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短縮語形成に影響する音韻的要因について -重子音における有標性を中心に-

        문창윤 ( Moon Chang-yun ),구마가이가쿠지 ( Kumagai Gakuj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6 No.-

        이 논문에서는, 형태소 경계에 위치하는 중자음(촉음)의 유표성이 일본어 단축어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단일어의 경우, 무성저해음 뿐만 아니라 유성저해음도 중자음을 구성할 수 있지만(예:/kjappu/, /heddo/), 접근음은 중자음화되기 어렵다. 한편 복합 단축어의 경우에는, 무성저해음이 가장 많이 중자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예:/nikkado/). 그러나 촉음을 포함하는 복합 단축어의 예가 매우 적고, 복합어를 구성하는 요소에 따라서는 특정한 패턴으로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형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촉음이 단축어에 유지되는 패턴(예:/niQkeru/+/kadomiumu/→/niQkado/, /Q/는 중자음의 첫 번째 요소)과, 촉음 대신 촉음 바로 뒤에 위치한 자립박이 단축어에 포함되는 패턴(예:/neQto/+/geemu/→/netoge/)을 사용하였다. 일본어 모국어 화자에게 가상 복합어와 두 단축 패턴을 제시하고, 단축 시 더욱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패턴을 한 가지만 고르게 하였다. 실험 결과, 무성저해음으로 구성되는 중자음의 허용도는 가장 높은 반면, 접근음은 가장 회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래 일본어의 고유어에만 적용되는 음운 제약이, 화자의 어휘부에 존재하지 않는 외래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자음의 공명도가 높을수록 중자음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유표성 계층(Podesva 2002; Kawahara 2007)이 일본어 단축어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consonant gemination in truncated compounds of Japanese loanwords. In this language, voiced and voiceless obstruent geminates can be observed in lexical simple loanwords (e.g., /kjappu/ ‘cap’, /heddo/ ‘head’), while approximants can hardly be geminated, on the one hand, and truncated compounds allow only voiceless obstruent geminates (e.g., /nikkado/ ‘nickel cádmium’; /wetti/ ‘wet wipes’), on the other hand.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erimentally examine whether voiced obstruent and approximant geminates are less likely to appear than voiceless geminates. There are two main types of truncated patterns of compounds whose first element contains the first part of a geminate in the second-initial mora. The first type contains the first part of the geminate (e.g., /niQkeru/ ‘nickel’ + /kadomiumu/ ‘cádmium’ → /niQkado/ ‘nickel cá dmium’) (‘Q’ represents the first part of the geminates). The second type avoids gemination and instead contains the third mora (e.g., /neQto/ ‘Internet’ + /geemu/ ‘game’ → /netoge/ ‘computer game’). Our experiment prepared twenty-seven new compounds with a nonce word in the first element and a real word in the second one (e.g., /seQtarisu/ + /panorama/ ‘panorama’) and asked thirty-two native speakers of Japanese which of the two patterns (/seQpano/ vs. /setapano/) would be preferred. The results showed that voiceless geminates were the most acceptable, while approximant geminates were the least acceptable, and voiced geminates came in the middle. A possibl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voiceless and voiced obstruents is that the truncation process of loanwords can be affected by the constraint working in native words of Japanese that voiceless obstruents are much more likely to occur than voiced ones.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voiced obstruents and approximants can be accounted for by the markedness hierarchy of sonority in gemination that the higher the sonority i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become a geminate (Podesva 2002; Kawahara 2007). This is why more sonorous consonants (i.e., approximants) were less acceptable than less sonorous ones (i.e., voiced obstruents).

