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스피치 원고의 다차원 분석

        박광현 ( Park Kwanghyun ),김은주 ( Kim Eun-ju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6 외국어교육연구 Vol.30 No.3

        영어 스피치는 발표 원고를 글로 작성한 후 구두로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문어와 구어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습득이 어려운 장르이다. 본 연구는 스피치 원고 쓰기교육의 기초 연구로써 한국 대학생들의 스피치를 Lancaster-Oslo-Bergen과 London-Lund 원어민 코퍼스의 스피치 및 근접 장르들과 비교하여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스피치의 문체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피치의 전반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이라는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스피치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비교한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 학습자 스피치와 원어민 스피치는 다섯 가지 차원 중 세 가지 차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스피치는 자연스러운 스토리텔링의 요소가 부족하고 설득과 주장이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원어민에 비해 더 추상적이고 격식을 갖춘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차원분석의 결과를 통해 부족한 것으로 밝혀진 언어요소와 차원은 효과적인 스피치 영작문 교육을 위해 교재제작과 교수법개선에 반영하여 활용할 수 있다. Writing and delivering English public speeches is challenging for Korean learners of the English language because speech transcripts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poken and written English. As a preliminary endeavor to understand Korean English learners` speech transcript writing, the current study compares English speech transcripts written by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peeches and some other genres in the two native corpora, i.e., Lancaster-Oslo-Bergen corpus and the London-Lund corpus. The main purpose of the comparison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in Korean English learners` speech transcripts. Methodologically, the study uses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examine five dimensions of speech transcripts produc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Th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ree out of five textual dimensions indicating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adopt a more abstract and formal speech style, while native speakers make effective use of a colloquial speech style.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speeches, in addition, Korean English learners` speeches appear to be less effective in storytelling and persuasion. Based on th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English speech transcript writing are discussed.

      • KCI등재

        L2 글쓰기 어휘 다발 연구: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화자의 비교

        박광현 ( Kwanghyun Park ),남대현 ( Daehyeon Na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2

        동아시아에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한국, 중국, 일본은 각각의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의 수사적 관점이 지나치게 단순화되어 연구되어왔다. 이러한 이유로 각 언어권 및 문화권이 독창적으로 유지해 온 독창성은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묶어져 동일한 수사적 패턴을 공유한다고 오랫동안 믿어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학습자의 영작문에서도 그러한 수사학적 패턴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3국인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각각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어 학습자들이 작성한 논지적 에세이에 사용된 다중어휘표현 즉, 어휘 다발에 대한 사용 유형을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언어를 사용하는 영어학습자가 어떻게 다른 또는 유사한 패턴을 어휘 다발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은 각 언어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의 논지적 에세이에서 구조적 어휘 다발 (즉, NP-, VP- 및 PP 기반 구조)과 기능적 어휘 다발 (즉, 저자 관점, 담화조직, 지시적)을 분류하여 각 언어 사용자의 논지적 에세이에 나타난 어휘 다발의 차이와 유사점을 카이 검정과 표준화 잔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들이 작성한 텍스트의 어휘 다발 사용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조적 및 기능적 패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전 대조수사학 연구에서 동아시아 국가라는 하나의 지역적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수사학적 패턴으로 단순화한 L2 글쓰기 양상과는 구별되는 유형으로 나타난다는 함의점을 제시한다. It has long been believed that East Asian countries share the same rhetorical patterns because of the over-simplifying perspectives of the rhetorical uniqueness of each country’s speakers. The current study examines lexical bundles in the argumentative essays produced by English learners in three Asian countries: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he analysis consists of two dimensions of lexical bundles (i.e., structure and function) to examine three structural components (i.e., NP-, VP-, and PP-based structures) and three functional components (i.e., stance, discourse organizer, and referential fun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idiosyncratic structural and functional patterns in the texts produced by the learners in these countries. That is, Chinese L2 learners prefer NP- and PP-based lexical bundles, while Japanese L2 learners prefer VP-based lexical bundles. Regarding the functional lexical bundle uses, Korean L2 learners prefer discourse organizers, while Chinese L2 learners more frequently use referential lexical bundles and Japanese L2 learners tend to use stance lexical bundles.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revious studies on L2 lexical bundle uses should be examined further by considering L1 background as an essential variable. What has been perceived as a characteristic of learners’ language production may be strongly influenced by masking their L1 effect.

