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 꿈을 고이 접어 나빌레라’: 타이베이시의 춤추는 양안(兩岸)결혼이주여성들

        문경연 ( Moon Kyung Yun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21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7 No.-

        본 연구는 2005년부터 본격화된 대만 내 중국 출신 결혼이주자들(이후 대륙배우자)의 무용강좌에 주목하고 이들의 ‘춤추는 행위’가 대만 내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대륙배우자들은 대만 내에서 미묘한 중국-대만 간의 관계 때문에 다른 나라 출신 결혼이주자들과 구분된 시민권을 갖게 된다. 그러나 대만 내 생활 적응 교육은 다른 나라 출신 결혼이주자와 구분되지 않은 채 진행된다. 그 중 무용 강좌는 가장 인기가 많은 강좌이다. 대륙배우자들은 무용강좌를 들으며 자신이 중국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던 ‘무용’의 의미를 상기시킨다. 대륙배우자 무용단은 처음에는 취미를 공유하는 친목모임으로 시작되었지만, 무대에 서는 경험이 반복되며 대륙배우자들에게 자아실현과 높은 자아효능감을 제공한다. 어떤 대륙배우자들은 대만 현지의 무용강좌를 더 수강하며 공연의 전문성을 높이기도 하고, 어떤 대륙배우자들은 ‘배우는 무용단원’에서 새로운 무용단을 만들어 독립하기도 한다. 이후 자신이 속한 위치에 따라 다시 대만-중국의 경계를 넘나들며 무용 강습을 계속하거나, 대만에 남아 자녀들이나 다른 대륙배우자들에게 무용을 가르치며 후속 세대를 육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대륙배우자 무용단의 분화와 재생산은 대만 정부의 ‘개인의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드는 의도에서 더 나아가 대륙배우자들에게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사회의 일원’임을 느끼게 해 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ance classes of Chinese marriage migrants (mainland spouses) in Taiwan, which began in earnest in 2005 and attempted to clarify how their ‘dance’ affects their lives in Taiwan. First, mainland spouses have graduated citizenship distinct from foreign marriage migrants because of the subtle China-Taiwan relationship. However, there is no distinction in education for adapting in Taiwan between mainland spouses and foreign marriage migrants. Among these classes, the dance course is the most popular. Taking dance classes reminds mainland spouses of the meaning of ‘dance,’ which they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in China. Second, the dance club, which started as a social gathering to share hobbies, provides self-actualization and high self-efficacy to mainland spouses through the repeated experience of standing on a stage. Some mainland spouses take more local dance classes in Taiwan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in performances; other mainland spouses form new dance clubs from the ‘learning dancers’ to become dance teachers. Lat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some mainland spouses cross the border between Taiwan and China and continue their dance classes. Others remain in Taiwan to teach dance to their children and other mainland spouses and nurture the next generation. The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the mainland spouses’ dance clubs make them feel that they are members of an economically self-sufficient society, beyond the Taiwanese government's intention of ‘creating a healthy body and mind’ for individuals.

      • KCI등재

        1920년대 초반 현철(玄哲)의 연극론과 근대적 기획

        문경연 ( Kyoung Yeon Moon ) 한국연극학회 2005 한국연극학 Vol.0 No.25

        Guiding the major drama discourses, Hyun Chul was a leading dramatist in the early 1920s undetermined age of Korean drama history. He appeared in Chosun`s cultural circle in the blooming age of Korean modern drama. He established "Art School(藝術學校)" produced actors and actresses, and published a lot of articles on drama discourses. And he also translated foreign art history and plays into Korean language. To define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drama in Korean language was the most emergent work to introduce and translate drama. Hyun Chul not only translates Western plays and drama theories, but also recreates the western model in the form of nationalism especially influenced by "Culturalism" and "Reformism" main academic currents of the age. However there were harsh tensions in the importing process of modern drama through the filter named Hyun Chul, because various heterogeneous forces blocked the way of importing. I think that this paper focusing on Gaebyuk(開闢) the main media producing and distributing Hyun Chul`s drama theory could unveil this tension. Hyun Chul`s drama theory was a project to build up a new modern subject. He wanted to establish the independence of Chosun and the people of Chosun in the realm of "Reformism". To him "Reformism" was a theoretical clue mediating the individual and the nation.