      • KCI등재

        재일차세대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간사이 지역 앙케이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

        문창윤 ( Moon Changyun ),하승빈 ( Ha Sung-b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8

        일본은 재일한국인(조선족을 포함)들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이며, 그 중에서도 긴키지방은 재일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현재 재일한국인은 올드커머(1965년 이전 정주자)가 4~5세대에 이르고 있고, 뉴커머(1965년 이후 정주자)도 3세대 째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차세대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재일한국인의 수요를 파악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039명의 재일한국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약 97%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한국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한국어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기존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이 현재보다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6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일한국인이 자신의 정체성에 많은 관심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양질의 한국어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Japan has the largest number of Zainichi Korean (including Chosen nationality), and Kinki is the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Zainichi Korean. The descendants of Koreans living in Japan since before 1965 (“Oldcomers”) have reached the fourth to five generation, and the “Newcomers” (coming from Korea after 1965) have reached the third genera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next generation of Zainichi Korean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mother language) and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To achieve our research goals, we conducted a large-scale survey with 1,039 Zainichi Korean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97% of the respondents believ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very necessary. The respondents also pointed out that the reason is because it helps to maintain the identity as a Korean. In addition, about 60% of the respondents sai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at the exis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provide Korean language classes. These results not only reflect Zainichi Koreans' high interest in their “Identity” as Koreans but also suggest a high demand for qu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고령의 대퇴전자간 분쇄골절 치료 시 내고정술과 인공관절 반치환술간의 임상결과 비교

        문창윤 ( Chang Yun Moon ),지종훈 ( Jong Hun Ji ),박상은 ( Sang Eun Park ),김영율 ( Young Yul Kim ),이세원 ( Se Weon Lee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고령 환자의 불안정성 대퇴전자간 골절에서 무작위로 전향적으로 시행한 내고정술과 고관절 부분 치환술간의 연령별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0세 이상 고령에서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로 내고정이나 고관절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62예에 대해 최소 12개월(12개월~36개월) 추시 관찰하여 SF-36을 통해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내고정을 시행한 군은30명,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군은 32명이다. 임상 결과 분석은 SF-36을 이용하였으며 SPSS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70대에서는 동통, 파행, 보조기 사용 여부 항목에서 부분 치환술 군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80대에서는 파행 항목에서만 부분 치환술 군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나머지 항목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고정군에서 고정물 실패가 4예 있었고, 부분 치환술 군에서 감염에 의한 실패가 2예, 탈구로 인한 재치환술이 2예 있었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 시 내고정술보다 초기 안정성으로 동통이 적고 조기 기동이 가능한 고관절 부분 치환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prospectively randomized surgeries between internal fixation and hemiarthroplasty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62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at underwent internal fixation or hemiarthroplast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the clinical outcomes with using the SF-36.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internal fixation and 32 cases were treated with hemiarthroplasty. The clinical outcomes, as assessed by using the SF-36,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Hemiarthroplasty show a better result than internal fixation for pain, limping and the support scales in the 70~79 years old group, and the limping scale was also better in the over 80 years old group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age. Four cases of internal fixation failed due to loss of fixation (3) and nonunion (1), and 4 cases of hemiarthroplasty failed due to infection (2) and revision for dislocation (2). Conclusion: Primary hemiarthroplasty should be more beneficial than osteosynthesis, such as performing internal fixation,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because of the reduced pain and early ambulation that are due to the early stabilization.

