, in accordance with his will.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76, it had been one of the steadiest best-sellers for over 30 years. The most important merit of the book is that it conveys what the Buddhist enlightenment is in the style of essay literature, so is neither in the style of a pedantic lecture nor of a religious sermon. This merit, however, has a negative side effect: it enabled the book to be taken simply as a work of literature. The fact that most studies on the book have approached it as simply a literary work testifies to this trend. However, the essays in Non-Possession are not simply secular literary works. Although they are all about everyday affairs, there are factors in them that cannot be fully explicated through conventional literary theories. They are not the works of an ordinary sentient being’s mind, but of an awakened Seon master’s mind, which can see through the ordinary into the Truth, that is, “the Tao of the ordinary” or “the extraordinary hidden in the ordinary.” This is the point on which they a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ordinary essays of secular literature. Our reading of Non-Possession cannot be complete until we appreciate this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eon spirit that underlies the essays in Non-Possession. It attempts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of the Seon spirit that underlie these essays: the doctrine that “there originally is not a single thing”; “the Middle Path of the Non-Duality principle”; and the Seon wisdom of “gratification through renouncement.”

      • KCI등재

        마조(馬祖) 평상심(平常心)의 이중적 고찰(考察)

        박규리(Kyu Ri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平常心是道는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의 禪旨를 대변하는 주요명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평상심``이라는 말은 그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쉽고 편한 느낌으로 인하여 특별히 우리에게 친근한 개념이 되었다. 그러나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발동시키며 살아가는 평상심과 같은 것일 수는 없다고 짐작된다. 그렇다면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과 일상의 삶 속에서 통용되는 평상심은 과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馬祖語錄』에서 말하는 평상심은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 의미의 평상심과는 다르다. 마조의 ``평상심``은 모든 인간과 사물이 가지고 있는 진실한 體性인 ``法性``에 상응한 모습 그대로인 一心의 本來淸淨地으로써, 깨달음 자체를 말한다. 따라서 마조가 제시하는 평상심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작위 분별적 사유의 틀을 넘어서는 직관과 통찰이 필요하다. 한편,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작동시키며 살아가는 그 마음과 전혀 별개인 것만도 아니다. 평상심이란 諸法의 근원으로서의 心地를 통칭하면서 또한 외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도 종합적으로 뜻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마조는 개인이 각자 속한 세계, 그 현장에서 살아가며 일으키는 마음 자체를 구도의 직접적인 대상으로써 평상심이라 일컫기도 한다. 그렇다면 마조 평상심의 다각적인 의미의 실체와 그 해석에 관한 접근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법으로써 평상심을 본질과 작용의 이중적 측면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상심의 眞義와 그 구체적 含意를 조명하는 일이 본 논문의 세부적 목표가 된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 마조의 주요 테제 중 하나인 ``평상심`` 자체에 국한하여 진행되었다는데 그 독창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평상심``에 대한 막연한 추측과 그로 인한 해석적 오류를 줄임으로써 마조선의 핵심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실천적 계기가 되리라 전망한다. The ordinary mind is Tao(平常心是道)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rases that express the very core of Ma-tsu Tao-i`s(馬祖道一, 709-788) Seon(禪, Ch`an, Zen) doctrines. It is tantamount to saying ``Tao is nothing but the ordinary mind of us.`` This proposition of Ma-tsu is as perplexing as a kung-an for us, because we regard Tao as something very special, transcendental and super-empirical. Although the term ordinary is tricky, at least it seems clear that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cannot be the same as our mind we activate in our everyday routi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hat did Ma-tsu want to mean when he still chose the term ordinary? The purpose of thesis is to find out answers to those questions. To say the conclusion first, what Ma-tsu yu-lu(馬祖語錄) calls the ordinary mind is different, but not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It is different from our ordinary mind in that it refers to Ma-tsu`s enlightenment itself and thus implies the very core of the Patriarchal Seon that was originated from Ma-tsu. In order to attain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we need to overcome and go beyond the ``ordinary`` mode of our mind for an insight and intuition into the truth. We, unenlightened ``ordinary`` persons, do not have such an insight and intuition. Ma-tsu`s ordinary mind, however, is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that operates in our everyday activities. It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 of all dharmas`` on one hand, and also to our mind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outer world. Each individual person activates his/her mind in all the diverse modes in the milieu of his/her life. When Ma-tsu said The ordinary mind is Tao, he meant that our mind itself, in all the variety of modes in the midst of our lives, is what we should get enlightened to in our efforts for attainment of Tao. Here lies the revolutionary feature of Ma-tsu`s doctrine that cannot be seen in previous Seon masters` teachings. The two facets of Ma-tsu`s oridinary mind may be called, for convenience, ``the noumenal mind`` and ``the phenomenal mind`` respectively. ``The nou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al truth itself. It is called ordinary in that sense. ``The pheno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in samsara, i.e., in everyday lives of sentient beings. It is also called ordinary, but here in the sense of ``routine`` or ``of the ordinary (unenlightened).`` Seon is all about enlightenment. Enlightenment in turn is all about liberation from the grasp of or attachment to any frame of conventional dichotomous concepts. A concept is established depending upon its opposite, i.e., only when it is located in a dichotomous pair. ``Buddha`` for example is meaningless without ``sentient beings.`` The noumenal mind, or the mind of Seon enlightenment, likewise, is meaningless separately from the matter of the phenomenal mind, or the ordinary mind of ordinary people. These two facets of Ma-tsu`s ordinary mind thu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i and yung``.