      • KCI등재

        대북지원의 인간안보적 재해석

        문경연 ( Kyung Yon Moon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2

        인도적 지원의 적격성에 관한 국제규범은 지원을 위한 인도주의적긴급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원조 공여 기관은 원조 수혜 대상자는 물론 원조 공여자에게도 책임 있게 행동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 모두는 북한 주민의 인도적 상황에 대한고려보다는 남북관계 완화라는 정치적관계 회복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원조가 수혜 계층에 전달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는 국제 인도주의 레짐의 원칙을 간과한 것이었고, 이는 궁극적으로 남한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북지원이 실질적으로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 개선과 인간안보 확보에 기여하였는지에 대한 평가에서 회의적인 판단만이 난무한 상황을 초래하였다. 본 논문은 국제 인도주의 레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첫째, 대북 인도적지원에 있어 연계 및 상호주의 전략 폐기와 모니터링 요구의 강화, 둘째, 민간단체를 통한 대북지원의 활성화로 남북접촉면 확대와 포괄적 인간안보의 실현기반 마련, 마지막으로, 국제기구를 통한대북지원 활성화로 실질적인 원조 모니터링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inciple of humanitarianism denotes that humanitarian assistance should be driven by humanitarian needs itself and that it needs to follow the values of neutrality, impartiality and universalism. In addition, it puts emphasis on the donor`s accountability to the recipients and its tax payers. However, the South Korean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which engaged in th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since 1995 have not fully recognised the essential of the international effort and principle to protect human dignity in disaster-stricken are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ade th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conditional on the inter-Korean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and interests from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ra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the humanitarian distress in North Korea and the principle of humanitarianism that emphasizes aid monitoring to ensure the delivery of aid to the target groups in the recipient country. It consequently resulted in the situation that no one knows whether th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since 1995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human security in North Korea or not.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inciples, norms and guidelines for humanitarianism which is supported by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regime, this thesis argues three implications for advancing South Korean aid to North Korea. Firstly, it argues that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should respect the principle of humanitarianism rather tha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between both Koreas. Secondly, the paper suggest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deliver its assistance throug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in that the expansion of NGO activities and cooperation in both Koreas would play a positive role in building a favourable political environment in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relief of humanitarian distress in North Korea. Lastly, i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n through the channel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WFP and UNICEF and UNDP to secure transparency by improving monitoring in the process of aid to North Korean recipients.