      • 수부의 외상성 중수지 관절 탈구의 치료

        이승구,송석환,이주엽,문창윤,오재찬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수부의 중수지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이 필요했던 예에서는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에 대해 분석하고 도수 정복이 가능했던 예에서는 성별 및 탈구 형태에 따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27예의 수부 중수지 관절 탁구 환자 (무지 11예, 이지 14예, 소지 2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탈구된 중수지 관절의 정복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수술시에 확인을 하였으며,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던 예들에서도 연령과 손상된 구조물, 그리고 최종적인 임상 결과를 평균 7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 무지 중수지 관절의 탈구 11예 중 파열된 전방 관절낭, 수장판과 단무지 굴건의 파열을 동반한 복합 탈구가 8예 있어 관혈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만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관절염이 있던 1예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수지의 중수지 관절의 탈구는 Kaplan의 개념에 따라 탈구를 수술 정복하였고 파열된 수장판을 복원하였으며, 1예에서 수술시 표재 중수 횡인대만의 절개와 이완으로 정복할 수 있었다. 소지 중수지 관절 탈구의 2예에서 파열된 요측 측부인대가 수술시 관찰되었고 이를 복원하여 수지의 불안정성을 예방하였다. 이들의 최종 결과는 특별한 운동 제한이나 불안정성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적절한 국소 마취하에 도수 정복을 1~2회 시행할 수 있지만 단순 정복이 가능한 탈구가 부적절한 견인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복합 탈구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탈구는 대부분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복 방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Purpose : To analyse the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for disloca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MP) joints of the hand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and dislocation type in closed reduction case.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27 cases of MP joint dislocation of the hand (11 cases of thumb, and 14 index and 2 little fing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atomical structures to prevent the reduction were confirmed at operation and the cases which were reduced immediately were also analysed for their ages and differences of damaged structures, and finally their complications or outcome were reviewed for average 7 months after reduction. Results : In 11 cases of thumb MP joint dislocations, the complex dorsal dislocations in which the protruded metacarpal neck was caught by buttonhole of torn anterior joint capsule, volar plate and FPB were reduced by open method in 8 cases, and closed reduction was done in 2 cases but one old case required arthrodesis. In other finger MP joint dislocations, the Kaplan's concept to prevent the reduction was confirmed. But reduction of torn volar plate and incision of transverse metacarpal ligament were sufficient to reduce the dislocation with gentle longitudinal traction during the operation. In two cases of little finger MP joint dislocation, the ruptured radial collateral ligaments were noted after open reduction and it must the repaired to prevent the finger instability later. Their overall end results were good without any significant restriction of MP joints motions and finger instabilities. Conclusion : One or two times of closed reduction with proper local anesthesia could be tried, but simple reducible dislocation can be converted to complex irreducible ones by the inappropriate traction method, and so proper reduction technique by closed or even in open way is important with the knowledge of anatomical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 수부의 외상성 중수지 관절 탈구의 치료

        송석환,오재찬,이승구,이주엽,문창윤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수부의 중수지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이 필요했던 예에서는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27예의 수부 중수지 관절 탈구 환자 (무지 11예, 인지 14예, 소지 2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탈구된 중수지 관절의 정복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수술시에 확인을 하였으며,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던 예들에서도 연령과 손상된 구조물, 그리고 최종적인 임상 결과를 평균 7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동반한 복합 탈구가 8예 있어 관혈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만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관절염이 있던 1예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수지의 중수지 관절의 탈구는 Kaplan의 개념에 따라 탈구를 수술 정복하였고 파열된 수장판을 복원하였으며, 1예에서 수술시 표재 중수 횡인대만의 절개와 이완으로 정복할 수 있었다. 소지 중수지 관절 탈구의 2예에서 파열된 요측 측특별한 운동 제한이나 불안정성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적절한 국소 마취하에 도수 정복을 1 ~ 2회 시행할 수 있지만 단순 정복이 가능한 탈구가 부적절한 견인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복합 탈구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탈구는 대부분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복 방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색인단어:253 ※통신저자: 이 승 구 150-71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번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정형외과 전화e-mail: cmcos@catholic.ac.kr 254 y 대한골절학회지 / 제16권 제2호

      • KCI등재

        Brief Review on Iron-based Superconductors: are There Clues for Un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오형주,문지수,신동한,문창윤,최형준 한국초전도학회 2011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13 No.2

        Study of superconductivity in layered iron-based materials was initiated in 2006 by Hosono’s group, and boosted in 2008by the 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 of 26 K in LaFeAsO1-xFx. Since then, enormous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materials, with Tc reaching as high as 55 K. Here, we review briefly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ults on atomic and electronic structures and magnetic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FeAs-based superconductors and related compounds. We seek for clues for un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in th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