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세대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의미와 전망

        권성호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최근의 테크놀로지 특징 중의 하나는 기술적 통합(technological convergence)에 의한 통합미디어(unified media)의 출현이다.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과 방송이 갖고 있는 본래의 특성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들이 합해져 만들어 내는 독특한 현상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만이 가지고 있는 디지털화, 영상화, 종합화, 쌍방향성, 비동시화, 상호작용적 링크, 그리고 개방성과 다원성 등이 특성이 될 수 있다. 교수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은 교육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문자, 동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하는 새로운 멀티미디어형 인터넷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발전전망은 ① 학습자 서비스형 인터넷 방송, ② 상업적 교수매체로서 인터넷 방송, ③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써 인터넷 방송, ④ 교육의 질적 파수꾼으로서 인터넷 방송 등이다. 방송과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적합한 논의조차 충분하지 못한 현 상태에서 인터넷 방송의 교육에의 활용에 대해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비판이 아닌 적합성과 효율성에 대한 쟁점이 논의되고 연구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방송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차세대 교수 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교육적 활용 전망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습의 구성요소로써 피드백을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made possible for the advent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or integrated media possible. One of the most recent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internet broadcast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in general, could be characterized as digitalization, visualization, integration, two-way communication, asynchronicity, interactive links, disclosed and multiple authorship.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is a new method to transfer information not only texts but multimedia contents to those in the field through network. Thus, the prospects of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could be used (1) as a learner support system, (2) as a commercial instructional media, (3) as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high quality multimedia for life-long learning and cyber education, (4) as a guard to as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what is the meaning and prospects of advent of internet broadcasting for those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 can we use internet broadcasting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dia? To address these questions, we need to research and discuss further to learn about the effective use and prospects of internet broadcasting as an instructional media.

      • KCI등재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한 학습 : 가능성과 문제점 The case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권성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2

        도시에서 떨어진 지역학교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생수의 감소이다. 19890년 이후 매년 20개교 이상이 폐교되고 있으며, 적은 수의 학생이 남아있는 학교에서는 교사 수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원도 홍천군 내촌 초등학교에서는 이런 문제를 주변지역의 4개 학교와 연결하여 비디오컨퍼런스를 통해 해결하는 실험 연구를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컨설턴트로 참여한 연구자는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한 학습에 다음과 같은 가능성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디오컨퍼런스를 통한 소그룹학습은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도시와 떨어진 지역의 학생들에게 좋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디오컨퍼런스는 교사교육에 효과적으로 사영될 수 있으며, 도시와 시골의 학생, 주민들의 의사소통을 위한 좋은 매체가 될 수 있다. 내용보다는 기계·기술적 운영에 어려움이 많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시스템 구축이 안되는 경우 비용효과성에 문제가 생기고 시행착오를 거듭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의 제공이고 교사들이 학습자료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 져야 한다. 결국, 비디오컨퍼런스를 이용한 학습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하드웨어 시스템 구축과 필요한 자료등의 원활한 공급 체계가 이루어 져야 하고, 비디오컨퍼런스를 이용한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기계조작등에 대한 교사들의 훈련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tentials and problems of learning through videoconferencing. The Korean Government conducted an experiment between March 1995 and February 1998, for three years, connecting Nae-Chon Elementary School to Dae-Bong, Dong-Chang, Hang-Cok and Woa-Ya elementary schools by way of a videoconferencing system. The need for the study was due to student numbers in rural schools had declined and teacher numbers had been reduced as a result of families moving to cities for work. This particular study conducted during the third phase of the three year experimental study. Using videoconferencing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dicated other possibilities for videoconferencing, such as the opportunity for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o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the cities, effective training of instructors and for meetings and conferen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WOO(Web based multi-user Object Oriented)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 탐색