      • KCI등재

        한국 근대 대중연극계의 기억과 침묵 읽기 : 남성 필자의 회고록과 자서전을 중심으로

        문경연 ( Kyung Yeon Moon ) 한국드라마학회 2007 드라마연구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what actress`s voices were, or better, what Gi-seng and actress did. In so doing, I try to pay attention to autobiographies by male-theatrical people. In modem popular drama history, there were a few verbal notes, autobiographies and memoirs produced by men.(An Jong Hwa, Park Jin, Park Seong Hee, Go Seal Bong, and Lee Sea Gu erc.) Based on those documents, modem popular drama was rediscovered as a reaction against earlier focusing on the elite of theatrical circles. Despite of many different aspects, they have shared androcentric standpoint, masculine point of view. As a result, the traditional approaches have produced man-dominated official history. That derision has been to omit a good deal of women`s voices, much of it by Gi-seng and actresses. The emphasis on ``women`` can offer a remedy for the male-collective memories. The addition of women to the field of study can lead to redefinition of modem popular drama. 한국 연극사에는 중요한 몇몇 연극인의 구술과 회고록이 남아있다. 초창기 한국 연극에 대한 기록과 자료가 턱없이 모자라는 현실에서 이들의 글은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그런데 이 자료들의 발화 주체, 서술 주체가 전적으로 남성이다. 안종화, 박진, 박승희, 고설봉, 이서구 등의 남성연극인들이 남겨놓은 회고담과 자서전을 통해 재생산된 근대 연극계의 지형도는 전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 한국 연극사의 헤게모니를 장악했던 지식인 연국인들에 대항한 아들 대중연극계 연극인들의 대안적 역사 쓰기는, 여성 연극인과 여성 관객들을 남성중심주의적 시각에서 재해석과 재현해 냄으로써 또 하나의 남성 공식 역사가 되었다. 본고는 남성연극인들의 회고담과 자서전을 통해 만들어진 한국대중연극계에 대한 우리의 집합적 기억을 찾아내고, 그 안에서 당대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전유되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대중 예술인으로서의 존재를 인정받지 못했고, 문자와 사회 권력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서전이나 회고록을 남길 수 없었던 여배우와 기생의 존재 조건을 전제하면서, 당시 그녀들의 목소리와 의식을 추적해보았다. 당대 여배우와 여성 관객이 표출한 연극계에 대한 인식을 통해, 공식적인 남성기억에 반하는 대항기억의 정립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1940년대 국민연극과 친일협력의 논리 : 유치진을 중심으로

        문경연 ( Kyoung Yeon Moon ) 한국드라마학회 2008 드라마연구 Vol.- No.29

        This paper, first aims to reconstruct Ryu Chi-Jin`s ``theory of national theatre`` through his activities and writing in 1940s, who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representing the field of new theat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is, it tries to explore the internal logic of an intellectual who had been absorbed into the field of pro-Japanese actions and mentality. It is an extremely delicate matter to determine whether Ryu Chi-Jin`s pro-Japanese activities derived from his complete identification with the Japanese empire, or they were temporary actions that came out of enforcement. However, this paper focuses more on tracing the internal ``tension`` and ``fissure`` that his drama theory and dramatic practice have, within the theatrical landscape of that period and the logic upon which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was established than passing judgment on Ryu Chi-Jin`s pro-Japanese activities. It is an attempt to discuss the pro-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theatre from a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judging them by the standards of binary opposition such as pro-Japanese ideology against nationalism or collaboration against resistance. It should, however, not be identified or confused with the attempt to relieve him of any responsibilities he has for writing an pro-Japanese literature. He speaks out his voice in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that was published in media and the writer`s note or synopsis that were attached to the script of Heungnyong River, The Army Northward and The Chinese Date Tree. Although these writings were mostly propagandized statements, they exposed his true feelings and intentions. He justified his logic of moving away from the ``theory of new theory`` that had been his belief since 1930s to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It is clear that his ``theory of national theatre`` is a repetition of the discourse of national subject supported by the logic of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that of ``Naisen-ittai(Korea and Japan as a single body).`` It was also a cultural logic of a colonial intellectual who awaited the interpellation of the empire. However, the logical gaps in a number of Ryu`s theatrical theories reveal the ambivalent interior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who could not identify completely with the logic of ``Naisen-ittai(內鮮一體)`` and the state-controlled art practice. 본고는 일제 말기 신극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던 유치진의 1940년대 행적과 글쓰기를 통해, 그의 ``국민연극론``을 재구(再構)하고 친일의 자장으로 흡수되었던 지식인의 내적 논리를 살피고자 한다. 유치진의 친일이 제국에 대한 완전한 동화(同化)에서 기인한 것인지, 강요에 의한 일시적인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일인데, 본고의 관심은 오히려 당시의 연극계 상황과 국민연극론이 수립되는 논리 안에서 유치진의 연극론과 연극적 실천이 갖는 내적 ``긴장``과 ``균열``을 추적하는데 있다. 이것은 식민지시대 작품을 친일과 민족주의, 협력과 저항으로 가늠하는 이분법적 시각이나 친일문학의 불가역성을 인정하려는 시도와는 다른 지점에서 국민연극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유치진은 매체에 발표한 ``국민연극론``과 연극대본〈黑龍江〉,〈北進隊〉,〈대추나무〉에 첨부한 작의(作意), 경개(梗槪) 등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이상의 글들은 대사회적인 선전성 발화임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진심과 의향을 노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유치진은 1930년대 이래 자신의 연극이념인 ``신극론``에서 ``국민연극론``으로 이월(移越)하는 논리를 펼쳤다. 유치진이 1940년대 전반기에 펼친 국민연극론은 대동아공영권과 내선일체의 황민화담론을 반복하면서, 제국의 호명을 기다리는 식민지 지식인의 문화논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유치진의 여러 연극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논리의 ``틈``들은, 내선일체와 국가주의적 예술통제에 완전히 동화(同化)하지 못한 식민지 지식인의 양가적 내면을 드러낸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민의 배우자"를 벗어난 여성들: 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의 결혼과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

