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의 양극성 인공골두 치환술시 전자 골절편의 내고정법

        김원유 ( Weon Yoo Kim ),한창환 ( Chang Hwan Han ),지종훈 ( Jong Hun Ji ),영율 ( Young Yul Kim ),이교선 ( Kyo Sun Lee ),이세원 ( Se Won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1

        목적: 고령의 대전자간 골절편을 포함한 전자간 골절이 있는 환자의 인공골두 치환술을 시행하는데 있어 대전자부 골절편에 대한 고정방법을 후향적 연구를 통해 이를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전자부의 부착이 문제가 될 수 있는 Boyd-Griffin 2형과 4형이었으며, 3가지 내고정방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첫번째 인장 강선을 사용하였던 예가 18예, 두 번째로 K-강선 및 변형된 인장강선을 사용한 예가 7예, 세번째로 GTRD (Greater Trochanteric Reattachment Device)를 사용한 예가 15예이었다. 결과: 첫번째 방법은 간편하게 대전자부를 고정시켰으며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두번째 방법은 수술 시 단단한 고정력을 얻었으나 술 후 조기 보행 시 몇 예에서는 고정의 실패 뿐만 아니라 K-강선의 전위가 초래되어 2예에서 K-강선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였다. 세번째인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술기가 어렵고 수술시간이 길어 고령의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술 후 조기 재활이 가능하였으며 추시 상 임상적 결과도 우수하였다. 결론: 전자간 골절에서 인공골두치환술 후 대퇴부 골절편을 내고정하는 방법 중 인장 강선 방법과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인 GTRD를 사용했던 례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골다공증이 심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권유될 수 있는 방법으로 술기가 간단한 인장 강선을 이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compare the fixation methods for reattaching a trochanteric fragment in a p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cases of an unstable femur pertrochanteric fracture were analyzed and followed up for average of 19(6~40) months. There were 18 cases fixed with tension band wiring (group 1), 7 cases treated using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with K-wires (group 2) and 15 cases treated with the GTRD (Greater Trochanteric Reattachment Device) (group 3). Result: Group 1 was treated with simple a surgical procedure and the results were good. The second group had firm fixation postoperatively but required additional surgery in two cases to remove the K-wires because of wire migration after ambulation. Group 3 had relatively good results but required more dissection and a longer operating time. Conclusion: Tension band wiring or GTRD are good fixation methods for reattaching trochanteric fragments in pertrochanteric fractures. Moreover, tension band wiring is recommended for old osteoporotic patients due to a simple procedure and firm fixation. The use of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using K-wire or a Steinmann-pin should not be used due to the possibility of distant mig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DHS를 이용한 안정형 전자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수술

        김원유 ( Weon Yoo Kim ),박상은 ( Sang Eun Park ),지종훈 ( Jong Hun Gi ),윤종성 ( Jong Seong Yoon ),영율 ( Young Yul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3

        목적: 안정형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시행한 활강 압박고나사 내고정술의 술식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기존 고전적 방법과 비교하여 이러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전자부 골절로 본원에 내원하여 압박나사못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방법으로 압박활강 나사로 고정한 16명과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수술한 16명을 나누어 이에 대한 역행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녀비는 11: 21이였고, 평균 연령은 73.2세였다. 수술시간, 실혈량, 술 후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를 측정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HH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골 유합은 술후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은 고전적 방법은 69.3분, 최소 침습적 방법은 42.5분으로 관찰되었고, 실혈량에서는 기존 방법으로 수술시 hemovac으로 배출된 총 혈액은 평균 640cc의 실혈이 있었으며, 최소 침습적 압박나사 고정술에서 는 평균 143 cc의 실혈을 보였다. 임상적 결과로서 술후 HHS는 최종 추시시 평균 85.9점, 89.2점으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방사선학적 소견상 불유합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론: 고관절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침습적 수술법은 안정형 골절에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의 감소를 보이면서 고정술의 약화나 골절 치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저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좋은 술식으로 생각 된다. Purpose: To report the surgical skills needed, and the clin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hip surgery with dynamic hip screw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ho were treated with dynamic compression hip screws between April 1999 and March 2004, and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16 cases were treated with a classical dynamic hip screw technique and 16 cases with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in random order. The mean age was 73.2 years, and there were 11 males and 21 females. The operative times, total hemovac bleeding loss, functional scores, and average hemoglobin decrease ratios were evaluated. The clin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Harris Hip Score (HSS) and bony union was evaluated with serial follow-up plain radiographs.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was 63.9 minutes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42.5 minutes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e total average hemovac blood loss was 640 cc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143 cc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Clinically, the HHS was an average of 85.9 and 89.2 in groups 1 and 2, respectively, by the last follow-up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hemoglobin decrease ratio was the same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nonunion.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dynamic hip screw insertion was useful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because it decreased blood loss and operative times; and there were no changes in fracture healing and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시 전방 골반환의 고정방법

