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에 나타난 교수와 학생의 의견 차이 비교 분석: 강의의 장‧단점 의견에 대한 네트워크 및 내용분석

        민혜리(Hyeree, Min),윤한솔(Hansol,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강의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의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의 동일 강의에 대한 주관식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교수집단과 학생집단의 인식 차이, 단과대학별 특성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동일 문항의 강의평가에 참여한 교수133명, 학생 4665명의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자료를 6개 단과 대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네트워크분석방법으로 고려대 김규태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엑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워드클라우드 이미 지를 추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를 Ucinet과 Netdraw로 분석하였다. 추출한 키워드는 다시 최종 8개 범주(강의환경, 강의자료, 강의운영, 설명방식, 상호작용, 교수특성, 평가, 기타)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와 학생 모두 설명방식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두 집단 모두수업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부분이 설명방식이 며, 학생의 수준과 이해도를 고려한 설명에 비중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강의 자료와 교수특성, 강의운영 영역의 분석결과는 교수가 학생의 의견에 조금만 귀를 기울여도 강의개선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단과대별로 살펴보면 자연대에서는 교수-학생 그룹 간 의견의 일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강의개선을 위한 방향 설정에서양 집단의 인식차이를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response to the comment/essay survey on the same lecture between for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to compare self rating by professor on his or her lecture with student evalu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professor group and student group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lege etc. The lecture evaluation with same questions by 133 professors and the responses to the comment/essay survey on lecture by 4665 students tha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from 2013 to 2016 were analyzed by dividing 6 colleges. For the method of analysis, Excel macro program produced by Prof. Kim Kyu-tae’s research team was used as network analysis method to extract key words and word cloud image and the keyword network was analyzed by Ucinet and Netdraw. The extracted keywords were classified as the final 8 categories: lecture environment, lecture material, lesson management, how to explain, interaction, the characteristic of professor, evaluation and oth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greatest number of comments in How to explain for both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nd these both groups take account of How to explain most.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it should put emphasis on explanation that considers the level of students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analyzed result of lecture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 of professor and lesson management suggests that it’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 if the professors give careful attention to the opinion of students. To review it by each college,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howed lowest consistency for the opin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t means that it’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gap in recognition between both groups in terms of setting direction for lecture improvement.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 및 요구

        민혜리(Hyeree Mi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이 연구는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수 대상의 교수법 교육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한 교수자들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과 요구 및 특성별 경험과 요구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속될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과 활용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A대학교에서 2015-2018년에 개발한 7개의 교수법 콘텐츠를, 2017-2019년에 걸쳐 수강한 83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수들은 자기 계발 목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고, 콘텐츠 전반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개인 학습으로 교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저항이 낮다는 점과 온라인으로 반복적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온라인 콘텐츠의 장점으로 꼽았다. 내용구성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영역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전달,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학습자 간 상호작용 촉진, 적절한 난이도, 최신 경향 반영, 적절한 분량, 적절한 제시 순서와 속도, 윤리적인 구성이었다. 해당 영역에서 모두 수강한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가 현재 콘텐츠의 실행도 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교수자들이 개선의견으로 제시한 것은, 내용구성 영역에서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최신 경향 반영이었고, 사용편의성 영역에서는 안정적 재생, 이어보기 기능,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이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education for professo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content and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online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trategies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and needs of professors who have taken online teaching content. A university surveyed 83 professors who took the seve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between 2015 and 2018, and took them from 2017 to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professors often took online teaching content for self-development purpose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content, and cited the low psychological burden and resistance of education through personal learning, and the possibility of repeated learning online.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in content composition, the area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easy-to-understand delivery,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terest and motiv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ppropriate difficulty, reflection of current trends, appropriate presentation order and ethical composition. The importance level recognized by professors in the area was higher than execution level. In conclusion, opinions for improving online teaching content were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 the area of content composition, interest and motivation, and reflection of the latest trends. In the area of ease of use, there was stable playback, relay function, and location-independent.

