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건강 성인에서 남녀별 및 생리주기에 따른 대장통과시간의 차이

        문일환(Il Hwan Moon),정혜경(Hye Kyung Jung),김도영(Doe Young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대장통과시간은 남자가 여자보다 빠르다는 보고가 많으나 남녀별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으며, 생리주기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도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변비나 설사가 없는 건강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방사선 비투과 표지자인 KolomarkTM를 이용하여 대장통과시간을 측정하여 남녀별 차이 및 생리주기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남자 21명(35±7세, 체질량지수 22.8±2.8 kg/m2 , 이하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함), 여자 21명(34±8세, 체질량지수 21.1±1.8 kg/m2)을 대상으로 방사선 비투과 표지자인 KolomarkTM를 매일 한 캡슐씩 3일 동안 복용시킨 후 4일과 7일째에 단순 복부 X-선 검사를 시행하여 대장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3일간 식이표를 작성하여 일일 평균 식이섬유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여성 대상자는 생리주기에 대한 문진과 함께 혈청 estradiol 및 progesterone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전 대장통과시간은 26.5±19.4시간이었다. 남자는 22.3±16.1시간, 여자는 30.1±21.4시간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전 대장통과시간이 짧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부위별로는 좌측 대장통과시간이 여자(12.5±10.7시간)가 남자(6.0±6.1시간)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0.05). 대장통과시간 측정시 황체기에 있던 여자는 10명으로 이들의 평균 전 대장통과시간은 40.9±19.0시간이었고, 이는 여포기에 있던 11명의 여자군(20.6±19.2시간)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0.05). 특히, 황체기군의 직장 및 S결장 통과시간은 18.7±11.0시간으로 6.1±7.9시간인 여포기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0.05). 식이섬유섭취량, 연령 및 체질량지수는 전 대장통과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혈청 progesterone 치는 황체기군이 4.9±5.0 ng/mL로 2.2±4.0 ng/mL인 여포기 여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대장통과시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건강한 성인에서 남녀별 전 대장통과시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황체기의 전 대장통과시간과 직장 및 S상결장 통과시간은 여포기에 비해 느림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Measuring of colon transit time (CTT) by radiopaque marker is simple, widely available and important for the diagnosis of slow transit constipation. In spite of recently increasing use of a domestically manufactured radiopaque marker, KolomarkTM in Korea, we lack normative data about CTT which can be obtained by KolomarkTM. Moreover, the effect of gender or menstrual cycle on CTT seems to be still controversial. We tried to measure CTT in healthy volunteers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gender and menstrual cycle on CTT. Methods: Forty-two healthy volunteers (21 M, 21 F) were recruited through a hospital advertisement. CTT was measured by a KolomarkTM, according to Metcalf's method. Average daily intake of dietary fiber was estimated and menstrual history was acquired from female volunteers whose serum progesterone and estradiole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esults: The mean total CTT of 42 healthy volunteers was 26.5±19.4 hours. The mean total CTT of male volunteers showed a faster trend than that of female voluntee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left CT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female volunteers than in male volunteers. The mean total CTT of 11 female volunteers in luteal phase (40.9±19.0 h)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10 female volunteers in follicular phase (20.6±19.2 h, p<0.05). The serum progesterone level, age, BMI and the average daily intake of dietary fiber were not correlated with total CTT. Conclusion: Even though total CT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volunteers, female volunteers in luteal phase showed more prolonged CTT than those in follicular phase. (Korean J Med 63:151-157, 2002)