        권성호,서윤경,이승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WOO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탐색하고 각 구성요소 WOO기반 학습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학습공동체는 실세계에서 하는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협력하여 학습하는 것을 한다. 공동체에 소속된 동료 학습자들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활동을 전개하는은 매우 중요한 학습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공동체를 다룬 기존 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공동체의 목적과 가치, 문화 등을 공유하여 구성원들이 상호 정체성과 신뢰감을 갖는 것이 중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성원들간에 적절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 지식을 생성해 나가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WOO(Web based multi- user Objected O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사회·심리적 안정감, 역할 분담, 활동, 창조적 지 성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고 사회적 실재감의 요소를 강조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구성요 이 WOO 기반 학습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WOO 기반 학습환경은 동체를 설계할 수 있는 요소를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창조적 지식 구성을 위해 효과적인 도 사용될 수 있다. 향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WOO 기반 학습공동체가 보다 효과적인 학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eb based learning refers to the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make full use of the variety of resources and share their own perspectives and opinions with fellow-learner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web based learning lie on the worldwide-networking of dispersed learners and community-building onlin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review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mmunities in the web based environments and to explore the variety of design factors for learning community-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which gain keen attentions from educational fields, consider most learners' activities with which they actively interact fellow members for resolving complex problems in the real world situations and learner-oriente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rmer researches, this paper reviewed in order to draw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efficient and even attractive community-building, and suggested five design principles such as 1) social and psychological comfort such as shared purposes, values and culture of the involved community, and self/community identity based on the trust-building with fellow members, 2) proper role play with leadership, 3) different types of synchronous or asynchronous activities and interactions, 4) creative knowledge construction, 5) physical workplace supported with technological tools. With these five design principles were suggested major functional applications in the Woo learn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Furthermore, this paper reviewed the matter of applications for those design elements in the WOO(Web based Object Oriented) that is one of prominent virtual realities and concluded that WOO learning environments could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with learners, aware each other by exchanging online messages, and construct objects, which were vital factors for community-building.

      • KCI등재후보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구축 모형 개발

        권성호,최인호,심현애,이승진,김경현,장상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초·중등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의 구축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사교육비 관련 현황 및 우리나라의 사회·현실적 요구를 분석하고, 둘째, 사이버 공간에서의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이론을 탐색하여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셋째, 학습이론적 적용의 틀을 기반으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구축 모형을 개발하고, 각 모형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과 시행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구축 모형은 체제 구성요소와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 체제 구성도를 바탕으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를 운영하는 활동 주체들의 역할을 정의한 운영 모형,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내에서의 학습 유형과 흐름을 보여주는 학습 모형,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내 학습 콘텐츠의 구성 기준을 제시하는 콘텐츠 모형 그리고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내에서의 학습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와 체제 평가를 위한 평가 모형으로 구성되었다. 각 유형별 모형은 필요에 따라 하위 모형으로 분류되어 총 17개의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가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 지원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시사점으로 환경자원, 학습자원, 인적자원, 홍보 마케팅 등의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The study is purposed to develop a set of construction models for Cyber Home Study System(CHSS) to support the students' self study through internet at the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is intended to reduce the over spending of the private educational payment, causing the social conflict and antagonism in Korea, and finally to support the public education. Th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1. Analysis on the social and authentic needs for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al payment which causes the social conflict and antagonism in Korea. 2. Setting up the principles to develop the construction model for CHSS to apply the learning theories in support of the learning in the cyber space. 3. Development of a set of construction models fo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for CHSS, based on the theoretical developmental principles. The construction model for CHS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a systemic diagram of the whole CHSS, and 4 major models: a model for management, the model for learning process, the model for content design, and the model for evaluation. The systemic diagram for CHSS demonstrates various components, which consist of the whole system,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ponents. The model of management identifies the role of each organization by which the CHSS is operated. The Learning process model is classified with 9 sub-models converging on the three factors. These factors are the learner subject, the existence of tutor support, and the relationship to the local school. The models for content design proposes the guideline for design and production of learning content. The evaluation model is composed of three sub models: evaluation for individual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for learning achievement of the tutor supported calss members, and the system evaluation. Finally, 4 kinds of suggestions is suggest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CHSS in terms of environmental resources, learning resources, man power, and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미디어교육이 청소년의 TV광고판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성호,류미아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3

