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달수의 ‘방한’과 그의 ‘국토순례’ 기행문

        박광현 ( Park Kwang-hyo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김달수가 「쓰시마까지」(1975) 발표 이후 한국을 방문하기까지는 재일조선인으로서 자기정의의 해체와 재정립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81년 37년만에 한국을 방문한 것은 그 절정에서 감행한 사건이었다. 그리고 일본으로 돌아온 그는 『문예(文藝)』에 7차례에 걸쳐 기행문을 연재한다. 이 기행문은 사상적 전환에 대한 항변이자 종착점이었다. 김달수는 기행문에서 ‘구속적 관념’이라는 흥미로운 표현을 사용한다. 여기서 ‘구속적 관념’이란 남한(조국)의 실제와는 거리가 있는 상상을 초래하는 관념을 일컫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는 한국 방문이 그 ‘구속적 관념’으로부터 탈피라고 주장한 것이다. 그것은 과거 자기에 대한 부정이기도 하지만, 그의 방한을 비난하는 재일(=총련) 사회에 대한 비판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이 글에서는 그의 ‘방한’을 화제로 삼아 조국에 대한 상상력의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문예』의 기행문에서 남한(조국)에 대한 서사가 과잉된 상상을 초래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Until Kim Dal-su visits South Korea following the presentation of 「Up To Tsushima(対馬まで)」(1975), it can be said to be the period of dismantling and re-establishing self-definition as a Korean resident in Japan. What he visited South Korea in 1981 after 37 years was the event that he carried out at its peak. And he returned to Japan and then publishes a travel essay serially in 『Bungei(文藝)』 over 7 times. This travel essay was a plea for and a destination to an ideological change. Kim Dal-su uses an interesting expression called ‘restrictive sense’ in the travel essay. 'Restrictive sense' here is used as a meaning of the idea causing imagination that has a distance from the reality of South Korea(homeland). He insisted on which a visit to Korea is a breakaway from its 'restrictive sense.' It is not only a denial against self in the past, but also used for criticism for Korean(=Chongryeon, 總聯) society in Japan, which denounces his visit to South Korea. In this way,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discuss a problem of imagination on homeland by having his 'visit to Korea' as a topic. Especially, the narration on South Korea(homeland) in the travel essay of 『Bungei』 is aimed to be confirmed to bring about the excessive imag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박광현(Park Kwang-Hyoun)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이 글은 이제까지 기존연구에서 등한시해온 재경(在京)일본인이 경성이라는 장소에 어떻게 동일화하고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했는지에 관해 주목한 것이다. 그 대상 시기는 1910년 한일합방을 전후로 삼았다. 그 시기에 그들은 조선을 대표하는 ‘식민지의 수부’인 경성에 거주하기 시작하며 그곳의 원주민인 타자의 역사성을 무시하고 자기들 삶의 역사성을 우위로 두고 새롭게 경성을 구성하려 하였다. 그러면서 내지인과는 차별화된 자기를 구성하려는 동시에 일본인의 동일자(同一者)로서 자기를 인식하는 이중적 위치에서 있었다. 그러한 이중적 위치는 오히려 식민지 경영의 사명감을 더욱 충만케 한 측면도 있었다. ‘영웅주의’에서 ‘범인주의’로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경성 거류민단의 정치투쟁사를 기술한 『경성발달사』(1912)에서 알 수 있듯이, “명실 공히 조선의 일본이 아니라 일본의 조선으로 바꿔가는” 상황에서 재경일본인들의 ‘경성’ 표상에는 좀더 구체적인 자기동일화의 욕망이 투사되어갔다. 그것은 대개 노스텔지아적인 충동에 기반한 ‘경성의 자기화’라는 정서의 폭력을 동반하기도 했다. 또한 그런 경성에 대한 자기동일화는 전통적 방위 감각을 해체하는 방식과 ‘재경’ 일본인의 기원을 역사적으로 소급하여 ‘현재’에 동일화하는 방식을 통해 이뤄지기도 했다. 이러한 레토릭은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조선인 거주지와 이분하는 시선과 함께 당시 그들의 아이덴티티 구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paper is what paid attention to how Japanese residents in Keijo made them identified with a place called Keijo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y, which has been neglected so far in the existing researches. The target period was set to the time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in 1910. In that period, they began to dwell in Keijo where is 'a capital of colony' of standing for Chosen, was indifferent to the historicity of others, who are natives there, and tried to newly form Keijo with giving priority to the historicity of their life. In the meantime, they had stood in the ambivalent position of recognizing self as the Same(同一者) in Japanese, as well as aiming to form the differentiated self from Japanese people who reside in Naichi(?地). Such ambivalent position had an aspect that allowed a sense of mission for colonial management to be rather filled further. As having been able to be known in 『History of development in Keijo(京城發達史』_1912), which described the history of political struggle in the settlement corporation in Keijo from the perspective called a change into 'subjectivism' from 'heroism,' a desire for the more specific self-identification proceeded with being proje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Keijo’ in Japanese residents in Keijo, in a situation of "being changed both nominally and virtually into Chosen in Japan, not Japan in Chosen." That was ever accompanied by emotional violence called 'self-identification in Keijo' mostly based on nostalgic impulse. Also, such self-identification with Keijo was ever formed through a method of dissolving traditional sense of direction on such Keijo and a method of identifying with 'the present' by being historically retroactive to the origin in Japanese people of 'residing in Keijo'. This rhetoric was functioning as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their identity at that time, along with a sight of dividing into a dwelling place of Chosen people centering on a dwelling place of Japanese people.