        문경연 ( Kyung Yun Moo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2

        본 논문은 최근 국제결혼의 이혼이 급증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중국 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의 이혼 현상에 대해 고찰한다. 즉, ``국제결혼 이주 여성은 영구적으로 한국에 거주할 사람``이라는 국가의 전제가 무너졌을 때 국가가 이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대응하는지, 그리고 여성들은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의 주된 문제의식은 두 가지이다. 첫째, 중국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이 왜 이혼에 이르는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들의 이주, 결혼, 이혼과정을 분석해 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 연구자는 특히 여성들이 결혼에 대한 어떠한 인식과 동기를 가지고 한국에 들어오며, 어떠한 상황에서 갈등을 겪고 이혼을 선택하는지에 주목했다. 여성들의 이러한 궤적은 제약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도 삶에 대처해나가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둘째, 한국 정부는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을 한국에 적응해서 살아야 한다고 여기고 국민으로 동화시키려는 노력을 해 왔다. 이때 이혼이라는 예외 상황이 발생하면, 국가의 여성들에 대한 대응이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가의 변화를``국가-사회관계``의 틀 속에서 파악한다. 진행중인 이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혼한 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과 국가의 관계는 상호작용을 거쳐 변화함을 고찰한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government characterizes divorces between Korean men and Han Chinese women and how it re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these divorces.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is divorced Han-Chinese women in Korea who hold residency status (F-2-1) and who at the time of this study were attending "C" church. They are originally from rural areas in northeastern China. Most were between 30 to 40 years of age and most had been divorced in China.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these women moved to urban areas and earned money for their families. Their moving process was motivated by their own volition. This experience of moving about in their own country affected their decision to migrate from China to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of Korean husbands and wives causes tension over who gets to hold the "purse strings" in the home. As the conflict intensifies, the Han-Chinese wives often choose to run away from their homes. The experience of "easy" divorce in China has an influence on the women`s decision to escape by divorcing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has a duty to encourage naturalization for "marriage migrants" and has made an effort to execute that duty. However, when the problem is viewed from the state-and-society framework, the divorces among marriage migrants are shown to create an exceptional and unexpected situation for the government. There is tension, competi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as well as between the state and the divorced women. The state imposes rules on these divorced women and judges them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a "righteous citizen." The women take advantage of these rules to maintain their status as lawful residents of Korea. However, the women occasionally violate the law, so the state has changed its portrayal of these divorced women and has begun to characterize them as law-breakers. Against these negative views, however, Han-Chinese women regard themselves as messenger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y try to make known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to Korean people and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양안결혼이주남성의‘젠더 전복’? : 젠더 역할, 노동권, 시민권을 중심으로