        청소년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어릴 때부터 컴퓨터, TV, 비디오 등의 영상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데 익숙해져 있고 감각이 발달된 세대이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의 소비유형은 즉흥적이고 감정적이며 자기중심적이면서 외형에 신경을 쓰고 모방성이 강하기 때문에, 구매동기나 구매행동은 TV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청소년들이 특히 TV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TV광고의 허구와 기만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것이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미디어 교육의 연구동향과 이미 실시되었던 미디어광고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TV광고에 대한 미디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후에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의 TV광고판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미디어교육을 받은 집단은 TV광고의 기만성을 읽어내는 TV광고판별능력이 신장되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미디어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a education on adolescent TV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media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developing step was presented based on the 3-stages: establishment of the program goals, the design of education contents and instructional plan, the design of the learning guidance plans and training material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the hypothesis was formulated as follow; The educated group on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would be higher in TV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y than uneducated group's.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2th grade girl students selected from 2 classes of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41 students of a class participated in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and 41 students of a class did not participated in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The pretest was administered by comparing each group member's TV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y before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The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 educated group on the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was higher in TV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y than uneducated group's. And that is significant in statistic(p<.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effect of media education about TV advertisement on adolescent TV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y. But adolescence accept advertisement through not only TV but magazine & new media for example internet, etc. Therefore, The wider ranging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effects of more various media is needed.

      • KCI등재

        건강운동 몰입(flow)경험의 비교문화 연구

        권성호,권순용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examined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low experiences among exercise participants. It developed an open-ended interview survey based on Csikszenmihalyi's 9 flow elements and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for 10 Korean college students and 10 U.S.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experiential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types, facilitation factors of flow experience, paths leading to flow experience, efforts for flow experience, constraining factors against flow experience, while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felt experience of flow and results of flow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운동몰입의 대상자를 세분화하여, 그 중 건강운동참가자를 대상으로 비교문화에 따른 운동몰입의 구성개념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 10명과 미국인 대학생 10명에게Csikszentmihalyi의 9가지 몰입요인을 토대로 건강운동 관점에서 개방형질문지를 개발하여 이를 심층면담에 적용하였다.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운동 몰입의 주요 요인으로는 운동몰입을 위한 운동참여의 형태, 운동몰입의 촉진요인 및 경로, 운동몰입을 위한 노력, 운동몰입 방해요인, 운동몰입 경험의 느낌, 운동몰입의 결과 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참여의 형태는 한미 양국의 근본적인 문화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운동몰입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나 노력, 방해요인 또한 한미간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문화의 보편성에 의해 운동몰입의 경험에서 느끼는 감정적 요인과 결과로써 나타나는 자기목적적 경험은 양국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의 지속동기를 위한 학습공간 인식에 대한 고찰

        권성호,서윤경,유숙영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4

        웹 기반 학습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과정과 환경이 강조된다.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경험과 맥락은 학습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며,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맥락이 우선 공유되어야만 한다. 학습자들이 주로 웹 상의 매개체들을 통해서 상호작용을 하게되는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경험과 맥락에 대한 공유된 인식은 교수자와 운영자, 학습자들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학습을 지속하려는 동기를 유지하는 데에 주요한 요소이다. 본 고에서는 학습에 필요한 인식의 유형과 이와 대한 개념들을 선행 연구들을 통해 알아보고, 특히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공간 인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의 과정에 따른 동기의 변화를 살펴보고, 학습 과정 중의 지속동기 유지와 학습공간 인식 지원의 관련성을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학습공간 인식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들을 분석하면서, 인식의 구성 요소와 개념에 기초하여 지속동기 유지를 위한 학습공간 인식 지원의 구현 방법을 고찰하였다.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 responsibility and the control of learning have shifted from instructor to learner. From new prevailing views, learning is accepted as a meaning construction by individual learners from their past experiences. Their personal,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meaning construction. For collaborative meaning construc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context should be shared among the community members or learners. As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on the web, shared workspace awareness is a very important construct of active collaboration and highly maintained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pace awareness and the 'motivation to persist', and suggest some ways to support the workspace awareness in web-based learning. For this,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ncepts of awareness, changes of motiv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allowed us to make a framework of reference, with which several awareness support tools were analysed to show that 'motivation to persist'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support workspace awareness in web-base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rmer studies, we tried to expand the border of workspace awareness to social presence, and suggested deeper questions to be answered to support workspace awareness. These questions which were linked to the questions which affect 'motivation to persist' according to the 5 stages of learning process such as 1) to judge the difficulties of the given task, 2) to estimate one's own capacity, 3) to choose how much to invest on the task and what he can expect from it, 4) to reflect on his own performance and judge how successful it is, and 5) to analyze the reasons of the results. After deliberating the 'motivation to persist' related with the workspace awareness support, we should consider the technology which enable us to em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