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 간 관계에서 중간관리자 전략 활동의 조절효과

        문혜선(Moon, Hye-Seon),이상명(Lee, Sang-Mye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3

        기업가적 지향성은 기업의 성장 및 성과 제고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나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조절하는 외부적 요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떠한 기업 내부의 요인들에 의해 성과 제고를 촉진하게 되는지, 즉 기업가적 지향성-성과 간 관계의 조절요인으로서 기업 내부 요인에 중점을 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 내부의 실행 활동 측면에서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을 성과로 실현하는 내부 전략 활동의 주체로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크게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로서의 역할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실행자로서의 역할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간관리자가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 및 실행자로서 경영자 및 부서원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세부 전략 활동을 규명하고, 각각의 전략 활동이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중간관리자가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로서 전략 수립 과정에 참여하여 관련 내・외부 정보를 전략 수립에 반영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을 부서원과 공유・확산하는 활동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실행자로서 중간관리자가 새로운 전략 대안을 제시하고, 실행계획의 환경 적합성을 높이며, 부서원의 혁신활동을 촉진하는 활동은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더욱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firms’ performance was discussed in many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 how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tributes to firms performance in terms of internal process and activities remains unanswe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internal activities which impact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role of middle managers as a main agent of strategy implementation. We also examined strategy activities that middle managers conduct to exp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op management team to employee and to do entrepreneurial implementation by themselv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stream manag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We then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for the moderating impact of middle managers’ strategy implem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According to results, middle managers’ strategy activities to exp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op management team to employees, such as participating in strategy formulation, transfer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ideas from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and communicating with employees about organizational purposes and strategic prior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relationship. Strategic activities of middle managers as an main agent who implement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uch as suggesting altenative strategy, searching for new opportunities from outside, adapting strategy to environmental change, and encouraging innovative activities of employees, also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 KCI등재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 조직학습, 사회적 자본, 성과와의 관계 분석

        문혜선 ( Hye Seon Moon ),이상명 ( Sang Myung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1

        기업가적 지향성은 기업의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서 그동안 기업가정신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업가적 지향성은 성과 창출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업의 행동이나 실행과정이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기업의 태도 및 경향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성이 어떤 구체적 실행과정을 거쳐 성과로 실현되는지, 그 경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관련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떤 실행과정을 통해 기업 성과로 창출되는지를 조직학습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논의하였다. 또한 기업이 조직학습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조직학습의 매개효과를 촉진하는 기업 내부의 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직학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은 조직학습 실행과정을 통해 기업 성과로 실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업 내부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이 기업가적 지향성이 조직학습을 매개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측면은 기업가적 지향성을 바탕으로 조직학습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조절효과를 갖지만,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측면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a major factor that contributes to firms`` performances.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s. Howev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managerial attitude that gives a firm a basis for strategic decisions and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entrepreneurial action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n how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tributes to firms`` performance. Henc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which process mediat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learning. We also try to discuss which facto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firms`` performance. Particularly, we focus on internal factors of firms as moderating variables becaus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ften depends on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y i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So, we discuss internal social capital such as structural social capit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as moderating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It implies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no direct impact on performances but impacts on firms``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an be implemented and integrated during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Firms can also transf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to action and create new knowledge by the process. So, the performance of a firm depends on how it implements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ely.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firms focus how to encourage organizational learning as well as how to rais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r their growth and better performance. Specificall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o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are limited need to commit their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ir performance. Next, in term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 structural social capital which means the pattern of networks between employees and division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firms`` performance, while relational social capital which includes network strength and trust between employees and divisions has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This result implies that neither the number of employees who attend meeting and internal relationship nor the number of meeting has no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firm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that includes strong bond and trust between employees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erformance. Therefore, the higher relational social capital, it facil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erformance. Hence, firms are recommended to focus on strengthen the quality of intra-organizational relationship and trust between employees rather than on increase the number of meeting and employees who attend intra-organizational relationship for better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al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업의 연구개발 협력 현황 및 수요 분석

        문혜선(Hye-Seon Moon)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2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연구개발 주체들 간 연구협력을 통한 지식의 확산 및 공유는 국가의 혁신 성과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 결과 최근에는 연구협력 건수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 기업들의 연구 협력 현황 및 수요를 분석한 결과는 공공 및 대학부문과의 연구협력이 기업의 혁신에 미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특성별로는 첨단기술 산업분야의 대기업이 계열사 등의 관련 기업과 연구협력을 수행한 경우에만 협력의 성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협력 활성화 정책은 기업의 연구협력 수요에 바탕을 두고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어 야 할 것이다. In knowledge-based economies, the facilitation of knowledge diffusion among R&D performing actors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has strived for revitalizing R&D partner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since 1970, but results of KIS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analysis show that R&D cooperation with public institute or academic sector are not a great help to Korean firm's innovation on the whole. Especially,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 R&D partnerships with public sector do not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novation. This implies policies of activating R&D partnership should be formulated based on firm's cooperation demand. In addition to this, discriminatory cooperation plans between large firms and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re needed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R&D partnership.

      • KCI우수등재

        대학-기업 간 연구개발협력에서 불확실성, 협력 관리시스템, 기업의 혁신 성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

        문혜선(Hye Seon Moon)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2

        R&D co operations with universities are key factors for innovative firms to get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innovation from outside. However, there are high relational uncertain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and firm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ir objects, missions, and cultur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its early stage or in generic knowledge also causes high technological uncertainties in R&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firms. These technological and relational uncertainties are the main challenging factors for the firms who are cooperating with universities, and therefore, it is crucial for the firms to strategically cope with these challenges and to effectively manage the proces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the co operations with universities. Hence, this paper discusses two management systems,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and control system, which deal with these uncertainties and manage the implementation of R& Dcooperations with universities. Two management systems and their impacts on the innovative outputs of firms were analyzed. Technological uncertainties, relational uncertain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firms were employed to discuss their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anagement system and firms` innovation outputs. According to the results,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rather than control system has apositive impact on raising firms` innovation outputs in R&D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Especially, two management methods,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managers of each organization and horizontal influence between partners, are considered crucial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s of the alliances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When technological and relational uncertainties are high,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exert more influence on firms` innovation outputs than control system, and therefore, firms are recommended to focus on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technological and relational uncertainties are low, control system has more effect on firms` innovation outputs than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and accordingly, firms are needed to concentrate on control system. Firms are also guided to put emphasis on the optimal combination of reciprocal adjustment system and control system when the levels of uncertainties are different.

      • KCI등재후보

        국가기술사업화지표 개발 방안 연구

        최성호(Sung-Ho Choi),문혜선(Hye-Seon Moon)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1

        최근 국가 연구개발 활동에 있어서 연구개발 성과의 측정 및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사업화는 연구개발의 결과물을 최종 경제적 성과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 연구개발 활동의 경제적 기여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가 R&D 정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기술사업화의 현황 및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한 국가기술사업화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는 기술사업화 활동, 협력 및 네트워크, 기술사업화 성과, 기술사업화 환경, 심리지수의 다섯 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문의 지수는 각각 다섯 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지표는 우리나라의 기술시장 및 사업화 정책 수립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서 기술사업화 현황 및 수준, 예측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Recentl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as been the focus of technology promotion policy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develop a composite indicator for measuring trends and prospects of nat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rough integrating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to easily understood formats. The indicator is composed of five sector indicators including activity, cooperation or networking, performance, environment, and psychology indicators, each of which aggregates five individual variables. The statistical method of standardizing and weighting variables in the aggregation process are also mentioned. This indicator is expected to be a useful monitoring and policy tool for the Korean technology marke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