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질 정화를 위한 부착조류의 성장에 적합한 매질과 유속

        박구성 ( Park Ku Sung ),김호섭 ( Kim Ho Sub ),최광현 ( Choi Kwang Hyun ),윤춘경 ( Yoon Chun Gyeong ),황순진 ( Hwang Soon Jin ),공동수 ( Gong Dong Soo ) 한국농공학회 200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sh size and water velocity for the growth of filamentous periphytic algae (FPA). The growth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constructed pilot waterway system with nutrient-rich treated wastewater. Growth rate of FPA was highest at water velocity about 10 cm/s. The maximum standing crop of FPA was 253 ㎍ chl.a/cm<sup>2</sup>, and an average of the net productivity was 3.92 mgDW/cm<sup>2</sup>/day or 25.3 ㎍ chl.a/cm<sup>2</sup>/day. Biomass development and growth rates of FPA were highest at the net with 20mm mesh size during the fall season and 10mm mesh size during the winter season.

      • KCI등재후보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용저수지 침강지 퇴적물에 대한 유역 토양 영향 분석

        박구성 ( Ku-sung Park ),은숙 ( Eun-suk Park ),황길순 ( Gil-son Hwang ),이규상 ( Gyu-sang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농업용저수지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다양한 오염원 유입되고 있으며, 호내 자정작용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부양양화가 진행되어 수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유역의 오염원중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농경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농업용저수지 5지구(설성, 만수, 개천, 대승, 월천, 덕림)의 유역내 논, 밭, 과수, 시설지역의 토양과 호내 침강지 퇴적물 토양 특성(유기물, 인)을 분석하여 침강지 유기물에 대한 유역 토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역의 토양 특성은 흙토람(농촌진흥청, `22년)에서 제공하고 있는 토양화학성 자료를 활용하였고, 침강지 퇴적물은 대표지점(침강지 중앙 1지점)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물, 총인을 분석하였다. 전국 논 토양은 유기물 20~30 g/kg, 유효인산 80~120 mg/kg, 그 외 토양은 유기물 20~30 g/kg, 유효인산 300~550 mg/kg로 나타났다. 설성, 만수, 개천지구 농경지 유기물 함유량은 전국 평균보다 대체로 같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효인산은 밭 지역이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승지구는 농경지 중 논과 시설물의 유기물 함유량이 전국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유효인산은 모두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월천지구는 논과 시설물의 유기물 함유량이 전국 대비 낮은 경향을 나타냈고, 유효인산 함유량은 밭과 시설물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농업용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된 침강지의 퇴적물 분석 결과 유기물 0.5~1.5%, 총인은 146~389 mg/kg을 나타냈다. 월천지구가 유기물, 총인 모두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개천지구가 두 항목 모두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유역의 토양화학성(유기물, 유효인산)과 침강지의 유기물, 총인 농도는 유효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침강지 퇴적물은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밭, 과수 등 농경지로부터의 유입도 있으나, 유역의 발생부하량 비율이 높은 축산, 양만장 등 점오염원의 영향도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침강지 퇴적물은 대부분 강우시 유역의 강우유출수에 의해 오염물질, 토사 등이 유입되어 퇴적되며, 침강지 위치에 따라 퇴적물 퇴적특성(입도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침강지 내 다양한 위치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하여 유역 토양의 영향 분석 및 부영양 감소를 위한 침강지 유기물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Phentermine Hydrochloride에 의한 급성 근시와 전방각 폐쇄 1예

        구성,최원석,이종욱,영정,이규원,Sung Hyun Koo,Won Suk Choi,Jong Wook Lee,Young Jeung Park,Kyoo Won Lee 대한안과학회 2011 대한안과학회지 Vol.52 No.7

        Purpose: To describe a case of bilateral acute myopia and acute angle-closure associated with phentermine hydrochloride, a drug used for obesity treatment. Case summary: A 25-year-old woman visited our hospital with blurry vision and ocular pain after taking phentermine hydrochloride for three weeks. Manifest refraction accompanied myopic shift in the both eyes, slit-lamp examination showed forward displacement of the lens-iris diaphragm and fundus examination revealed retinal folds. Suspecting phentermine hydrochloride induced acute myopia and acute angle closure, discontinuation of the drug and administration of cycloplegic agents and antiglaucomatic agent successfully resolved the symptoms. Conclusions: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is unknown, phentermine hydrochloride may generate ciliochoroidal effusion and ciliary edema, lead to acute myopia and acute angle closure resulting from forward displacement of the lens-iris diaphragm.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7):881-88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