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PEPC-MS)’ 개념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문민권(Moon, Min Kwon),권성호(Kwon Sung Ho),심윤식(Shim Yun Sik)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PEPC-MS)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개념과 심리 역량 영역 및 하위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중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결과: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구조는 자기 성장 역량(하위 요인-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관리, 진취성, 전략적 문제해결력) 및 공동체 참여 역량(하위 요인-존중, 협력적 소통, 규칙 준수, 공동체 의식)과 같이 2개의 역량영역과 각 영역별 4개의 하위 요인 구조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측정도구는 자기성장 역량 4요인 18문항, 공동체 참여 역량 4요인 15문항으로 결정되었다. 결론: 연구에서 도출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의 개념과 구조를 통해 체육수업 현장에서 역량 개념 이해와 평가를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척도는 중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심리 역량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의미를 갖는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PEPC-MS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develop scale of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proven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em. Method: To derive psychological competency concepts, psychological competency areas and subfactor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14 professional groups. Based on this, 413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validated. Result: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 was two sub-factor structures, such as self-growth competency and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and to define the concepts for each domain and sub-factor. Specifically, sub-factors of self-growth competency consisted of positiv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initiative, and strategic problem-solving, and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were derived from respect, cooperative communication, rule complianc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18 items of self-growth competency and 15 items of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PEPC-MS scale. Conclusion: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competency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provided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competency concep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이 긍정심리에 미치는 효과

        권성호,문민권,이근철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ied with PST(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To that end, 342 first-year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group that applied PST program and group of control.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PST program,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pre-post measurement of positive emotion, resilience and internal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itive emotion, resilience, and perceived competence(internal motivation) scores of group participating in the PST program in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whil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nsiderin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measurement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for each variabl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ST training program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y. Through this study, we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PST, which is being conducted mainly on specific subjects,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원격체육수업 내적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 교사 피드백의 조절효과

        안지훈,문민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education(PE) class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remote PE classes conduct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verified how the intrinsic motivation(IM) and the level of teacher’s feedback(TF) perceived by students affected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interaction effect) of TF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M and PE class satisfaction, it was intend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in a special environment called remote PE clas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73 fifth and sixth grader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21.0 and SPSS 26.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First, IM for PE classes and TF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IM for PE and TF had a positive effect on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ion amount of the model that additionally inserted T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odel that only IM was inser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F on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was verified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the model that inserte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IM and TF.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feedback from teachers w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satisfy students in remote classes,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remote PE classes was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된 원격체육수업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 피드백의 조절효과(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여 원격체육수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수업의 효과성 제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173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21.0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은 각각 원격체육수업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은 원격체육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내적동기만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모형에 비해 교사피드백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의 설명량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모형의 설명량이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원격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교사피드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원격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 및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여성 감독’의 탄생: 미디어가 박미희/이도희 감독을 재현하는 양상에 대한 젠더 및 여성주의 관점의 비판적 논의