      • KCI등재
      • KCI등재

        교수·학습 자격과정을 통한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질 관리 : 영국 대학의 사례

        민혜리(Min Hye-Ri)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이글은 교수·학습 질 강화를 핵심과제로 삼고 있는 영국의 고등교육 개혁 작업을 분석한다. 주요한 분석의 대상은 영국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평가사정국(Quality Assurance Agency for Higher Education)의 인증을 받아 운영하고 있는 고등교육 교수·학습 자격과정 혹은 학위과정이다. 이 과정은 그간 대학교육에서 연구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시되어왔던 교수자의 교육능력을 관리·훈련하는 전문적 과정이다. 뿐만 아니라 영국에서 최근 추진하고 있는 강의능력 향상을 위한 국가기구(Teaching Quality Academy)와 강의에 대한 새로운 국가전문기준(professional national teaching standard) 마련 작업의 기초가 되고 있다. 이같이 영국 대학에서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간 연구에 비해 중요성이 저평가 되었던 대학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한국의 교육개혁 작업에서 놓치고 있는 강의 현장의 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reformation of English higher education regards the inten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quality as a main theme. This is a thesis which analyzed the process of such reformation. The main object of this analysis is a qualifying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system which is being operated under the authentication of Quality Assurance Agency for Higher Education. This curriculum is a process to manage and to improve the teachers' teaching capabilit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researching capability. In addition this process is becominga basis to found the Teaching Quality Academy which is lately promoted by English government to improve teaching ability and to get a new professional national teaching standard for lectures as well. Considering the effort which the English have ha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it might be a chance for Koreans to take another look at the importance of college education which has been disregarded. Furthermore this will be a start to expedite the progress of changing atmosphere at the scene of teaching which has been also missed in Korea.

      • KCI등재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강의의 특성 연구

        민혜리(Min, Hyeree),이희원(Lee, Hee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practice in universities. After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30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in Korea, and 2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s universities as well,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or good teaching. The results commonly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lectures, teaching skill of faculties, motivation of active learning and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were important elements for good teaching. It was noted that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included professionalism of contents knowledge, enthusiasm and sincerity of the faculty giving the lecture, whereas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s universities proposed the addition of interdisciplinary subjects, content knowledge, intimate rapport with students and faculty, and care and understanding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 universities considere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student learning support systems of tutorial and peer-advising were essential requisites for good teaching.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좋은 강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간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특히 현재 대학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입장에서 어떤 강의를 좋은 강의로 생각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실제로 수업개선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은 국내 대학에서의 수업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우리 대학 수업에서 미진한 부분이 무엇인지 세부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대학에서 함께 수강 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강 경험에 대한 자료를 통해 각각의 좋은 강의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및 국외 강의를 함께 수강한 학생들이 지적한 좋은 강의의 공통적 요소는 수업 내용, 교수의 수업 운영 기술, 과제와 평가, 학생 참여적 수업 유도, 학생 간의 교류 촉진이라 답하였다. 그러나 이 공통적 요소들의 세부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국내 대학 수강에서는 수업 내용의 요소로서‘교수의 전문성’과‘교수의 성실과 열의’를 꼽았는데 비해 해외 대학 수강에서는‘학제 간 연구를 시도하는 강의’와‘연구에 필요한 실질적 내용 제공’을 좋은 점으로 꼽았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국내 대학‘질문을 통한 지적 자극’을 꼽은데 비해 해외 대학은‘교수-학생의 수평적이고 친숙한 관계’와‘학생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를 꼽았다. 기타사항으로는 해외 대학 수강 학생들은‘수업외의 특강이 있다는 점’과‘많은 정보가 담긴 수강편람’이 매우 좋은 강의요소라고 꼽았다. 특히 해외 대학 수강의 경우 수업외적인 요소로‘Tutorial System을 통해 학생에 대한 관리 및 학생지도를 한다’ 와 ‘Peer-Advisor를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에 도움을 준다’를 매우 좋은 수업지원제도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민혜리(Hyeree Min),금선영(Sunyoung Keu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K-MOOC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 64명을 대상으로 묵(MOOCs)의 교육적 목표와 그 활용에 관한 미시적 쟁점과 거시적 쟁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들은 묵(MOOCs)의 교육적 목표를 교육 방법의 혁신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묵(MOOCs) 이수증 발급이 학위 제도의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는데, 이는 묵(MOOCs)을 보완재로서 인식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K-MOOC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K-MOOC의 파괴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묵(MOOCs)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이에 따라 K-MOOC 활용을 위한 제도적 정비와 대학 간 공동 개발의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 universities education specialists and seek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OCs. To investigate this, 64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pecialists were surveyed about the educational goals of MOOCs and their perception of micro and macro issues. As a result,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zed MOOCs educational goals as an innovation of education methods. Also, negative acknowledgment that issuance of certificates would cause confusion in the degree system, which is interpreted as a tendency to recognize MOOCs as a complementary material. On a macroscopic level, overall outlook was negative for K-MOOC. However, since K-MOOC is highly perceived to be subversiv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using MOOCs. Accordingly, it suggest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utilization of K-MOOC and the possibility of joint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 KCI등재