      • KCI등재

        ‘내선융화’의 문화번역과 조선색, 그리고 식민문단

        박광현(Park, Kwang-hyo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0 No.-

        1920년대 ‘내선융화(內鮮融化)’라는 슬로건은 식민지 조선에 대한 통치의 언어였다. 하지만 그 슬로건에 대한 대응은 각 집단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특히 그 대응 양상을 식민 문단의 형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그 중에서도 이 글에서는 세 가지의 토픽 및 국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중 하나는 조선의 ‘로컬컬러(localcolor)’=‘조선색’이라는 토픽이다. 당시 로컬컬러라는 말의 유행은 피와 토지에의 동일화를 꾀하는 향토예술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다음으로는 미술 저널리즘이 대두하는 국면이다. 1922년 조선미술전람회(이하, 조선미전)의 개최를 즈음하여 미술 저널리즘이 부각되었다. 당시 잡지나 신문들은 미술 저널리스트들에게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술 장르의 독자적인 잡지 창간을 시도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는 식민 2세대의 등장과 그들의 주도로 창간한 『조선시론(朝鮮時論)』이라는 잡지를 통한 조선문화(문학)의 번역이다. 이 잡지의 편집자들은 과거 일본어 미디어들이 ‘초시대성’이 기반을 둔 조선문화에 대한 인식 비판, 즉 조선문화의 번역에 대한 당대성 부재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려 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토픽과 국면을 통해 이 글에서는 ‘내선융화’라는 이념에 담긴 문화번역의 의미와 그 실천을 살피었다. In 1920’s, ‘naseonyunghwa’(內鮮融和, the reconcillation of Japan and Joseon), a hegemonic slogan advocated by imperial Japan, was a language of rulership over Joseon (former name of Korea), a colonial territory of Japan. This study focused especially on the creation of colonial literary world to examine how colonial people of modern Korea responded to the slogan. Among others, it sought to analyze three topics (i.e. aspects). One of those 3 topics is ‘local color’ of Joseon.’ Those days, a term ‘local color’ was popularized owing to discourses about local art to pursue identification with blood and land. The second topic refers to an aspect of fine art journalism on the rise. The fine art journalism became spotlighted in public with the opening of Joseon Fine Art Exhibition (hereinafter called ‘JFAE’) in 1922. The third topic refers to the emergence of second colonial Korean generation and the translation of Joseon culture (literature) through a magazine named Joseon Siron(朝鮮時論) founded by such generation. The editors of this magazine strived to critically get over cognitive criticism of imperial Japanese journal media against Joseon culture from ‘transhistorical perspectives (beyond histor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implications of cultural translation contained in imperial ideology of ‘naseonyunghwa’, and address practices of such translation.

      • KCI등재

        재일조선인의 ‘전장(戰場)’과 ‘전후(戰後)’

        박광현 ( Park Kwang-hyo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이 글에서는 ‘전후’가 역사화되는 일본 사회의 맥락에서 재일조선인의 ‘전장’ 체험의 기억에 대해 살펴보았다. 재일조선인문학에서 전장 체험이 그려진 것은 1970년대 이후이며, 구술채록 등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시작되었다. 이 글에서는 『도쿄대공습 조선인 이재의 기록(東京大空襲 朝鮮人罹災の記錄)』(이하, 『기록』)이라는 사제출판물에 가까운 형태를 띤 텍스트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는 재일조선인 사회라는 공동체 내에서 주로 유통되는 기록물이다. 그 안에 담긴 기억 서사가 갖는 의미와 함께 문법과 그 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더불어 문학 쪽으로 논의를 확장하며 정승박의 『벌거벗은 포로』와 이회성의 「증인 없는 풍경」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전자가 ‘전장’에서의 피식민의 정체성을 ‘배회하는 포로’로 그려냈다면, 후자는 ‘대일본제국’ 군인의 죽음=패전을 동시에 목격한, 파시스트소년이었던 조선인과 일본인이 각자 전쟁 트라우마가 망각과 기억에서 시달리는 ‘전후’의 삶을 그리고 있다. 그들의 기억은 대개 민족사라는 맥락=문법 속에서 수렴되고 재생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쿄대공습, 즉 그들의 본토 ‘전장’의 피해서사는 어쩌면 ‘(패)전후’ 지속되고 있는 ‘전후’ 체제=맥락=문법 속에서 이뤄져온 일본 사회의 기억 방식과도 닮아 있는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자신들만의 민족(피해)사에 근거한 이중적 내지 중층적 피해서사를 만들어내며 일본인의 기억과의 차이화,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기록』이 바로 그 결과물이다. 또한 이는 일본사회가 ‘전후’를 역사화하려는 움직임에 대한 하나의 제동이며, 공식 기억에 대한 대항적 위치에 선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In Japan, History-ization to ‘the postwar’ has started. In such context of Japanese society, a memory of experiencing ‘battlefield’ in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examined. What the experience of ‘battlefield’ was depicted in the literature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following the 1970s. Oral history and others were begun after the mid-1980s. This writing is having the main subject as a text, which has a form close to the privately-made publication dubbed 『Record of Korean calamity In the great Tokyo air raid(東京大空襲 朝鮮人罹災の記錄)』(hereunder called 『Record』). This is the documentary that is primarily circulated within community called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t examined about grammar and its discourse along with a meaning that the memory narrative has inside it. In addition, it addressed a matter of ‘post-war’ oblivion and memory caused by the war trauma while expanding a discussion into literature. The great Tokyo air raid, namely, the damage narrative of ‘battlefield’ in their mainland of Japan takes after even a method of memory in Japanese society that has been made amidst context of being probably continued ‘post-war.’ Even in the meantime,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from Japanese people's memory were promoted while forming the double or mid-rise damage narrative based on their own racial(damage) history. 『Record』 is just its output. This can be said to be one brake on movement that Japanese society tries to make ‘post war’ history, and to be a text of standing in the counter-position on official memo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