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환상성 및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문인정,이진희 啓明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2010 科學論集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fantasy-making predisposi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0 children aged 5. To measure playfulness, fantasy-making predisposi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hildren's Fantasy Inventory', 'Teacher Rating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were used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ehavioral self-regulation. Secondly, young children's acting like hero, a subscale of the fantasy-making predisposition, ha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subscale of the behavioral self-regulation. Thirdly, young children's humor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cting like hero from fantasy-making predisposition. Fourthly, it was found that social spontaneous, expression of joy, physical spontaneity and humor explained 47.6%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More specifically, social spontaneity, physical spontaneity, humor, expression of joy and cognitive spontaneity explained 40.5%of self-control, while cognitive spontaneity, spontaneity and expressive of joy explained 72.0% of self-assertion.

      • KCI등재

        토의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문인정 ( Moon In-joung ),최미숙 ( Choi Mi-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토의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의 2개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41명(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0명)이다. 토의중심 미술활동은 6주간(2017년 6월 26부터 8월4일까지) 총 15회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그 결과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은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가 또래와 상호의견을 나누고 조정하는 토의중심 미술활동이 중요하며, 이러한 토의중심미술활동을 통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ussion-centered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art disposi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ere 41 five-years-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of A attached kindergarten in G city, One of them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its sub-areas such as appropriateness of content, detailed description, originality, appropriateness of materials and tools and harmonious screen composition. Seco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nd its sub-areas such as art composition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attitude. Consequently, the discussion-centered art activities were effective methods in the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art disposi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화감상을 활용한 동시짓기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문인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etry₋creating activities using Korean paintings appreciation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and interest in reading. The subjects were 34 five-year-old children, and we performed 16 poetry₋creating activities using Korean paintings appreciation over seven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interest in rea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oetry₋creating activities using Korean paintings appreci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etry₋creating activities using Korean paintings appreciation can be used with various language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한국화감상을 활용한 동시짓기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이며, 실험집단 유아(남 8명, 여 9명)를 대상으로, 한국화감상을 활용한 동시짓기활동을 7주간 총16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화를 활용한 동시짓기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언어표현력 및 읽기흥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한국화감상을 활용한 동시짓기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언어활동의 한 방법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

        최미숙,문인정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related to school readiness. Subjects were 140 5-year-old young children at 5 kindergartens in A c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ree different kinds of questionnaires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school readiness. furthermor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ere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school readi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school readines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were related to their schools’ readines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와 어떠한 관계와 영향력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A지역 국공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40명을 선정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학교준비도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발달과정에 있어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해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을 높여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자녀 애착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 ( Choi Mi-sook ),고정완 ( Go Jeong-wan ),문인정 ( Moon In-j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부모-자녀 애착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G지역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06명을 선정하여, 부모-자녀 애착, 자기조절력, 문제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자녀 애착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회귀분석결과, 부모-자녀 애착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애착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단순회귀분석결과, 부모-자녀 애착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이 중요한 예측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attachment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children aged 5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ree private kindergartens in G city. The questionnaires were about parent-child attachment,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First, the parent-child attachment and the self-regulation of the young childre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rent-child attach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s. Second, parent- child attachment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parent-child attachment was found to be a meaningful predictor of child behavior problem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sub - variables was an important predi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