        문경연 ( Kyungyun Moon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2

        이 논문은 대만에 살고 있는 중국 출신 남성 결혼이주자(남성대륙배우자)의 결혼 생활을 통해 젠더 관념에 대해 분석한다. ‘이주의 여성화’라는 미명 하에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아시아의 결혼이주의 주체로 여성 결혼이주자에 초점을 맞춰왔다. 대만에서도 남성결혼이주자는 매우 소수이며, 젠더화된 이민정책으로 남성결혼이주자들은 완전한 노동권과 건강권을 보장받지 못했고, 집안에서 양육을 담당해야만 했다. 특히 ‘중국’출신을 따로 분류하는 이민 정책은 남성대륙배우자가 시민권을 얻기 위해서 외국 배우자보다 2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불합리한 제도였다. 남성대륙배우자는 이 정책에 대항하여 권리 투쟁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주로 사적 모임을 만들며 경제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나누기도 한다. 이러한 남성대륙배우자의 조직화는 2009년 대만의 제도 완화와 중국의 관심으로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이 변화 속에서 남성들은 중국 정부의 관심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위치나 공적 영역으로의 확장을 좀 더 중국 쪽으로 두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gender meanings and marriage life through Chinese male marriage migrants in Taiwan. As a name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most of the studies about marriage migration in Asia are focused on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aiwan, there are a few male marriage migrants from China. Gendered immigration policies did not give males full labor rights and health rights, and differentiated immigration policies required males to wait six years for citizenship, which is two years longer than other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imposed by this policy, Chinese male spouses fight for promoting their interests. Such activities can be seen in two primary spheres: in the political sphere, where they protest together to protect their civil rights; and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where they exchange information helpful for life in Taiwan, such as conducting some business, and resolving legal issues. This paper offers ethnography of how Chinese male spouses, which inhabits an ambiguous position in Taiwanese society as a result of the special cross-strait relationship, develop social networks.

      • KCI등재

        초기 여성국극의 장르 정착과 서사적 특징 연구 -<황금돼지>를 중심으로-

        문경연 ( Kyoung Yeon Moon ) 한국연극학회 2013 한국연극학 Vol.1 No.51

        본 연구는 여성국극 <황금돼지>의 대본 발굴을 계기로, 여성국극 장르가 정착하는데 기여한 초기 동인들(agents)을 다양한 맥락에서 재구(再構)하고 <황금돼지>의 서사 분석과 장르적 특징을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성국극 <황금돼지>는 <햇님과 달님>의 성공하면서 기획된 후속작으로, 두 작품은 여성국극의 장르 안착에 기여하고 서사적 특징과 공연 스타일의 초기 전범이 되었다. <황금돼지>는 두 남녀주인공의 혼사문제가 방해자의 이간과 여러 소동 속에 표류하지만 혼인에 성공하는 서사의 귀착점에 도달한다. <황금돼지>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특징과 이들이 지향하는 가치는 로맨스로서의 정(情)과 국권(國權)의 회복에서 찾을 수 있다. <황금돼지>무대는 역사성이 제거된 과거를 재현했고, 이상화된 과거의 시간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주조했다. 이렇게 비현실적인 환상으로 세계가 구성된 여성국극은, 삶의 기반이 파괴된 해방-건국-분단의 현실 공간에서 사라진 공동체를 향해 노스탤지어를 품을 수 밖에 없었던 한국인들의 심상을 재현하는 사회학적 표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genre rules of Female Guggeuk (yeoseongguggeuk) that prevailed the popular culture scenes of 1950`s Korea, by way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narrative and aesthetics of The Golden Pig (1949), a recently discovered script of a Korean classical opera. The Golden Pig, which was premiered in 1949, was a sequel that was created to follow the success of The Sun and the Moon (1949), the very first women`s Korean classical opera to be successful. The success of these two pieces served as an important cornerstone for women`s Korean classical opera to boom in the 1950s, and a barometer for measuring the demands for the new cultural product, that is, women`s Korean classical opera. In The Golden Pig, one can find the early agents by which women`s Korean classical opera was being formulated, as the sentimental elements of "nostalgia" were planted within and outside of the piece to console the Korean people in their confusing time of recent independence from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Korean nation.