      • KCI등재

        봉합사 장력과 임신예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진(Young Jin Moon),문일(Moon Il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방법으로서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이 1965년도에 소개된 이래 몇몇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높은 태아생존율을 얻었음을 발표한바 있다. 그러나 이 수술법은 그 수술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합병증이 많기 때문에 아직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지는 못하다. 더우기 아직 그 수술과정에 대한 표준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봉합사에 가해지는 장력에 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중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시 봉합사 장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장력이 자궁혈류 및 임신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함이며, 또한 저자들은 향후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시 응용될수 있는 봉합장력에 대한 표준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교실에서는 1989년 이래 7년간 65예의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을 임신중에 시행하였는데, 대상환자는 질식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받을 수 없었던 환자들이었다. 시술방법은 본교실에서 고안된 방법으로서 이는 Novy 가 처음 발표한 시술방법을 변형한것이다. 봉합사는 5mm-Mersilene band를 사용하였으며 자궁의 전면에서 매듭을 만들었다. 수술시행전 및 시행후에 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혈류를 조사하였다.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이 만삭임신에 도달하여 제왕절개술로 분만시, 향후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봉합사를 제거하여 이를 수집하였으며 그 길이를 측정한 후 보관하였다, 측정된 봉합사의 길이, 즉 봉합장력과 임신예후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봉합장력이 자궁혈류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환자중 현재까지 분만된 환자는 50명으로서 모두 56예의 분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중 제왕절개술시 21예에서 봉합사를 제거하여 수집 및 측정을 할 수 있었다. 21예에서분만된 예는 모두 27예 (6예에서 2회분만) 이었는데, 전 임신에서 모두 성공적인 분만을 하였다. 평균분만주수는 38.4주이었으며, 신생아의 평균 체중은 3178gm 이었다. 제거된 봉합사의 평균길이는 최소 5 cm, 최대 9.4cm 로서 평균 7.01 cm 로서 직경을 계산하면 평균 2.2 cm 이었다. 봉합사의 길이는 신생아의 체중과 관련이 있었으나 (r=0.602, p=0.004) 수술 시행전후에 도플러초음파를 동원하여 측정된 자궁혈류의 증감과는 관계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저자들은 우선 향후 임신시의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시 봉합사의 매듭에 대한 적절한 장력으로서 7cm 을 표준치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봉합사의 길이, 즉 장력이 신생아체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대단히 흥미로운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 2예의 자궁내발육부전아가 봉합사의 장력이 과도했던 경우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현단계에서 추론할 수 있는것은, 아마도 자궁경부를 과도하게 조여서 묶을 경우 임신시에 형성되는 자궁하절부(lower segment) 의 형성에 장애를 초래한 결과라고 추측할 수 있다. 최근 저자들은 봉합에 사용되는 Mersilene band 에 각 cm 를 표시한후 수술시 7.0cm 길이를 표준으로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세계적으로 임신중은 물론, 특히 지금까지 활발히 시도되고 있지 못한 임신전 복식자궁경부 봉합술의 시술시에도 큰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Objective : After introducing transabdominal approach of cervical cerclage since 1965,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fetal survival rate. However, this procedure has not been widely used because its complexity of procedure and serious complications. Furthermore, there is a dilemma on the strength of the cerclage bands knots. Yet, there is no standard guidance in this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egree of adequate tension on the knot when tying the cerclage band on the cervico-isthmic junction during post-conceptional transabdominal cerclage and to assess whether the strength of the band is associated with uterine blood flow or pregnancy outcomes. Study design : Sixty-five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s during pregnancy were performed for 7 years since 1989 in patients of incompetent cervix who could not be taken transvaginal cerclage.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our own technique, modified technique from original Novys procedure. The cerclage used a 5mm-Mersilene band and knot was placed on the anterior side. Pre- and post-operative uterine blood flow were evaluated with Doppler velocimetry. After cesarean section at term, cerclage bands were removed and collected for measurement of bands length if they do not want further pregnanc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ngth of cerclage, length of band and pregnancy outcomes wer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bands length on the uterine blood flow were also analyzed. Results : To date there have been 56 completed pregnancies in 50 patients. Among these, 21 cerclage bands were removed and collected for measurement of bands length. All pregnancies (27 pregnancies from 21 patients) were successful;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38.4 weeks (range: 37-43) and mean birth weight was 3178gm (range:2670-4370). Average length of cerclage bands was 7.01cm(range:5.0-9.4), thus diameter of cerclage bands was calculated as 2.2cm.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bands' length and birth weights (r=0.614, p=0.002).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uterine blood flow regardless of cerclage bands length. Conclusions : We suggest 7cm is adequate bands length when performing transabdominal cerclage during pregnancy. Uterine blood flow was not influenced by operation. It was interesting that bands length was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It seems that tightened cerclage might preclude the adequate formation of lower uterine segment during pregnancy. Recently we use the specific Mersilene bands after marking of each centimeter interval on it, and bands are tied with 7cm in length for adequate strength of the cerclage. We propose this result also could be used when performing the pre-conceptional transabdominal cerclag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