        서재철,문민권,박찬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여자 프로배구 V리그 흥국생명과 현대건설의 감독직을 각각 맡아 지도하고 있는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의 등장과 활동에 주목하고, 미디어를 렌즈로 삼아 그녀들의 등장이 한국의 스포츠 세계와 사회 속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이다. 무엇보다, 미디어가 ‘이야기’하는 박미희/이도희 감독의 모습, 표상, 이미지 등은 ‘여성’, ‘지도자’, ‘리더십’과 같은 주제와 현상들이 접합하여 관계 맺으며 만들어내는 젠더와 관련된 의미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는데 유익한 텍스트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가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러티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고, 그것을 다시 젠더와 여성주의의 관점 아래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필자들의 주장은, 미디어가 ‘여성(female)’의 성별(sex)을 가진 스포츠 지도자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을 이른바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특정한 집합적 표상으로 발명, 조탁, 주조한다는 것이다.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집합적 표상은 일련의 특정한 의미와 상징들이 조잡하면서도 일관성 있게 결합(discursive construction)되어 있는 하나의 상징적 주체인데, 그것은 크게 두 가지 내러티브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을 한 개인으로서의 전문인(지도자/감독)이 아니라 ‘여성(women)’으로 집단화하여 이야기한다는 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두 감독들의 외모, 성격, 특징, 리더십 등을 이른바 ‘여성적인 것(the feminine)’으로 프레임하여 묘사, 표현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하기’의 방식을 통해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상징적 주체의 탄생, 이것이 바로 ‘박미희/이도희 감독’이라는 텍스트가 미디어를 통해 우리에게 다가오는 문화적 의미의 핵심 골자이다. 만일, 가까운 미래의 언제부터인가, 스포츠 세계 속에서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기표가 마치 하나의보통명사처럼 이미지화되어 떠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아마도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에 대한 미디어의 내러티브가 그러한 ‘이야기하기’를 역사적으로 발원하여 추동시킨 계보학적 기원으로 회자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media describe, portray, and represent Mi-hee Park and Do-Hee Lee, female ex-volleyball players each of who has now played a role of head coaches in the Korean women professional volleyball league. In terms of method, this paper is informed by Susan Birrell and Mary McDonald’s Sport-Reading-Project, a critical and interpretive approach for exploring cultural meanings of sport-related individuals or incidents through mediated narratives at the articulation of power relations. Thus, we ‘read’ Park and Lee as cultural texts through which investigates how the capillaries of political, historical, social, cultural power lines are embedded, inscribed, and incorporated in terms of gender relations in Korea. Our argument is that the media discursively constructed Park and Lee as a mixed image of the iconography, ‘Women Coach’, by highlighting three points: 1) to celebrate them historical heroins that broke glass ceiling in the field of sport-coaching as a male preserve, 2) to characterize them as women leaders who have and perform ‘feminine leadership’ or so-called ‘mommy/sister leadership’ that refers to feminine attributes or traits such as heart-warming, inclusiveness, kindness, caring, horizontal relationships among players, and so on, and 3) to collectivize them as one of women coaches or all women by designating them as a role model or assigning other missions for the group of women including women coaches. As a conclusion, we deconstruct these media narratives, focusing on why this construction socially and culturally problematic, and how one needs to be critically aware of this politics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부정정서의 관계에 대한 체육수업내적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강상욱,문민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mo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negative affect in girls in mixed-gend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After excluding missing values, total of 207 data from 1-2 grades in high school in Gyeonggido H city were used to perform mediation model analysis. Results: Social physique anxiety has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affect, but negative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motive. Results of mediating analysis represented that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from the social physique anxiety to the negative affec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physical education motive. Thus,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motive betwee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negative affect in girls in the mixed class was verified.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that students with social physique anxiety have weak physical education motive which develops negative affect, and throughout the right education about there social physique so that students with high social physique anxiety can help reducing negative affect in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developing their physical education mo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육수업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경기도 H시 소재 고등학교 여학생1,2 학년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207명의 자료를 통해 사회적 체형불안, 체육수업동기 및 부정정서를 측정한 문항들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사회적 체형불안은 부정정서에정적 영향, 체육수업동기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동기는 부정정서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체육수업동기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핵생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체육수업동기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체형불안이 높은 여학생이 체육수업동기는 낮고 부정정서를 겪게 된다는 결론과 함께, 사회적 체형불안을 겪지 않도록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여학생들의 체육수업동기와 정서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초·중학교 여학생의 자기가치확인이 건강운동 기사동의도와 운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명진(ShinMyougnjin),문민권(MoonMinkw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0대 여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가치확인(self-affirmation)이 운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13세, 14세 여학생 각각 50명 총100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50명)은 글쓰기 과제(writing task)로 자기가 치확인을 조작하였고, 통제집단(50명)은 주말에 있었던 일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규칙적 운동 참여자는 자기가치확인 유/무에 상관없이 긍정적 건강기사 동의도(acceptance)가 유사하였지만, 자기가치확인 집단의 규칙적 운동 비참여자가 비자기가치확인 집단의 규칙적 운동 비참여자 보다 긍정적 건강기사 동의도가 높았다. 그리고 규칙적 운동 비참여자가 자기가치확인이 이루어진 후에는 자기가치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규칙적 운동 비참여자 보다 운동의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체육교육 수업에서 교사는 규칙적 운동을 참여하지 않는 학생에게 개인의 가치와 장점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긍정적 피드백 부여뿐만 아니라 운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 운동참여 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전략 중 하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affirmation on exercise intention of teenage schoolgirls, targeting total 100 schoolgirls(50 students of each 13 and 14 year-old girls). The experimental group(50) manipulated self-affirmation with a writing task while the control group(50) wrote about their weeken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regardless of the matter of self-affirmation, 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showed the similar acceptance of positive health message. Non-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of the self-affirmation group showed higher acceptance of positive health message than non-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of the non-self-affirmation group. Also, after the self-affirmation of non-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their exercise inten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non-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without self-affirmation.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간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전현수(HyunSooJeon),문민권(MinKwonMoon)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계 고등학생 33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정적인 방향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비교 경향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tr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337 high school students. Afte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fully mediator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tr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discussed the results with advanced research,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면 및 비대면 초등체육수업에 따른 자기통제가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동수,권성호,문민권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elf-control according to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ffects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3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AMOS 21.0,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8.0.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ch sub-factor than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n all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long-term self-control had a high level of influence 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and this effect was stronger in the non-face-to-face class participation student group. Third, in the case of class evaluation satisfaction, short-term self-control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at a significant level only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self-control of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기간과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참여수준의 조절효과

        이동운,원지은,문민권,이근철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period, level of particip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of badminton fan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helping the club members continue their exercise and development of the research on sports for all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ticipation level.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83 badminton fans in Gyeongsangnam-do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to deduce result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 effect analysis, and simple slope analysis. Results: The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of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level, and intrinsic motivation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intrinsic motiva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the participation level and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relevance. Moreover,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intrinsic motivation became stronger when the participation level was lower; however,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show correlation in the group with high participation level. Conclusion: By providing the foundational data which can be used to help badminton participants continue playing badminton and aid the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ing badminton participants continue playing the sport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기간, 참여수준, 내적동기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참여기간과내적수준의 관계에서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배드민턴 동호인의 건강한 삶을위한 지속적인 운동참여와 생활체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경상남도에서 배드민턴 동호인으로 활동 중인 183명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을 통해 자료를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참여기간과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과 내적동기는 부적인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참여수준과 내적동기의 통계적 관련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참여기간과 내적동기의 부적인 관계는 참여수준이 낮을수록 그 설명력이 강화되었지만, 참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참여기간과 내적동기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검증한 내적동기와 같이 동호인의 운동환경과 관련된 심리변인에 대한 탐색과 연구활동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건강한 삶을 위한 지속적인 운동참여와 함께 생활체육과 관련된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