      • KCI등재

        가스 누출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음파 이미지 학습 연구

        구윤정(Yunjeong Gu),박광현(Kwanghyun Park),이원희(Wonhee Lee),송병훈(Byunghun Song),홍정표(Jungpyo Hong),신준호(Junho Shin)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가스는 눈에 보이지 않아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누출 위치 확인 및 사고 규모 예측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 누출 시 발생하는 초음파를 시각화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가스 누출 여부 뿐만 아니라 가스 누출 위치, 누출 유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가스 누출 탐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데이터 수집 및 모델 학습으로 구분된다. 먼저 데이터 수집은 초음파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거리( 1, 3 m ) 및 가스 누출 유량(0~8 L/min)에 따른 초음파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미지 학습은 YOLO를 이용하였으며 가스 누출 유량 범위에 따라 Class를 설정한 후 모델을 학습하였다. 수집한 초음파 이미지는 측정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명도가 낮아지고, 누출 유량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가 거의 없어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모델 학습 결과 precision 0.960, recall 0.967, mAP (IoU 50%) 0.987로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므로 향후 산업현장의 가스 안전 관리 기술로 적용하는 경우 가스 누출로 발생하는 사고를 탐지하고 누출 위치, 누출 유량 등의 정보 전달을 통해 적절한 사고 대응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f a gas leak occurs in an industrial area,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gas leak and predicting the scale of the accident are challenging owing to the invisible nature of the ga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ep learning-based gas leak detection model that can obtain not only the gas leak status, but also the gas leak location and flow rate information, by using technology to visualize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during gas leaks. Research methods are broadly categorized into data collection and model learning methods. First, data was collected using an ultrasonic camera to capture ultrasonic images at different measurement distances (1 and 3 m) and gas leak flow rates (0-8 L/min). YOLO (You Only Look Once) was used for image learning, and the model was trained after setting the class according to the gas-leak flow range. The clarity of the collected ultrasonic images decreased as the measurement distance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s for each leakage flow rate, posing challenges in distinguishing them with the naked eye. However, the model learning results showed high accuracy, with a precision of 0.960, recall of 0.967, and mAP (IoU (Intersection over Union) 50%) of 0.987. Applying this model as a gas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at industrial sites, enables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gas leak status, gas leak location, and gas leakage flow. This information is expected to guide appropriate accident responses for worker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5 · 6학년 영어 교과서의 통사적 복잡성 비교 분석

        황은경 ( Hwang Eunkyung ),박광현 ( Park Kwanghyun ) 현대영어교육학회 2024 현대영어교육 Vol.25 No.-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nglish textbooks used for 5th and 6th graders in Korea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textbooks play a critical role in language acquisition, the current research utilized 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 (L2SCA) to measure and compare the structural intricacies of the sentences used in these textbooks. The analysis spanned 14 syntactic complexity indicators across 10 textbooks, with the results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lexity levels between the different target grades, suggesting an incremental increase in linguistic challenge. Variations in complexity were also noted across different publishers, with some textbooks not meeting expected progression standards, which could potentially affect their language learning efficacy. This inconsistency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selection criterion for educational material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ducators, textbook developers, and policymakers, and in particular,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ligning textbook content with linguistic development stages to enhance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paper also provides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syntactic complexity on language proficiency, such as proposed adjustments in curriculum design to better serve educational goals and student needs.

      •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최정원(Jeongwon Choi),김정남(Jeongnam Kim),김형기(Hyeongi Kim),박광현(Kwanghyun Park),서성원(Seongwon Se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사회의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기대되면서 학교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소양 교육 또한 강조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에서 또한 제 역할을 할 때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가기 위한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그 방향과 내용,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하고, 중학교 수준에서 사용 가능한 도구가 갖는 기능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점을 감안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앞으로 보다 건설적이고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도구가 갖는 기능의 확대, 국가 교육과정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