      • KCI등재

        진각혜심의 간화선사상과 선시와의 상관성

        박규리 ( Park Kyu-ri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본 논문은 혜심의 간화선사상이 그의 선시에 미친 영향을 살펴 그 상관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진각혜심은 고려시대 스승 보조지눌에 의해서 도입된 간화선을 널리 홍포하고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에 정착시킨 선사다. 혜심의 선사상은 돈오돈수의 경절법으로 특징 지울 수 있는데, 일상의 묘용(妙用) 중에서 깨달음을 추구하는 활달한 돈법(頓法)과 본래인(本來人)인 무사인(無事人)의 추구가 그 핵심이다. 한국선시의 개창자로 손꼽히는 혜심은 고려시대 다수의 선시를 남긴 선사로 유명하다. 혜심은 그의 『무의자시집』에 무려 수 백 수의 선시를 남기고 있는데 여기에서 혜심의 선사상이 선시에 투영된 뚜렷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선시에는 한 선사의 선사상과 그의 지향이 오롯이 담겨있다. 마치 시인의 시정신과 철학이 시에 고스란히 녹아있게 마련인 것처럼, 선시 역시 각 선사가 이룩한 선적(禪的) 경지와 그 깨달음의 요체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선시에서 해당 선사의 구체적 선사상을 다 발견하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선사는 시인과는 달리 ‘선시’에 자신의 전부를 쏟아 붓고 매진하는 것이 아니라, 선을 통한 ‘깨달음[道]’을 얻기 위한 구도에 전존재를 걸기에 그렇다. 이렇게 특정 선사의 변별적 사상 내지 수행법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담보하고 있는 선시를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혜심 선시에서 발견되는 ‘돈오돈수의 격외시’와 ‘의정타파의 화두시’는 문학적 가치와 더불어 선사상적으로도 그 의의가 매우 크다. 한 순간의 인식의 대전환을 통해 깨달음으로 직절하는 ‘돈오돈수의 격외시’와 본질적인 의문을 던지며 진리의 당체로 이끄는 ‘화두시’는 혜심 선시의 독보적이면서도 걸출한 특징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이렇게 혜심의 선시는 그의 선사상과 결코 유리되어 설명되어질 수 없는 직접적이고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When we attempt to understand Seon poetry, the point is not ‘an understanding of the poetry itself’ but of ‘enlightenment.’ The quality of a Seon poem is not determined by its? as a poem but the poet’s Seon enlightenment experience implied in it. In other words, when we analyze a Seon poem, the focal point should be to reveal its esoteric implication of the poet’s enlightenment. There thus are difficulties in having proper sensitivities to and reaching at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a Seon poem, difficultie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we experience with other poems in general. What, then, are required of a critic of Seon poetry for proper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Seon poetry? To say the conclusion first, s/he needs to have proper “aptitude for Seon” and comprehensive “insight into Seon doctrines.” In Buddhist tradition, enlightenment experiences have been expressed in gathas, beginning with that of the Buddha. While giving sermons, the Buddha stopped from time to time and reiterated his points in gathas. Without understanding gatha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you have understood Buddhist teachings. It thus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that there recently are some attempts to approach to the Buddha’s gathas and Seo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secular literary criticism. Without discerning the essence of Seon poetry, i.e.,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never is possible to have appropriate access to Seon poetry, however brilliant sensitivity to and insight into literature you may hav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Poetry of the Naked Hermit (Muuija sijib), a collection of Jingag Hyesim’s Seon poems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ones of recent studies of Seon poetry. It applies understandings of Hyesim’s doctrines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anhwa Seon(Kungan Chan) to his poetry and classifies his poem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eon topics : poems of sudden enlightenment; those regarding Hwadu meditation; and those of ‘subtle enlightenment.’ The relevance of Hyesim’s Seon doctrines to his poetry could thus be revealed. This is a new and creative approach in that Seon poetry is analyzed only in terms of Seon doctrines, without imposing literary theories in general.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suggest an example of Seon poetry study on the basis of solid understanding of Seon doctrines, and contribute somehow to establishment of a proper framework methodology of Seon po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