      • KCI등재

        양안결혼(兩岸結婚)과 대륙배우자의 등장: 이주시기별 분화를 중심으로

        문경연(Kyungyun Moon)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10 No.1

        본 연구는 양안결혼이주를 양안관계의 역사와 결혼이주자들의 이주 경험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양안결혼(cross-strait marriage)이란 중국과 대만 사이에서 일어나는 결혼이주를 지칭하는 용어로 1987년 대만-중국 간 교류(양안교류)의 개방과 함께 등장하였다. 양안결혼의 역사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양안교류의 맥락에서 양안결혼 관련 정책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혹은 양안결혼의 일부 맥락에 국한되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양안결혼의 역사속에서 경험과 연령에 따라 다른 이주 배경과 결혼 유형을 겪은 ‘대륙배우자’들이 분화되어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초기 양안결혼은 대만의 퇴역군인들과 재혼 이상의 대륙배우자들의 결합으로 동향혼의 특징을 지닌다. 중기 양안결혼은 1992년 양안교류가 본격적으로 제도화된 후 중국으로 진출한 대만상인이나 대만간부들이 여성노동자와 만나는 연애혼의 특징을 지닌다. ‘새로운’ 양안결혼은 중국인들의 해외 진출과 연관이 있으며, 제3국에서 만나 연애혼을 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분화 현상은 ‘대륙배우자’라 불리는 이 집단이 실제로는 하나의 동일 집단이 아니며 이들의 이주 맥락과 가족 형태에 따라 적어도 세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려 준다. 또한 이 양안결혼 사례를 통해 결혼이주의 역사가 길어질수록 결혼이주자 내에서 이주 배경에 따라 분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looked at how cross-strait marriage began and chang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cross-strait relations and the migration experience of marriage migrants. Cross-strait marriage, which refers to the marriage migration between the Chinese and Taiwanese, has been emerged from 1987 with the opening of Taiwan-China exchange. Previous studies on the history of cross-strait marriage have suggested how policies related to cross-strait marriage have changed in the context of crossstrait exchange.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assert that cross-strait marriag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migration and marriage type of the ‘Mainland spouse’. Early cross-strait marriage is characterized by the coupling of the veterans and Mainland spouses who are from the same hometown. The middle cross-strait marriage began with the entry of Taiwanese businessmen (Taishang) into China, and when their children become school age, they settled in Taiwan. ‘New’ cross-strait marriage is a recent phenomenon. They are married and living in another country. This differentiation shows that ‘Mainland Spouses’ is not a single category and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migration context, motives and family type. This cross-strait marriage case suggests that the longer the history of marriage migration, the different divisions may occur depending on the migration background within the marriage migrants group.

      • KCI등재

        잉여 식량과 국제 무역체제: 한국 잉여 쌀의 해외원조 정책에 대한 함의

        문경연(Kyungyon Moon),손혁상(Hyuk-Sang Sohn) 국제개발협력학회 202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2 No.1

        연구목적: 본 논문은 국내외적 환경 변화에 의한 쌀 재고 증가 문제에 직면한 한국 정부가 잉여 식량의 대외원조를 모색함에 있어 현물지원과 관련된 국제적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에서 잉여 식량의 대외원조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이슈이나 한국은 2017년에 첫 잉여 쌀이 대외원조로 지원된 가운데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방법론: 국제사회의 잉여 식량 원조에 대한 문헌 연구와 농림부의 한국농업 데이터 분석을 주된 연구 방법론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2017년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개도국에 현물지원 형태로 쌀을 지원하였다. 하지만 잉여 식량의 대외원조와 관련한 국제사회의 규범에 대한 연구와 학습은 미미 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신흥 공여국으로 급성장한 한국정부가 기존의 현금 지원이 아닌 현물 형태로의 식량지원 정책을 모색함에 있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를 정책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national system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 seeking foreign aid for surplus food in the face of the problem of increasing rice inventory due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Originality: External aid of surplus foo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 long history, but Korea did not have any related research with the first surplus rice being provided with foreign aid in 2017.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on surplus food ai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nalysis of Korean agricultural data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data. Result: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in 2017, rice was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in kind. However, research and learning on international norms regarding foreign aid of surplus food was never conducted befor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effort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 mechanisms in seeking food aid in kind instead of conventional cash a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