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나물ㆍ약초 민속의 전승양상과 활용방안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박경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NamulㆍYakcho is one of the important livelihood resource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plants for food and nature remedies. In period that was poor of food and medicine, it was much worth as hardy plants for daily meals and medicine plants for illness. In gathering, refining, processing, and making use of it as foodㆍnature remedies in everyday lives, various folk customs concerning to knowledge and skill, tools, norms, behaviour patterns etcs. have been accumulated. Folk customs of NamulㆍYakcho has been not only created and continued in various aspects but also changed step by step. They have been handed down continually through gathering, growing, processing, selling of Namul and Yakcho as living resources. And they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ecological festivals for strengthening regional identities and creating of economic value added in the context of place marketing, making use of it as resources for industrial progress. We can build the NamulㆍYakcho contents and plan the way of seeds preservation through archiving of folk customs based on various plant resources, having grown in Gyeongbuk province long ago. It is possible to develop bio-industry by creating a new natural drug and therapy skill, healthy commodities and to make use of it as resources of education and tourism.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rchive peoples' living history of Namul and Yakcho in minute and collect data about various informants inclusively and deeply by interdisciplinary research. We must hurry up this work before dying of elder generation. 나물과 약초는 오랜 이전부터 음식과 약의 재료로 활용되어온 중요한 생활자원 중의 하나이다. 특히 먹을거리가 부족하고 의약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기에는 끼니를 보완하는 구황작물로서 그리고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도모하는 약용작물로 중요시되었다. 나물과 약초의 채취, 정제, 가공, 식료와 약으로의 활용과정에서는 관련 지식과 기능을 비롯하여 도구나 습속 등 여러 민속문화가 발달하였다. 음식과 의약생활의 변천에 따라 나물과 약초 민속도 일부 요소가 소멸 혹은 변형되기도 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 지속되기도 한다. 나물과 약초 민속은 식료와 약으로 일상적 활용과 생계자원으로 채취, 재배, 가공, 판매하는 과정을 통해 부단히 전승되어 왔다. 한편으로는 장소마케팅 차원에서 지역정체성을 강화하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축제문화를 통해 그리고 정책적 차원의 산업자원화 과정을 통해서도 전승된다. 경북지역은 예전부터 우수한 식물자원이 많이 생산되어 왔기 때문에 관련 지식과 기능을 비롯한 민속문화를 체계적으로 집성함으로써 나물과 약초 콘텐츠를 구축하고 종자보존 방안을 도출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천연물 신약과 치료방법 및 건강상품 개발을 통한 바이오산업의 육성과 교육 및 관광자원화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고문헌 분석을 통한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한 바탕에서 학제적 접근에 의한 나물과 약초의 생활사를 세밀하게 집성하고 다양한 부류의 전승자들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심도 있는 자료 수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는 나물과 약초 민속을 전승해오고 있는 연로자들이 자연 사멸하기 전에 서둘러 해야 할 일이다.

      • 도검(刀劍) 제작과정에 나타나는 감각ㆍ기술 전통지식 : 경북 문경의 한 도검 장인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용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sense of sight, seeing and touch in the making of traditional swords, focused on a context of oral life history of a sword craftsman in Munkyung county, Kyungpook province. A traditional sword is a kind of iron crafts including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s on sensibilityㆍtechnology. And it have been became extinct for a long time since Chosun dynasty, but being restored by a great deal efforts of a sword craftsman. The technology for making traditional sword is not only an experience knowledge but also tacit knowledge because it is appreciated and communicated, transmitted through speech and behaviour in everyday lives tacitly. Therefore the making works of forming, welding, grinding of a sword body, hardening, inlaid work and craving etc. have being performed through empirical feelings or sensual knowledges on the sense of sight, seeing and touch.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empirical sense on sight, seeing and touch have been applied as a standard for judgement to all manufacture processes in a temperature of heating an iron, a homogeneity of a sword body line and the time of hardening etc.. 본고를 통해서는 도검 장인의 구술생애사 맥락을 중심으로 단조ㆍ단접, 검신 연마, 담금질, 상감과조각 등 주요 제작과정에 나타나는 시각과 청각, 촉각 등 감각ㆍ기술 전통지식의 양상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통 도검은 무형문화의 전통지식을 담고 있는 금속공예 분야로서 전승 맥이 단절되었다가 최근한 장인의 노력으로 복원되었다. 이는 다른 공예 분야와 마찬가지로 제작 기술과 지식이 개인의 머릿속에 들어 있어 발화나 구체적 행위를 통해 암묵적으로 인지되고 소통, 전승되므로 ‘경험지’ 혹은 ‘암묵지’ 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작과정의 단조나 단접, 연마, 담금질, 상감, 조각 등과 같은 세밀한 기술이 대부분경험적 감(感)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통 도검의 효율적 전승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은 계보주의와 기능의원형주의에 매몰된 현행 무형문화재 정책에 융통성을 부여하는 일이다. 비록 스승 없이 개인적 노력으로도검 제작 기능을 복원했을지라도, 그 성과와 전승 의지를 감안하여 법적 지원으로 안심하고 기능 전승에 몰두할 수 있도록 조처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남해안 竹防簾 어업과 물질·물건의 전통지식