        한국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인지, 자극, 통합 프로그램 중심으로

        민혜지(Min, Hyeji),장진경(Chang, Jinky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정상인지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치매예방 프로그램들의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77편에서 추출된 총 184개의 효과크기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g=0.85)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법에 따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극중심 접근법, 통합적 접근법은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였고, 인지중심 접근법은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인지중심 접근법과 통합적 접근법은 자아존중감에서, 자극중심 접근법은 치매예방행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인지중심 접근법은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극중심 접근법은 총 교육기간이 17주 이상일 때, 총 회기 수가 41회기 이상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통합적 접근법은 주당회기 수가 주 2회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은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정책적 활성화와 둘째, 자극중심 접근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과,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접근법에 따라 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운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ze of overall effect and moderator variable-dependent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total 184 effect sizes extracted from 77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9. First, we foun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as large (g=0.85). Second, by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stimula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led to a large effect size and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led to a intermediate effect size. Third, by comparing the sizes of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self-esteem, wherea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Fourth, by comparing the effects across the duration of education for each approach,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total duration of education was 17 weeks or longer,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41 or more,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integra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wo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Coll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three lessons: 1)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in policy level; 2) a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program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pproach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한국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ICF를 기반으로

        민혜지 ( Hyeji Min ),장진경 ( Jinkyung Ch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증가하는 치매환자로 인해 사회·경제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지·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9년 4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서 추출된 총 92개의 효과크기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하였고,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를 이용하여 종속변인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종속변인에서는 소화계, 대사계 및 내분비계 기능일 때, 조절변인에서는 여성 집단 대상일 때, 집단 크기가 11∼20명일 때, 총 교육기간이 17주 이상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예방을 위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하며, 관련 지원들은 성별구성, 집단크기, 총 교육기간에 따라 달리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성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 기반의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실무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활용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추후 프로그램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wing numbers of dementia patients cause social and economic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CI. Total 92 effect sizes were put to the meta-analysis after being extracted in dissertations for a master’s or doctor’s degree and academic journals in the nation until April, 2019. 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based on ICF. The findings show that the physical activity-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recorded a huge effect size. It was the most effective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digestive, metabolic, and endocrine functions, the moderator variable of female group, the group size of 11-20 people, and the total duration of education at 17 weeks or longer.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introduce active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prevent dementia and propose that related supports should vary according to gender composition, group size, and total duration of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evidence base by determining the objective usefulnes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the physical activity bas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urthermore, it provided the grounds for the use of the program on working sites and suggested the applicativ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the future.

      • 대학의 `실습·실기 수업평가` 문항 개발

        민혜리(Min, Hye-ree),김진호(Kim, Jin-ho)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실습·실기 수업’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실습·실기수업’ 평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그간 강의평가 문항 개발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강의식 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개발이 이루어져서 실험실습이나 세미나, 모의상황, 역할연기 등의 다양한 수업 형태를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수업 형태에 따른 교수의 수업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습·실기 수업’평가 문항을 포함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국내 15개 대학의 강의평가 설문지를 토대로‘ 실습·실기수업’평가 문항 1차 델파이 설문지(89문항)을 만들어 교육학 전문가 10명, 전국대학 교수학습센터와 학과 경력이 있는 실무자 5명, A대학 교수 5명, 총 20명의 응답으로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선정된 10개 문항 외에 전문가 토의와 A대학 검토 의견을 토대로 추가 문항 14개를 더 선정해 총 24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실제 ‘실습·실기수업’의 강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어휘를 다듬었다. 설문문항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24개 문항을 포함한 강의평가 설문지를 만들어 A대학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24개 문항에 대한 평균 적절성 정도는 3.98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도 내적일치도 계수 .987 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실습·실기 수업’이 수업의 중심이 되고 있는 학과나 전공영역에 개선된 강의 평가 문항 적용을 통해 향후 합리적인 강의평가 제도 정착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questions which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and performance courses.”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designed 1st delphi questionnaire which pertain to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courses” evaluation (89 items). The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from 15 domestic universities. Selected questionnaire items include evaluation questions on “practice and performance courses.” The survey was done to 10 educationalists, 5 executives who have career 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from national universities, and 5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Total number of subjects is 20 and the delphi research was operated twice. Researchers selected 24 items in total. 10 items were chosen from 1st and 2nd delphi research and the other 14 items were chosen by experts discussion and opinions from A university. Vocabularies were modified in order to apply to the evaluation questions of actual “practice and performance classes.” For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survey was conducted to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f A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average adequacy of 24 items scored 3.98 which is high. Reliability analysis result also appeared to be hi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987.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logical course evalu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items to the departments or major fields that “practice and performance courses” are cent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