        김원유(Weon-Yoo Kim),지종훈(Jong-Hun Ji),영율(Young-Yul Kim),양영준(Young-Jun Yang),이동엽(Dong-Youb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1

        목적: 골반환의 전방 고정을 외고정 또는 내고정술로 치료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3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방법으로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9개월(범위; 12-54) 이었고 type B는 도수정복 후 외고정기 고정술 또는 관혈적 정복 후 금속판 내고정술로 전방 고정을 시행하였으며 type C는 공통적으로 경피적 천장나사못을 이용한 후방 고정술을 시행 후 전방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외고정군은 16예, 내고정군은 17예였으며 각 군의 만족도는 Postel score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결과: 외고정군은 장기간 착용하는 불편함과 핀삽입부의 염증으로 인한 과다한 흉터 및 반흔조직 등 뿐 아니라 부정유합으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보행의 장애가 가장 큰 불편함으로 평가되었으며(Postel score 9.9; range, 8-11), 내고정군은 모든 환자가 양호 이상이었다(Postel score 11.6; range, 10-12). 결론: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의 경우 전방 고정 시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방법보다는 관혈적 방법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이룬후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치료결과가 더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reviewed the clinical result of two techniques of anterior fixation method for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which are external and interna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3 cases which had been operated from September 1998 to February 2003. Mean follow-up period is 29 months (range, 12-54 months). Previous to anterior fixation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was applied on iliosacral joint in Type C injury. After then plate and screw fixation were done in 17 cases and external fixation in 16 cases as an anterior fixation method. The patient's functional outcome was evaluated by Postel score and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as performed. Results: In external fixator group the complaints are long duration of application of external fixator, excessive scar formation due to pin tract infection, pain and discomfort (Postel score 9.9; range, 8-11) due to malunion. In internal fixation group all of them showed more than good result and satisfactory to the postoperative condition and clinically (Postel score 11.6; range, 10-12). Conclusio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echnique is better than ex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injured anterior pelvic ring in unstable pelvis fracture.

      • KCI등재
      • KCI등재

        불안정성 골반골절의 치료시 경피적 천장골 나사못의 수와 위치에 대한 비교

        김원유(Weon-Yoo Kim),지종훈(Jong-Hun Ji),권오수(O-Su Kwon),박상은(Sang-Eun Park),영율(Young-Yul Kim),문창윤(Chang-Yu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불안정성 골반골절에서 천장관절의 해부학적 정복 후 S1 혹은 S2에 천장골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한 뒤 나사못의 위치와 수에 따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천장관절 골절 및 탈구를 포함한 Tile 분류 C (AO/OTA)의 불안정성 골반골절 31예 중 16예에서는 S1에 한 개의 나사못을, 15예에서는 S1와 S2에 두 개의 나사못을 이용한 경피적 고정술을 시행하고, 평균 40.2개월의 추시 관찰을 하여 방사선학적 결과와 Majeed score와 SF-36을 이용한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40.2개월(12-76개월) 관찰상 S1에 단 한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한 군 중 5예에서 나사못의 변위가 있었으나 두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한 군에서는 변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시 좁은 안전영역을 보이는 경우 S1에 두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저자는 좁은 안전영역을 가진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 환자에게 S1과 S2에 나사못을 고정하여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불안정성 골반환의 정복과 고정을 위한 두 개의 나사못을 이용한 경피적 고정술은 효과적이고 믿을만한 방법이며, 특히 좁은 안전영역을 가진 환자에게는 S1에 삽입 후 S2에 추가로 나사못의 삽입이 권장된다. Purpose: A closed reduction of the posterior arch and percutaneous fixation with S1 and S2 iliosacral (IS) screw was performed on an unstable pelvis fracture with a disruption of the sacroiliac complex.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he number of screws and their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Of 31 cases with an unstable pelvis fracture involving the sacral complex, classified as Tile type C (AO/OTA), 16 and 15 cases were treated with one 81 screw fixation and two screws fixation into S1 and S2, respectively, using a percutaneous fixation techniqu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12 months an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Majeed score and SF-36. Results: Five cases of screw displacement occurred in the one screw fixat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crew displacement in the two screws fixation group after a mean follow-up of 40.2 months. In the case of a narrow safe zone (iliac cortical density, ICD), it is impossible to fix with two 81 screws. However, in these patients, good clinical results were achieved with 81 and S2 were achieved with 81 and 82 screw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technique of two screws fixation is an efficient and reliable method for reducing and fixing the unstable pelvic ring disruptions. Additional S2 screw fix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a narrow IC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