        박경용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南道文化硏究 Vol.0 No.25

        죽방렴은 참나무 말목을 바다에 박고 발처럼 엮어 만든 대나무 어살을 둘러쳐서 멸치를 주 어종으로 포획해온 원시어법이다. 죽방렴 어업은 남해군 지족해협처럼 조수 흐름이 빠를 뿐만 아니라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특 수한 지형 여건 및 멸치와 같은 특정 어류의 반복적 회유 등과 같은 복합 환경적 배경 속에서 발달한다. 어류 의 습성 및 조수 흐름, 물때 등을 이용한 어구 설치와 어획방식 등은 죽방렴 어업의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 지식의 일면을 보여준다. 죽방렴어구의 재료 조달과 설치 및 어획과 가공, 유지 보수 등 이른바 죽방렴 어업의 재생산을 위한 다양한 도구나 시설물에 대한 인식과 운용지식은 죽방렴 어업의 물질과 물건에 대한 전통지식 을 함의한다. 죽방렴 어업의 물질·물건 전통지식은 어획 성과와 가공품의 품질을 제고하고 어구의 내구성, 경제성 및 어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죽방렴 어업의 지속적 발전과 재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사안이다. 동시에 ‘죽방렴 복합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해안 지방에서 특수하게 전승되어온 어로문화의 일면을 세밀하게 엿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에는 관광객들로 하여금 죽방렴 어구와 어획과정을 가까이서 직접 볼 수 있도록 함 으로써 관광 및 교육자원화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의의와 가치에도 불구하고, 남해안 죽방렴 어업은 여러 가지 면에서 보존과정에 어려움 이 제기되고 있어 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첫째, 해양환경 오염과 수온 변화, 어류 남획 등으로 죽방렴 어획량이 급격하게 감소됨으로써 유지, 존속을 위 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어획량의 감소는 채산성 악화로 인해 죽방렴 어업의 유지를 위한 시설 투자를 꺼리게 됨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이를 운영해나갈 인력을 확보할 수 없게 만든다. 현재에도 지족해협일대의 23개 죽방 렴 어업자들은 60대, 70대 고령자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족해협근역의 공단이나 취락지구 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관리를 철저히 함과 동시에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마구잡이식의 어로행 위도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죽방렴은 그 모양이나 자연 및 우주 원리에 의해 어획하는 방식에는 예나 지금이나 변화가 없지만, 죽방 렴 어구의 재료나 유지, 관리방식 및 어획과 가공작업 등에서는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전래의 죽방 렴 어업이 지닌 문화요소들이 상당히 변질, 훼손, 왜곡되고 있다. 근년에 ‘명승’ 문화재로까지 지정된 마당에서 이와 같은 문화요소의 심각한 변화는 죽방렴 어업의 역사성과 문화재적 가치를 저하시킨다. 이에 대한 대안으 로 뭍에 근접해 있는 1개의 죽방렴에 대해서는 예산 지원을 통해 참나무 말목과 대발을 설치하는 등 본래의 형 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처하고 있어 다행이다. 죽방렴 자체는 이렇게라도 해서 원형성을 보존하지만, 이의 유지 및 보존을 비롯하여 어획과 가공, 포장, 판매 등 죽방렴 어업의 재생산을 위한 부수적인 관련 문화적 사 상(cultural things)의 보존방책은 전혀 강구되지 않고 있다. 셋째, 위 두 번째 사안과 관련하여 ‘죽방렴 문화복합’의 전통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시설이나 도구를 비롯하여 관 련 서사나 민요, 공동체 생활상(놀이·연희·울력), 물증(사진·장부·문서) 등의 자료들은 대부분 유실되었다. 이 는 타 생활부문과 마찬가지로 사회변화와 더불어 기능 면에서 현실적 적합성이 떨어지는 물건이나 시설, 기억 , 물증 등이 자연적으로 도태, 인멸되어온 결과이다. 죽방렴 어업의 경우 플라스틱제품이 보급되기 전만 하더 라도 대나무로 제작된 산대미나 발 등을 비롯하여 참나무 말목을 박는 박말과 박메, 쇠두겁등이 일상적으로 활용되었었다. 죽방렴 어업의 지원시설인 발막만 하더라도 통풍을 고려하여 대나무로 벽면을 세웠으며, 내부 에는 멸치 건조용의 간대를 설치하였다. 많이 늦긴 했을지라도, 각 업주들이 보존하고 있는 과거의 도구들이 나 물증을 비롯하여 죽방렴 운영과정에서 생산되거나 전승되어온 기억이나 서사자료까지 수집할 필요가 있다 . 물건의 경우 남아 있지 않는 것은 원로 어업자들의 기억을 되살려 원형에 가깝게 제작하면 될 것이다. 그리 하여 죽방렴 문화복합을 재현해서 전시물로 남기고 후세에 보여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른바 ‘죽방렴역사관 ’ 혹은 ‘죽방렴박물관’, ‘죽방렴문화전승관’ 등의 이름으로 죽방렴 어구의 원형 및 관련물건과 물증, 어로작업 모습, 어획원리, 생활상, 생태조건 등 관련되는 유·무형의 문화상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겠다. 지족 해협의 죽방렴은 인근 사천시 삼천포해협과 더불어 전국에서 유일하게 보존, 전승되므로 관련 문화전승 공간 의 구축은 꼭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on the Juk-bang-ryeom[ 竹防簾], handed down at the JiJok Strait[知足海峽] in the southern sea, Korea. The Juk-bang-ryeom is one of the oldest and the primitive fishery tools in korea, operating by a fast stream from a wide gap of the ebb and the flow of the tide. It needs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 and space, concerning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above and below the sea, the tide, the dept of the sea, tide time and the habits of fishes etcs.. It have been made of bamboo, oak tree and other several materials. The perceptions and concerning skills about establishing of fishery tools, catching and manufacturing of anchovy(Maelchi) are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on the Juk-bang-ryeom.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are scientific and indigenous one based on folk fishery and local ecological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by our ancestors.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and plan the way for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and usage of the Juk-bang-ryeom. The establishment of the Juk-bang-ryeom museum is one way for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oncerning culture complex.

      • KCI등재

        채약 습속과 전통지식, 무형문화로서의 함의 -지리산, 덕유산 일원의 채약인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박경용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5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people who gather medicinal herbs and sociocultural meanings as intangible culture. For this, I divided to four important factors the transmissional aspects of it so as to operationalism and explanation. They are conditions of inhabitation and growth of medicinal herbs, norms and religions, skill and knowledge for gathering of medicinal herbs, the use of folk therapy, etc. Collectors of medicinal herbs(ginseng diggers, herbalists) have carried out their gathering tasks based on natural knowledge about conditions of inhabitation and growth of medicinal herbs,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mountain configuration, soil and climate, etc.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herb gatherers involves various sociocultural meanings as intangible culture because it contains the recognition orientation and speculation about the reciprocity between natural ecology and medicinal herbs and concerning norm and religious belief, skill and knowledge for gathering medicinal herbs. This is namely the 'culture complex of gathering of medicinal herbs' and shows the original form and its continuation of mankind's gathering folk of medicinal herbs. It is necessary for planning the way of conservation, transmission and use of it through the recognition and rediscovery of the values of intangible culture, being involved in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herb gatherers. First, a response for conservation,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e must be expended. For this, we have to abstract the factors of traditional knowledge from medicinal herb gatherers. Second, we have to register their traditional knowledg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necting to the national system of professional collectors of medicinal herbs. Moreover, we must hurry up the construction of a digital archive and an exhibition hall for the gathering folk of medicinal herbs. 채약 습속은 약초의 채취활동 과정에서 생성, 축적되고 전승되어온 인류의 생업문화유산으로 채집 생계양식의 원초적 일면을 보여준다. 이는 성상(性狀)과 기미(氣味), 약성 등 본초학적 지식을 비롯하여 약초의 생산과 유통, 소비과정의 전 단계에서 축적된 인류문화의 중요한 지혜를 포함한다. 본고에서는 채약 습속의 전통지식을 약초의 서식ㆍ생장 조건 및 채취 규범과 신앙, 채취 월령과 기술ㆍ지식, 민간요법의 활용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그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심마니와 약초꾼을 포함하는 채약인들은 산지 지형과 토양, 기후 등의 자연환경에 조응하는 약초의 서식 및 생장 조건에 대한 자연지식을 바탕으로 채약활동을 해왔다. 채약 습속의 전통지식은 자연생태와 약용식물의 상호성과 이에 대한 채약인의 인지방식 및 사유체계, 규범과 신앙, 기술ㆍ지식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무형문화로서의 함의를 갖는다. 이는 ‘채약의 문화복합’ 현상으로 인류 채집생활문화의 원초성과 지속성을 보여준다. 채약 습속의 전통지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무형문화로서의 가치를 인식, 재발견함으로써 이를 보존, 전승,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우선 채약 습속을 전통지식의 범주로 묶어냄으로써 무형문화로서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보존, 전승의 공감대를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 그런 다음 이를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전문채약인 제도와 연계하여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채약 습속의 전통지식을 디지털 아카이브 혹은 채약문화전승관 형태로 구축하는 일도 시급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